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資治通鑑綱目(20)

자치통감강목(20)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자치통감강목(20)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梁太淸三年이요 魏大統十五年이요 東魏武定七年이라
春正月 侯景襲梁援軍하니 韋粲死之어늘 柳仲禮擊景敗之하다
正月朔 柳仲禮徙營大桁이러니 會大霧 韋粲軍迷失道하여 比及靑塘하여는 夜已過半이라 立柵未合이러니
侯景亟帥銳卒攻之어늘 粲使軍主鄭逸 逆擊之하고 命劉叔胤하여 以舟師截其後注+① 截其渡淮之路.러니 叔胤不敢進하니 逸遂敗
景乘勝入粲營어어늘 左右牽粲避賊하니 粲不動하고 叱子弟力戰하여 遂與子尼及弟助警構從弟昻으로 皆戰死하니 親戚死者數百人注+② 助․警․構, 三弟名.이러라
仲禮方食이라가 投箸被甲하여 與其麾下百騎 馳往救之할새 與景戰大破之하니 斬首數百級이요 溺死千餘人이라
仲禮矟將及景이러니 而賊自後斫之中肩하여 景得免이라 自是不敢復濟南岸하고 仲禮亦氣衰하여 不復言戰矣러라
邵陵王綸復收散卒하여 自東道至하여 列營桁南하고 亦推柳仲禮爲大都督하다
朝野以侯景之禍 共尤朱异 异慚憤發疾卒하니 梁主痛惜하여 特贈僕射하다
胡氏曰 侯景能濟江 由正德舟楫之勤 正德能反噬 由朱异失職之薦이라
景固亂臣이며 正德固賊子어니와 乃亂賊之媒也어늘 而梁武終不悟焉이라
使异荷榮祿之恩爲久長之慮인댄 當正德外叛而歸 正名其罪하여 啓上黜之遠服이면 則子有不孝之心者 亦知戒矣注+① 遠服, 禹貢要服․荒服也.
當侯景叛國而來하여 照灼其情하여 啓上拒之境外 則臣有不忠之意者 亦知懼矣어늘
二者皆失之하니 然則非景與正德能亡梁也 乃朱异亡之耳로다
梁北徐州刺史蕭正表以州叛降東魏하다
◑ 梁援軍擊侯景이라가 天門太守樊文皎戰死하다
臺城與援軍信命久絶이라 援軍募人能入城送啓者러니 李朗請先受鞭詐爲得罪하여 叛投賊하여 因得入城하니
城中方知援兵四集하고 舉城鼓譟어늘 諸軍渡淮하여 攻東府前柵하여 焚之
高州刺史李遷仕及樊文皎 帥銳卒五千하여 獨進深入하니 所向 摧靡
至菰首橋東注+① 五代志 “高涼郡, 梁置高州.” 菰, 音孤. 菰首橋在青溪上.하여는 景將宋子仙 伏兵擊之하니 文皎戰死하고 遷仕 遁還하다
仲禮神情傲狠하여 陵蔑諸將하니 邵陵王綸 每日執鞭至門호되 亦移時弗見注+② 凡部將見主帥, 執鞭以爲禮.이라 由是 與綸及諸將有隙하여 互相猜阻하여 莫有戰心이러라
援軍初至 建康士民扶老擕幼以候之러니 纔過淮 卽縱兵剽掠하니
由是士民失望하고 賊中有謀應官軍者 聞之하고 亦止하다
臺城之閉也 公卿以食爲念하여 男女貴賤 竝出負米하고 收諸府藏錢帛하여 聚德陽堂호되 而不備薪芻魚鹽注+① 天監六年, 改閱武堂爲德陽堂, 在南闕前.이러니
至是하여는 壞尙書省爲薪하고 撤薦剉以飼馬하며 軍士或煑鎧하고 熏鼠捕雀而食之하고 屠馬於省殿間하여 雜以人肉하니 食者必病注+② 薦以藁秸爲之, 所以藉寢. 剉, 斫也.이러라
侯景衆亦飢하여 抄掠無所獲이요 東城有米可支一年이로되 援軍斷其路하니 景甚患之注+③ 東城, 卽東府城.러라
王偉請僞求和以緩其勢하고 運米入石頭然後 休士息馬하고 繕修器械하여 伺其懈怠擊之라하니
景從之하여 拜表求和어늘 太子白梁主請許之한대 梁主怒曰 和不如死니라하니
太子固請이어늘 梁主遲回라가 久之 乃曰 汝自圖之하니 勿令取笑千載하라하고 遂報許之
景乞割江右四州之地하고 并求宣城王大器出送然後濟江注+① 江右四州, 南豫․西豫․合州․光州.이어늘
中領軍傅岐固爭曰 豈有賊舉兵圍宮闕而更與之和乎 此特欲却援軍耳니라 且宣城 嫡嗣之重이요 國命所繫 豈可爲質이리오하니
梁主乃以大器之弟石城公大欵으로 質於景하고 敕諸軍不得復進注+② 五代志 “宣城郡秋浦縣, 舊曰石城.”하고 詔以景爲大丞相豫州牧하고 設壇門外하여 遣僕射王克하여 與王偉等盟이러니
旣盟而景圍不解하고 專修鎧仗하여 了無去志러라
會南康王會理湘潭侯退西昌世子彧 衆合三萬하여 至馬卬洲하여는 景請敕還南岸이어늘 太子從之注+① 五代志 “衡山郡有湘潭縣.” 退, 恢之子也. 馬卬洲在臺城之北. 南岸, 卽謂秦淮南岸.러니
景又啓曰 永安侯確直閣趙威方 頻隔柵見詬云호되 天子自與汝盟이나 我終當破汝하리라하니 乞召侯及威方入이면 卽當引路注+② 永安以古縣名爲侯國. 吳分烏程․餘杭, 立永安縣, 晉已改爲武康. 確, 綸之子也. 引路, 言引兵就路還北.하리이다
梁主召確호되 確累辭不入이어늘
邵陵王綸 泣謂確曰 圍城旣久 聖上憂危하시니 臣子之情 切於湯火 故欲且盟而遣之하고 更申後計 成命已決이어늘 何得拒違리오하니
確曰 侯景雖云欲去 而不解長圍하니 其意可見이니 入城何益이리오 綸大怒하여 欲斬之어늘 確乃流涕入城이라
梁主常蔬食이라가 至是하여는 蔬茹皆絶이라 乃食鷄子러니 綸乃因使上鷄子數百枚注+③ 凡艸菜可食者, 通名蔬, 所食之菜曰茹. 茹, 人恕切.하다
胡氏曰 古之時 禽獸常逼人矣하니 聖人教之罔罟佃漁 則爲民除患而因以制禮
然其爲敎戒甚備하니 則愛物之心 亦可見矣 故其效至於鳳凰儀鳥獸舞魚鱉咸若하여 反不可勝用焉이어늘
自佛以不殺爲敎 謂犬豕牛羊 皆吾宿世之祖考眷屬也라하니 信而行之 莫甚於梁武
其心未必不非笑堯舜周孔하여 以爲不慈不悲也라하리니 果有報應福利者인댄 則梁之國祚靈長하고 臣忠子孝하고 叛亂不作하고 壽考無期라야 斯爲驗矣注+① 靈長, 威靈久長也.어늘
乃一切不然하여 禍亂旣興 骨肉相圖하여 太平之民 十喪八九하니 然則向者茹蔬不殺之功 果何在邪
梁武行事 殆天啓之하여 使破敗昭著하여 以警後來歟 觀此하고 尙不知佛學之非하고 又從而爲之說하여 以自解焉하면 則亦末如之何矣로다
◑ 湘東王繹 軍於郢州之武城하여 與河東王譽桂陽王慥 皆淹留不進注+① 水經註 “武口水上通安陸之延頭, 南至武城入大江, 吳舊屯所在, 荊州界盡此.” 慥, 懿之孫也.이러니 中記室參軍蕭賁 骨鯁士也 以繹不早下 心非之러니
嘗與繹雙六이라가 食子未下어늘 賁曰 殿下都無下意로다 繹深銜之注+② 雙六, 博局戱名. 以異木爲方槃, 槃中彼此內外各有六梁, 故名雙六. 其打馬拽子, 視明瓊爲標的, 非圖諜, 則無以得髣髴. 雙六最近古, 號爲雅戲, 始於西竺, 流於曹魏, 盛於梁․陳․魏․齊․隋․唐間. 食, 打取也, 子, 馬也. 未下, 謂馬被打起而未得入槃也. 雙六槃中, 彼此各十二梁, 白黒各十五馬, 此馬單則彼馬得打, 兩馬相比爲梁, 成梁所以避打也. 有馬遭打, 則餘馬俱不得動, 必俟所打馬復下, 然後餘馬得行. 仍須彼內六梁中有空位, 而瓊色値之, 方可下也. 賁因其未下, 借雙六以諷其不下救君父.러니
及得梁主敕하여는 繹欲旋師어늘 賁曰 景以人臣舉兵向闕이라가 今若放兵하면 童子라도 能斬之矣 必不爲也어늘
大王以十萬之衆으로 未見賊而退하니 奈何 繹不悅이러니 未幾 因事殺之하다
東魏河内之民歸于魏하다
東魏河内民四千餘家 以魏北徐州刺史司馬裔其鄕里也라하여 相帥歸之注+① 據周書, 裔, 司馬楚之之後. 司馬氏本河內溫人, 魏孝武西遷, 裔始歸鄕里, 於溫城起義, 附西魏. 與東魏交戰, 頻有克獲, 授河內郡守, 尋加持節平東將軍北徐州刺史.하니
宇文泰欲封裔이어늘 裔固辭曰 士大夫遠歸皇化하니 裔豈能帥之리오 賣義士以求榮 非所願也라하더라
侯景旣運東府米入石頭하여는 王偉聞荆州軍退하여 援軍不相統壹注+① 荊州軍退, 謂湘東王繹旋師也.하고 乃說景曰
王以人臣으로 舉兵圍守宮闕하여 逼辱妃主하고 殘穢宗廟하니 今日持此하여 欲安所容身乎 背盟而捷 自古多矣 願且觀其變하노이다하다
景遂啓陳梁主十失曰 陛下崇飾虛誕하고 惡聞實錄하여 以妖怪爲嘉禎하고 以天譴爲無咎
敷演六藝하고 排擯前儒하니 王莽之法也 以鐵爲貨하여 輕重無常하니 公孫之制也注+① 漢公孫述據蜀, 用鐵錢. 爛羊䥴印하여 朝章鄙雜하니 更始趙倫之化也注+② 漢更始濫授官爵, 長安爲之語曰 “爛羊胃, 騎都尉. 爛羊頭, 關內侯.” 晉趙王倫篡位, 貂蟬盈坐, 時人爲之語曰 “貂不足, 狗尾續.”
豫章讐父하고 邵陵冠布하니 石虎之風也注+③ 豫章讎父邵陵冠布事, 竝見普通六年. 案石虎太子邃謂李顔等曰 “官家難稱, 吾欲行冒頓之事, 卿從我乎.” 事覺, 虎殺邃, 更立子宣爲太子. 後宣弟韜有寵, 虎欲立之, 宣謂楊柸․趙生曰 “汝能殺韜, 當以韜之國邑, 分封汝等. 韜死, 主上必臨喪, 吾因行大事, 蔑不濟矣.” 柸等殺韜, 事覺, 宣伏誅. 今梁主之子豫章王綜叛父降魏, 邵陵王綸奪孝子服而著之, 取貌類梁主者, 加以袞冕, 就坐剝褫, 捶之於庭, 皆無父之人也. 故侯景謂如石虎之子邃․宣, 皆欲弑父也. 修建浮圖 四民飢餒하니 笮融姚興之代也注+④ 笮融, 漢獻時爲下邳相, 大起浮屠祠, 以銅爲人, 黃金塗身, 衣以錦絲, 垂槃九重, 下爲樓閣道, 可容三千餘人, 悉誦佛經. 姚興, 後秦主也, 鳩摩羅什爲國師, 大營寺塔, 由是州郡化之, 事佛者, 十室而九.
又言建康宮室崇侈하고 陛下 唯與主書 參斷萬機하여 政以賄成하고 諸閹豪盛하며 衆僧殷實이라
皇太子 珠玉是好하고 酒色是耽하며 邵陵 所在殘破하며 湘東 群下貪縱하고 南康定襄之屬 皆如沐猴而冠耳注+⑤ 南康王會理, 時鎭廣陵, 定襄侯祗, 時鎭淮陰. 祗, 南平王偉之子也.
伏願小懲大戒하고 放讒納忠하여 使臣無再舉之憂하고 陛下無嬰城之辱이면 則萬姓幸甚하리이다
梁主覽啓하고 慙怒하여 三月朔 以景違盟이라하여 舉烽鼓譟하다
初閉城之日 男女十餘萬이요 擐甲者二萬餘人이러니 被圍旣久 人多身腫氣急하여 死者什八九注+① 氣急, 上氣喘急也.
乗城不滿四千人 率皆羸喘하고 横尸滿路호되 而衆心 猶望外援이러라
柳仲禮唯聚妓置酒作樂하니 諸將日往請戰호되 仲禮不許어늘
安南侯駿說邵陵王綸曰 城危如此어늘 而都督不救하니 若萬一不虞 殿下何顔自立於世리오 今宜分軍爲三道하여 出賊不意攻之 可以得志리라하니 綸不從하다
仲禮父津登城謂仲禮曰 汝君父在難이어늘 不能竭力하니 百世之後 謂汝爲何오한대 仲禮亦不以爲意러라
梁主問策於津한대 對曰 陛下有邵陵하고 臣有仲禮로되 不忠不孝하니 賊何由平이리오하다
南康王會理與羊鴉仁趙伯超等으로 進營於東府城北하여 約夜度軍이러니 爲景所敗하다
景又求和어늘 梁主使御史中丞沈浚으로 至景所하니 見景無去志하고 發憤責之한대
景横刀叱之어늘 浚曰 負恩忘義하고 違棄詛盟하니 固天地所不容이리라 沈浚 五十之年 常恐不得死所로니 何爲以死相懼邪아하고 因徑去不顧
於是景復攻城晝夜不息호되 邵陵世子堅 屯太陽門하여 終日蒱飲하고 不恤吏士注+① 太陽門, 臺城六門之一也. 蒱飲, 摴蒱且飲酒也.
其書佐董勛熊曇朗夜引景衆登城이어늘 永安侯確 力戰不能却하여 乃排闥入啓梁主云 城已陷이라한대
梁主安臥不動하고 歎曰 自我得之 自我失之 亦復何恨이리오하고 因謂確曰 速去語汝父호되 勿以二宮爲念하라하다
景入見於太極東堂할새 以甲士五百人으로 自衛하여 稽顙殿下어늘 典儀引就三公榻注+① 太極殿, 建康宮內正殿. 晉初, 造以十二間, 象十二月. 至梁武帝改製十三間, 象閏焉. 高八丈, 長二十七丈, 廣十丈, 內外竝以錦石爲砌. 次東有太極東堂七間, 次西有太極西堂七間. 典儀, 典朝儀者也. 至唐猶有典儀之職, 掌殿上贊唱之節及設殿庭服位之次.한대
梁主神色不變하고 問曰 卿在軍中日久하니 無乃爲勞 景不敢仰視하고 汗流被面이러니
復至永福省하여 見太子注+② 永福省在禁中, 自宋以來, 太子居之, 取其福國於有永也.하니 太子亦無懼容이러라
侍衛皆驚散호되 惟徐摛殷不害侍側이라가 摛謂景曰 當以禮見이니라
景乃拜하고 退謂王僧貴曰 吾常跨鞍對陳하여 矢刃交下호되 而意氣安緩하여 了無怖心이러니
今見蕭公 使人自慴하니 豈非天威難犯이리오 吾不可以再見之라하더라
於是 悉撤兩宮侍衛하고 縱兵掠乗輿服御宮人皆盡하고 收朝士王侯하여 送永福省注+① 兩宮, 謂上臺及東宮.하고 矯詔大赦하고 自加大都督中外諸軍錄尙書事하다 建康士民 逃難四出이라
景以詔命解外援軍이어늘 柳仲禮召諸將議之한대 邵陵王綸曰 今日之命 委之將軍하노라하니 仲禮熟視不對어늘
裴之高王僧辯曰 將軍擁衆百萬하여 致宮闕淪沒하니 正當悉力決戰이니 何所多言이리오한대 仲禮竟無一言하니 諸軍乃散하다
奔會稽하고 仲禮及羊鴉仁王僧辯趙伯超 竝開營降賊하니 軍士歎憤하더라
仲禮等入城하여 先拜景而後 見梁主한대 梁主不與言이어늘 見津한대 津慟哭曰 汝非我子 何勞相見이리오 景遣仲禮歸司州하고 僧辯歸竟陵하다
臨賀王正德與景으로 約平城之日 不得全二宮이러니 及城開 正德帥衆하여 揮刃欲入이라가 不得하다
景更以正德으로 爲大司馬하니 正德入見梁主할새 拜且泣이어늘 梁主曰 啜其泣矣 何嗟及矣注+① 啜者, 泣多而不止也.리오
注+① 五代志“下邳郡, 梁置東徐州. 東海郡懷仁縣, 梁置南北二青州. 江都郡山陽縣, 舊置山陽郡.”하다
梁主以河東王譽 代張纉爲湘州刺史하고 徙纉하여 代岳陽王詧爲雍州刺史注+① 纘, 綰之兄也.러니 纉恃才輕譽하여 迎候有闕일새
譽至하여 留纉不遣한대 纉輕舟夜遁하여 將之雍部할새 復慮詧拒之
纉與湘東王繹有舊 欲因之以殺譽兄弟하여 乃如江陵이러니
及臺城陷 諸王各還州鎭할새 譽歸湘州하고 信州刺史桂陽王慥 留軍江陵하여 欲待繹至 拜謁乃還이러니
纉遺繹書曰 河東欲襲江陵이어늘 岳陽共謀不逞注+② 逞, 快也. 不逞, 謂不得恣肆快意者也.이라하고
江陵軍主朱榮 亦遣使告繹云 桂陽留此하여 欲應譽詧이라한대
繹懼하여 自蠻中歩道 馳歸江陵하여 囚慥殺之하고 樹柵掘塹以自守하다
侯景陷梁廣陵하다
侯景以董紹先으로 爲江北行臺하여 使齎敕召南康王會理어늘 紹先以羸兵二百으로 至廣陵하니 會理士馬甚盛이라
僚佐說會理曰 景已陷京邑하여 欲除諸藩然後簒位하니 若四方拒絶이면 立當潰敗하리니 奈何委全州之地하여 以資寇乎
不如殺紹先하고 發兵拒守하여 與魏連和하여 以待其變이니이다하다 會理素懦 卽以城授之하다
東魏取梁淮陰하다
侯景遣于子悅等하여 將羸兵數百하여 東略吳郡이어늘 新城戍主戴僧逷 有精甲五千注+① 沈約曰 “浙江西南, 名曰相溪, 吳立爲新城縣, 屬吳郡.” 逷, 他歷切.이러니 說太守袁君正曰
賊今乏食하여 臺中所得 不支一旬이리니 若閉關拒守 立可餓死注+② 君正, 昂之子也.리라
君正素怯이라 郊迎之한대 子悅執君正하여 掠奪財物子女하니 東人皆立堡拒之하다
梁宣城吳興 起兵拒侯景하다
侯景遣來亮하여 入宛陵이어늘 宣城太守楊白華 誘而斬之注+① 宛陵縣, 漢屬丹楊郡, 晉分爲宣城郡治所.한대 景遣李賢明하여 攻之不克하다
御史中丞沈浚 避難東歸러니 與吳興太守張嵊으로 起兵討景注+② 嵊, 稷之子也. 嵊, 石證切.하니 景號令所行 唯吳郡以西南陵以北而已注+③ 集覽 “南陵, 漢丹楊郡邑, 今屬寧國府, 在宣城西.”러라
東魏攻魏潁川이어늘 魏人擊之하여 殺其將慕容紹宗劉豐生하다
東魏高岳等 攻魏潁川하여 踰年不克이러니
劉豐生建策하여 堰洧水以灌之하니 城多崩頺注+① 水經 “洧水出河南密縣西南馬領山, 東南過長社縣北.”어늘 王思政身當矢石하여 與士卒 同勞苦하고 城中泉涌이라 懸釜而炊러라
宇文泰遣趙貴하여 督東南諸州兵하여 救之호되 阻水不得前이라
東魏人使善射者 乘大艦하여 臨城射之하니 城垂陷이어늘
慕容紹宗與豐生으로 臨堰視之注+② 通鑑, 此下云 “見東北塵起, 同入艦坐避之.”러니 暴風忽至하여 飄船向城한대 城上人以長鉤牽船하여 弓弩亂發하니 二人俱死하다
東魏大將軍澄如鄴하다
東魏進澄位相國하여 封齊王하고 加殊禮어늘 澄固辭하여 不許어늘
澄召將佐密議之한대 皆勸澄受之호되 獨陳元康以爲未可라하니 澄由是嫌之하다
梁岳陽王詧 執雍州刺史張纉하다
湘東王繹之入援也 令所督諸州 皆發兵이러니 雍州刺史岳陽王詧 遣司馬劉方貴하여 將兵出漢口어늘 繹召詧使自行호되 詧不從이러니
方貴潛與繹으로 謀襲襄陽이라가 未發 會詧以它事召方貴한대 方貴以爲謀泄이라하여 遂據樊城이어늘
詧遣軍攻之한대 繹厚資遣張纉使赴鎭하니 纘至大堤注+① 沈約志 “華山郡, 治大隄.”하여는 詧已拔樊城하고 斬方貴러니 聞臺城陷하고 遂執纉하다
梁主雖外爲侯景所制 而内甚不平이러니 景欲以宋子仙爲司空한대 梁主曰 調和陰陽 安用此物注+① 三公燮理陰陽, 言宋子仙非其人也.이리오 景不能彊이나 心甚憚之
太子泣諫이어늘 梁主曰 若社稷有靈인댄 猶當克復이요 如其不然인들 何事流涕리오
是後 梁主所求 多不遂志하고 飲膳 亦爲所裁節하니 憂憤成疾하며 口苦索蜜이라가 不得하여 再曰荷荷라하고 遂殂하니 年八十六注+② 荷, 下可切.이라
景秘不發喪하니 太子嗚咽流涕하여 不敢泄聲이러니 旣而發喪하고 遂卽位하여 立宣城王大器하여 爲太子하다
高祖之末 建康士民 爭尙豪華 糧無半年之儲하여 常資四方委輸注+① 輸, 去聲.러니
自景亂으로 道路斷絶하여 人至相食호되 不免餓死하여 存者百無一二
貴戚豪族 皆自出採稆하니 塡委溝壑 不可勝紀注+② 稆, 音呂, 禾不因播種而生曰稆.러라
魏詔代人하여 復其舊姓하다
◑ 六月 梁湘東王繹殺太常卿劉之遴하다
侯景將使之遴으로 授臨賀王正德璽綬注+① 遴, 良刃切.러니 之遴剃髮僧服而逃하여 將歸江陵할새 行至夏口하여는 繹素嫉其才 密送藥殺之하고 而自爲誌銘厚其賻贈하다
東魏高岳 旣失慕容紹宗等하여는 志氣沮喪하여 不敢復逼長社注+① 杜佑曰 “許州長葛縣故長社城, 王思政所守也.”러니
陳元康言於高澄曰 王自輔政以來 未有殊功이라 今潁川垂陷하니 願王自以爲功하라 澄從之하여 自將攻長社할새
親臨作堰하니 堰三決이라 澄怒하여 推負土者及囊하여 并塞之注+② 推, 吐雷切.하다 城中無鹽하여 攣腫死者什八九注+③ 攣, 呂緣切, 拘攣也.러라
水入城壞어늘 澄令城中曰 有能生致王大將軍者 封侯하고 若有損傷인댄 左右皆斬注+④ 太清元年, 西魏授王思政大將軍, 故以稱之.하리라하다
王思政帥衆據土山注+① 東魏築土山, 以攻潁川, 思政奪而㨿之.하여 告之曰 吾力屈計窮하니 唯當以死謝國이라하고
因仰天大哭西向再拜하고 欲自刎이어늘 衆共執之하여 不得引決이러니 澄遣趙彥深하여 執手申意하고 延而禮之하다
思政 初入潁川 將士八千人이러니 及城陷 纔三千人이로되 卒無叛者러라
澄改潁川爲鄭州하고 遇思政甚重注+② 按魏收志 “潁州本治長社, 旣改鄭州, 徙治潁陰城, 領許昌․潁川․陽翟郡.”이어늘 祭酒盧潛曰 思政不能死節하니 亦何足重이리오
澄曰 我有盧潛하여 乃是更得一王思政이라하다 度世之曾孫也러라
初思政屯襄城 欲以長社爲行臺治所하여 啓陳於宇文泰한대
淅州刺史崔猷注+① 五代志 “淅陽郡, 西魏置淅州.” 猷, 挺之孫也.曰 襄城 控帶京洛이라 寔爲要地 如有動靜인댄 易相應接이요 潁川旣隣寇境하고 又無山川之固하니 賊若前來 徑至城下리니
莫若頓兵襄城하여 以爲行臺하고 潁川 置州하여 遣將鎭守 則表裏膠固하여 人心易安이니 縱有不虞 豈能爲患이리오하니
泰令從猷策이어늘 思政固請한대 泰乃許之러니 至是하여는 泰深悔之하여 以侯景所獻諸城 道路阻絶이라하여 令諸將拔軍還하다
梁湘東王繹 自稱假黄鉞大都督中外諸軍承制하다
正德怨侯景賣己하여 密書召鄱陽王範하여 使以兵入이러니 景遮得其書하여 縊殺之注+① 遮得, 遮截於路而得之.하다
景愛永安侯確之勇하여 常寘左右어늘 邵陵王綸潛遣人呼之한대
確曰 景輕佻一夫力耳注+① 佻, 吐彫切. 我欲手刃之로되 恨未得其便이로니 卿還啓家王하여 勿以確爲念하라하더니
景與確으로 遊鍾山이어늘 確引弓射鳥하고 因欲射景이라가 弦斷不發이러니 景覺而殺之하다
梁湘東王繹使其世子方等으로 攻湘州刺史河東王譽어늘 譽擊之하니 方等敗死하고 繹殺其妃徐氏하다
繹娶徐妃하여 生世子方等이로되 妃多失行이라 故方等無寵이러니
及自建康歸江陵 繹見其御軍和整하고 始歎其能하여 入告徐妃어늘 妃泣而退한대
繹怒하여 疏其穢行하여 牓于大閤하니 方等見之益懼러라
湘州刺史河東王譽 驍勇得士心이라 繹將討侯景할새 使督其糧衆호되 譽不與어늘
方等請討之한대 繹乃以少子方矩 代譽하고 使方等으로 將兵送之러니
方等將行 謂所親曰 是行也 吾必死之 死得其所 吾復奚恨이리오하다
至麻溪한대 譽擊之하니 方等敗死로되 繹無戚容注+① 據水經註 “麻溪水口在臨湘縣北劉口戍南.”이러라
寵妃王氏生子方諸而卒하니 繹疑徐妃爲之注+② 疑其毒殺之.하여 逼令自殺하니 妃赴井死하다
秋七月 梁廣州刺史元景仲 謀反이어늘 西江督護陳霸先 討誅之하다
霸先 欲起兵討侯景이어늘 景使人誘景仲하여 許奉以爲主하여 使圖霸先注+① 元景仲, 法僧之子, 普通六年, 父子歸梁.이러니 霸先馳檄討之한대 景仲衆潰縊死어늘
霸先迎定州刺史蕭勃하여 鎭廣州하니 勃以霸先으로 監始興郡事하다
梁湘東王繹使信州刺史鮑泉으로 攻湘州하다
繹遣竟陵太守王僧辯信州刺史鮑泉하여 擊湘州할새 僧辯欲俟衆集而行이러니 繹疑其觀望하여 斫之中髀하여 悶絶久之注+① 髀, 股也. 通鑑 “久之方蘇, 卽送獄.” 泉懼不敢言하여 獨將兵伐湘州하다
範聞臺城陷하고 戒嚴欲入이어늘 僚佐咸說之曰 今魏人已據壽陽하니 大王移足하면 則虜必窺合肥라한대 範乃止러니
會高澄遣李伯穆逼合肥하니 範方謀討侯景 藉東魏爲援하고 乃以合州 輸伯穆하고 送二子於鄴以乞師하고 出屯濡須以待上游之軍이러니
久之不至하고 東魏亦不爲出師注+① 爲, 去聲.하니 範糧乏하여 進退無計하여 乃西軍樅陽注+② 進退無計, 謂進則孤羸之軍不足以制侯景, 退則合肥已爲東魏人所據. 樅, 七容切. 樅陽, 漢置縣, 屬廬江, 梁改郡, 陳復爲縣.하다
盗殺東魏大將軍渤海王高澄于鄴하다
澄嘗謂濟陰王暉業曰 比讀何書 暉業曰 數尋伊霍之傳이요 不讀曹馬之書注+① 暉業, 魏宗室, 非高澄黨. 其意謂欲如伊尹輔太甲霍光輔昭․宣, 不可如曹丕簒漢․司馬炎簒魏.하노라
澄以其弟太原公洋으로 次長이라하여 忌之어늘
洋深自晦匿하여 每退朝 輒閉閤靜坐하여 雖對妻子 能竟日不言하고 或時袒跣奔躍한대
夫人問其故어늘 洋曰 爲爾漫戱라하니 其實欲習勞也注+② 漫戲, 言漫爾作戲.러라
澄獲衡州刺史蘭欽子京하여 以爲膳奴러니 京屢自訴어늘 澄杖之曰 更訴 當殺汝호리라 京與其黨六人으로 謀作亂이러라
澄嬖琅邪公主하여 欲其往來無間하여 侍衛者 常遣出外注+① 間, 古莧切.하고 一日 與陳元康楊愔崔季舒 屏左右하여 謀受禪이어늘
京進食할새 寘刀盤下殺之하니 元康以身蔽澄이라가 亦被傷이라 洋聞之하여 神色不變하고 入討群賊하여 斬而臠之하고 秘不發喪하다
元康手書 辭母하고 口占으로 使功曹祖珽作書하여 陳便宜러니 至夜而卒하니라
勲貴以重兵皆在并州라하여 勸洋早如晉陽이어늘 洋從之하고 夜召督護唐邕하여 使部分將士하여 鎭遏四方호되 須臾而畢하다
東魏主聞之하고 竊謂左右曰 大將軍死似是天意 威權當復歸帝室矣라하더라
洋留高岳高隆之司馬子如楊愔하여 守鄴하고 入謁東魏主할새 從甲士八千人 登階者二百餘人 皆攘袂扣刃하여 若對嚴敵注+① 扣通作叩, 發也.이라
令主者傳奏曰 臣有家事하니 須詣晉陽이라하고 再拜而出注+② 主者, 主朝儀者也.하니
東魏主失色目送之曰 此人又似不相容하니 朕不知死在何日이라하더라
晉陽舊臣宿將素輕洋이러니 及至 大會文武하여는 神彩英暢하고 言辭敏洽하니 衆皆大驚이러라 澄政令有不便者 洋皆改之러라
隆之子如等 惡度支尙書崔暹하여 奏暹及季舒過惡이어늘 鞭二百徙邊注+③ 二人素爲澄所親任, 故隆之等惡之.하다
景使侯子鑑으로 寇吳興하니 吳興兵力寡弱하고 張嵊 書生이라 不閑軍旅러니 或勸嵊效袁君正迎降한대
嵊歎曰 袁氏世濟忠貞이러니 不意君正 一旦隳之注+① 袁氏自淑至顗․粲及昂, 皆以忠貞著節.호라 吾豈不知此難久全이리오마는 但以身許國하니 有死無貳耳라하고
戰敗還府하여 整服安坐러니 子鑑 執送建康한대 景欲活之어늘 嵊曰 吾忝任專城하여 朝廷傾危호되 不能匡復하니 速死爲幸이라하여늘
景猶欲存其一子어늘 嵊曰 吾一門已在鬼錄하니 不就爾虜求恩하노라 景怒하여 盡殺之하고 并殺沈浚注+② 錄, 籍也. 魏文帝書曰 “觀其姓名, 已爲鬼錄.”하다
胡氏曰 張嵊以書生守土하여 而能以不能匡救朝廷爲恥하여 義不降賊하여 執節而死하니 苟非實見義重於生인댄 則不能也 嵊可謂無負乎書矣로다
鮑泉攻湘州한대 河東王譽 逆戰而敗하여 退保長沙어늘 泉圍之러니
岳陽王詧留參軍蔡大寳하여 守襄陽하고 帥衆伐江陵하여 以救湘州하니 湘東王繹大懼하여 遣左右就獄中하여 問計於王僧辯이어늘
僧辯具陳方略한대 繹乃赦之하여 以爲城中都督하다
詧攻江陵할새 會大雨하여 平地水深四尺이라 詧軍氣沮러니 繹與新興太守杜崱으로 有舊 密邀之注+① 漢獻帝建安十二年, 省雲中․定襄․五原․朔方四郡, 郡立一縣, 合爲新興郡, 屬并州. 晉江左僑立於荊州界, 領定襄․廣牧等縣. 五代志 “南郡安興縣, 舊置廣牧․定襄縣, 唐省安興縣入江陵”, 則新興固荊州所統矣, 何待繹以舊好密邀崱哉. 蓋崱雖帶新興太守, 實從軍在襄陽也. 崱, 士力切.한대 崱帥所部降하고
其兄岸 請以五百騎 襲襄陽하여 距城三十里 城中始覺이라
蔡大寳奉詧母登城距戰이러니 詧聞之遁還하니 岸亦走하다
繹遂以僧辯으로 代泉攻長沙어늘 邵陵王綸 致書於繹曰
今社稷危恥하여痛深하니 唯應剖心嘗膽하여 泣血枕戈 其餘小忿 或宜容貰注+① 創, 初良切. 記曰 “創(臣)[巨]者, 其日久, 痛甚者, 其愈遲.” 剖心, 言悲痛切至, 中心如剖也. 春秋越王句踐, 臥薪嘗膽, 求以報吳. 記曰 “執親之喪, 泣血三年.” 枕, 之任切. 晉劉琨枕戈待旦, 志梟逆虜. 貰, 貸也.
若外難未除하고 家禍仍構인댄 料今訪古 未或不亡이라 夫征戰之理 唯求克勝이어니와 至於骨肉之戰 愈勝愈酷하여 勞兵損義하여 虧失多矣
弟若陷洞庭하여 不戢兵刃인댄疑迫 何以自安이리오 必引魏軍以求形援하리니 弟若不安이면 國家去矣注+② 湘州之地襟帶洞庭, 故謂湘州爲洞庭. 雍(川)[州]卽襄陽, 梁僑置南雍州, 岳陽王詧所鎭.리라호되 繹不從하니
綸流涕曰 天下之事一至於斯하니 湘州若敗인댄 吾亡無日矣로다
冬十月 梁豫章内史莊鐵叛하여 襲江州라가 敗走하다
初鐵旣降侯景이라가 復叛之하니 尋陽王大心 以爲豫章内史러니
鐵至郡卽叛하여 推觀寧侯永爲主하여 引兵襲尋陽注+① 永, 範之弟也.이어늘 大心遣其將徐嗣徽하여 逆擊破之하니 鐵單騎 還南昌注+② 南昌, 漢舊縣, 豫章郡治所.하다
十一月 梁湘東王繹 遣兵攻襄陽이어늘 岳陽王詧 乞師于魏한대 魏遣開府楊忠하여 率師救之하다
詧遣使求援於魏하여 請爲附庸이러니 湘東王繹使柳仲禮 鎭竟陵以圖詧한대 詧懼하여 遣其妃王氏及世子嶚하여 爲質於魏注+① 嶚, 力么切.하니
宇文泰欲經略江漢하여 以楊忠으로 都督三荆諸軍하여 鎭穰城한대 仲禮帥衆趣襄陽이어늘 泰遣忠及僕射長孫儉하여 將兵擊仲禮하여 以救詧注+② 儉, 嵩之五世孫也.하다
十二月 侯景陷錢塘會稽하고 執梁刺史南郡王大連하다
宋子仙陷錢塘하고 乘勝渡浙江至會稽하니 邵陵王綸奔鄱陽하다 會稽豐沃하여 勝兵數萬이요 糧仗山積이라
東人 懲侯景殘虐하여 咸樂爲用호되 而大連朝夕酣飲하여 不恤軍事注+① 大連, 梁主子.하고 司馬留異 凶狡殘暴하여 爲衆所患이로되 大連悉以軍委之注+② 留異, 姓名.러니
子仙至하여는 大連棄城走어늘 異以其衆降하여 爲子仙鄕導하여 追及大連하여 執送建康하니 大連猶醉不之知 梁主聞之하고 掩袂而泣이러라
於是 三吳盡沒於景하니 公侯在會稽者 俱南度嶺하다 景以留異 爲東陽太守하고 收其妻子爲質하니라
霸先結郡中豪傑하여 欲討侯景이러니 郡人侯安都張偲等 各帥衆千餘人歸之어늘
霸先遣杜僧明하여 將二千人하여 頓於嶺上注+① 嶺, 大庾嶺也.한대 廣州刺史蕭勃 遣人止之어늘
霸先曰 京都覆沒하여 君辱臣死어늘 君侯體則皇枝 任重方岳이로되 不能赴援하니 遣僕一軍 猶賢乎已 乃更止之乎注+② 已, 止也. 猶賢乎已, 言猶勝乎止而不遣軍也.
乃遣使하여 間道 詣湘東王繹하여 受節度러니
南康土豪蔡路養 起兵據郡이어늘 勃乃以譚世遠으로 爲曲江令하여 與路養相結하여 同遏霸先注+③ 譚, 姓也. 曲江縣, 漢屬桂陽郡, 吳屬始興郡, 唐爲韶州.하다
東魏取梁司州하다
於是東魏 盡有淮南之地注+① 太清二年, 東魏使辛術略江․淮之北, 至是方盡有淮南之地.하더라


梁나라 高祖 武帝 蕭衍 太淸 3년이고, 西魏 文帝 元寶炬 大統 15년이고, 東魏 孝静帝 元善見 武定 7년이다.
【綱】 봄 정월에 侯景이 梁나라의 지원군을 습격하니, 韋粲이 그에게 죽임을 당하였는데, 柳仲禮가 후경을 공격하여 패배시켰다.
【目】 정월 초하루에 柳仲禮가 군영을 大桁으로 옮겼는데, 마침 큰 안개가 일어나 韋粲의 군대가 헤매다가 길을 잃어 靑塘에 이르렀을 즈음에는 이미 한밤중이라 木柵을 세웠으나 완성하지 못하였다.
侯景이 급히 정예병을 이끌고 위찬을 공격하자, 위찬이 軍主 鄭逸을 시켜 그들을 맞아 싸우도록 하고, 劉叔胤에게 명을 내려 水軍으로 그들의 후면을 차단하도록 하였는데,注+① 〈“以舟師截其後”는〉 秦淮河를 건너는 길을 차단하는 것이다. 유숙윤이 감히 진격하지 못하니 정일이 결국에 패배하였다.
후경이 승세를 타고 위찬의 군영으로 들어가자 좌우에 있는 사람들이 위찬을 이끌어서 적들을 피하려고 하였는데, 위찬이 움직이지 않고 子弟들을 꾸짖어 힘써 싸우게 하여 마침내 아들 韋尼와 세 명의 아우인 韋助, 韋警, 韋構 및 사촌아우 韋昻과 함께 모두 전사하였으니, 친척으로 죽은 사람이 수백 명이었다.注+② 韋助, 韋警, 韋構는 아우 세 명의 이름이다.
유중례가 밥을 먹다가 젓가락을 던지고 갑옷을 입고는 휘하에 있는 100명의 騎兵과 말을 달려 그를 구원하러 가서 후경과 전투를 하여 크게 격파하였는데, 수백 명의 목을 베었고 물에 빠뜨려 죽인 군사가 1천여 명이었다.
유중례의 창이 막 후경에게 닿으려고 할 적에 적들이 뒤에서 유중례의 어깨를 베어 후경이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 이로부터 〈후경은〉 감히 다시 남쪽 연안을 건너지 않았고 유중례도 기력이 쇠하여 다시 전투를 하자고 말하지 않았다.
邵陵王 蕭綸이 다시 흩어진 병력을 정비하여 동쪽 길에서 도착하여 大桁의 남쪽에 군영을 세우고, 역시 유중례를 추대하여 大都督으로 삼았다.
【綱】 梁나라의 中領軍 朱异가 卒하였다.
【目】 朝野에서 侯景의 재앙을 모두 朱异의 탓으로 돌리자, 주이는 부끄럽고 분통스러워 하다가 병이 나서 죽었다. 梁主가 주이를 애통해하며 안타까워하여 특별히 僕射에 추증하였다.
【目】 胡氏(胡寅)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侯景이 강을 건널 수 있었던 것은 蕭正德이 배를 보내어 건너게 원조해주었기 때문이고, 소정덕이 배반할 수 있었던 것은 朱异가 그를 잘못 천거했기 때문이다.
후경은 본래 亂臣이며, 소정덕은 본래 賊子이기는 하지만, 주이는 亂臣과 賊子를 만들어낸 중개자 역할을 하였는데, 梁 武帝는 끝내 깨닫지 못하였다.
만일 주이가 은혜로운 영화와 봉록을 받아 장구한 계책을 생각했다면 소정덕이 외부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돌아왔을 때 그의 죄를 바로 잡아 啓文을 올려 먼 변방 지역으로 내쳤다면 자식들 중에 不孝를 마음에 둔 자가 역시 경계를 할 줄 알았을 것이며,注+① ‘遠服’은 ≪書經≫ 〈虞書 禹貢〉의 ‘要服’과 ‘荒服’이다.
후경이 자신의 나라를 배반하고 梁나라로 왔을 때 그의 실정을 밝혀 계문을 올려 국경 밖에서 막았다면 신하들 중에 불충한 마음을 먹은 자가 또한 두려워할 줄을 알았을 것이다.
그런데 두 가지를 모두 그르쳤으니, 그렇다면 후경과 소정덕이 양나라를 멸망시킨 것이 아니라, 바로 주이가 멸망시킨 것이다.”
【綱】 梁나라의 北徐州刺史 蕭正表가 徐州를 가지고 반란을 일으켜 東魏에 항복하였다.
【綱】 梁나라의 지원군이 侯景을 공격하다가 天門太守 樊文皎가 전사하였다.
【目】 臺城과 지원군 사이에 서신과 명령이 오랫동안 끊어져서 지원군 가운데 성안에 들어가서 啓文을 전송할 사람을 모집하였는데, 李朗이 먼저 채찍으로 맞기를 청하여 거짓으로 죄를 얻은 것으로 꾸며 배반하여 적에게 투항하고 이로 인해 성으로 들어갔다.
성안에서는 지원병이 사방에서 모인 것을 알고 성 전체에서 북을 두드리고 떠드니, 諸軍들이 秦淮河를 건너 東府 앞에 있는 목책을 공격하여 불태웠다.
高州刺史 李遷仕와 樊文皎가 정예병 5천 명을 인솔하고서 단독으로 진격하여 깊이 들어갔는데, 향하는 곳마다 쳐부수고 쓰러뜨렸다.
菰首橋(고수교)의 동쪽에 이르러注+① ≪五代志≫에 “高涼郡은 梁나라 때에 高州를 설치하였다.”라고 하였다. 菰(향초)의 음은 孤이다. 菰首橋는 青溪 가에 있다. 侯景의 장수 宋子仙이 병력을 숨겨놓았다가 공격하자, 번문교는 전사하고 이천사는 달아나 돌아왔다.
柳仲禮는 정신과 성정이 오만하고 삐뚤어져서 諸將을 업신여기고 멸시하였는데, 邵陵王 蕭綸이 매일 채찍을 쥐고서 군문에 도착하였으나 역시 시간이 지나도 보이지 않았으니,注+② 部將이 主帥를 알현할 때에는 채찍을 잡는 것이 禮이다. 이로 말미암아 유중례가 소륜과 제장들과 틈이 생겨서 서로 시기하고 저지하여 전투할 마음이 없었다.
지원군이 처음에 도착하였을 때, 建康에 사는 士民은 노인을 부축하고 어린이를 이끌고서 그들을 기다렸으나 겨우 진회하를 지나자마자 군대를 풀어서 협박하고 약탈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士民이 실망하였고, 적들 가운데 官軍에 호응하기를 도모하던 자들이 있었으나 그 소식을 듣고서 역시 그만두었다.
【綱】 2월에 梁나라가 侯景을 大丞相으로 삼아 그와 맹약을 맺고 지원군의 진군을 멈추도록 칙령을 내리자, 湘東王 蕭繹이 武城에 주둔하였다.
【目】 애초 臺城의 문이 닫혀 있을 적에 公卿들이 끼니를 걱정하여 남녀와 귀천을 막론하고 모두 나가서 쌀을 지고 왔으며, 여러 창고에 저장되어 있는 錢帛을 거두어 德陽堂에 쌓아두었으나 땔나무와 꼴, 생선과 소금은 갖추지 않았다.注+① 天監 6년(507)에 閱武堂을 고쳐 德陽堂이라고 하였으니, 남쪽 궐 앞에 있었다.
이때에 이르러서는 尙書省 건물을 부수어 땔감으로 썼고, 거적을 거두어 잘게 썰어서 말을 먹였으며, 군사들 중에는 갑옷을 삶아서 먹거나 쥐를 굽거나 참새를 잡아먹는 자도 있었고, 궁궐에서 말을 잡아서 人肉을 섞어 먹기도 하였으니, 이를 먹은 사람들은 반드시 병에 걸렸다.注+② 薦(거적)은 마른 볏짚으로 만든 것인데, 깔고 자는 도구이다. 剉는 자른다는 뜻이다.
侯景의 무리 역시 굶주렸고 약탈해도 얻을 것이 없었다. 東城에는 1년을 버틸 수 있는 쌀이 있었으나 지원군이 그 길을 차단하니, 후경이 매우 걱정하였다.注+③ 東城은 바로 東府城이다.
王偉가 청하기를 거짓으로 화친하여 기세를 늦추게 만들고 쌀을 石頭로 들여온 뒤에 병력과 말을 쉬게 하고 무기를 수선하여 적들이 나태한 틈을 타서 공격하자고 청하였다.
후경이 그의 말을 따라서 表文을 올려서 화친을 청하였는데, 太子가 梁主에게 보고하고 이를 허락하도록 하였다. 그러자 梁主가 진노하여 말하기를 “화친은 죽는 것만 못하다.”라고 하니,
태자가 굳게 청하자 梁主가 머뭇거리다가 한참 뒤에 드디어 일어나 말하기를 “네가 스스로 도모한 일이니, 천 년 동안 비웃음을 살 짓을 하지 말거라.”라고 하고, 마침내 허락한다고 알렸다.
【目】 侯景이 江右에 있는 네 州의 땅을 떼어주기를 원하였고, 아울러 宣城王 蕭大器가 나와서 전송한 뒤에 강을 건너게 해달라고 요구하였다.注+① 江右의 네 州는 南豫, 西豫, 合州, 光州이다.
中領軍 傅岐가 굳게 다투며 말하기를 “어찌 도적이 군사를 일으켜서 궁궐을 포위하였는데 그와 화친을 맺을 수 있단 말입니까. 이는 다만 지원군을 물리치려고 하는 계략일 뿐입니다. 또 선성왕은 後嗣를 잇는 중요한 자리에 있고 나라의 명운이 달려 있는데 어찌 인질로 삼을 수 있겠습니까.”라고 하니,
梁主가 마침내 蕭大器의 동생인 石城公 蕭大欵을 후경의 인질로 삼고, 여러 군대에 칙령을 내려 다시 전진하지 못하게 하였으며,注+② ≪五代志≫에 “宣城郡 秋浦縣을 옛날에 石城이라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조서를 내려 후경을 大丞相 豫州牧으로 삼았으며, 성문 밖에 壇을 설치하고 僕射 王克을 보내어 王偉 등과 함께 단에 올라가서 함께 盟約하게 하였다.
맹약을 맺고 난 뒤에도 후경은 포위를 풀지 않고 갑옷과 병장기만 수리하면서 전혀 떠날 뜻이 없었다.
【目】 마침 南康王 蕭會理, 湘潭侯 蕭退, 西昌世子 蕭彧이 병력 3만 명을 합쳐 馬卬洲에 이르렀는데, 侯景이 칙령을 내려 그들을 남쪽 기슭으로 돌아가게 해달라고 하니, 太子가 그의 말을 따랐다.注+① ≪五代志≫에 “衡山郡에 湘潭縣이 있다.”라고 하였다. 蕭退는 蕭恢의 아들이다. 馬卬洲는 臺城의 북쪽에 있다. ‘南岸’은 바로 秦淮河의 南岸을 말한다.
후경이 또 啓文을 올리기를 “永安侯 蕭確, 直閣 趙威方이 빈번히 목책을 사이에 두고 저를 보고 꾸짖으며 말하기를 ‘天子께서 스스로 그대와 맹약을 맺으셨지만 나는 끝내 그대를 쳐부술 것이다.’라고 하니, 바라건대 영안후와 조위방을 불러들이시면 군사를 이끌고 즉시 길을 나서 北方으로 돌아가겠습니다.”라고 하였다.注+② 永安은 옛날 古縣의 명칭으로 侯國을 삼은 것이다. 吳나라 때에는 烏程縣과 餘杭縣을 분리하여 永安縣을 설립하고, 晉나라 때에는 고쳐서 武康이라 하였다. 蕭確은 蕭綸의 아들이다. ‘引路’는 병력을 이끌고 길을 나서 북쪽으로 돌아가는 것을 말한다.
梁主가 소확을 불러들였으나 소확이 누차 사양하고 들어가지 않았다.
邵陵王 蕭綸이 울면서 소확에게 말하기를 “성을 포위한 지 이미 오랜 시일이 지나 聖上께서 근심하며 위태롭게 여기니, 신하의 마음은 끓는 물과 큰 불보다 절실하다. 이런 까닭으로 맹약을 맺어 그를 보내고 다시 후일의 계책을 펴려고 한 것이다. 명령이 이미 결정되었으니, 어찌 막고 어길 수 있겠느냐.”라고 하였다.
소확이 말하기를 “후경이 비록 떠나고 싶다고 말했지만, 긴 포위를 풀지 않았으니, 그의 뜻을 알 수 있습니다. 제가 성으로 들어간들 무슨 보탬이 되겠습니까.”라고 하였다. 소륜이 크게 진노하여 소확의 머리를 베려고 하자, 소확이 마침내 눈물을 흘리며 성안으로 들어갔다.
梁主가 항상 채식을 하다가 이때에 이르러서는 채소와 버섯이 모두 떨어져 마침내 계란을 먹었는데, 소륜이 使者를 통하여 계란 수백 알을 바쳤다.注+③ 먹을 수 있는 풀과 나물을 통틀어 ‘蔬’라고 하고, 먹을 수 있는 나물은 ‘茹’라고 한다. 茹는 人恕의 切이다.
【目】 胡氏(胡寅)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옛날에는 禽獸가 늘 사람을 핍박하였으니, 聖人이 그물로 짐승을 사냥하고 물고기를 잡도록 가르친 것은 백성을 위해 근심을 제거하고 그로 인해 禮를 만든 것이다.
그러나 그 가르침과 경계는 몹시 완비되었으니, 사물을 아끼는 마음을 역시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그 효과가 도리어 이루 다 쓸 수 없었다.
그런데 불교에서 살생을 하지 않는 것을 교화한 뒤로 ‘개와 돼지, 소와 양이 모두 내 전생의 조상이자 식구였다.’라고 하였으니, 이를 믿고 시행한 사람으로 말하자면 梁 武帝보다 심한 자가 없다.
그 마음에 필시 堯임금과 舜임금, 周公과 孔子를 비난하고 비웃으며 자애롭지 않고 슬퍼하지 않았다고 여겼을 것이니, 과연 복과 이익으로 報應이 있다면 梁나라의 국운이 오래 이어지고 신하는 충성스럽고 자식은 효도하며, 반란이 일어나지 않고 기약 없는 장수를 누렸어야 징험이 된다.注+① ‘靈長’은 신령함이 오래가는 것이다.
그런데 전혀 그렇지 않아 재앙과 난리가 이미 일어나 골육 사이에 서로 죽여 태평시절의 백성이 열에 여덟아홉은 죽었으니, 그렇다면 지난번에 채소를 먹고 살생을 하지 않은 공이 과연 어디에 있는가.
양 무제의 행동과 일은 거의 하늘이 열어주어 파멸과 실패를 분명히 드러나게 하여 후세를 경계한 것인가. 이를 보고도 오히려 佛學의 그릇됨을 모르고 또 따라서 說을 만들어 스스로 해명한다면 역시 어찌할 수가 없다.”
【目】 湘東王 蕭繹이 郢州의 武城에 진을 쳐서 河東王 蕭譽, 桂陽王 蕭慥와 함께 모두 머무르며 전진하지 않았다.注+① ≪水經註≫에 “武口水는 위로 安陸의 延頭와 통하고 남쪽으로 武城에 이르러 大江으로 유입된다. 吳나라의 옛날 주둔지가 있던 곳으로 荊州의 경계가 여기에서 끝난다.”라고 하였다. 蕭慥는 蕭懿의 손자이다. 中記室參軍 蕭賁은 강직한 선비였는데, 소역이 일찍 내려가지 않은 일을 속으로 옳지 않다고 여겼다.
일찍이 소역과 雙六 놀이를 하다가 〈소역이〉 말을 잡은 다음에 놓지 않자, 소분이 말하기를 “전하께서는 전혀 말을 놓으실 생각이 없습니다.”라고 하니, 소역이 그에게 깊이 원한을 품었다.注+② 雙六은 놀이판을 이용한 놀이의 명칭이다. 종류가 다른 나무로 네모난 놀이판을 만들어 판에 彼此와 內外에 각각 여섯 梁이 있기 때문에 ‘雙六’이라고 부른다. 打馬(놀이 이름)에 子(말[馬])을 끌어오고 明瓊(주사위)을 살펴 標的을 삼는데, 圖諜(그림 표시 책)이 아니면 비슷한 것을 얻을 수 없다. ‘雙六’은 가장 近古에 호칭이 雅戲였다. 西竺에서 시작되어 曹魏로 유입되었으며, 梁ㆍ陳ㆍ魏ㆍ齊ㆍ隋ㆍ唐나라 시기에 성행하였다. 食은 타격하여 취하는 것이고, 子는 말[馬]이다. ‘未下’는 말이 타격을 받아 놀이판 안에 들어가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雙六’의 놀이판 안에 彼此 각각 12梁이 있고, 白黑 각각 15말[馬]이 있는데, 이 말이 혼자 남으면 저 말이 타격할 수 있고, 두 말이 서로 나란히 함이 ‘梁’이 되는데, ‘梁’을 이루면 타격을 피하는 방법이다. 어떤 말이 타격을 만나면 나머지 말이 모두 움직일 수 없고, 반드시 타격된 말이 다시 〈놀이판에〉 들어간[下] 뒤에야 나머지 말이 움직일 수 있다. 이어서 彼內 6梁 가운데 빈 자리가 생기면 瓊色(주사위 색)을 만난 뒤에야 〈놀이판에〉 들어갈[下] 수 있다. 蕭賁은 蕭繹이 내려가지[下] 않은 일에 ‘雙六’을 빌어서 이야기하여 그가 君父를 구원하러 내려가지 않은 것을 풍자한 것이다.
梁主의 칙령을 받게 되자 소역이 군대를 돌리려고 하니, 소분이 말하기를 “侯景이 신하로서 군사를 일으켜 궁궐로 향하였다가 지금 만약 군대를 놓아버리면 어린아이라도 그의 목을 벨 수 있으니, 반드시 〈군대를 놓는 일은〉 하지 않을 것입니다.
대왕은 10만의 군사를 가지고 적들을 보기도 전에 물러나시니, 어찌하겠습니까.”라고 하니, 소역이 기뻐하지 않았는데 얼마 뒤에 다른 사건을 빌미로 그를 죽였다.
【綱】 東魏의 河内 백성들이 西魏로 귀순하였다.
【目】 東魏의 河内 백성 4천여 家가 西魏의 北徐州刺史인 司馬裔가 그들의 고향 사람이라는 이유로 서로 이끌어 와서 그에게 귀순하였다.注+① ≪周書≫ 〈司馬裔列傳〉에 의거하면 司馬裔는 司馬楚之의 후예이다. 司馬氏는 본래 河內의 溫 사람으로, 西魏 孝武帝(元脩)가 서쪽으로 옮겨갈 때, 사마예가 비로소 고향으로 돌아갔다가 溫城에서 義兵을 일으켜 서위로 귀순하였다. 東魏와 교전할 때에 자주 적에게 승리하고 포로를 잡아 河內郡守에 제수되었으며, 곧이어 持節 平東將軍 北徐州刺史의 관직이 더해졌다.
打馬圖打馬圖
宇文泰가 사마예에게 작위를 책봉하려고 하니, 사마예가 굳게 사양하며 말하기를 “士大夫가 황실의 교화에 먼 곳에서 귀순하였으니, 저 사마예가 어찌 그들을 거느릴 수 있겠습니까. 義士라는 명성을 팔아서 영예를 구하는 것은 제가 원하는 일이 아닙니다.”라고 하였다.
【綱】 3월에 侯景이 梁나라 臺城을 함락하고 스스로 大都督 錄尙書事라고 일컬으니, 邵陵王 蕭綸은 會稽로 달아나고, 柳仲禮 등은 배반하여 후경에게 항복하였다. 후경이 蕭正德을 폐위하여 大司馬로 삼았다.
【目】 侯景이 東府에 있는 쌀을 운반하여 石頭로 들인 뒤에 王偉가 荆州의 군대가 퇴각하여 지원군은 비록 많지만 서로 통일되지 않았다는 소식을 듣고注+① 荆州의 군대가 퇴각했다는 것은 湘東王 蕭繹이 군대를 돌린 것을 말한다. 마침내 후경을 설득하기를
“왕께서는 신하로서 군사를 일으켜 궁궐을 포위하고 지켰으며, 왕비와 황제를 핍박하고 욕보였으며, 종묘를 해치고 더럽혔으니, 지금 이런 일을 벌이고서 어디에서 용납되기를 바라십니까. 맹약을 어기고 승리를 취하는 것은 예전부터 그런 경우가 많으니, 바라건대 상황의 변화를 관찰하십시오.”라고 하였다.
【目】 侯景이 드디어 啓文을 올려서 梁主(蕭衍)의 열 가지 과오를 열거하며 말하기를 “폐하께서는 허탄한 일을 숭상하여 꾸몄고, 사실대로 기록한 것을 듣기 싫어하여 요상하고 괴이한 것을 좋아하며 상서롭게 여겼고, 하늘의 견책을 잘못이 없는 것으로 여겼습니다.
六藝를 자세히 설명하고 전대 유학자를 물리쳤으니 王莽의 법이고, 鐵로 화폐를 만들어 가볍고 무거운 것에 일정함이 없었으니 公孫述의 제도입니다.注+① 漢나라 公孫述이 蜀을 점거하여 鐵錢을 사용하였다. 양고기를 요리하는 자에게 관리의 인장을 새겨주어 조정의 법도가 조잡하니 〈漢나라〉 更始帝(劉玄)와 晉나라 趙王 司馬倫의 일입니다.注+② 漢나라 更始帝가 지나치게 관작을 제수하자 長安에서 그 일을 두고 말하기를 “양의 위장을 굽는 사람이 騎都尉가 되고, 양의 머리를 굽는 사람이 關內侯가 되었다.”라고 하였다. 晉나라 때 趙王 司馬倫이 지위를 찬탈한 뒤에 貂蟬冠을 쓴 高官들이 자리에 가득하였는데, 당시 사람들이 그 일을 두고 말하기를 “담비가 부족하자 개꼬리로 이었네.”라고 하였다.
豫章王 蕭綜은 아버지를 원수로 여겼고, 邵陵王 蕭綸은 〈아버지가 생존해 있었는데〉 冠과 布(喪服)를 착용하였으니, 石虎의 풍조입니다.注+③ 豫章王 蕭綜이 아버지를 원수로 여겼고, 邵陵王 蕭綸이 冠과 布를 착용한 일은 모두 普通 6년(525)에 보인다. 의 太子 石邃가 李顔 등에게 말하기를 “官家(皇帝)로 호칭 받기 어려우니, 나는 처럼 행사하려고 하는데, 卿이 나를 따르겠는가?”라고 하였는데, 일이 발각되자 석호가 석수를 죽이고, 다시 아들 石宣을 세워 태자로 삼았다. 그 후에 석선의 아우 石韜가 총애를 받아 석호가 그를 태자로 세우려 하자, 석선이 楊柸와 趙生에게 말하기를 “그대들이 석도를 죽이면 석도의 國邑을 그대들에게 나누어 봉분해줄 것이다. 석도가 죽으면 主上이 반드시 喪에 행차하실 터이니, 내가 그 틈을 타서 거사를 일으키면 성공하지 못할 리가 없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양배 등이 석도를 죽였는데, 일이 발각되어 석선이 죽임을 당하였다. 지금 梁主의 아들 豫章王 蕭綜은 아버지를 배반하여 北魏에 투항하였고, 邵陵王 蕭綸은 喪主의 喪服을 빼앗아 입고 梁主와 모습이 비슷한 사람을 데려와 곤룡포와 면류관을 착용하게 하고는 자리에 나아가게 하여 옷을 벗기고 뜰에서 채찍을 쳤으니, 모두 아버지가 안중에 없는 사람들이다. 그러므로 侯景이 석호의 아들 석수․석선과 같다고 말하였으니, 모두 아버지를 시해하고자 하였다. 浮圖를 수리하고 건립하는데 四民이 굶주리도록 만들었으니 笮融과 姚興의 일을 번갈아 한 것입니다.”라고 하였다.注+④ 笮融은 漢 獻帝 때에 下邳相이 되어 크게 불교 사원을 지어 銅人을 만들고 黃金으로 몸을 칠하고 비단옷을 입혔으며, 〈塔廟에는〉 9겹의 銅槃을 내려 걸고 그 아래에 3천여 명을 수용할 수 있고 樓閣道를 만들었는데, 모두 佛經을 암송하였다. 姚興은 後秦의 군주로 鳩摩羅什을 國師로 삼고 寺塔을 크게 지었는데, 이로 말미암아 州郡이 그에 교화되어 열 집에 아홉 집은 불교를 섬겼다.
또 말하기를 “建康의 황궁은 사치를 숭상하고 폐하께서는 오직 主書(문서 담당자)와 함께 온갖 일을 결단하시어 정치는 뇌물로 이루어지고 환관들은 호화롭고 성대하며 승려들은 넉넉하고 풍족합니다.
皇太子는 珠玉을 좋아하고 주색에 빠졌으며, 邵陵王은 있는 곳이 쇠잔하고 파괴되었으며, 湘東王은 부하들이 탐욕하고 방종하고, 南康王 蕭會理와 定襄侯 蕭祗의 무리들은 모두 원숭이가 冠을 쓴 모습과 같을 뿐입니다.注+⑤ 南康王 蕭會理는 당시에 廣陵을 鎭守하고 있었고, 定襄侯 蕭祗는 당시에 淮陰을 鎭守하고 있었다. 소지는 南平王 蕭偉의 아들이다.
바라건대 폐하께서는 작은 징계로 큰 훈계를 삼으시고 讒言을 내치고 忠言을 받아들이시어 신이 다시 거사를 일으키는 근심이 없도록 해주시고, 폐하께서는 농성하며 지키는 능욕을 당하지 않도록 하신다면 모든 백성들을 위해 다행일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梁主가 啓文을 보고 부끄러워하고 진노하여, 3월 초하루에 후경이 맹약을 어겼다고 하여 봉화를 피우고 북을 울렸다.
【目】 처음에 성문을 닫던 날에 男女가 10여만 명이었고, 갑옷을 입은 병사가 2만여 명이었는데, 포위를 당한 지 오래되자 대부분 사람들의 몸이 붓고 숨이 가빠서 죽은 자가 열에 여덟아홉이었다.注+① ‘氣急’은 숨을 헐떡이고 숨이 가쁜 것이다.
성에 오른 사람이 4천 명을 못 채웠는데, 대부분 모두 파리하고 숨을 헐떡였으며 가로놓인 시체가 길에 가득하였다. 그러나 사람들은 마음으로 여전히 외부에서 원조해주기를 바랐다.
柳仲禮는 오직 기생을 모아놓고 술자리를 마련하여 풍악을 울렸는데, 장수들이 날마다 가서 싸울 것을 청하였으나 유중례는 허락하지 않았다.
安南侯 蕭駿이 邵陵王 蕭綸에게 유세하기를 “성의 위태로운 상황이 이와 같은데, 都督이 구원하지 않으니 만에 하나라도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하면 전하께서는 무슨 낯으로 세상에 서시겠습니까. 지금 군대를 세 길로 나누어 적이 생각지 못한 곳으로 나아가 공격하면 뜻을 이룰 수 있습니다.”라고 하였는데, 소륜이 따르지 않았다.
【目】 柳仲禮의 아버지 柳津이 성에 올라 유중례에게 말하기를 “너의 君父가 어려움에 처했는데 힘을 다하지 않으니 후대에 너를 두고 뭐라고 하겠느냐.”라고 하였는데, 유중례는 역시 마음에 두지 않았다.
梁主(蕭衍)가 유진에게 계책을 묻자 〈유진이〉 대답하기를 “폐하께는 邵陵王(蕭綸)이 있고 신에게는 유중례가 있으나, 충성을 하지 않고 효도를 하지 않으니 무슨 수로 적들을 평정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하였다.
南康王 蕭會理가 羊鴉仁, 趙伯超 등과 함께 東府城의 북쪽으로 나아가 주둔하여 밤에 군대를 건너게 하기로 약속하였는데, 侯景에게 패배하였다.
후경이 또 화친을 청하자, 梁主가 御史中丞 沈浚을 시켜 후경이 있는 곳으로 가도록 하였는데, 〈심준이〉 후경이 물러날 뜻이 없음을 보고는 분노하여 그를 질책하였다.
그러자 후경이 칼을 비껴 차고 〈심준을〉 꾸짖으니, 심준이 말하기를 “은혜를 등지고 의리를 잊고 맹세한 맹약을 어기고 내버렸으니, 진실로 하늘과 땅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오. 나 심준은 50의 나이에 항상 죽을 곳을 얻지 못할까 두려워하였는데, 어찌 죽음을 두려워하겠소.”라고 하고, 이어서 곧바로 떠나고 돌아보지 않았다.
【目】 이에 侯景이 다시 밤낮으로 쉬지 않고 성을 공격하였는데, 邵陵王의 世子 蕭堅이 太陽門에 주둔하면서 종일토록 도박을 하고 술을 마시며 관리와 병사를 돌보지 않았다.注+① 太陽門은 臺城의 6개 문 가운데 하나이다. ‘蒱飲’은 도박을 하고 또 술을 마시는 것이다.
그의 書佐 董勛과 熊曇朗이 밤에 후경의 군대를 인도하여 성에 올랐는데, 永安侯 蕭確이 힘써 싸웠으나 물리칠 수 없자, 문을 밀치고 안으로 들어가 梁主(蕭衍)에게 아뢰기를 “성이 이미 함락되었습니다.”라고 하였다.
梁主가 편안히 누워 움직이지 않은 채 탄식하며 말하기를 “나로 인해 얻고 나로 인해 잃었으니, 역시 다시 무엇을 한스러워하겠는가.”라고 하고, 이어서 소확에게 말하기를 “속히 가서 네 아비(蕭綸)에게 二宮(황제와 태자)은 걱정하지 말라고 하거라.”라고 하였다.
【目】 侯景이 太極東堂으로 들어가 〈梁主(蕭衍)를〉 알현할 적에 갑옷을 입은 병사 500명으로 자신을 호위하게 하여 전각 아래에서 이마를 조아렸는데, 典儀가 그를 인도하여 三公이 앉는 자리로 나아가게 하였다.注+① 太極殿은 建康宮 안에 있는 正殿이다. 晉나라 초기에 12칸으로 축조하였으니, 12달을 본뜬 것이다. 梁 武帝(蕭衍) 때에 이르러 13칸으로 다시 만들었으니, 윤달을 본뜬 것이다. 높이는 8丈, 길이는 27丈, 너비는 10丈이며, 내외를 모두 아름다운 돌을 이용해 섬돌을 만들었다. 그 동쪽에 太極東堂 7칸이 있고, 그 서쪽에 太極西堂 7칸이 있다. 典儀는 조정의 의식을 담당하는 자이다. 唐나라에 이르러서도 전의의 직책이 있었으니, 殿上에서 贊唱하는 절차와 殿庭에서 의복과 지위의 차례를 진설하는 일을 관장하였다.
梁主는 정신과 얼굴빛에 동요가 없이 그에게 묻기를 “卿이 軍中에 있은 지 오래되었으니, 수고롭지 않은가.”라고 하니, 후경이 감히 올려보지 못하고 땀이 흘러 얼굴을 덮었다.
〈후경이〉 다시 永福省에 이르러 太子를 알현하였는데,注+② 永福省은 대궐 안에 있는데 宋나라 이후로 太子가 거처하였으니, 〈그 명칭은〉 나라가 영원히 복을 누리라는 의미에서 취하였다. 태자 역시 두려워하는 기색이 없었다.
侍衛는 모두 놀라 흩어졌고, 徐摛와 殷不害만이 곁에서 모시고 있었는데, 서리가 후경에게 말하기를 “마땅히 禮를 갖추어 뵈어야 합니다.”라고 하였다.
후경이 절하고 물러나 王僧貴에게 말하기를 “나는 항상 말안장에 걸터앉아 적진과 대치하여 화살과 칼이 서로 부딪치는 상황에서도 마음과 기운이 편안하고 느슨하여 전혀 두려움이 없었는데,
지금 蕭公(蕭衍)을 뵙자 사람을 절로 두렵게 만드니, 어찌 하늘의 위엄이 범하기 어려운 것이 아니겠는가. 나는 다시 소공을 뵐 수 없다.”라고 하였다.
【目】 이에 兩宮(황궁과 태자궁)의 侍衛를 다 물리치고 군사를 풀어서 수레, 복식, 궁녀를 모두 다 약탈하게 하였으며, 조정의 士人과 王侯를 체포하여 永福省으로 보내고注+① 兩宮은 上臺와 東宮을 말한다. 詔書를 위조하여 크게 사면령을 내리고, 〈侯景이〉 스스로에게 大都督 中外諸軍 錄尙書事의 직함을 덧붙였다. 建康의 士民이 난리를 도망쳐 사방으로 나갔다.
후경이 詔書를 내려서 밖에 있는 지원군을 해산하도록 명하자 柳仲禮가 장수들을 불러서 의논하였는데, 邵陵王 蕭綸이 말하기를 “지금의 명령은 장군에게 맡기겠습니다.”라고 하니, 유중례가 오랫동안 쳐다보면서 대답하지 않았다.
裴之高와 王僧辯이 말하기를 “장군께서는 군사 100만 명을 거느리고 있으면서도 궁궐이 함락되고 말았으니, 힘을 다하여 결전을 치러야 하는데 어찌 많은 말을 할 것입니까.”라고 하니, 유중례는 결국 한마디 말이 없었고, 여러 군대는 마침내 흩어졌다.
소륜은 會稽로 달아났고, 柳仲禮, 羊鴉仁, 王僧辯, 趙伯超는 모두 진영의 문을 열어 적에게 항복하니, 군사들이 탄식하며 분개하였다.
【目】 柳仲禮 등이 성으로 들어가서 우선 侯景에게 절을 한 뒤에 梁主를 알현하였는데, 梁主가 그들과 말을 하지 않자, 〈유중례가〉 柳津을 뵈었는데, 유진이 통곡하여 말하기를 “너는 내 아들이 아니니, 어찌 수고롭게 서로 보겠느냐.”라고 하였다. 후경이 유중례를 司州로 돌아가게 하고 王僧辯을 竟陵으로 돌아가도록 하였다.
애초에 臨賀王 蕭正德이 후경과 城을 평정하는 날에 二宮(황제와 태자)을 온전히 보호하지 않기로 약속하였는데, 성문이 열리자 소정덕이 군대를 인솔하여 칼을 휘두르며 들어가려고 하였으나 들어가지 못하였다.
후경이 다시 소정덕을 大司馬로 삼으니, 소정덕이 들어가서 梁主를 알현하는데 절을 하고 또 울자, 梁主가 말하기를 라고 하였다.注+① 啜은 눈물을 많이 흘리며 그치지 않는 것이다.
【綱】 梁나라의 東徐州와 北靑州 및 淮陽郡이 모두 배반하여 東魏에 항복하니, 동위가 드디어 양나라의 靑州와 山陽郡을 취하였다.注+① ≪五代志≫에 “下邳郡은 梁나라 때에 東徐州를 두었고, 東海郡 懷仁縣은 梁나라 때에 南青州와 北青州를 두었으며, 江都郡 山陽縣은 옛날에 山陽郡을 두었다.”라고 하였다.
【綱】 梁나라 湘東王 蕭繹이 江陵으로 돌아가 桂陽王 蕭慥를 죽였다.
【目】 애초에 梁主가 河東王 蕭譽로 張纉을 대신하여 湘州刺史로 삼고, 장찬을 옮겨서 岳陽王 蕭詧을 대신하여 雍州刺史로 삼았다.注+① 張纉은 張綰의 형이다. 장찬은 재주를 믿고서 소예를 경시하여 그를 영접하여 기다릴 때에 禮節에 잘못이 있었다.
소예가 도착하여 장찬을 억류시키고 보내지 않았는데, 장찬이 작은 배로 밤에 달아나 雍部에 도착할 즈음에 소찰이 다시 자신을 거부할까 염려하였다.
장찬은 湘東王 蕭繹과 예전부터 교분이 있었기에 그를 이용하여 소예 형제를 죽이려고 하여 마침내 江陵으로 갔다.
臺城이 함락되자 여러 왕들이 각각 州의 鎭戍하는 곳으로 돌아갔는데, 소예는 湘州로 돌아갔고, 信州刺史 桂陽王 蕭慥는 강릉에 군대를 주둔시켜 소역이 도착하기를 기다려 배알하고 돌아가려고 하였다.
장찬이 소역에게 편지를 보내어 말하기를 “하동왕이 江陵을 기습하려고 하는데, 악양왕이 함께 공모하여 불만을 품고 있습니다.”라고 하였다.注+② 逞은 즐겁다는 뜻이니, ‘不逞’은 마음에 즐겁게 제멋대로 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江陵軍主 朱榮도 使者를 파견하여 소역에게 보고하기를 “계양왕이 여기에 머무르면서 소예와 소찰에게 호응하려고 합니다.”라고 하니,
소역이 두려워서 蠻中의 사잇길로 말을 달려 강릉으로 돌아와 소조를 감금하여 죽이고, 목책을 세우고 참호를 파서 스스로 수비하였다.
【綱】 侯景이 梁나라 廣陵을 함락하였다.
【目】 侯景이 董紹先을 江北行臺로 삼아서 〈梁 武帝의〉 勅令을 가지고 南康王 蕭會理를 불러오게 하였는데, 동소선이 잔약한 군사 200명을 데리고 廣陵에 도착해보니, 소회리의 군대와 말이 아주 성대하였다.
僚佐가 소회리를 설득하기를 “후경이 이미 京邑을 함락하여 諸藩을 제거한 연후에 황제 자리를 찬탈하려고 하니, 만약 사방에서 거절하면 〈후경이〉 즉시 패배하여 흩어질 것인데, 어찌 南兗州 땅 전체를 맡겨서 도적을 돕는단 말입니까.
동소선을 죽이고 군사를 출동시켜 굳게 지키고 西魏와 연합하면서 변화하는 상황을 기다리는 것만 못합니다.”라고 하였는데, 소회리는 평소에 겁이 많아 곧장 城을 동소선에게 주었다.
【綱】 東魏가 梁나라의 淮陰을 취하였다.
【綱】 梁나라의 吳郡太守 袁君正이 郡을 가지고 배반하여 侯景에게 歸附하였다.
【目】 侯景이 于子悅 등을 파견하여 잔약한한 군사 수백 명을 거느리고서 동쪽으로 吳郡을 경략하도록 하였다. 新城의 戍主인 戴僧逷(대승적)은 정예병 5천 명을 거느리고 있었는데,注+① 沈約이 말하기를 “浙江 서남쪽은 이름이 ‘相溪’인데, 吳나라 때에 新城縣을 설립하여 吳郡에 소속시켰다.”라고 하였다. 逷은 他歷의 切이다. 太守 袁君正을 설득하기를
“역적들은 지금 군량이 모자라 臺城 안에서 얻은 것으로는 열흘을 버티지 못하리니, 만약 우리가 성문을 닫고 막아 지키면 즉시 굶겨 죽일 수 있습니다.”라고 하였다.注+② 袁君正은 袁昂의 아들이다.
원군정은 평소 겁이 많아 교외에서 우자열을 영접하였는데, 우자열이 원군정을 잡고 재물과 子女를 약탈하자 동쪽 사람들은 모두 보루를 세워 그를 막았다.
【綱】 梁나라의 宣城과 吳興에서 군대를 일으켜 侯景에게 대적하였다.
【目】 侯景이 來亮을 보내어 宛陵에 들여보냈으나, 宣城太守 楊白華가 그를 유인하여 목을 베었다.注+① 宛陵縣은 漢나라 때에 丹楊郡에 속하였고, 晉나라 때에 분리하여 宣城郡의 治所로 삼았다. 후경이 李賢明을 보내어 공격하였으나 이기지 못하였다.
御史中丞 沈浚이 난리를 피하여 동쪽으로 돌아가서 吳興太守 張嵊과 군사를 일으켜 후경을 토벌하니,注+② 張嵊은 張稷의 아들이다. 嵊은 石證의 切이다. 후경의 號令이 시행된 곳은 吳郡의 서부와 南陵의 북부뿐이었다.注+③ ≪資治通鑑綱目集覽≫에 “南陵은 漢나라 때 丹楊郡의 邑인데, 지금은 寧國府에 속하며 宣城의 서쪽에 있다.”라고 하였다.
【綱】 東魏가 西魏의 潁川을 침공하였는데, 서위 사람들이 공격하여 〈동위의〉 장수인 慕容紹宗과 劉豐生을 죽였다.
【目】 東魏의 高岳 등이 西魏의 潁川을 공격하여 1년이 지나도 이기지 못하였다.
劉豐生이 책략을 세워 洧水에 제방을 쌓아서 물을 대자 성이 대부분 무너졌는데,注+① ≪水經≫에 “洧水는 河南 密縣의 서남쪽에 있는 馬領山에서 발원하여 동남쪽으로 長社縣 북쪽을 지난다.”라고 하였다. 王思政이 몸소 화살과 돌을 맞으면서 士卒과 노고를 함께하였으며, 성안에는 샘물이 솟아나서 솥을 걸고 불을 땠다.
宇文泰가 趙貴를 보내어 동남쪽 여러 州의 군사를 지휘하여 그를 구원하도록 하였는데, 물에 가로막혀 앞으로 나아갈 수 없었다.
東魏에서는 활을 잘 쏘는 사람들을 시켜 큰 전함을 타고서 城에 다다라 활을 쏘게 하니, 성이 거의 함락되었다.
慕容紹宗이 유풍생과 제방으로 다가가서 살피다가注+② ≪資治通鑑≫에 이 아래에 “동북쪽에서 먼지가 일어나는 것을 보고 함께 함선으로 들어가 앉아서 피하였다.”라는 내용이 있다. 갑자기 폭풍이 불어 전함을 성 쪽으로 밀어 보내자, 성에 있던 사람들이 긴 갈고리로 배를 끌어당겨 활과 쇠뇌를 난사하니, 모용소종과 유풍생 두 사람이 모두 죽었다.
【綱】 여름에 東魏의 大將軍 高澄이 鄴城으로 갔다.
【目】 東魏에서 高澄의 지위를 相國으로 높여서 齊王에 책봉하였으며, 특별한 禮를 더해주었는데, 고징이 굳게 사양하며 허락하지 않았다.
고징이 장수와 보좌진을 불러 몰래 이 문제를 의논하였는데, 모두 고징에게 조정의 명을 받으라고 권하였으나 陳元康만은 옳지 않다고 하자, 고징이 이로 말미암아 그를 싫어하였다.
【綱】 梁나라 岳陽王 蕭詧이 雍州刺史 張纉을 사로잡았다.
【目】 湘東王 蕭繹이 들어가 지원할 적에 감독하던 여러 州에서 모두 군사를 출동하도록 하였는데, 雍州刺史 岳陽王 蕭詧이 司馬 劉方貴를 보내어 군사를 거느리고 漢口로 나가도록 하자, 소역이 소찰을 불러서 직접 가도록 하였으나 소찰이 따르지 않았다.
유방귀가 몰래 소역과 襄陽을 기습하기로 모의했다가 출동하기 전에 마침 소찰이 다른 일로 유방귀를 부르자, 유방귀는 모의가 누설되었다고 여겨서 마침내 樊城을 점거하였다.
소찰이 군대를 보내어 공격하였는데, 소역이 물자를 후하게 주면서 張纉을 파견하여 진수하는 곳에 가도록 하니, 장찬이 大堤에 도착하게 되어서는注+① 沈約의 ≪宋書≫ 〈州郡志〉에 “華山郡의 治所는 大隄이다.”라고 하였다. 소찰이 이미 번성을 함락하고 유방귀의 머리를 베었다. 소찰은 臺城이 함락되었다는 소식을 듣고서 마침내 장찬을 사로잡았다.
【綱】 5월에 梁主 蕭衍이 殂하자 太子 蕭綱이 즉위하였다.
【目】 梁主(蕭衍)가 비록 겉으로는 侯景에게 통제를 받았으나, 속으로는 몹시 불평을 하였다. 후경이 宋子仙을 司空으로 삼고자 하였는데, 梁主가 말하기를 “陰陽을 조화시키는데 어찌 이런 인물을 쓰겠는가.”라고 하니,注+① 三公은 음과 양의 두 기운을 조화시켜 다스리니, 宋子仙이 적임자가 아님을 말한 것이다. 후경이 강요할 수가 없었으나 마음으로 몹시 꺼려하였다.
太子가 울면서 간언하자 梁主가 말하기를 “만약 社稷에 神靈이 있다면 오히려 회복해야 할 것이고, 만약 그렇지 않다면 무슨 일로 눈물을 흘리겠느냐.”라고 하였다.
이후로 梁主가 바라는 일은 대부분 뜻대로 되지 않았고, 마실 것과 먹을 것을 역시 줄이자 근심하고 화를 내다가 병이 들었으며, 입이 써서 꿀을 달라고 하다가 얻지 못하여 거듭 “하하!” 하고 원망하다가 마침내 殂하니, 나이가 여든 여섯이었다.注+② 荷(원망하는 소리)는 下可의 切이다.
【目】 侯景이 비밀에 붙여 發喪하지 않으니, 太子는 목이 메여 눈물을 흘렸으나 감히 소리를 내지 못했다. 얼마 후에 初喪을 공표하고 마침내 즉위하여 宣城王 蕭大器를 太子로 삼았다.
梁 武帝梁 武帝
高祖(梁 武帝) 말년에 建康의 士民이 다투어 호사스러운 것을 숭상하여 저장된 양식은 반년을 버틸 수가 없어 항상 사방에서 공급하는 것에 의지하였다.注+① 輸(나르다)는 去聲이다.
그런데 후경이 난을 일으킨 뒤로 도로가 단절되어 사람들이 서로 잡아먹기에 이르렀으나, 굶어 죽는 것을 면하지 못하여 생존한 사람은 백에 한둘도 없었다.
귀족과 호족은 모두 스스로 나와서 돌벼를 채취하니, 도랑과 골짜기를 메운 시체를 이루 다 셀 수가 없었다.注+② 稆(돌벼)는 음이 呂로, 禾를 파종하지 않고도 자라나는 것을 稆라고 한다.
【綱】 西魏에서 代郡 사람들에게 조서를 내려 옛날 姓을 회복하게 하였다.
【綱】 6월에 梁나라 湘東王 蕭繹이 太常卿 劉之遴을 죽였다.
【目】 애초에 侯景이 劉之遴을 시켜 臨賀王 蕭正德에게 玉璽와 印綬를 주도록 하였다.注+① 遴은 良刃의 切이다. 유지린이 머리카락을 자르고 승복 차림으로 도망을 쳐서 江陵으로 돌아갈 적에 夏口에 이르자, 蕭繹이 평소 그의 재주를 질투하였기에 몰래 독약을 보내어 그를 죽이고 스스로 墓誌銘을 짓고 賻儀를 후하게 하였다.
【綱】 東魏의 大將軍 高澄이 潁川을 함락하고 그것으로 王思政이 〈동위로〉 歸附하니, 西魏의 군사들이 돌아갔다.
【目】 東魏의 高岳이 이미 慕容紹宗 등을 잃고 나서는 뜻과 기운이 꺾여 감히 다시 長社를 압박하지 못하였다.注+① 杜佑가 말하기를 “許州 長葛縣이 옛날의 長社城이니, 王思政이 지키던 곳이다.”라고 하였다.
陳元康이 高澄에게 말하기를 “왕께서는 스스로 정사를 보필한 이후로 아직까지 특별한 공적을 세우지 못했습니다. 지금 潁川이 거의 함락될 상황이니, 바라건대 왕께서는 자신의 공적으로 삼으십시오.”라고 하니, 고징이 그의 말을 따라 스스로 군대를 거느리고 長社를 공격하였다.
친히 나아가서 제방을 만들었는데, 제방이 세 번 터지자 고징이 화가 나서 흙을 지고 나르는 사람과 흙 포대를 밀어버려서 함께 강을 메웠다.注+② 推(밀버리다)는 吐雷의 切이다. 성안에서는 소금이 없어서 痙攣과 浮腫에 걸려서 죽은 사람이 열에 여덟아홉이었다.注+③ 攣(경련이 나다)은 呂緣의 切이니, 경련이 나서 근육이 굳는다는 뜻이다.
물이 성안으로 유입되어 성이 무너지자 고징이 성안에 명령하여 말하기를 “王大將軍(王思政)을 살려서 데려오는 사람이 있으면 侯로 책봉할 것이고, 만약 대장군의 몸을 손상시키면 좌우에 있는 사람을 모두 벨 것이다.”라고 하였다.注+④ 太清 원년(547)에 西魏에서 王思政에게 大將軍을 제수하였기 때문에 이렇게 부른 것이다.
【目】 王思政이 무리를 인솔하여 土山을 점거하고서注+① 東魏가 토산을 쌓아 潁川을 공격하자, 王思政이 토산을 빼앗아 점거하였다. 그들에게 고하기를 “나의 힘은 꺾이고 계책은 다했으니, 오직 마땅히 죽음으로 나라에 사죄해야 한다.”라고 하고,
그로 인해 하늘을 우러러서 크게 곡하고 서쪽을 향해 두 번 절하고는 스스로 목을 베려고 하자, 무리들이 함께 그를 잡아 자결을 하지 못했다. 高澄이 趙彥深을 보내어 손을 잡고서 뜻을 말하고 맞이하여 예우하였다.
왕사정이 애초에 潁川에 들어갔을 때 병사 8천 명을 거느렸는데, 성이 함락되기에 이르러서는 겨우 3천 명이었지만 끝내 배반하는 사람이 없었다.
고징이 영천을 鄭州로 명칭을 바꾸고 왕사정을 몹시 중하게 예우하자,注+② 살펴보건대 魏收의 ≪魏書≫ 〈地形志〉에 “潁川은 본래 長社에 治所를 두었는데, 鄭州로 명칭을 고치고 나서 치소를 潁陰城으로 옮기고 許昌郡, 潁川郡, 陽翟郡을 관할하게 하였다.”라고 하였다. 祭酒 盧潛이 말하기를 “왕사정이 죽음으로 절개를 지키지 못하였는데, 어찌 중히 여길 만합니까.”라고 하니,
고징이 말하기를 “내가 노잠을 곁에 두고 있기에 마침내 다시 한 명의 왕사정을 얻을 수 있었소.”라고 하였다. 노잠은 盧度世의 증손이다.
【目】 애초에 王思政이 襄城에 주둔할 적에 長社를 行臺의 治所로 삼고자 하여 宇文泰에게 啓文을 올렸는데,
淅州刺史 崔猷가 말하기를注+① ≪五代志≫에 “淅陽郡은 西魏 때에 淅州를 설치하였다.”라고 하였다. 崔猷는 崔挺의 손자이다. “襄城은 京城(長安)과 洛陽을 통제하는 곳이라 실로 요충지이니, 만일 어떤 움직임이 있으면 서로 응대하여 연결하기가 쉽습니다. 潁川은 이미 적들의 경계 지역과 인접하고 또 견고한 산천이 없으니, 적들이 만약 전진해 오면 샛길로 성 아래에 도달할 것입니다.
양성에 군사를 주둔시켜 行臺로 삼고, 潁川에 州를 설치하여 장수를 보내어 鎭守하도록 하는 것만 못합니다. 그렇게 하면 안팎이 견고하게 연결되어 인심이 평안하기 쉬우니, 비록 예상치 못한 일이 생기더라도 어찌 근심할 일이 있겠습니까.”라고 하였다.
우문태가 최유의 계책을 따르도록 명을 내렸는데, 왕사정이 굳게 청하니 우문태가 마침내 허락하였다. 그런데 이때에 長社가 함락되자 우문태가 몹시 후회하고서 侯景이 바친 여러 성의 도로가 막히고 끊어졌다고 하여 여러 장수들에게 군대를 빼내어 돌아오도록 명을 내렸다.
【綱】 梁나라 湘東王 蕭繹이 스스로 假黄鉞 大都督中外諸軍으로 일컫고 承制(황제의 권한으로 일을 편의대로 시행함)하였다.
【綱】 侯景이 蕭正德을 죽였다.
【目】 蕭正德은 侯景이 자신을 속였던 것을 원망하여 密書로 鄱陽王 蕭範을 불러 군사를 이끌고 들어오도록 하였는데, 후경이 그 편지를 가로채고 소정덕의 목을 매어 죽였다.注+① ‘遮得’은 길에서 막고 차단하여 얻은 것이다.
【綱】 梁나라 永安侯 蕭確이 侯景의 토벌을 도모하다가 이기지 못하고 죽었다.
【目】 侯景이 永安侯 蕭確의 용맹을 아껴서 항상 곁에 두었다. 邵陵王 蕭綸이 몰래 사람을 보내어 소확을 부르니,
소확이 말하기를 “후경은 사람됨이 경박하여 한 사내의 힘이면 충분하니,注+① 佻(방정맞다)는 吐彫의 切이다. 내가 직접 그를 찌르고 싶지만 좋은 기회를 아직 얻지 못한 것이 한스럽소. 卿은 돌아가서 家王(蕭綸)에게 아뢰어 나 소확의 걱정은 말라고 하시오.”라고 하였다.
후경이 소확과 鍾山에 노닐면서 소확이 활을 당겨서 새를 쏘다가 이 틈을 타서 후경을 쏘려고 하였으나, 활시위가 끊어져 쏘지 못했는데, 후경이 알아채고는 그를 죽였다.
【綱】 梁나라 湘東王 蕭繹이 世子 蕭方等을 시켜 湘州刺史 河東王 蕭譽를 공격하도록 하였는데, 소예가 그를 공격하자 소방등이 패배하여 죽었고 소역은 자신의 왕비 徐氏를 죽였다.
【目】 蕭繹이 徐妃에게 장가들어 世子 蕭方等을 낳았는데, 서비는 행실에 잘못이 많았기에 소방등은 총애받지 못하였다.
建康에서 江陵으로 돌아오자 소역은 소방등이 군사를 조화롭게 잘 통제하는 모습을 보고 비로소 그의 능력에 탄복하여 들어가 서비에게 말하였는데, 서비가 울면서 물러났다.
소역이 진노하여 그녀의 더러운 행실을 기록하여 大閤에 방을 붙이니, 소방등이 이를 보고 더욱 두려워하였다.
湘州刺史 河東王 蕭譽는 날래고 용맹하여 병사들의 마음을 얻었다. 소역이 侯景을 토벌하려고 할 적에 使者를 보내어 그의 군량과 군대를 감독하도록 하였는데, 소예가 참여하지 않았다.
소방등이 그를 토벌하기를 청하자 소역이 마침내 어린 아들인 蕭方矩로 소예를 대신하도록 하고, 소방등에게 군사를 거느리고 그를 호송하도록 하였다.
소방등이 출발할 적에 친한 사람에게 말하기를 “이번 행차에 나는 반드시 죽을 것인데, 알맞은 죽을 자리를 얻는다면 내가 어찌 다시 한스러워하겠는가!”라고 하였다.
麻溪에 도착하였는데, 소예가 그를 공격하자 소방등이 패하여 죽었으나, 소역은 슬퍼하는 기색이 없었다.注+① ≪水經註≫에 근거하면 “麻溪의 水口는 臨湘縣 북쪽과 劉口戍의 남쪽에 있다.”라고 하였다.
寵妃인 王氏가 蕭方諸를 낳고 나서 죽었는데, 소역은 서비가 왕씨를 죽였다고 의심하여注+② 〈‘繹疑徐妃爲之’는〉 徐妃가 〈王氏를〉 독살했다고 의심한 것이다. 자살하도록 핍박하니, 서비가 우물에 뛰어들어 죽었다.
【綱】 가을 7월에 梁나라 廣州刺史 元景仲이 모반을 일으키자 西江督護 陳霸先이 토벌하여 목을 베었다.
【目】 陳霸先이 군사를 일으켜 侯景을 토벌하려고 하자, 후경이 사람을 시켜 元景仲을 유혹하여 받들어 주군으로 삼을 것을 허락하고 진패선을 도모하게 하였다.注+① 元景仲은 元法僧의 아들로, 普通 6년(525)에 父子가 梁나라로 歸附하였다. 진패선이 격문을 돌려서 원경중을 토벌하자, 원경중의 무리가 흩어졌고 원경중은 목을 매어 죽었다.
진패선이 定州刺史 蕭勃을 맞이하여 廣州를 鎭守하니, 소발이 진패선을 監始興郡事로 삼았다.
【綱】 梁나라 湘東王 蕭繹이 信州刺史 鮑泉을 시켜 湘州를 공격하였다.
【目】 蕭繹이 竟陵太守 王僧辯과 信州刺史 鮑泉을 보내어 湘州를 공격할 적에 왕승변은 무리가 모이기를 기다린 뒤에 가려고 하였는데, 소역은 왕승변이 觀望한다고 의심하여 검으로 그의 허벅지를 찍으니, 한참 동안 기절하였다.注+① 髀는 허벅지이다. ≪資治通鑑≫에는 “한참 뒤에 소생하자 곧바로 감옥으로 보냈다.”라고 하였다. 포천이 두려워 감히 말을 하지 못하고 홀로 군사를 거느리고 湘州를 정벌하였다.
【綱】 梁나라 合州刺史 鄱陽王 蕭範이 州를 가지고 東魏로 歸附하여 군사를 요청하였다.
【目】 蕭範은 臺城이 함락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경계를 엄히 하여 〈建康으로〉 들어가려고 하자, 僚佐가 모두 소범을 설득하기를 “지금 東魏 사람들이 이미 壽陽을 점거하고 있으니, 대왕께서 행보를 옮기시면 오랑캐들이 반드시 合肥를 엿볼 것입니다.”라고 하니, 소범이 마침내 중지하였다.
마침 高澄이 李伯穆을 보내어 합비를 압박하도록 하니, 소범이 한창 侯景을 토벌할 것을 모의하면서 동위에 의뢰하여 원조를 받고 합주를 이백목에게 넘겨주고 두 아들을 鄴城으로 보내어 군대를 보내달라고 요청하고, 〈소범은〉 濡須에 주둔하면서 상류의 군대를 기다렸다.
그런데 오랜 시일이 지나도 도착하지 않았고, 동위 역시 군대를 보내지 않으니,注+① 爲(위하다)는 去聲이다. 소범은 군량이 모자라서 전진할지 후퇴할지 계책을 세우지 못하여 마침내 서쪽으로 올라가서 樅陽에 주둔하였다.注+② ‘進退無計’는 전진하면 외롭고 힘없는 군사들로 侯景을 제압하기에 부족하고, 후퇴하면 合肥가 이미 東魏 사람들에 의해 점거됨을 말한 것이다. 樅은 七容의 切이다. 樅陽은 漢나라 때에 縣을 두어 廬江에 속하게 하였으며, 梁나라 때에 郡으로 고쳤다가 陳나라 때에 다시 縣이 되었다.
【綱】 東魏의 大將軍 渤海王 高澄을 鄴城에서 암살하였다.
【目】 高澄이 과거에 濟陰王 元暉業에게 말하기를 “최근에 어떤 글을 읽었습니까?”라고 하니, 원휘업이 말하기를 “伊尹과 霍光의 傳記는 자주 읽었으나, 曹丕와 司馬炎의 글은 읽지 않았소.”라고 하였다.注+① 元暉業은 東魏의 宗室로 高澄의 黨與가 아니다. 그의 의도는 太甲을 보좌한 伊尹이나 漢 昭帝와 漢 宣帝를 보좌한 霍光처럼 해야지, 漢나라를 찬탈한 曹丕와 魏나라를 찬탈한 司馬炎처럼 해서는 안 됨을 말한 것이다.
고징이 그의 동생 太原公 高洋이 〈형제 중에서〉 자기 다음가는 서열에 있다고 여겨 그를 꺼렸다.
고양은 스스로 깊이 감추고 숨겨서 조정에서 퇴근하고는 그때마다 閤門을 닫고서 조용히 앉아 있었으며, 비록 처자식을 보아도 하루 종일 말을 하지 않았고, 어떤 때는 웃통을 벗고 맨발로 펄쩍 뛰기도 하였다.
부인이 그 까닭을 묻자 고양이 말하기를 “그대를 위하여 장난을 치는 것이오.”라고 하였으니, 실제로는 고된 일을 익히려는 행동(몸을 단련하는 것)이었다.注+② ‘漫戲’는 마음대로 장난을 친다는 말이다.
【目】 高澄이 衡州刺史 蘭欽의 아들인 蘭京을 잡아서 주방의 노예로 삼았는데, 난경이 여러 차례 직접 하소연하자, 고징이 그에게 곤장을 치며 말하기를 “다시 하소연하면 마땅히 너를 죽이겠다.”라고 하니, 난경이 그의 무리 6명과 더불어 난을 일으키려고 모의하였다.
고징이 琅邪公主를 총애하여 공주와 왕래하는 데 틈이 나지 않기를 원하여 侍衛를 항상 밖으로 내보냈는데,注+① 間(틈)은 古莧의 切이다. 하루는 고징이 陳元康, 楊愔, 崔季舒와 함께 좌우에 있는 사람들을 물리치고 禪讓을 받는 일을 모의하였다.
난경이 음식을 올릴 적에 칼을 쟁반 아래에 숨겨 고징을 죽였는데, 진원강이 몸으로 고징을 가려서 보호하다가 상해를 입었다. 高洋이 그 소식을 듣고는 안색에 동요가 없이 들어가 여러 적들을 토벌하여 목을 베고 살을 저미고는 비밀에 부치고 고징의 죽음을 공표하지 않았다.
【目】 陳元康이 손수 쓴 편지로 어머니와 하직하고, 입으로 읊어주어 功曹參軍 祖珽에게 편지를 쓰도록 하여 〈국가에〉 편리하고 마땅한 사항을 기술하게 하고는 밤에 이르러 죽었다.
공신과 귀족들은 중무장한 군대가 모두 并州에 있다고 여겨 高洋에게 일찍 晉陽으로 가도록 권하니 고양이 그 말을 따랐고, 밤에 督護 唐邕을 불러서 將士들을 나누어 사방을 진정시켜 막도록 하였는데, 잠깐 사이에 그 일을 마쳤다.
東魏主(元善見)는 〈고징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좌우에 있는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대장군이 죽은 것은 하늘의 뜻인 듯하니, 위엄과 권력을 다시 황실로 되돌려야 할 것이오.”라고 하였다.
【目】 高洋이 高岳, 高隆之, 司馬子如, 楊愔을 남겨 鄴城을 지키도록 하고, 〈宮에〉 들어가 東魏主(元善見)를 알현할 적에 수행하는 병사가 8천 명이고 계단에 오른 사람이 200여명이었는데, 모두 소매를 걷어 올리고 칼을 뽑아 들어 마치 강한 적과 대치한 것처럼 하였다.注+① 扣는 叩와 통용하여 쓰니, 뽑다는 뜻이다.
〈고양이 조정의 의식을〉 주관하는 조정 관원을 시켜 奏章을 전달하게 하였는데, 그 奏章에 “臣은 집안일이 있으니 반드시 晉陽에 가야만 합니다.”라고 하고, 두 번 절을 올리고 나왔다.注+② ‘主者’는 조정의 의식을 주관하는 자이다.
東魏主가 얼굴빛이 변하여 눈으로 그를 전송하면서 말하기를 “이 사람은 또 상대를 포용하지 않을 듯하니, 朕이 언제 죽을지 모르겠구나.”라고 하였다.
진양에 있던 옛 신하와 오래된 장수들은 평소에 고양을 경시하였는데, 〈고양이〉 도착하여 문무 관리들을 크게 모을 적에는 神彩가 英明하고 발랄하며 言辭가 민첩하고 해박하니, 사람들이 모두 크게 놀랐다. 高澄의 政令 중에 불편했던 사항은 고양이 모두 개혁하였다.
고륭지와 사마자여 등이 度支尙書 崔暹을 미워하여 崔暹과 崔季舒가 지나치게 악하다고 상주하자, 〈고양이 명을 내려〉 200대를 채찍질하여 변방으로 유배 보냈다.注+③ 두 사람이 평소에 高澄과 친하고 신임을 받았기에 高隆之 등이 그들을 미워하였다.
【綱】 9월에 侯景이 吳興을 함락하자, 梁나라 太守 張嵊과 御史中丞 沈浚이 그에게 죽임을 당했다.
【目】 侯景이 侯子鑑을 시켜 吳興을 침략하도록 하였는데, 오흥의 병력은 적고 약하였으며, 張嵊은 書生이어서 군사의 일에 익숙하지 않으니, 어떤 사람이 장승에게 袁君正을 본받아 후자감을 맞이하여 항복하자고 권하였다.
장승이 탄식하며 말하기를 “袁氏는 대대로 충성과 정절을 이루었는데, 원군정이 하루아침에 무너뜨릴 줄은 생각지도 못했다.注+① 袁氏는 袁淑에서 袁顗, 袁粲, 袁昂에 이르기까지 모두 충성과 정절로 절개를 드러냈었다. 내가 어찌 오흥이 오래 보전되기 어려운 줄 모르겠는가. 다만 몸을 나라에 바치기로 허락하였으니, 죽음이 있을지언정 두 마음을 먹지 않을 뿐이다.”라고 하였다.
장승은 전투에 패배하여 府로 돌아와 복장을 단정히 하고 편안하게 앉아 있었는데, 후자감이 그를 잡아 建康으로 보냈다. 후경이 목숨을 살려주려고 하자, 장승이 말하기를 “나는 외람되이 吳興太守를 맡아 조정이 위태로운 상황에 빠졌는데 구제하여 회복하지 못하였으니, 빨리 죽는 것이 다행스러운 일이다.”라고 하였다.
후경이 여전히 그의 아들 한 명을 살려주려고 하자, 장승이 말하기를 “우리 가문은 이미 귀신의 명부에 올라 있으니, 너희 오랑캐에게 은혜를 바라지 않는다.”라고 하니, 후경이 진노하여 그들을 모두 죽이고, 沈浚도 함께 죽였다.注+② 錄은 명부이다. 魏 文帝(曹丕)의 〈與吳質書〉에 “그의 성명을 보니, 이미 귀신의 명부에 올라 있다.”라고 하였다.
【綱】 梁나라 岳陽王 蕭詧이 江陵을 공격하자 湘東王 蕭繹이 군대를 보내어 襄陽을 습격하였다. 소찰이 달아나 돌아가니 소역이 竟陵太守 王僧辯을 시켜 湘州를 공격하였다.
【目】 鮑泉이 湘州를 공격하자 河東王 蕭譽가 맞서 싸웠으나 패배하여 물러나 長沙를 보전하니, 포천이 그를 포위를 하였다.
岳陽王 蕭詧이 參軍 蔡大寳를 남겨두어 襄陽을 지키도록 하고 무리를 인솔하여 江陵을 정벌하여 상주를 구원하니, 湘東王 蕭繹이 크게 두려워하여 좌우에 있는 사람을 보내어 감옥으로 가서 王僧辯에게 계책을 묻도록 하였다.
왕승변이 책략을 갖추어 아뢰니, 소역이 마침내 그를 사면하여 城中都督으로 삼았다.
소찰이 강릉을 공격할 적에 마침 큰 비가 내려 평지의 수심이 4척이나 되어 소찰의 군대는 기세가 꺾였는데, 소역이 新興太守 杜崱과 친분이 있어 몰래 그를 맞아들이니,注+① 漢 獻帝 建安 12년(207)에 雲中郡, 定襄郡, 五原郡, 朔方郡 4郡을 줄이고 郡에 하나의 縣을 세워 합쳐서 新興郡을 만들어 并州에 소속시켰다. 晉나라가 江左에 내려왔을 때 荊州의 경계에 신흥군을 僑置하여 세워 定襄縣과 廣牧縣 등을 거느리게 하였다. ≪五代志≫에 “南郡 安興縣은 옛날에 광목현과 정양현을 두었는데, 唐나라 때에 안흥현을 줄여 江陵에 편입시켰다.”라고 하였다. 新興은 진실로 荊州의 관할이었으니, 어찌 蕭繹이 예전의 친분이 있다고 하여 몰래 杜崱을 맞아들일 필요가 있었겠는가. 두즉이 비록 新興太守의 직임을 맡고 있었으나, 실제로는 종군하여 襄陽에 있었던 것이다. 崱은 士力의 切이다. 두즉이 부하들을 이끌고 소역에게 항복하였다.
그의 형인 杜岸이 500명의 기병으로 양양을 기습할 것을 요청하여 城과 30리 떨어진 곳에 이르자 城中에서 비로소 알아챘다.
채대보가 소찰의 어머니를 모시고 성에 올라 막으며 싸웠는데, 소찰이 그 소식을 듣고 달아나 양양으로 돌아가니, 두안 역시 도주하였다.
【目】 蕭繹이 마침내 王僧辯을 시켜서 鮑泉을 대신하여 長沙를 공격하게 하였는데, 邵陵王 蕭綸이 소역에게 편지를 보내어 말하기를
“지금 社稷이 위태롭고 치욕을 당하여 상처가 크고 고통이 심하니, 〈원수를 갚기 위해〉 오직 심장을 가르고 쓸개를 맛보아 피눈물을 흘리며 창을 베고 잠을 자고, 그 나머지 작은 분노는 너그럽게 넘겨야 하네.注+① 創(상처가 나다)은 初良의 切이다. ≪禮記≫ 〈三年問〉에 “상처가 크면 날이 오래 걸리고, 아픔이 심하면 낫는 것이 더디다.”라고 하였다. ‘剖心’은 슬픔과 고통이 심하여 심장을 가르는 듯함을 말한 것이다. 春秋 때에 越王 句踐이 쓸개를 매달아놓고 핥고 밤에는 섶에 누워 자면서 吳나라에 복수하기를 바랐다고 하였다. ≪禮記≫ 〈檀弓〉에 “부모의 상을 치를 적에는 삼년 동안 피눈물을 흘렸다.”라고 하였다. 枕(베개를 베다)은 之任의 切이다. 晉나라 劉琨이 창을 베고 아침이 오기를 기다리면서 역적의 머리를 효시하려고 마음먹었다. 貰는 용서하다는 뜻이다.
만일 외부의 어려움을 제거하지 않고 집안의 재앙이 그로 인해 발생한다면 〈그러한 나라는〉 고금의 역사를 헤아려볼 때 망하지 않은 경우가 없네. 정벌과 전쟁의 이치는 오직 승리를 구하는 것이지만, 골육지친 사이의 전쟁은 승리할수록 더욱 혹독하여 병사들을 피로하게 하고 의리를 잃어 잘못되는 경우가 많네.
아우가 만일 洞庭을 함락하고서 무력을 거두어들이지 않는다면 雍州 지역이 〈자신들을 핍박할 것이라고〉 의심할 것이니, 어찌 스스로 편안할 수 있겠는가. 반드시 西魏의 군대를 끌어들여 지원해주기를 바랄 것이니, 아우가 만일 불안해지면 나라는 끝장이네.”라고 하였는데,注+② 湘州 지역은 洞庭湖로 에워싸져 있기 때문에 湘州를 洞庭이라고 말한 것이다. 雍州는 바로 襄陽이니, 梁나라에서 南雍州에 僑置하였다. 岳陽王 蕭詧이 鎭守하였다. 소역이 그의 말을 따르지 않았다.
소륜이 눈물을 흘리며 말하기를 “천하의 일이 한결같이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湘州가 만일 패배하면 나는 조만간 망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綱】 겨울 10월에 梁나라 豫章内史 莊鐵이 반란을 일으켜 江州를 습격하였다가 패배하여 달아났다.
【目】 애초에 莊鐵이 이미 侯景에게 항복하였다가 다시 반란을 일으켰는데, 尋陽王 蕭大心이 그를 豫章内史로 삼았다.
장철이 郡에 도착하여 곧바로 반란을 일으켜 觀寧侯 蕭永을 추대하여 주군으로 삼아 군사를 이끌고 尋陽을 습격하였는데,注+① 蕭永은 蕭範의 아우이다. 소대심이 장수 徐嗣徽를 보내어 맞서 싸우게 하여 그를 격파하였다. 장철은 말 한필로 南昌으로 돌아왔다.注+② 南昌은 漢나라의 옛 현으로, 豫章郡의 治所이다.
【綱】 11월에 梁나라 湘東王 蕭繹이 군대를 파견하여 襄陽을 공격하자, 岳陽王 蕭詧이 西魏에 지원군을 요청하였는데, 서위에서 開府 楊忠을 보내어 군대를 거느리고 구원하도록 하였다.
【目】 蕭詧이 使者를 보내어 西魏에 지원군을 요청하면서 서위의 이 되기를 청하였는데, 湘東王 蕭繹이 柳仲禮를 시켜서 竟陵을 鎭守하면서 소찰을 도모하도록 하니, 소찰이 두려워 자신의 妃인 王氏와 世子 蕭嶚를 보내어 西魏에서 인질로 삼게 하였다.注+① 嶚는 力么의 切이다.
宇文泰가 長江과 漢水를 경략하려고 楊忠을 都督三荆諸軍으로 삼아 穰城에서 鎭守하도록 하였는데, 유중례가 군대를 이끌고 襄陽으로 나아가자, 우문태가 양충과 僕射 長孫儉을 보내어 군대를 거느리고 유중례를 공격하여 소찰을 구원하도록 하였다.注+② 長孫儉은 長孫嵩의 5세손이다.
【綱】 12월에 侯景이 錢塘과 會稽를 함락하고, 梁나라 刺史 南郡王 蕭大連을 사로잡았다.
【目】 宋子仙이 錢塘을 함락하고 승리의 기세를 타고서 浙江을 건너 會稽에 이르니, 邵陵王 蕭綸이 鄱陽으로 달아났다. 당시 회계는 물산이 풍부하고 토지가 비옥하여 정예병이 수만 명이었고 양식과 병장기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다.
동부 지역 사람들이 侯景의 잔인함과 포학함을 두려워하여 모두 〈蕭大連을 위해〉 쓰이는 것을 즐거워했으나, 소대련은 아침저녁으로 술에 취하여 군대의 일을 걱정하지 않았고,注+① 蕭大連은 梁主의 아들이다. 司馬 留異는 흉악하고 교활하며 잔인하고 포학하여 무리들에게 걱정거리가 되었으나 소대련은 군대의 일을 모두 그에게 맡겼다.注+② 留異는 姓名이다.
송자선이 도착하자 소대련이 城을 버리고 달아나니, 유이는 무리를 이끌고 항복하여 송자선의 鄕導가 되어 소대련을 추격하여 붙잡아 건강으로 압송하였는데, 소대련은 여전히 취해서 알지 못하였다. 梁主(蕭綱)가 그 소식을 듣고는 소매로 가리고 울었다.
그리하여 三吳가 모두 후경에게 함락되자, 公侯 중에 회계에 있는 사람은 모두 남쪽으로 고개를 넘어 도망갔다. 후경은 유이를 東陽太守로 삼고, 그의 처자식을 잡아서 인질로 삼았다.
【綱】 梁나라 始興太守 陳霸先이 병력을 일으켜 侯景을 토벌하였다.
【目】 陳霸先이 郡에 있는 호걸들과 결속하여 侯景을 토벌하려고 하였는데, 郡의 사람인 侯安都와 張偲(장시) 등이 각각 무리 천여 명을 이끌고 귀부하였다.
진패선이 杜僧明을 보내어 2천 명을 거느리고 고개 위에 주둔하도록 하자,注+① 嶺은 大庾嶺이다. 廣州刺史 蕭勃이 사람을 보내 중지시켰다.
진패선이 말하기를 “京都가 전복되고 함락되어 主君은 욕을 당하고 신하는 죽었습니다. 君侯께서는 신분은 皇族이고 임무가 중대하기로는 인데도 달려가 구원하지 못하였으니, 저의 한 군대를 보내는 것이 오히려 중지하는 것보다 나은데, 마침내 다시 이를 멈추게 하십니까.”라고 하니,注+② 已는 중지한다는 뜻이다. ‘猶賢乎已’는 오히려 중지하여 군사를 보내지 않는 것보다는 낫다는 말이다.
마침내 使者를 보내어 샛길로 湘東王 蕭繹에게 가도록 하여 통제를 받았다.
이때 南康의 土豪 蔡路養이 군사를 일으켜 郡을 점거하자, 소발이 마침내 譚世遠을 曲江令으로 삼아 채노양과 서로 결합하여 함께 진패선을 막도록 하였다.注+③ 譚은 姓이다. 曲江縣은 漢나라 때에는 桂陽郡에 소속하였고, 吳나라 때에는 始興郡에 소속하였으며, 唐나라 때에는 韶州가 되었다.
【綱】 東魏가 梁나라의 司州를 취하였다.
【目】 이때에 東魏는 淮水 남쪽 지역을 모두 소유하였다.注+① 太清 2년(548)에 東魏가 辛術을 시켜서 長江과 淮水의 북쪽을 경략하게 하였는데, 이때에 이르러 淮水 남쪽 지역을 모두 소유하였다.


역주
역주1 梁中領軍朱异卒 : “梁나라에 재앙을 맞게 한 자는 朱异이다. 그런데 관직을 기록하고 ‘卒’이라고 기록한 것은 무엇인가. 〈梁主가〉 형벌을 그르침을 나무란 것이다.[禍梁者异也 書官書卒 何 譏失刑也]” ≪書法≫
역주2 梁以侯景爲大丞相……湘東王繹次于武城 : “이때에 侯景이 화평을 요구하였는데 어째서 기록하지 않고 ‘후경과 맹약을 맺었다.[與之盟]’라고 기록하였는가. 梁나라를 병통으로 여긴 것이다. 역적이 군사를 일으켜서 대궐을 침입하였는데도 그를 大丞相으로 삼고 게다가 후경과 맹약까지 했으니 위엄이 꺾인 것이 심하다. 지원군이 이미 진군을 멈추었으니, 역적이 어찌 맹약을 저버리지 않겠는가. ‘武城에 주둔하였다.[次武城]’라고 기록한 것은 무엇인가. 蕭繹을 죄준 것이다. 후경이 반란한 지 지금에 반년이 지났다. 소역 자신이 樊文皎를 보내고 곧이어 江陵에서 출발하도록 한 것이 지금 이미 4개월인데 비로소 武城에 이르렀고 또다시 군사를 멈추고 진격하지 않았으니 君父의 난리를 시급하게 여기지 않은 것이 심하다. 臺城이 함락되고 나서 마침내 각각 鎭으로 돌아갔으나 과연 어찌 편안하겠는가. ≪資治通鑑綱目≫에서는 앞에서 ‘군사를 파견하여 나아가 구원하게 하였다.[遣兵赴援]’라고 기록하고, 여기서 ‘무성에 주둔하였다[次于武城]’라고 기록하고, 뒤에서 ‘강릉으로 돌아갔다.[歸江陵]’라고 기록하였으니 크게 죄를 준 것이다.[於是景求和也 曷爲不書 書與之盟 病梁也 賊舉兵犯闕 而以爲大丞相 且與之盟 挫威甚矣 援軍旣止 賊不背盟乎 書次武城 何 罪繹也 景反至今 蓋半年矣 繹自遣文皎 尋發江陵 今旣四月 始至武城 而又頓兵不進 其不急君父之難甚矣 臺城旣陷 遂各歸鎭 果何安乎 綱目前書遣兵赴援 此書次于武城 後書歸江陵 深罪之也]” ≪書法≫
“예전 春秋時代에 宋나라는 약소국으로서 강대국 楚나라에게 포위를 당했는데 9월부터 다음해 5월까지 세 계절이 지나도록 오래되자 자식을 바꾸어서 잡아먹고 사람 뼈를 쪼개어 불 때어 위험과 피곤이 극도했다라고 말할 수 있었다. 그래도 城下之盟(성에서 내려가 맺는 항복 조약)에는 ”나라가 망하더라도 따를 수 없다.“라고 하고 〈초나라에게〉 30里를 물러가도록 하고 초나라와 和平하였다. 지금 侯景은 나그네 신세이자 도망한 신하로서 烏合之衆을 몰아와서 梁나라 사람들의 무방비를 틈타서는 臺城을 습격하고 공격해 포위한지 몇 개월 만에 梁나라의 지원군이 사방에서 모여들었다. 비록 역적을 평정하지는 못했으나 그래도 宋나라의 위급한 것만큼은 못 되었는데 어찌하여 역적 후경이 화평을 요구하는 것에 황급히 그와 맹약을 맺었는가. 어찌 신하가 군사를 일으켜 대궐로 향했는데 임금이 그와 화평을 하는 일이 있을 수 있다는 말인가. 分注(目)를 살펴보면 王偉가 후경을 위하여 계책하면서 청하기를 거짓으로 화친을 요구하자고 하자, 梁主가 진노하여 허락하지 않았고 이윽고 太子가 굳게 청하자 〈梁主가〉 마침내 허락한다고 알렸다. 이때에 梁나라의 皇子들은 서로 낮추지를 않았고 태자는 諸王들이 공을 세울까 우려하였다. 그러므로 역적의 요청을 따라서 그 계책 속에 빠져들었다. ≪資治通鑑綱目≫은 여기에서 ‘후경이 화평을 요구했다.[侯景乞和]’라고 기록하지 않고 ‘양나라가 후경과 맹약을 맺고 지원군의 진군을 멈추도록 칙령을 내렸다.[梁與之盟 敕止援軍]’라고 기록하여, 마치 양나라 사람들이 스스로 후경과 맹약을 맺고 스스로 지원군의 진군을 멈추도록 한 것처럼 하였으니, 전적으로 양나라 사람들이 大義를 알지 못하고 몸을 맡겨 역적을 따라 그 愚弄하는 도모를 들어준 것에 죄를 준 것이다. 宋나라가 城下之盟을 굽혀 따르려 하지 않은 것과 견주면 진실로 奴僕만도 못함이 되는 것이다. 그런데 蕭繹은 이보다 앞서서 ‘군사를 파견하여 나아가 구원하게 하였다.[遣兵赴援]’라고 기록하였는데 지금에 이르러 이미 7개월이 지났는데도 ‘武城에 주둔하였다.[次于武城]’라고 기록하였다. 무성은 郢 지역이니 臺城과의 거리가 몇 里일 뿐이니 또다시 소역이 앉아서 君父를 지켜보면서 구원하지 않은 뜻을 알 수 있다. 梁主는 안으로 蕭綱과 같은 아들이 있고 밖으로 蕭繹과 같은 아들이 있으니 망하지 않으려 하나 가능하였겠는가.[昔春秋時 宋以弱小之國 被圍於强大之楚 自九月至于次年五月 經歷三時之久 易子而食 析骸而㸑 可謂危困之極矣 然而城下之盟 則曰有以國斃 不能從也 去三十里而與之平 今侯景以覊旅奔走之臣 驅率烏合之衆 乘梁人之無備 奄至臺城 攻圍數月 梁人援軍四合 縱未能平賊 猶未若宋人之危急也 胡爲賊景求和 遽與之盟 豈有人臣舉兵向闕 人主可與之和者哉 考之分注 王偉爲景設謀 請偽求和 梁主怒而不許 旣而太子固請 遂報許之 蓋是時梁之諸子 互不相下 太子惟恐諸王有功 是以狥賊所請 墮其計中 綱目於此 不曰侯景乞和 而曰梁與之盟 敕止援軍 若梁人自與之盟 自止援軍然者 所以專罪梁人不知大義 委身從賊 聽其愚弄之謀 其視宋人不肯俯從城下之盟者 眞輿臺之不若也 若夫蕭繹前此書遣兵赴援 至是已七閲月 方書次于武城 武城 郢之地耳 其去臺城凡幾里 又可以見繹坐視君父不救之意矣 梁主内有子如綱 外有子如繹 雖欲不亡 得乎]” ≪發明≫
역주3 鳳凰이 와서 춤을 추고 : 吉祥의 조짐이나 태평성대를 의미한다. 舜임금 때 樂官인 夔가 “笙과 鏞을 번갈아 울리자 새와 짐승들이 너울너울 춤을 추고, 簫韶를 아홉 번 연주하자 봉황이 와서 춤을 추었습니다.[笙鏞以間 鳥獸蹌蹌 簫韶九成 鳳凰來儀]”라고 하였는데, 여기에서 온 말이다.(≪書經≫ 〈虞書 益稷〉)
역주4 鳥獸가……순종하여 : 성스러운 왕의 德化가 동물에까지 미쳤음을 뜻한다. 伊尹이 太甲을 훈계하면서 “옛날 夏나라의 先王들이 그 덕을 펴는 데 힘썼기에 天災가 없었고, 산천의 귀신들이 편안치 않음이 없었으며, 鳥獸와 魚鼈이 모두 순하였다.[古有夏先后, 方懋厥德, 罔有天災, 山川鬼神亦莫不寧, 曁鳥獸魚鼈咸若.]”라고 하였다.(≪書經≫ 〈商書 伊訓〉)
역주5 侯景陷梁臺城……景廢蕭正德以爲大司馬 : “‘배반하여 항복하였다.[叛降何]’라고 기록한 것은 무엇인가. 힘이 굽혀서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때에 柳仲禮 및 羊鴉仁ㆍ王僧辯ㆍ趙伯超가 함께 군영을 열어 항복하였는데, 어째서 유중례를 첫째로 죄책하였는가. 大都督이기 때문이다. 대도독부터 또한 항복하였으니, 나머지는 무엇을 꾸짖겠는가. 그러므로 차등을 둔 것이다.[書叛降何 非力屈也 於是仲禮及羊鴉仁王僧辯趙伯超竝開營降 曷爲首罪仲禮 大都督也 自大都督且降矣 餘何責焉 故等之]” ≪書法≫
역주6 石虎 : 後趙의 제3대 임금인 武帝의 성명이다. 자는 季龍이며 石勒의 從子인데, 용맹이 당대의 으뜸이라는 평을 받았으나, 성품이 매우 잔인하였다. 석륵이 죽자 석륵의 아들 石弘을 폐위하고 자신이 즉위하여 後趙의 왕이 되었다. 후조는 석호가 죽고 몇 년 뒤에 망하였다.(≪晉書≫ 권106 〈石季龍載記 上〉)
역주7 冒頓(묵특) : 匈奴 頭曼單于의 아들로 그 아버지를 시해하고 자립했던 인물이다.
역주8 (綱)[銅] : 저본에는 ‘綱’으로 되어 있으나, ≪三國志≫ 〈吳志 劉繇列傳〉에 의거하여 ‘銅’으로 바로잡았다.
역주9 줄줄……있겠는가 : ≪詩經≫ 〈王風 中谷有蓷〉의 가사이다.
역주10 梁東徐北靑州……梁靑州及山陽郡 : “자기의 소유를 소유하는 자는 창성하고 남의 소유를 탐내는 자는 망하는데 梁主는 반역한 신하를 불러들였으니 뜻이 그의 土地를 이롭게 여기는 데에 있었다. 그러나 한 자 한 치의 땅도 얻은 것이 없이 국가가 망하고 영토가 도리어 역적의 소유가 되었다. ≪資治通鑑綱目≫에서는 梁나라 州郡들이 배반하여 東魏에 항복하고 동위가 양나라의 州郡을 취하였다고 기록하여 말이 번잡하면서 줄이지 않았으니, 뒤에 남의 토지를 탐내는 자들이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有其有者昌 貪人有者亡 梁主招納叛臣 意在利其土地 然曾無尺寸之得 而家國喪亡 境土反爲敵有 綱目書梁州郡叛降東魏 及東魏取梁州郡 詞繁而不殺 後之貪人土地者 可以觀矣]” ≪發明≫
역주11 梁湘東王繹歸江陵 殺桂陽王慥 : “이때 臺城이 이미 파괴되었고 梁主는 역적의 손에 빠졌다. 이는 바로 臣子들이 마음에 애통해하고 머리를 아파하며 〈원수와〉 함께 살지 않겠다고 맹세할 날이다. 蕭繹은 이에 앞서 지원에 나서는 데에 늦어서 죄가 이미 이루 다 주벌할 수 없을 지경인데 지금 이미 후회막급의 지경이 되었을 때 그래도 힘을 다해 목숨을 바쳐 이전의 치욕을 조금이라도 씻기를 기대해야 하였다. 그러나 조용히 자기의 鎭守 지역으로 돌아가 조금도 君父를 애달파하는 마음이 없었으니 이것이 무슨 도리인가. ≪資治通鑑綱目≫은 위에서 ‘侯景이 臺城을 함락했다.[景陷臺城]’라고 기록하고, 여기서는 ‘蕭繹이 江陵으로 돌아갔다.[繹歸江陵]’라고 기록하였으니 그 악행은 貶下를 기다릴 것도 없이 절로 드러나는 것이다.[是時臺城旣破 梁主淪没賊手 此正臣子痛心疾首 誓不俱生之日 蕭繹前此緩於赴援 罪已不可勝誅 今旣噬臍無及 猶當竭力致死 庶幾少雪前恥 而乃從容還鎭 略無惻怛君父之心 此何理哉 綱目上書景陷臺城 此書繹歸江陵 其惡不待貶絶而自見矣]” ≪發明≫
역주12 梁吳郡太守袁君正 以郡叛附侯景 : “이에 앞서 侯景이 〈梁 武帝의〉 勅令을 가지고 南康王 蕭會理를 불러오게 하였으나, 소회리는 성격이 겁쟁이여서 곧장 廣陵을 董紹先에게 주었는데, ≪資治通鑑綱目≫에서는 ‘함락했다[陷]’라고 기록했을 뿐이다. 이에 후경이 군사 수백 명을 보내 吳郡을 경략하였는데 袁君正은 평소 겁쟁이여서 마침내 교외에서 于子悅을 영접하였거늘 다만 ‘배반하였다[叛]’라고 기록한 것은 무엇인가. 소회리는 칙령을 듣고서 갔고 원군정은 교외에 나가서 역적을 영접하였으니 ≪자치통감강목≫에서 일의 경중을 판단한 것이 세심하다. 그러므로 소회리를 기록하지 않았으나 원군정을 指斥하여 쓴 것이다.[先是景使齎敕召南康王會理 會理性懦 卽以廣陵授之 綱目書陷而已 於是景遣兵數百略吳郡 君正素怯 遂郊迎之 則獨書叛 何 會理聞敕而行 君正出郊迎賊 綱目之權衡審矣 故不書會理而斥君正]” ≪書法≫
역주13 梁主衍殂 太子綱立 : “賀善의 贊에 말하였다. ‘梁 武帝가 나라를 얻은 초기에 ≪資治通鑑綱目≫에서는 贖刑法 조항을 세운 것과 吉翂의 죽음을 구원한 것을 기록하였으니 천성이 厚德한 데 가까웠기 때문이다. 양 무제의 훌륭한 정치는 역시 많이 있는데, 人士를 초빙하여 좋은 말을 구하였고 經書를 존중하며 학문을 일으켰고 禮樂制度를 기록한 것이 서로 책에 이어질 정도로 많았다. 그러므로 漢나라 永平(明帝 연호) 이래로부터 풍년을 기록한 것이 없었는데 여기에서 다시 기록하였다. 다만 인자하고 온화한 데에 지나쳐서 國家의 法을 폐기하였고 異教(불교)에 빠져서 宗廟의 禮를 각박하게 하였고 일개 城을 취하는 데 뜻을 두어서 수십만 명의 생명을 경시하였다. 그러므로 「죄가 있어 면직되었다.[有罪免]」라고 두 번 기록하였고, 「捨身하였다.[捨身]」라고 세 번 기록하였고, 「塔을 만들었다.[作塔]」라고 두 번 기록하였고, 「淮水에 堰[둑]을 쌓았다.[淮堰]」라고 네 번 기록하였고, 「泗水에 堰을 쌓았다.[泗堰]」라고 한 번 기록하였으니, ≪資治通鑑綱目≫에서는 매번 이것들을 매우 병통으로 여긴 것이다. 말년에 이르러 반역자를 경솔하게 받아들여 마침내 죽음을 잘 맺지 못했으니 슬프다.’[賀善贊曰 武帝得國之初 綱目首書立贖刑條 救吉翂死 蓋天資近厚故也 其善政亦多有之 徵士求言 尊經興學 禮樂制度 相望于冊 是以自漢永平以來 大有年未有書者 於是復書 獨其過於慈柔 而廢國家之法 溺於異教 而薄宗廟之禮 志取一城 而輕數十萬人之命 故再書有罪免 三書捨身 再書作塔 四書淮堰 一書泗堰 綱目每深病之 迨夫末年 輕納叛人 遂不克終 悲哉]” ≪書法≫
역주14 東魏大將軍澄……魏師還 : “‘그것으로 歸附하였다.[以歸]’라고 기록한 것은 무엇인가. 나무란 것이다. ‘잡혀서 귀부하였다.[執以歸]’는 힘주어 한 말이고, ‘그것으로 귀부하였다.[以歸]’는 느슨히 한 말이다. 王思政은 여기에서 절개 있는 인사가 못 되었으니 애석하다.[書以歸 何 譏也 執以歸 力辭也 以歸 緩辭也 思政於是不得爲節士矣 惜哉]” ≪書法≫
역주15 侯景殺蕭正德 : “蕭正德은 侯景과 함께 같이 배반한 자이다. 후경이 자신을 속였던 것을 원망하자 후경이 그를 죽였는데 誅戮으로 기록한 것은 무엇인가. 소정덕은 자식으로서 효도하지 못했고 신하로서 충성하지 못했으니 天地 사이의 罪人이므로 사람마다 주륙할 수 있다. 요행이도 典刑에 正法으로 죽지 않고 같은 악행자에게 죽음을 당했다. 죽인 사람이 비록 그릇된 자이지만 그가 죽인 대상이 죄가 있는 자이다. 誅戮으로 기록하였으니 萬世에 경계를 내린 것이다.[蕭正德與景同反者也 怨景賣己 景殺之 而以誅書 何 正德爲子則不孝 爲臣則不忠 乃天地間罪人也 人人得而誅之 幸而不正於典刑 而爲同惡者所殺 殺之之人雖非 而其所殺者 則有罪者也 以誅書之 埀戒萬世]” ≪書法≫
“蕭正德은 주륙을 당했는데 ‘죽였다[殺]’라고 기록한 것은 侯景이 주륙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때 소정덕은 이미 다시 大司馬가 되었고 또 일찍이 성이 함락되던 날에 梁 武帝를 울면서 뵙고는 서로 수고를 위로하여 父子 사이가 처음과 같았다. 그러나 ≪資治通鑑綱目≫에서 또한 梁나라에 연계시키지 않은 것은 아버지를 저버리며 임금을 배반한 역적이어서 의리상 다시 臣子가 될 수 없으므로 그를 양나라에서 단절시킨 것이다.[正德當誅而書殺者 景不得而誅之也 是時正德旣已復爲大司馬 又嘗泣見梁武於城陷之日 與相勞苦 父子如初 然而綱目亦不繫之梁者 背父叛君之賊 義不得復爲臣子 故絶之於梁也]” ≪發明≫
역주16 梁永安侯確謀討侯景 不克而死 : “侯景의 변란에 梁 武帝의 자손 중에서 난리에 나아가 부끄러움이 없는 이는 永安侯 한 사람일 뿐이다.[侯景之變 武帝子孫 臨難無愧者 永安侯一人而已]” ≪書法≫
“梁主의 자손 중에 나라를 저버린 자가 많았으나 의리를 따라서 죽은 이는 겨우 永安侯 蕭確뿐이므로 특별히 인정한 것이다.[梁主子孫 負國者多矣 狥義而死 僅有確爾 故特予之]” ≪發明≫
역주17 梁合州刺史鄱陽王範以州附于東魏以乞師 : “이때에 東魏는 군사를 과연 출동하지 않았는데 ‘군사를 요청하였다[乞師]’라고 기록한 것은 무엇인가. 그 뜻을 아름다워한 것이다. ≪資治通鑑綱目≫은 權道를 인정하였으므로 蕭範을 ‘항복했다[降]’라고 기록하지 않고 ‘歸附하였다[附]’라고 기록하였다.[於是東魏師不果出 書乞師 何 嘉其志也 綱目予權 故範不書降 書附]” ≪書法≫
역주18 侯景陷吳興 梁太守張嵊御史中丞沈浚死之 : “侯景의 변란에 ‘죽음으로 절개를 지켰다.[以死節]’라고 기록된 사람은 韋粲ㆍ張嵊ㆍ沈浚 세 사람이다.[侯景之變 以死節書者 韋粲張嵊沈浚三人]” ≪書法≫
“역적에게 항거한 이는 반드시 죽었으나 역적에게 항복한 이가 반드시 산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만일 먼저 죽거나 사는 것을 마음에 두었다면 의리를 행하는 것이 이미 돈독하지 못하게 된다. 張嵊은 죽음에 대처하는 데에 밝게 하여 마침내 한 집안이 忠義의 귀신이 되게 하였으니 그를 袁君正의 무리와 견주어 보면 원군정의 무리는 진정 개ㆍ돼지만도 못한 것이다. ≪資治通鑑綱目≫에서는 앞에서 원군정이 배반해 侯景에게 귀부한 것을 기록하고, 뒤에서 張嵊ㆍ沈浚이 절개에 죽을 것을 기록하였으니 명성과 의리를 지키는 선비들은 반드시 가릴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拒賊者必死 降賊者未必生 然苟先以生死爲念 則爲義已不篤矣 張嵊明於處死 遂使一門爲忠義之鬼 其視袁君正之徒 彼眞狗彘之不若也 綱目書君正叛附侯景於前 書張嵊沈浚死節於後 名義之士 必當知所擇矣]” ≪發明≫
역주19 張嵊은……만하다 : 생명을 버리고 의리를 취했다는 말이다. ≪孟子≫ 〈告子 上〉에 “고기도 먹고 싶고 곰 발바닥도 먹고 싶지만 모두 먹을 수 없다면 고기를 버리고 곰 발바닥을 취할 것이며, 생명도 보전하고 싶고 의리도 취하고 싶지만 두 가지를 겸할 수 없을 경우 생명을 버리고 의리를 취하겠다.[魚我所欲也, 熊掌亦我所欲也, 二者不可得兼, 舍魚而取熊掌者也. 生亦我所欲也, 義亦我所欲也, 二者不可得兼, 舍生而取義者也.]”라고 한 말에 의거한 것이다.
역주20 梁岳陽王詧攻江陵……攻湘州 : “梁나라가 어지러워 망한 것은 子弟들이 서로 공격하여 종묘사직이 쓰러지고 君父가 陷沒되는 것을 돌아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蕭詧이 江陵을 공격하자 蕭繹이 襄陽을 습격하면서 조금도 부끄러워하는 마음이 없었다. 邵陵王(蕭綸)의 편지를 보면 반복하여 일깨운 것이 말의 뜻 또한 매우 명백하고 절실하다. 그러나 소릉왕도 어찌 자기에게 결점이 없은 뒤에 남을 비난하는 자이겠는가. ≪資治通鑑綱目≫에서는 책에 상세하게 기록하였으니 폄하한 뜻이 크다. 아마도 소역의 무리들을 잡아다가 시장에 시체를 모두 늘어놓는다면 공손하지 않고 우애하지 않고 효도하지 않고 공경하지 않고 충성하지 않고 의롭지 않은 자의 경계로 삼을 수 있었을 것이다.[梁氏亂亡 其子弟互相攻擊 曾不顧宗社之傾覆 君父之陷沒 故詧攻江陵 而繹襲襄陽 略無愧恥之心 觀邵陵之書 所以反覆開諭者 詞旨亦甚明切 然邵陵亦豈無諸己 而後非諸人者哉 綱目詳書于冊 其貶絶之意深矣 安得取繹輩盡尸諸市 以爲不恭不友不孝不悌不忠不義者之戒乎]” ≪發明≫
역주21 (臣)[巨] : 저본에는 ‘臣’으로 되어 있으나, ≪資治通鑑≫에 의거하여 ‘巨’로 바로잡았다. 아래도 같다.
역주22 (川)[州] : 저본에는 ‘川’으로 되어 있으나, ≪資治通鑑≫에 의거하여 ‘州’로 바로잡았다. 아래도 같다.
역주23 附庸國 : 큰 나라에 딸려서 그 지배를 받는 작은 나라를 말한다.
역주24 梁始興太守陳霸先 起兵討侯景 : “侯景의 변란에 梁나라의 臣子 중에서 역적을 토벌하는 의리를 다하여 시종 부끄러움이 없는 이는 陳霸先 한 사람일 뿐이다.[侯景之變 梁之臣子 能盡討賊之義 終始無愧者 霸先一人而已矣]” ≪書法≫
역주25 方岳 : 사방의 네 산으로, 東岳인 泰山, 南岳인 衡山, 西岳인 華山, 北岳인 恒山을 말하는데, 사방의 諸侯를 통괄하는 사람 혹은 관찰사를 뜻한다.

자치통감강목(20) 책은 2022.11.04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