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資治通鑑綱目(18)

자치통감강목(18)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자치통감강목(18)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宋大明八年이요 魏和平五年이라
夏閏五月 宋主駿殂注+壽, 三十五.하니 하다
宋主末年 尤貪財利하여 刺史二千石 罷還 必限使獻奉하고 又以蒲戲取之하여 罄盡乃止하고 終日酣飲하여 嘗憑几昏睡라가
或外有奏事 即肅然整容하여 無復酒態注+嘗, 通鑑作常.하니 由是 内外畏之하여 莫敢弛惰러라
至是하여 殂於玉燭殿하니 遺詔太宰義恭加中書監하고 柳元景領尙書令하여 事無巨細 悉關二公호되 大事 與始興公沈慶之參决하고
若有軍旅 悉委慶之하고 尙書中事 委僕射顔師伯하고 外監所統 委領軍王玄謨注+舊制, 外監不隷領軍, 宜相統攝者, 自有别詔. 文帝元嘉十八年, 以趙伯符爲領軍將軍, 始統領外監.하다 太子即位하니 年十六이라
蔡興宗 奉璽綬하니 太子受之 傲惰無戚容이라 興宗 出告人曰 家國之禍 其在此乎인저
秋七月 柔然處羅可汗死하니 子受羅部眞可汗予成注+受羅部眞, 魏言惠也.하다
改元永康하다
宋以蔡興宗爲新昌太守하고 王玄謨爲南徐州刺史하다
宋罷孝建以來所改制度하여 還依元嘉하니 蔡興宗於都座 慨然謂顔師伯曰注+此都座, 謂尙書八座會坐之所. 先帝雖非盛德之主 要以道始終하니 三年無改 古典所貴
今殯宮始撤하고 山陵未遠한대 而凡諸制度 不論是非하고 一皆刊削하니 雖復禪代 亦不至爾 天下有識 當以此窺人하리이다 師伯 不從注+禪代, 謂異姓也.하다
太宰義恭 素畏戴法興巢尙之等이라 雖受遺輔政이나 而引身避事하니 由是 政歸近習이라 法興等専制朝權하여 詔勅 皆出其手러라
興宗 自以職管銓衡으로 毎至上朝 輒爲義恭하여 陳登賢進士之意注+上, 時掌切.하고 又箴規得失하고 博論朝政하니 義恭聞之하고 戰懼無答이러라
興宗毎奏選事 法興尙之等 輒點定回換注+選事, 選曹事也.하니 興宗 於朝堂 謂義恭師伯曰 主上 諒闇 不親萬機한대 而選擧密事 多被刪改하고 復非公筆이라 亦不知是何天子意
義恭法興 皆惡之하여 左遷新昌太守러니 既而 以其人望으로 復留之建康注+吳孫皓建衡三年, 分交趾立新興郡, 晉武帝太康三年, 更名新昌郡, 屬交州.하고 法興等 惡王玄謨剛嚴하여 以爲南徐州刺史하다
八月 하다
太后疾篤 使呼宋主子業한대 子業曰 病人間 多鬼하니 那可往이리오 太后怒하여 謂侍者호되 取刀來하여 剖我腹하라 那得生오하더라
宋饑하다
東方諸郡 連歲旱饑하여 米一升 錢數百이요 建康 亦至百餘錢이라 饑死者 什六七注+東方諸郡, 謂三吳及浙江東五郡.이러라
是歲 宋境内 凡有州二十二 郡二百七十四 縣千二百九十九 户九十四萬有奇注+凡數之零餘, 皆曰奇.러라


나라 세조世祖 효무제孝武帝 유준劉駿 대명大明 8년이고, 북위北魏 고종高宗 문성제文成帝 탁발준拓跋濬 화평和平 5년이다.
[] 여름 윤5월에 송주宋主 유준劉駿注+① 향년이 35세였다., 태자太子 유자업劉子業이 즉위하였다.
[] 송주宋主(효무제孝武帝)의 말년에 더욱 재리財利를 탐내어 자사刺史이천석二千石(군수郡守)의 관원이 임기가 만료되어 돌아올 적에 반드시 일정한 한도를 두어 바치게 하였고, 또 저포樗蒲 놀이를 하여 재물을 다 빼앗아야 그쳤고, 종일 술에 취하여 늘注+① 嘗은 ≪資治通鑑≫에 常으로 되어 있다. 안석에 기대어 혼수 상태였다가
혹은 밖에서 일을 아뢰는 자가 있을 적에는 바로 엄숙하게 정연한 용모를 정제하여 술에 취한 모습이 없었다. 이로 말미암아 안팎에서 두려워하여 감히 해이解弛하게 하는 자가 없었다.
이때에 송주宋主옥촉전玉燭殿에서 하니, 유조遺詔를 내려서 태재太宰 유의공劉義恭에게 중서감中書監을 더해주고, 유원경柳元景상서령尙書令을 겸하게 하여 크고 작은 일을 모두 두 에게 처결하게 하고, 국가 대사大事의 경우는 시흥공始興公 심경지沈慶之와 함께 결정하게 하고,
만약 군사의 일이 있으면 모두 심경지에게 맡기고, 상서성尙書省 안의 일은 복야僕射 안사백顔師伯에게 맡기고, 외감外監의 관할은 영군領軍 왕현모王玄謨에게 맡기게 하였다.注+② 舊制에 外監은 領軍에 예속되지 않았으므로 마땅히 서로 統攝할 경우에는 따로 조서를 내렸다. 宋 文帝 元嘉 18년(441)에 趙伯符로 領軍將軍을 삼아서 처음으로 태자太子즉위即位하니 나이가 16세였다.
채흥종蔡興宗새수璽綬를 바치니 태자가 받을 적에 오만하면서 슬퍼하는 모습이 없었다. 채흥종이 나와서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국가의 재앙이 이 사람에게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 가을 7월에 유연柔然처라가한處羅可汗이 죽으니 아들 수라부진가한受羅部眞可汗注+① 受羅部眞은 北魏의 말에 은혜라는 뜻이다. 옥구려예성郁久閭予成이 즉위하였다.
[] 〈유연柔然이〉 연호를 영강永康으로 바꾸었다.
[] 나라가 채흥종蔡興宗신창태수新昌太守로 삼고, 왕현모王玄謨남서주자사南徐州刺史로 삼았다.
[] 나라는 효건孝建(454~456, 효무제孝武帝 연호) 이래로 고친 제도를 폐기하고 원가元嘉(424~453, 문제文帝 연호) 시대의 제도로 환원하였다. 채흥종蔡興宗도좌都座에서注+① 여기의 都座는 가 會坐하는 장소를 말한다. 개연히 안사백顔師伯에게 말하기를 “선제先帝(효무제)께서는 비록 성덕盛德의 군주는 아니었으나 시종일관 도리로써 다스리고자 하였다. 은 옛 경전에서 존숭한 것이다.
지금 빈궁殯宮(빈소殯所)을 막 철거하였고 산릉山陵으로 옮긴 지 얼마 안 되었는데, 여러 제도의 시비를 따지지 않고 일률적으로 모두 제거하니, 비록 다시 타성他姓황위皇位를 선양받더라도注+② “禪代”는 다른 성씨에게 〈禪讓하는 것을〉 이른다. 이 지경에 이르지는 않을 것이다. 천하에 견식이 있는 자들이 응당 이것을 가지고 정치를 담당하는 사람들의 시비를 살펴볼 것이다.”라고 하였으나, 안사백이 이 말을 따르지 못하였다.
태재太宰 유의공劉義恭은 평소 대법흥戴法興소상지巢尙之 등을 두려워하였으므로 비록 유조遺詔를 받아 정사를 보필하였으나 자신의 몸을 빼어 정사를 회피하니, 이로 말미암아 정사가 근습近習에게 돌아갔다. 대법흥 등이 조정의 권력을 전횡하여 조칙詔勅이 모두 그의 손에서 나왔다.
채흥종은 자신이 직책상 전형銓衡(관리 선발)을 관장하므로 조정에 나갈注+③ 上(올라가다)은 時掌의 切이다. 때마다 유의공에게 현인을 등용하며 선비를 천거하는 뜻을 진술하고 또 임금과 신하의 잘잘못을 경계시키고 조정을 널리 논평하니, 유의공이 그것을 듣고 두려워하여 답변하지 않았다.
채흥종이 선조選曹의 일을注+④ “選事”는 選曹의 일이다. 아뢸 때마다 대법흥과 소상지 등이 번번이 상주한 글을 고쳐서 바꾸었다. 채흥종이 조당朝堂에서 유의공과 안사백에게 말하기를 “주상主上께서 상중喪中에 있을 때에는 친히 정무를 보지 않으시는데, 선거選擧의 기밀 사무가 대부분 산삭되고 고쳐졌고 게다가 두 의 필적이 아니니, 또한 무엇이 천자의 뜻인지 모르겠다.”라고 하였다.
유의공과 대법흥은 모두 채흥종을 미워하여 신창태수新昌太守注+⑤ 吳나라 孫皓 建衡 3년(271)에 交趾를 나누어 新興郡을 세우고, 晉 武帝 太康 3년(282)에 이름을 新昌郡으로 바꾸고 交州에 소속시켰다. 좌천시켰는데, 얼마 뒤에 그의 명망으로 인해 다시 건강建康에 머물게 하였다. 대법흥 등은 왕현모王玄謨의 강직하고 엄숙함을 싫어하여 남서주자사南徐州刺史로 삼았다.
[] 8월에 나라 태후太后 왕씨王氏하였다.
[] 태후太后가 병이 깊어지자 사람을 시켜 송주宋主 유자업劉子業을 불렀는데, 유자업이 말하기를 “병자의 근처에는 귀신이 많으니 어찌 갈 수 있는가.”라고 하였다. 태후가 노하여 시중드는 사람에게 말하기를 “칼을 가져 와서 내 배를 갈라라. 어떻게 이런 자식을 낳았단 말인가.”라고 하였다.
[] 겨울에 나라가 기근이 들었다.
[] 동쪽 지방의 여러 注+① “東方諸郡”은 三吳(吳興, 吳郡, 會稽)와 浙江 동쪽의 5郡을 말한다. 해마다 가뭄으로 기근이 들어 쌀 1되[]에 몇 백 이었고 건강建康에도 1백여 전이나 되었으므로 굶어 죽은 사람이 10명 중에 6, 7명이나 되었다.
이해에 나라 경내境内에는 모두 22, 274, 1,299, 94만여注+② 무릇 숫자의 우수리를 전부 奇라고 한다. 가호家戶가 있었다.


역주
역주1 殂하니 : 〈資治通鑑綱目凡例〉에 의하면 천하를 통일한 황제의 죽음을 ‘崩’이라 하고, 황제를 칭하였으나 천하를 통일하지 못해 정통으로 인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殂’라고 하였다. 이 경우 ‘殂’라고 쓴 것은 宋나라가 천하를 통일하지 못하고 華北 지역은 北魏가 있기 때문이다.
역주2 宋主駿殂 太子子業立 : “孝武帝가 賊을 토벌한 초기에 ≪資治通鑑綱目≫에 ‘宋人立駿(宋나라 사람들이 劉駿을 임금으로 세웠다.)’이라고 하였으니, 유준이 즉위함이 마땅하다. 이윽고 ‘殺其弟(그 아우를 죽였다.)’를 두 번 기록하였고, 죄 없는 이를 죽인 것을 네 번 기록하였고, ‘築上林苑(上林苑을 건설하였다.)’을 기록하였고, ‘大修宮室(宮室을 크게 수축하였다.)’을 기록하였고, ‘校獵姑孰(姑孰에서 校獵하였다.)’을 기록하였으니, 거의 기록할 만한 선행이 없었다. 비록 廟樂을 갖추고, 五路를 제작하고, 籍田을 갈고, 明堂을 세우고, 五帝를 제사 지냈다고 하였지만 이른바 ‘禮와 樂을 어떻게 할 수 있겠는가.’라는 것일 뿐이다.[孝武討賊之初 綱目書曰 宋人立駿 駿宜立也 既而再書殺其弟 四書殺無罪 書築上林苑 書大修宮室 書校獵姑孰 殆無可紀之善焉 雖曰備廟樂 造五路 耕籍田 立明堂 祀五帝 所謂如禮樂何者已矣]” ≪書法≫
역주3 外監의……하였다 : 外監은 制局監을 말하는 것으로 병기와 의장, 兵役을 관장하였다. 품계는 낮지만 군사를 징발하고 동원하는 것을 관장하여 실제 권력은 領軍將軍의 위에 있었다. 대체로 寒人 중에 황제의 측근이 담당하였다. 領軍은 領軍將軍을 말한다. 영군장군의 관아를 領軍省이라 하는데, 바로 禁軍이다. 영군장군은 後漢 말기에 曹丕가 설치하였으며, 曹魏 때 금군의 장관이 되었다. 南朝 宋나라 때 금군과 京師의 여러 군대를 맡았다.
역주4 尙書 八座 : 尙書省의 고위 관료를 合稱한 것으로 시대마다 다르다. 漢나라 成帝가 中書의 환관을 파하고 다섯 尙書를 두었는데, 이것이 점차 발전하여 後漢 때 6曹尙書와 尙書令과 尙書僕射이 되었고 이를 합쳐서 八座라 하였다. 이후 曹魏 때에 5曹尙書로 재편되었고 좌우의 尙書僕射와 尙書令을 합쳐서 八座라 하였다. 南朝에서도 5曹尙書, 尙書左․右僕射, 尙書令을 합쳐서 八座라 하였다.
역주5 3년……것 : ≪論語≫ 〈學而〉의 “아버지가 살아 계실 때에는 자식의 뜻을 관찰하고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에는 자식의 행동을 관찰하는 것이니, 3년 동안 아버지의 도를 고치지 말아야 효라고 이를 수 있다.[父在 觀其志 父沒 觀其行 三年無改於父之道 可謂孝矣]”라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역주6 宋太后王氏殂 : “宋나라 이래로 后가 崩御한 것은 모두 기록하지는 않았는데 기록한 것은 어째서인가. 劉子業의 패악을 기록한 것이다.[宋以來 后崩不悉書 其書 何 志子業之悖也]” ≪書法≫
역주7 寧馨 : 晉宋時代의 속어로 ‘如此’의 의미이다.

자치통감강목(18)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