동양고전종합DB

資治通鑑綱目(7)

자치통감강목(7)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자치통감강목(7)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乙巳年(A.D.45)
二十一年이라 春正月 하다
代郡以東 尤被烏桓之害하니 其居止近塞注+近, 其靳切. 朝發穹廬하면 暮至城郭하니
五郡民庶 家受其辜注+五郡, 謂代郡․上谷․漁陽․右北平․遼西也.하며 至於郡縣損壞하고 百姓流亡하여 邊陲蕭條하여 無復人迹이라
秋八月 帝遣馬援하여 與諸謁者 分築堡塞하고 稍興立郡縣하고 或空置太守, 令, 長하여 招還人民하다
烏桓 居上谷塞外白山者 最爲彊富注+白山, 卽祁連山.러니 將三千騎擊之로되 無功而還하다
鮮卑冦遼東이어늘 太守祭肜 擊走之하다
鮮卑萬餘騎冦遼東이어늘 太守祭肜 率數千人하여 迎擊之할새 自被甲陷陣注+肜, 遵之從弟也.하니 虜大犇하여 投水死者過半이라
遂窮追出塞하니 虜急하여 皆棄兵하고 裸身散走하다 是後 鮮卑震怖하고 畏肜하여 不敢復闚塞러라
匈奴冦上谷, 中山하다
◑西域十八國 遣子入侍하고 請都護어늘 不許하다
莎車王賢 浸以驕橫하여 欲兼幷西域하여 數攻諸國하니 諸國 愁懼
車師前王 鄯善, 焉耆等十八國 俱遣子入侍하고 願得都護어늘 帝以中國初定하고 北邊未服이라하여 皆還其侍子하고 厚賞賜之하다
諸國 聞都護不出而侍子皆還하고 大憂恐이라 乃與敦煌太守檄하여 願留侍子以示莎車하여
言侍子見留하고 都護尋至라하여 冀且息其兵이어늘 裴遵 以狀聞한대 帝許之하다


을사년乙巳年(A.D.45)
나라 세조 광무황제世祖 光武皇帝 건무建武 21년이다. 봄 정월에 오환烏桓흉노匈奴, 선비鮮卑와 병력을 연합하여 들어와 침략하였다.
대군代郡의 동쪽 지역이 오환烏桓의 폐해를 더욱 크게 입었는데, 그들의 거처가 변방과 가까워서注+(가깝다)은 기근其靳이다. 아침에 궁려穹廬(유목민의 이동식 집)에서 출발하면 저녁에 변경의 성곽에 이르니,
다섯 의 백성들이 집집마다 그 피해를 입었으며注+오군五郡(다섯 )”은 대군代郡, 상곡上谷, 어양漁陽, 우북평右北平, 요서遼西를 이른다., 심지어는 군현郡縣이 파손되고 백성들이 유망流亡하여 변경이 쓸쓸해서 다시는 사람의 자취를 볼 수 없게 되었다.
가을 8월에 황제가 마원馬援을 보내 알자謁者들과 함께 보새堡塞를 나누어 구축하고 점차 군현郡縣을 세우고 혹은 비어 있는 곳에 태수太守영장令長만을 설치하여 백성들을 불러 돌아오게 하였다.
상곡上谷 변방 밖 백산白山에 거주하는 오환烏桓이 가장 강하고 부유하다고 이름났었는데注+백산白山”은 바로 기련산祁連山이다., 마원이 3천 명의 기병을 거느리고 가서 공격하였으나, 공이 없이 돌아왔다.
선비鮮卑요동遼東을 침략하자, 태수 채융太守 祭肜(채융)이 공격하여 패주시켰다.
선비鮮卑의 기병 만여 명이 요동遼東을 침략하자, 태수 채융太守 祭肜(채융)이 수천 명을 거느리고 이들을 맞아 공격할 적에 직접 갑옷을 입고 적진에 뛰어드니注+채융祭肜채준祭遵종제從弟이다., 적들이 궤멸되어 물에 빠져 죽은 자가 절반이 넘었다.
마침내 끝까지 추격하여 변방을 나가니, 오랑캐들이 다급하여 모두 병기를 버리고 벌거벗은 채 흩어져 달아났다. 이후로 선비는 놀라 겁을 먹고 채융을 두려워해서 다시는 감히 변경을 엿보지 못하였다.
】 겨울에 흉노匈奴상곡上谷중산中山을 침략하였다.
서역西域의 18개 나라가 아들을 보내 입시入侍하게 하고 도호都護를 청하였으나, 허락하지 않았다.
사차왕 현莎車王 賢이 점점 교만하고 방종하여 서역西域을 겸병하고자 해서 자주 서역의 여러 나라를 공격하니, 여러 나라가 근심하고 두려워하였다.
차사전왕국車師前王國선선鄯善(선선)과 언기焉耆 등 18개 나라가 모두 아들을 보내 입시入侍하게 하고 도호都護를 얻기를 원하였으나, 황제는 중국中國이 이제 겨우 안정되었고 북쪽 변방이 아직 복종하지 않는다 하여 시자侍子를 모두 돌려보내고 후한 상을 내렸다.
여러 나라에서는 도호가 나오지 않고 시자侍子가 다 돌아온다는 말을 듣고는 크게 근심하고 두려워하였다. 그리하여 돈황태수敦煌太守(배준裴遵)에게 격문을 보내서, “시자侍子를 돈황에 머물게 하여 사차왕에게 보여주고서
시자侍子가 현재 나라에 머물러 있고, 도호가 곧 부임해올 것이다.’라고 말해서 우선 병란兵亂을 그치게 해줄 것을 청합니다.” 하였다. 배준裴遵이 글을 올려 아뢰자, 황제가 이를 허락하였다.


역주
역주1 烏桓……連兵入冦 : “鮮卑가 처음 ≪資治通鑑綱目≫에 보인다.[鮮卑始見綱目]다” ≪書法≫

자치통감강목(7) 책은 2019.10.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