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
		                       		
		                        
		                        	
		                        		
		                            	燕王皝이 以牛假貧民하여 使佃苑中하여 税其什之八하고 自有牛者는 税其七하다 
		                            	 
									
                        			
                        			
                        		
	                     		
			                       	
			                       	
	                     		
	                     		
		                        
                        	
                        	
                        	
                        	
                        		
                        		
                        		
                        			
                        			
		                       		
		                       		
		                       		
		                        
		                        	
		                        		
		                            	記室参軍封裕諫하여 以爲古者에 什一而税하니 天下之中正也라 降及魏晉에 仁政衰薄이로되 猶不取其七八也니이다 
		                            	 
									
                        			
                        			
                        		
	                     		
			                       	
			                       	
	                     		
	                     		
		                        
                        	
                        	
                        	
                        	
                        		
                        		
                        		
                        			
                        			
		                       		
		                       		
		                       		
		                        
		                        	
		                        		
		                            	今殿下拓地三千里하고 増民十萬戸한대 其無田者 十有三四라 是宜悉罷苑囿하여 以賦新民하고 無牛者는 官賜之牛니 不當更收重税也니이다 
		                            	 
									
                        			
                        			
                        		
	                     		
			                       	
			                       	
	                     		
	                     		
		                        
                        	
                        	
                        	
                        	
                        		
                        		
                        		
                        			
                        			
		                       		
		                       		
		                       		
		                        
		                        	
		                        		
		                            	今官司猥多
하니 皆宜澄汰
요 工商末利
는 宜立常員
이요 學生
이 三年無成
이면 當歸之於農
注+猥, 濫也. 澄汰, 以用水爲諭, 澄之使淸, 而汰去其沙泥也.이니이다  
									
                        			
                        			
                        		
	                     		
			                       	
			                       	
	                     		
	                     		
		                        
                        	
                        	
                        	
                        	
                        		
                        		
                        		
                        			
                        			
		                       		
		                       		
		                       		
		                        
		                        	
		                        		
		                            	参軍王憲과 大夫劉明은 近以言忤旨하여 免官禁錮하고 長史宋該는 阿媚茍容하여 輕劾諫士하니 不忠之甚者也니이다
		                            	 
									
                        			
                        			
                        		
	                     		
			                       	
			                       	
	                     		
	                     		
		                        
                        	
                        	
                        	
                        	
                        		
                        		
                        		
                        			
                        			
		                       		
		                       		
		                       		
		                       			
		                        			
		                        				
		                        				 
		                        			
		                       			
		                       			
		                       			
		                       				目
		                       		
		                        
		                        	
		                        		
		                            	詔徵褚裒輔政하니 尚書劉遐説之曰 會稽王은 令德雅望이니 足下宜以大政授之하라한대 裒乃固辭歸藩하다 
		                            	 
									
                        			
                        			
                        		
	                     		
			                       	
			                       	
	                     		
	                     		
		                        
                        	
                        	
                        	
                        	
                        		
                        		
                        		
                        			
                        			
		                       		
		                       		
		                       		
		                        
		                        	
		                        		
		                            	昱이 淸虛寡欲하고 尤善玄言이러니 常以劉惔, 王濛, 韓伯爲談客하고 郗超, 謝萬爲掾屬하니 
		                            	 
									
                        			
                        			
                        		
	                     		
			                       	
			                       	
	                     		
	                     		
		                        
                        	
                        	
                        	
                        	
                        		
                        		
                        		
                        			
                        			
		                       		
		                       		
		                       		
		                        
		                        	
		                        		
		                            	超
는 鑒之孫也
라 少卓犖不羈
注+卓, 高也. 犖, 呂角切, 有力也. 言其氣韻甚高, 且有才力, 譬之馬駒逸群, 不可得而覊縶也.러니 父愔
이 簡黙沖退
로되 而嗇於財
하여 積錢
이 至數千萬
이라  
									
                        			
                        			
                        		
	                     		
			                       	
			                       	
	                     		
	                     		
		                        
                        	
                        	
                        	
                        	
                        		
                        		
                        		
                        			
                        			
		                       		
		                       		
		                       		
		                        
		                        	
		                        		
		                            	常開庫하여 任超所取한대 超散施親故하여 一日都盡이러라 
		                            	 
									
                        			
                        			
                        		
	                     		
			                       	
			                       	
	                     		
	                     		
		                        
                        	
                        	
                        	
                        	
                        		
                        		
                        		
                        			
                        			
		                       		
		                       		
		                       		
		                        
		                        	
		                        		
									
                        			
                        			
                        		
	                     		
			                       	
			                       	
	                     		
	                     		
		                        
                        	
                        	
                        	
                        	
                        		
                        		
                        		
                        			
                        			
		                       		
		                       		
		                       		
		                       			
		                        			
		                        				
		                        				 
		                        			
		                       			
		                       			
		                       			
		                       				目
		                       		
		                        
		                        	
		                        		
		                            	漢主勢之弟廣이 以勢無子라하여 求爲太弟한대 不許하다 
		                            	 
									
                        			
                        			
                        		
	                     		
			                       	
			                       	
	                     		
	                     		
		                        
                        	
                        	
                        	
                        	
                        		
                        		
                        		
                        			
                        			
		                       		
		                       		
		                       		
		                        
		                        	
		                        		
		                            	馬當, 解思明이 諫曰 陛下兄弟不多하시니 若復有所廢면 將益孤危리이다하고 固請許之하다 
		                            	 
									
                        			
                        			
                        		
	                     		
			                       	
			                       	
	                     		
	                     		
		                        
                        	
                        	
                        	
                        	
                        		
                        		
                        		
                        			
                        			
		                       		
		                       		
		                       		
		                        
		                        	
		                        		
		                            	勢疑其與廣有謀하여 收斬之하고 襲廣於涪城하니 廣이 自殺하다 
		                            	 
									
                        			
                        			
                        		
	                     		
			                       	
			                       	
	                     		
	                     		
		                        
                        	
                        	
                        	
                        	
                        		
                        		
                        		
                        			
                        			
		                       		
		                       		
		                       		
		                        
		                        	
		                        		
		                            	思明이 被收에 歎曰 國之不亡은 以我數人在也러니 今其殆矣로다 思明이 有智略하고 敢諫諍하며 當이 素得人心이라 及其死에 士民이 無不哀之러라
		                            	 
									
                        			
                        			
                        		
	                     		
			                       	
			                       	
	                     		
	                     		
		                        
                        	
                        	
                        	
                        	
                        		
                        		
                        		
                        			
                        			
		                       		
		                       		
		                       		
		                       			
		                        			
		                        				
		                        				 
		                        			
		                       			
		                       			
		                       			
		                       				目
		                       		
		                       		
		                        		
			                            	[목目] 연왕燕王 모용황慕容皝이 소를 가난한 백성들에게 빌려주고서 원유苑囿 가운데에서 농사짓게 하여 소출의 10분의 8을 세금으로 바치게 하고 본래 소가 있는 자는 10분의 7을 세금으로 내게 하였다.
			                             
									
                        			
                        			
                        		
	                     		
			                       	
			                       	
	                     		
		                        
                        	
		                        
		                        
		                        
		                        
                        		
                        	
		                        
		                        
		                        
		                        
                        		
                        		
                        		
                        			
                        			
		                       		
		                       		
		                       		
		                       		
		                        		
			                            	기실참군記室参軍 봉유封裕가 다음과 같이 간하였다. “옛날에는 10분의 1을 조세로 바쳤으니, 이것은 천하의 중정中正한 방법입니다. 후대로 내려와 위진시대魏晉時代에 이르러 인자한 정사가 쇠퇴하고 각박해졌으나, 그래도 10분의 7이나 8을 취하지는 않았습니다.
			                             
									
                        			
                        			
                        		
	                     		
			                       	
			                       	
	                     		
		                        
                        	
		                        
		                        
		                        
		                        
                        		
                        	
		                        
		                        
		                        
		                        
                        		
                        		
                        		
                        			
                        			
		                       		
		                       		
		                       		
		                       		
		                        		
			                            	지금 전하께서는 3천 리의 영토를 개척하고 10만 호의 백성을 늘렸는데, 전지田地가 없는 자가 10명 중에 3, 4명에 이릅니다. 이는 마땅히 원유苑囿를 파하여 새로운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고 소가 없는 자에게는 관에서 소를 하사하여야 하니, 다시 세금을 많이 거두어서는 안 됩니다.
			                             
									
                        			
                        			
                        		
	                     		
			                       	
			                       	
	                     		
		                        
                        	
		                        
		                        
		                        
		                        
                        		
                        	
		                        
		                        
		                        
		                        
                        		
                        		
                        		
                        			
                        			
		                       		
		                       		
		                       		
		                       		
		                        		
			                            	지금 
관사官司가 지나치게 많으니, 마땅히 모두 깨끗이 정리해야 하고,
注+① 猥는 지나침이다. “澄汰”는 물을 사용하는 것을 가지고 비유하였으니, 침전시켜서 맑게 하고 그 모래와 진흙을 가려내어 버리는 것이다. 공업과 상업의 하찮은 이익에 종사하는 인원을 줄여서 일정하게 만들어야 하고, 학생이 3년 내에 성취가 없으면 마땅히 농사로 돌려보내야 합니다.
 
									
                        			
                        			
                        		
	                     		
			                       	
			                       	
	                     		
		                        
                        	
		                        
		                        
		                        
		                        
                        		
                        	
		                        
		                        
		                        
		                        
                        		
                        		
                        		
                        			
                        			
		                       		
		                       		
		                       		
		                       		
		                        		
			                            	참군参軍 왕헌王憲과 대부大夫 유명劉明은 근래 직언을 하다가 임금의 뜻을 거슬러서 관직에서 파면되어 금고를 당하였습니다. 장사長史 송해宋該는 아첨하여 구차하게 비위를 맞추어 직간하는 선비를 함부로 탄핵하였으니, 매우 불충한 자입니다.”
			                             
									
                        			
                        			
                        		
	                     		
			                       	
			                       	
	                     		
		                        
                        	
		                        
		                        
		                        
		                        
                        		
                        	
		                        
		                        
		                        
		                        
                        		
                        		
                        		
                        			
                        			
		                       		
		                       		
		                       		
		                       			
		                        			
		                        				
		                        				 
		                        			
		                       			
		                       			
		                       			
		                       				目
		                       		
		                       		
		                        		
			                            	[목目] 조령을 내려 저부褚裒를 불러 정사를 보필하게 하니, 상서尚書 유하劉遐가 그를 설득하기를 “회계왕會稽王은 훌륭한 덕과 고상한 명망이 있으니, 족하足下가 마땅히 조정의 정권을 그에게 주어야 한다.” 하자, 저부가 마침내 굳이 사양하고 번진藩鎭으로 돌아갔다.
			                             
									
                        			
                        			
                        		
	                     		
			                       	
			                       	
	                     		
		                        
                        	
		                        
		                        
		                        
		                        
                        		
                        	
		                        
		                        
		                        
		                        
                        		
                        		
                        		
                        			
                        			
		                       		
		                       		
		                       		
		                       		
		                        		
			                            	사마욱司馬昱은 마음이 깨끗하고 욕심이 적으며 
을 담론하기를 더욱 잘하였는데, 항상 
유담劉惔(유담)과 
왕몽王濛, 
한백韓伯을 담론하는 빈객으로 삼고 
치초郗超와 
사만謝萬을 
연속掾屬으로 삼았다.
 
			                             
									
                        			
                        			
                        		
	                     		
			                       	
			                       	
	                     		
		                        
                        	
		                        
		                        
		                        
		                        
                        		
                        	
		                        
		                        
		                        
		                        
                        		
                        		
                        		
                        			
                        			
		                       		
		                       		
		                       		
		                       		
		                        		
			                            	치초는 
치감郗鑒의 손자인데, 젊어서부터 
기개氣槪가 높고 재주가 뛰어나 세상일에 얽매이지 않았다.
注+① 卓은 높음이다. 犖은 呂角의 切이니, 힘이 있음이다. 〈“卓犖不羈”는〉 기개와 風趣가 매우 높고 또 才力이 있어서 마치 무리들 중에 두드러지게 뛰어난 말이나 망아지처럼 속박할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아버지 
치음郗愔은 말수가 적고 태도가 신중하며 겸손하였으나 재물을 아껴 축적한 돈이 거의 수천 만이었다.
 
									
                        			
                        			
                        		
	                     		
			                       	
			                       	
	                     		
		                        
                        	
		                        
		                        
		                        
		                        
                        		
                        	
		                        
		                        
		                        
		                        
                        		
                        		
                        		
                        			
                        			
		                       		
		                       		
		                       		
		                       		
		                        		
			                            	일찍이 창고를 열어 치초가 마음대로 가져가게 놔두자, 치초는 이것을 친척과 친구들에게 나누어 주어 하루 만에 다 써서 없앴다.
			                             
									
                        			
                        			
                        		
	                     		
			                       	
			                       	
	                     		
		                        
                        	
		                        
		                        
		                        
		                        
                        		
                        	
		                        
		                        
		                        
		                        
                        		
                        		
                        		
                        			
                        			
		                       		
		                       		
		                       		
		                       		
		                        		
			                            	사만謝萬은 사안謝安의 아우인데, 청명淸明하고 광달曠達하고 준수俊秀하고 호매豪邁해서 또한 당시에 명망이 있었다.
			                             
									
                        			
                        			
                        		
	                     		
			                       	
			                       	
	                     		
		                        
                        	
		                        
		                        
		                        
		                        
                        		
                        	
		                        
		                        
		                        
		                        	
		                        	
		                        
		                        
                        		
                        		
                        		
                        			
                        			
		                       		
		                       		
		                       		
		                       			
		                        			
		                        				
		                        				 
		                        			
		                       			
		                       			
		                       			
		                       				目
		                       		
		                       		
		                        		
			                            	[목目] 유익庾翼이 병이 위독하자, 표문表文을 올려 아들 유원지庾爰之(유익의 차자次子)를 형주자사荆州刺史로 삼고 후임後任을 맡기기를 청하였다.
			                             
									
                        			
                        			
                        		
	                     		
			                       	
			                       	
	                     		
		                        
                        	
		                        
		                        
		                        
		                        
                        		
                        	
		                        
		                        
		                        
		                        
                        		
                        		
                        		
                        			
                        			
		                       		
		                       		
		                       		
		                       		
		                        		
			                            	그가 졸卒하자 조정의 의논은 “여러 유씨庾氏가 대대로 서쪽 번진藩鎭에 있어서 인심이 편안하였다.” 하여, 그의 청원을 따르고자 하였으나, 하충何充은 다음과 같이 반대하였다.
			                             
									
                        			
                        			
                        		
	                     		
			                       	
			                       	
	                     		
		                        
                        	
		                        
		                        
		                        
		                        
                        		
                        	
		                        
		                        
		                        
		                        
                        		
                        		
                        		
                        			
                        			
		                       		
		                       		
		                       		
		                       		
		                        		
			                            	“
형초荆楚는 나라의 서쪽 문이다. 
호구戶口가 백 만이고 북쪽으로 강한 오랑캐(
후조後趙)와 접해 있으며 서쪽으로 굳센 
촉蜀 지방(
전한前漢)과 이웃하였으므로 훌륭한 인재를 얻으면 
중원中原을 평정할 수 있고 인물을 잃으면 
사직社稷을 우려할 만하니, 
육항陸抗이 이른바 ‘형초 지방이 보존되면 
오吳나라가 보존되고, 형초 지방을 잃으면 오나라가 망한다.’는 것이다.
注+① 〈“陸抗所謂存則呉存 亡則呉亡者也”는〉 陸抗이 죽을 때 올린 상소문인바, 晉 武帝 泰始 10년(274)에 보인다. 
									
                        			
                        			
                        		
	                     		
			                       	
			                       	
	                     		
		                        
                        	
		                        
		                        
		                        
		                        
                        		
                        	
		                        
		                        
		                        
		                        
                        		
                        		
                        		
                        			
                        			
		                       		
		                       		
		                       		
		                       		
		                        		
			                            	어찌 〈한갓 글만 읽고 세상일에 경험이 없는〉 백면白面의 소년으로 하여금 이곳을 담당하게 할 수 있겠는가. 환온桓温은 영명함과 지략이 보통 사람보다 뛰어나서 문무文武의 기국器局과 재간才幹이 있으니, 서하西夏(형주荊州)의 임무는 환온을 능가할 자가 없다.”
			                             
									
                        			
                        			
                        		
	                     		
			                       	
			                       	
	                     		
		                        
                        	
		                        
		                        
		                        
		                        
                        		
                        	
		                        
		                        
		                        
		                        
                        		
                        		
                        		
                        			
                        			
		                       		
		                       		
		                       		
		                       			
		                        			
		                        				
		                        				 
		                        			
		                       			
		                       			
		                       			
		                       				目
		                       		
		                       		
		                        		
			                            	[목目] 한주漢主 이세李勢의 아우 이광李廣은 이세가 아들이 없다 하여 자신을 태제太弟로 삼아줄 것을 요구하였으나, 이세가 허락하지 않았다.
			                             
									
                        			
                        			
                        		
	                     		
			                       	
			                       	
	                     		
		                        
                        	
		                        
		                        
		                        
		                        
                        		
                        	
		                        
		                        
		                        
		                        
                        		
                        		
                        		
                        			
                        			
		                       		
		                       		
		                       		
		                       		
		                        		
			                            	마당馬當과 해사명解思明이 간하기를 “폐하는 형제가 많지 않으시니, 만약 또다시 이광을 버리시면 장차 더욱 외롭고 위태로울 것입니다.” 하고 허락할 것을 굳이 청하였다.
			                             
									
                        			
                        			
                        		
	                     		
			                       	
			                       	
	                     		
		                        
                        	
		                        
		                        
		                        
		                        
                        		
                        	
		                        
		                        
		                        
		                        
                        		
                        		
                        		
                        			
                        			
		                       		
		                       		
		                       		
		                       		
		                        		
			                            	이세는 이들이 이광과 모의한 것이라고 의심하고 체포하여 참수하고 이광을 부성涪城에서 기습하니, 이광이 자살하였다.
			                             
									
                        			
                        			
                        		
	                     		
			                       	
			                       	
	                     		
		                        
                        	
		                        
		                        
		                        
		                        
                        		
                        	
		                        
		                        
		                        
		                        
                        		
                        		
                        		
                        			
                        			
		                       		
		                       		
		                       		
		                       		
		                        		
			                            	해사명이 체포될 때 탄식하기를 “나라가 망하지 않은 것은 우리 몇 사람이 남아 있었기 때문인데 이제는 위태로울 것이다.” 하였다. 해사명은 지략智略이 있었고 과감하게 간쟁하였으며, 마당은 평소 인심을 얻었다. 그래서 이들이 죽게 되자, 선비와 백성들이 모두 슬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