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
		                       		
		                       		
		                        		
			                            	[目] 대장군大將軍(곽광霍光)이 황제에게 아뢰고 부개자傅介子를 보냈는데, 부개자가 황금과 폐백을 많이 가지고 가면서 소문을 퍼뜨리기를 ‘이번의 사행使行은 외국에 물건을 하사하기 위한 것이다.’ 하였다. 
			                             
									
                        			
                        			
                        		
	                     		
			                       	
			                       	
	                     		
		                        
                        	
		                        
		                        
		                        
		                        
                        		
                        	
		                        
		                        
		                        
		                        
                        		
                        		
                        		
                        			
                        			
		                       		
		                       		
		                       		
		                       		
		                        		
			                            	누란국樓蘭國에 이르자, 국왕國王이 한漢나라의 물건을 탐하여 만나러 왔다. 
			                             
									
                        			
                        			
                        		
	                     		
			                       	
			                       	
	                     		
		                        
                        	
		                        
		                        
		                        
		                        
                        		
                        	
		                        
		                        
		                        
		                        
                        		
                        		
                        		
                        			
                        			
		                       		
		                       		
		                       		
		                       		
		                        		
			                            	부개자는 그와 함께 앉아 취하도록 술을 마시고는, 
국왕國王에게 “
천자天子께서 나를 시켜 
왕王에게 은밀히 말씀을 전하게 했다.”
注+〈“사보왕私報王”은〉 은밀히 왕王에게 타이르는 바가 있음을 이른다. 하니, 
왕王이 일어나 부개자를 따라 장막 안으로 들어왔다. 
 
									
                        			
                        			
                        		
	                     		
			                       	
			                       	
	                     		
		                        
                        	
		                        
		                        
		                        
		                        
                        		
                        	
		                        
		                        
		                        
		                        
                        		
                        		
                        		
                        			
                        			
		                       		
		                       		
		                       		
		                       		
		                        		
			                            	장사壯士 두 사람이 뒤에서 그를 찔러 마침내 그의 머리를 베고, 파발마를 달려 대궐에 와서 북쪽 대궐 아래에 그의 머리를 매달아놓았다. 
			                             
									
                        			
                        			
                        		
	                     		
			                       	
			                       	
	                     		
		                        
                        	
		                        
		                        
		                        
		                        
                        		
                        	
		                        
		                        
		                        
		                        
                        		
                        		
                        		
                        			
                        			
		                       		
		                       		
		                       		
		                       		
		                        		
			                            	그리고 
한漢나라에 와 있던 누란왕의 아우 
위도기尉屠耆(위제석)을 세워 
왕王으로 삼고는,
注+도기屠耆은 음이 제석除析이니, 위도기尉屠耆(위제석)은 이름이다. 나라 이름을 고쳐 
선선鄯善이라 하고, 그를 위하여 
국왕國王의 
인장印章을 전각하여 주었다.
注+아래의 위爲(위하다)는 거성去聲이다. 
									
                        			
                        			
                        		
	                     		
			                       	
			                       	
	                     		
		                        
                        	
		                        
		                        
		                        
		                        
                        		
                        	
		                        
		                        
		                        
		                        
                        		
                        		
                        		
                        			
                        			
		                       		
		                       		
		                       		
		                       		
		                        		
			                            	또 
궁녀宮女를 하사하여 
부인夫人으로 삼고 
거기車騎와 
치중輜重을 구비해주었으며, 
승상丞相이 백관을 거느리고 
횡문橫門(광문) 밖까지 전송하고는 
조도제祖道祭를 지내어 환송하였다.
注+조祖는 길을 떠날 때 길의 노신路神에게 제사하는 것이다. 
									
                        			
                        			
                        		
	                     		
			                       	
			                       	
	                     		
		                        
                        	
		                        
		                        
		                        
		                        
                        		
                        	
		                        
		                        
		                        
		                        
                        		
                        		
                        		
                        			
                        			
		                       		
		                       		
		                       		
		                       		
		                        		
			                            	왕王은 자청하기를 “나라 안에 이순성伊循城이 있는데, 이 성城은 토지가 비옥하고 좋습니다.
			                             
									
                        			
                        			
                        		
	                     		
			                       	
			                       	
	                     		
		                        
                        	
		                        
		                        
		                        
		                        
                        		
                        	
		                        
		                        
		                        
		                        
                        		
                        		
                        		
                        			
                        			
		                       		
		                       		
		                       		
		                       		
		                        		
			                            	 원컨대 한漢나라에서 한 장수를 보내어 둔전屯田을 하여 곡식을 저축하게 하고, 신臣으로 하여금 한漢나라의 중重한 위엄에 의지하게 해주시기 바랍니다.” 하였다.
			                             
									
                        			
                        			
                        		
	                     		
			                       	
			                       	
	                     		
		                        
                        	
		                        
		                        
		                        
		                        
                        		
                        	
		                        
		                        
		                        
		                        
                        		
                        		
                        		
                        			
                        			
		                       		
		                       		
		                       		
		                       		
		                        		
			                            	 이에 
한漢나라는 관리와 병사를 보내 이순성에 둔전을 하여 
진무鎭撫하게 하고, 부개자를 봉하여 
의양후義陽侯로 삼았다.
注+《한서漢書》 〈백관표百官表〉에 “의양후義陽侯는 남양南陽의 평씨平氏를 식읍食邑으로 하였다.”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