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資治通鑑綱目(18)

자치통감강목(18)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자치통감강목(18)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起丙午宋明帝泰始二年 魏獻文帝天安元年 盡癸亥齊武帝永明元年 魏孝文帝 泰和七年이니 凡十八年이라
宋泰始二年이요 魏顯祖獻文帝弘天安元年이라
中外戒嚴하고 以建安王休仁都督征討諸軍事하고 江州刺史王玄謨副之하고 以沈攸之爲尋陽太守하여 將兵屯虎檻注+虎檻, 洲名, 在赭圻東北江中, 蕪湖之西南也.하니
玄謨前鋒十軍繼至하여 每夜 各立姓號하여 不相稟受어늘
攸之 謂諸將曰 今衆軍姓號不同하니 若有耕夫漁父 夜相呵叱이면 便致駭亂이니 取敗之道也 請就一軍取號라한대 衆咸從之하다
鄧琬 詐稱受路太后璽書하고 帥將佐하여 上尊號於子勛한대 子勛 遂即位하고 改元義嘉라하고
以琬及袁顗爲僕射하고 張悅爲尙書하니 徐州刺史薛安都 冀州刺史崔道固 靑州刺史沈文秀 義陽内史龎孟虯 吳郡太守顧琛 吳興太守王曇生 義興太守劉延熙 晉陵太守袁標 皆擧兵應之注+置司州於義陽, 以義陽內史龐孟虯爲司州刺史.하니
宋主以庾業代延熙한대하여 反與之合하고 使孔璪慰勞會稽한대 璪 至하여 反説使附尋陽注+宋主召尋陽王長史行會稽郡事孔覬爲太子詹事, 又遣都水使者孔璪入東慰勞. 璪說覬以 “建康虛弱, 不如擁五郡以應袁․鄧.” 覬遂發兵, 馳檄奉尋陽.하고
益州刺史蕭惠開 亦謂將佐曰 湘東 太祖之昭 晉安 世祖之穆이니 其於當璧 竝無不可注+左傳昭十三年 “楚共王無冢適, 有寵子五人, 無適立焉. 乃大有事于群望而祈曰 ‘請神擇於五人者, 使主社稷.’ 乃徧以璧見於群望曰 ‘當璧而拜者, 神所立也.’ 乃與巴姬密埋璧於太室之庭, 使五人齋, 而長入拜, 康王跨之, 靈王肘加焉, 子干․子皙皆遠之, 平王弱, 抱而入, 再拜, 皆厭, 其後卒有楚國.” 厭, 於甲切.로되 但景和 本世祖之嗣 不任社稷이나 其次猶多
吾荷世祖之眷하니 當奉九江注+子業改元景和. 自宋來, 率謂江州爲九江. 子勛先爲江州刺史, 故稱九江.이라하고 乃遣巴郡太守費欣壽하여 將五千人東下하니
於是 湘州行事何慧文 廣州刺史袁曇遠 梁州刺史柳元怙 山陽太守程天祚 皆附於子勛注+元怙, 元景之從兄也.하다
四方貢計皆歸尋陽하니 朝廷所保 唯丹楊淮南數郡이요 而東兵 又已至永世하니 宮省危懼注+貢, 謂貢方物. 計, 謂上計帳. 吳分陽爲永平縣, 晉武帝太康元年更名永世縣, 屬丹楊郡.
宋主 謀於群臣한대 蔡興宗曰 今普天同叛하여 人有異志하니 宜鎭之以靜하고 至信待人이라 叛者親戚 布在宮省하니 若繩之以法하면 則土崩立至
宜明罪不相及之義注+父子兄弟, 罪不相及, 古義也. 物情 既定이면 人有戰心이요 六軍精勇하고 器甲犀利하니 以待不習之兵이면 其勢相萬矣 願陛下勿憂注+犀, 堅也.하소서
建武司馬劉順 說豫州刺史殷琰하여 使應尋陽하니 初以家在建康으로 未許러니 後不得已而從之하니
宋主 復謂興宗曰 諸處未平 殷琰已復同逆하니 爲之奈何
興宗曰 逆之與順 臣無以辨이나 然今商旅斷絶而米甚豐賤하고 四方雲合而人情更安하니 以此卜之 淸蕩 可必注+湘東纂位, 非其本心, 尋陽起兵, 名正言順, 故曰 “逆之與順, 臣無以辨.” 商旅斷絶米甚豐賤者, 前朝之積也, 四方雲合人情更安者, 積苦於狂暴而驟樂寬政也.이라 但臣之所憂 更在事後 猶羊公之言耳注+晉伐吳, 時羊祜寢疾. 晉武欲使祜卧護諸将, 祜曰 “取吳不必須臣自行, 但旣平吳後, 當勞聖慮耳.”
宋主知琰附尋陽非本意하고 乃厚撫其家以招之하고 使垣榮祖 說薛安都注+諸垣自略陽歸南, 世在靑․徐立效, 爲土人所信重, 故使還說安都. 榮祖, 護之之從子也.한대
安都曰 我不欲負孝武로라 榮祖曰 孝武之行 足致餘殃注+不善之積, 必有餘殃. 孝武貪淫, 濟以奢虐, 人倫道盡, 故榮祖云然.이라 今雖天下雷同이나 正速死耳注+雷之發聲, 物無不隨時而應者, 故以響應爲雷同.니라 安都不從하고 因留榮祖使爲將하다
宋主遣兗州刺史殷孝祖之甥葛僧韶하여 說孝祖入朝한대 孝祖委妻子於瑕丘하고 帥文武二千人하여 即日還建康注+瑕丘縣, 故魯瑕邑, 漢屬山陽郡, 魏晉省, 宋爲兗州治所.하니
内外憂危하여 咸欲奔散이러니 孝祖忽至하니 所領皆傖楚壮士 人情大安注+江南謂中原人爲傖, 荊州人爲楚.하니 乃假孝祖節하여 督前鋒하여 遣向虎檻하다
宋主遣畢衆敬하여 詣兗州募人이러니 至是하여 薛安都以衆敬行兗州事하여 使殺孝祖諸子하니 州境皆附之호되 唯東平太守申纂據無鹽不從注+纂, 鍾之曾孫也.하다
宋分兵討豫州會稽하다
宋主親總兵하여 出頓中堂하고 以山陽王休祐 爲豫州刺史하여 督劉勔呂安國等軍하여 討殷琰注+勔, 彌兗切.하고 巴陵王休若으로 督沈懐明張永蕭道成等軍하여 討孔顗하니
將士多東方人이라 父兄子弟 多已附覬하니 宋主因送軍諭之曰 朕 方務德簡刑하여 使父子兄弟 罪不相及하니 卿等 當深逹此懐하여 勿以親戚爲慮也하라 於是大悅이러니
凡叛人親黨在建康者 居職如故하다
太后延宋主하여 置酒進毒하니 宋主知之하고 即以其巵上壽하니 是日 太后殂하다
二月 宋臺軍克義興하다
孔顗遣其將하여 軍晉陵한대 部陳甚盛注+軍, 謂屯守也.하니 沈懐明等 不敢進이라 咸勸巴陵王休若하여 退保破岡注+破岡, 在曲阿界, 秦始皇所鑿也.한대 休若宣令호되 敢言退者호리라 衆乃小定하다
殿中御史吳喜 請於宋主하여 願得精兵三百하여 致死於東한대 宋主 簡羽林勇士配之하니 議者 以喜刀筆主者 未嘗爲將하니 不可遣이라하다
中書舍人巢尙之曰 喜昔随沈慶之하여 屢經軍旅하여 勇决習戰하니 若能任之 必有成績하리라 乃遣之하니
喜性寛厚 數使東吳 人竝懐之注+通鑑 “所至人竝懷之.”러니 及聞其來하고 皆望風降散하니
至國山하여 遇東軍하여 擊破之하여 斬其將注+國山在陽羨縣界. 晉立義興郡, 分陽羨置國山縣屬焉.하고 進逼義興하니 劉延熙栅斷長橋하고 保郡自守어늘 喜築圍與相持注+胡三省曰 “義興, 今常州之宜興也. 我朝太平興國元年, 避太宗御名, 改爲宜興. 此長橋蓋在荊溪之上. 今宜興縣南二十步有荊溪, 上承百瀆, 兼受數郡之水. 劉延熙蓋柵斷荊溪之橋以自保. 輿地志曰 ‘今常州宜興縣南三十步有長橋, 卽周處斬蛟之所.’”하니
庾業 於長塘 築城하여 與延熙相應이러니 會宋主復遣督護任農夫至注+句.하여 業城未合 攻破走之하고 收其船仗하여
向義興助喜하여 攻郡克之하니 諸壘皆潰 延熙赴水死하다
魏丞相太原王乙渾謀反伏誅하고 太后稱制하다
渾専權多殺하니 侍中拓跋丕告其謀反한대 馮太后收渾誅之注+丕, 翳槐之玄孫也.하고 遂臨朝稱制하고 引中書令髙允 侍郎髙閭 將軍賈秀하여 共參大政하다
宋臺軍克晉陵呉興呉郡하다
沈懐明等 與東軍으로 相持 久不决이러니 會宋主遣將軍江方興 御史王道隆하여 至晉陵하니 東軍五城相連이나 城猶未固
道隆 謂諸將曰 此城未固하니 可以藉手하여 上副聖旨하고 下成衆氣라하고 乃帥所領하여 急攻拔之하여 斬其將하고 乗勝進擊하니 東軍敗走 遂克晉陵하다
孔璪 時屯吳興南亭이러니 與王曇生顧琛으로 皆棄郡奔會稽하니 宋主以四郡既平注+四郡, 晉陵․義興․吳興․吳郡也.이라하여 乃留喜使統諸將하여 擊會稽하고 召張永擊彭城하고 江方興擊尋陽하다
宋以蔡興宗爲僕射하고 褚淵爲吏部尙書하다
◑宋臺軍克會稽하다
吳喜任農夫等引兵向會稽하여 破其兵하고 取西陵하여 斬庾業하고 上虞令王晏 起兵攻郡하니 孔顗出走어늘
車騎從事中郎張綏 封府庫以待喜注+句.러니 晏入城하여 殺綏하고 執尋陽王子房하고 縱兵大掠하여 獲孔璪及顗하여 殺璪하고
謂顗曰 此事孔璪所爲 無預卿事 可作首辭 當爲申上注+首辭, 所以首罪. 爲, 去聲. 上, 時掌切.하리라하니 顗曰 江東處分 莫不由身하니 委罪求活 便是君輩行意耳라한대 乃竝斬之注+行, 胡郞切. 君輩行, 指晏等也.하다
顧琛等 詣喜歸罪어늘 喜皆宥之注+歸罪, 自歸而請罪也.하고 送子房建康하여 貶松滋侯하다
鄧琬 鄙闇貪吝하여 賣官鬻爵하고 販賣飲博하여 日夜不休하니 群小横恣하여 競爲威福하니 於是 士民忿怨하여 中外離心이러라
遣孫沖之하여 帥薛常寳等萬人爲前鋒하여 據赭圻하니 沖之啓子勛曰 舟楫已辦하고 器械亦整하니 便欲沿流하여 直取白下하노니
願速遣衆軍하여 兼行相接注+白下, 在江寧縣界臨江津.하소서 子勛 乃以陶亮으로 統五州兵合二萬人하여 俱下注+五州, 郢․荊․湘․梁․雍也.하니 亮不敢進하여 屯軍鵲洲注+鵲頭, 在宣城界. 鵲尾, 在廬江界. 鵲洲則江中之洲也.러라
殷孝祖 負其誠節하여 陵轢諸將하고 臺軍有親屬在南者 悉欲推治하니 由是 人情乖離注+誠節, 謂委鎭勤王, 不顧妻子也. 南, 南軍也. 南, 謂尋陽在南, 臺軍泝江南上而攻之. 沈攸之 内撫將士하고 外諧群帥하니 衆竝頼之러라
孝祖毎戰 常以鼓蓋自随하니 軍中相謂호되 殷統軍 可謂死將矣로다 與賊交鋒而自標若此하니 若以十人射之 欲不斃라도 得乎注+標之言, 表也, 記也. 通鑑 “以羽儀自標顯.”
及攻赭圻 孝祖 果中流矢而死하니 人情震駭하여 竝謂攸之當代爲統督이러라
休仁遣江方興等赴赭圻하니 攸之以爲孝祖旣死하니 明日不攻이면 則示之以弱이라 方興 名位相亞하여 必不爲己下 軍政不一 致敗之由也注+攸之․方興皆寧朔將軍, 故言名位相亞. 亞, 次也.라하고
乃帥諸軍主하여 詣方興曰 事之濟否 唯在明一戰하니 不捷則大事去矣 諸人 或謂吾應爲統이나 自卜하여 幹略 不如卿이라 今輒相推하니 但當相與戮力耳
方興甚悅하여 許諾하니 諸軍主或尤攸之한대 攸之曰 吾本欲共濟艱難하여 以安國活家 豈計名位之升降而自措同異哉리오
明日 方興 帥諸軍進戰하여 大破南軍하고 拔湖白二城注+沖之於湖․白口築二城. 湖․白口, 謂巢湖口及白水口也.한대 詔以攸之 督前鋒하니 陶亮大懼하여 召沖之還鵲尾하고 留薛常寳守赭圻하다
軍旅大起하여 國用不足하니 募民上錢榖하고 補官有差호되 軍中食少 建安王休仁撫循將士하여 均其豐儉하고 弔死問傷하여 身親隱恤이라 故十萬之衆 莫有離心注+隱, 度也, 痛也. 恤, 憂也, 愍也.이러라
鄧琬 遣劉胡帥衆十餘萬하여 屯鵲尾하니 宿將이라 勇健多權略하여 屢有戰功하니 將士畏之러라
參軍蔡那子弟在襄陽하니 胡毎戰 懸之城外호되 那 進戰不顧注+胡自襄陽東下, 拘那子弟以隨軍.하고 吳喜 亦帥所領五千人하고 竝運資實하여 至于赭圻하다
宋斷新錢하고 専用古錢注+ 皆斷不用也.하다
◑ 夏四月 宋臺軍拔赭圻하다
沈攸之 帥諸軍하여 圍赭圻하니 薛常寳等 糧盡하여 告劉胡求救한대 胡以囊米繫流查及船腹而覆之하여 順風流下하여 以餉常寳注+査, 與槎通, 水中浮木也. 船腹, 船中心也. 覆, 傾覆也.하니 攸之疑有異하고 遣人取之하여 大得囊米하고
胡又陸運餉之어늘 攸之邀擊하여 胡被創走하니 常寳 惶懼走還이어늘 攸之 遂拔赭圻하고 建安王休仁 進屯之하다
胡等兵猶盛이라 宋主遣褚淵至虎檻하여 選用將士注+欲綏慰人情.하니 以軍功除官者衆이라 板不能供하여 始用黄紙注+魏․晉至梁․陳, 授官有板, 長一尺二寸, 厚一寸, 闊七寸. 授官之辭, 在於板上, 爲鵠頭書.하다
五月 宋臺軍圍壽陽하다
殷琰 使劉順으로 督諸將據宛唐한대 而以皇甫道烈 土豪 柳倫 臺使 不受節度注+宛唐, 按水經註作死雩. 云 “肥水過九江成德縣西北, 入芍陂, 又北, 右合閻潤水, 水積爲陽湖. 陽湖水自塘西北, 逕死雩亭, 宋泰始初, 劉順據之以拒劉勔.” 杜佑通典作死虎, 曰 “死虎, 地名, 在壽州壽春縣東四十餘里.” 通鑑 “時琰所遣諸軍, 竝受順節度, 而以皇甫道烈土豪, 柳倫臺之所遣, 順本卑微, 唯不使統督二軍.”러니
劉勔始至하여 塹壘未立 欲擊之한대 道烈與倫不可라하니 不能獨進하여 乃止하니 勔營既立 不可復攻이라 因相持守러니 順等糧盡하니 琰將杜叔寳 載米餉之어늘
呂安國曰 順精甲八千이로되 而我衆不能居半하니 所頼者 彼糧行竭이요 我食有餘耳注+行, 猶將也. 若使米至 難可復圖 今可間道襲其米車하여 出彼不意 若能制之 將不戰而走矣리라
以爲然하여 以疲弱守營하고 簡精兵千人配安國하여 使從間道抄之하여 斬其前行五百人한대 叔寳 棄米走하니
五月 衆潰走어늘 於是 鼓行向壽陽하여 與諸軍分營城外諸山하니
宋主遣人齎詔하여 宥琰罪하니 琰與叔寳欲降이나 而衆心不一하여 復嬰城固守하다
秋七月 宋以楊僧嗣爲武都王하다
武都王楊元和棄國奔魏하니 其從弟僧嗣自立하여 屯葭蘆러니 費欣壽 至巴東하니 巴東人斬之하고 阻守三峽注+江水自巴東至夷陵, 其間有廣溪峽․巫峽․西陵峽, 謂之三峽. 一曰 “三峽, 西峽歸峽巫峽.” 七百里中, 兩岸連山, 略無缺處, 隱天蔽日, 非日中夜分, 不見日月.이어늘
蕭惠開 復遣兵出梁州하니 僧嗣 帥群氐하여 斷其道하고 間使以聞이어늘 宋主 乃以僧嗣爲武都王하다
鄧琬 以軍久不决이라 乃以子勛之命으로 徴袁顗于襄陽하여 以爲都督하니
顗性恇橈하여 在軍中 不戎服하고 談義賦詩하여 不撫諸將하고 劉胡 以南運未至 就顗借米한대 顗又不許하니 由此大失人心이러라
與臺軍相拒於濃湖久之注+濃湖, 在鵲尾下.러니 將軍張興世曰
賊據上流하여 兵彊地勝하니 我雖持之有餘 而制之不足이라 若以奇兵數千으로 潜出其上하여 因險而壁하고 見利而動하여 使其首尾周遑하고 糧運艱阻 此制賊之奇也注+遑, 急也.
錢溪江岸最狹 去大軍不遠하고 下臨洄洑하여 船必泊岸이요 又有可以蔵船이라 千人守險 萬人不能過 衝要之地 莫出於此注+胡三省曰 “新唐書地理志, 宣州南陵縣有梅根監錢官, 蓋今之梅根港是也, 以有鑄錢監, 故謂之錢溪.” 旋流曰洄, 伏流曰洑. 沈攸之以爲然하여 乃選戰士七千하여 輕舸二百配之하니
興世泝流하여 上而復下하여 如是累日하니 劉胡笑曰 我尙不敢越彼下取揚州어든 興世何物人 欲輕據我上고하고 不爲之備注+揚州, 謂建康.하다
一夕四更風便 興世擧帆直前하여 過鵲尾하니 胡乃遣兵追之어늘 興世潜遣其將黄道標하여 帥七十舸하여 徑趣錢溪하여 立營寨하고 明日引兵據之하니
胡自將水歩二十六軍하여 來攻이어늘 將士欲迎擊之한대 興世曰 賊來尙遠하여 氣盛而矢驟하니 驟易盡하고 盛易衰 不如待之注+易盡, 言矢易盡.니라
俄而 胡來轉近하여 船入洄洑이어늘 興世命任農夫等하여 帥壯士擊之하고 衆軍繼進하니 胡敗走하다
建安王休仁 以錢溪城未固 命攸之等하여 攻濃湖하여 以分胡兵勢하니 胡果欲更攻興世하여 未至 顗遽追之하니 城乃得立이라
胡遣人하여 傳唱錢溪已平이라하니 衆懼하니 攸之曰 若然이면 萬人中 應有一人得還이니 此必彼戰失利하여 唱空聲以惑衆耳라하고
勒軍中不得妄動이러니 捷報尋至하니 攸之以所獲耳鼻 示濃湖한대 顗大駭懼러라
八月 濃湖軍 乏食하니 鄧琬 大送資糧호되 畏興世不敢進하다 胡欲復攻錢溪라가 既而曰
吾少習歩戰하고 未閑水鬪하니 若歩戰 恒在數萬人中이나 水戰 在一舸之上이라 舸舸各進하여 不復相關하고 正在三十人中하니 此非萬全之計 吾不爲也라하고
乃託疾不進하고 遣百舸攻興世어늘 興世擊破走之하니 顗怒胡不戰하여 謂曰 糧運鯁塞하니 當如此何注+鯁塞, 言若魚骨之鯁塞咽喉然.
胡乃遣兵歩趣南陵하여 載米三十萬斛 錢布數十舫하고 竪榜爲城하여 規欲突過라가 至貴口不敢進注+豎, 立也. 榜, 木片也. 水經註 “江水自石城東入爲貴口.”이어늘 興世遣兵擊而虜之하고
進逼胡營하니 胡不能制하여 遂遁去하고 顗亦走어늘 休仁勒兵入其營하여 納降卒十萬하다 顗至鵲頭하여 爲人所殺하니
鄧琬憂惶無計어늘 張悅稱疾呼琬計事하고 令左右伏甲帳後하여 以索酒爲約이러니 琬至 悅問計하니
琬曰 正當斬晉安王하고 封府庫以謝罪耳 悅曰 今日 寧可賣殿下以求活邪 因呼酒하여 伏發斬琬하고 單舸齎首하여 詣休仁降하다
蔡那之子繫尋陽作部러니 脫鎖入城하여 囚子勛이어늘 攸之諸軍至하여 斬之하여 傳首建康하니 時年十一注+作部, 主作器仗, 在尋陽城外.이러라
子業之世 衣冠懼禍하여 咸欲遠出이러니 至是流離外難하여 百不一存하니 衆乃服蔡興宗之先見注+宋主子業景和元年, 袁顗求出爲雍州刺史, 時以其舅蔡興宗爲荆州長史, 辭不行. 顗曰 “朝廷形勢, 人所共見. 在内大臣, 朝不保夕.” 興宗曰 “宮省内外, 人不自保, 會應有變, 若内難得弭, 外釁未必可量, 汝欲在外求全, 我欲居中免禍.”이라
休仁入尋陽하여 遣吳喜等하여 向荆郢雍湘豫章하여 平餘冦하고 劉胡逃至石城이어늘 捕得斬之注+此, 竟陵之石城.하다
九月魏立郡學하다
魏初立郡學하고 置博士助敎生員하니 從髙允之請也
宋主既誅子勛 又殺安陸王子綏 臨海王子頊 邵陵王子元하니 建安王休仁言於上曰 松滋侯兄弟尙在하니 非社稷計 宣早爲之所니이다
於是 子房等十人皆賜死하니 世祖二十八子 於此盡矣하다
宋徐州刺史薛安都 益州刺史蕭惠開 梁州柳元怙 兗州畢衆敬 豫章太守殷孚 汝南太守常珍奇 竝遣使乞降于建康한대
宋主以南方已平으로 欲示威淮北하여 命張永沈攸之將兵五萬迎安都하니
蔡興宗曰 安都 歸順不虛 正須單使 今以重兵迎之 勢必疑懼 安都 外據大鎭하고 密邇邊陲하여 地險兵彊하니 尤宜馴養이라 如其外叛하여 招引北冦 將爲朝廷旰食之憂리이다
宋主不從하고 謂蕭道成曰 吾今因此北討하노니 卿意以爲何如 對曰 安都 狡猾有餘하니 以兵逼之 非國之利리이다 亦不聽하다
安都 果懼而叛하고 常珍奇亦以懸瓠降魏하여 皆請兵自救하다
宋立子昱爲太子하다
宋主無子하니 嘗以宮人陳氏賜嬖人李道兒라가 已復迎還하여 生昱注+已, 旣也. 旣而復迎之還也.하고
又密取諸王姬有孕者하여 内之宮中하여 生男則殺其母하고 而使寵姬母之注+內, 讀曰納.러라
魏遣將軍尉元孔伯恭等救彭城하고 西河公石救懸瓠注+石, 魏之宗室.하니 宋兗州刺史申纂 守無鹽하여 詐降於元하니 受而陰爲之備러니 及師至 果閉門拒之하다
畢衆敬 以子爲建康所誅라하여 亦降於魏注+衆敬子元賓在建康, 先坐他罪誅.하니 遣將先據其城하고 遂長驅而進하다 西河公石 至上蔡하니 常珍奇 出迎이어늘 未即入城이러니
博士鄭羲曰 珍奇意未可量이라 不如直入其城하여 據有府庫하고 制其腹心이라 遂策馬入城하고 因置酒嬉戲하니
羲曰 觀珍奇色甚不平하니 不可不備니라 石乃嚴兵設備러니 其夕 珍奇使人燒府屋하여 欲爲變이라가 以石有備而止하다
淮西七郡民多不願屬魏하여 連營南犇注+淮西七郡, 汝南․新蔡․汝陽․汝陰․陳郡․南頓․潁川也.이어늘 魏遣建安王陸馛宣慰한대 民有陷軍爲奴婢者 馛悉免之하니 新民乃悅이러라
宋豫州平하다
劉勔 圍壽陽하여 戰無不捷하고 以寛厚得衆心이러니 尋陽既平 宋主使中書爲詔하여 諭殷琰한대 蔡興宗曰
叛亂既定하니 是琰思過之日이니 宜賜手詔以慰引之注+慰者, 安其心. 引者, 引使歸順. 今直中書爲詔 彼必疑之 非所以速淸方難也니이다 不從注+方難, 謂一方之難.하니
果疑勔之詐하여 欲降於魏어늘 主簿夏侯詳曰 今日之擧 本效忠節이니 若社稷有奉이면 便當歸身朝廷이라 何可北面左衽乎
且今魏軍 近在淮次하고 官軍 未測吾之去就注+魏軍, 謂西河公石之軍也. 淮次, 淮水之濱也.하니 若遣使歸欵이면 必厚相慰納이니 豈止免罪而已리오
乃使詳出見勔曰 城中士民 畏將軍之誅하여 皆欲自歸於魏하니 願將軍 緩而赦之 則莫不相帥而至矣리라 許諾하다
乃出降이어늘 悉加撫慰하고 不戮一人하고 約勒將士하여 秋毫無犯하니 壽陽人 大悅이러라 魏軍將至 聞琰已降하고 乃掠義陽而去하다
宋益州平하다
蕭惠開在益州하여 多任刑誅하니 諸郡叛之하여 合兵圍成都러니 聞尋陽已平하고 爭欲屠城이어늘 宋主遣其弟惠基使成都하여 赦惠開하니 惠開乃降하고 城圍亦解
召還建康하여 宋主問以擧兵狀한대 對曰 臣 唯知逆順이요 不識天命이로다 宋主釋之하다
宋僑立兗徐靑冀州注+兗․徐․靑․冀皆降於魏, 故立僑州.하다
兗州 治淮陰하고 徐州 治鍾離하고 靑冀 治鬱洲하니 洲在海中하여 周數百里 累石爲城하여 髙八九尺이요 虛置郡縣하니 荒民無幾러라
魏取彭城하다
宋張永沈攸之進兵逼彭城하니 魏尉元至 薛安都出迎이어늘 元遣李璨하여 與安都先入城收管籥注+璨, 音粲.하고 别遣孔伯恭하여 以精甲二千으로 安撫内外然後入하니 其夜 張永 攻之不克하다
不禮於安都하니 安都悔降하여 復謀叛魏러니 知之 不果發하고 乃重賂元等하니
使燦與安都 守彭城하고 自將擊張永하여 絶其糧道하다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제27권은 병오년丙午年(466) 나라 명제明帝 태시泰始 2년과 북위北魏 헌문제獻文帝 천안天安 원년부터 계해년癸亥年(483) 나라 무제武帝 영명永明 원년과 북위北魏 효문제孝文帝 태화泰和 7년까지이니, 모두 18년이다.
나라 태종太宗 명제明帝 유욱劉彧 태시泰始 2년이고, 북위北魏 현조顯祖 헌문제獻文帝 탁발홍拓跋弘 천안天安 원년이다.
[] 봄 정월에 나라가 건안왕建安王 유휴인劉休仁을 보내어 강주江州를 토벌하게 하였는데, 진안왕晉安王 유자훈劉子勛이 마침내 황제를 칭하니 서주徐州남서주南徐州사주司州예주豫州청주靑州기주冀州상주湘州광주廣州양주梁州익주益州가 모두 호응하였다.
[] 나라가 안팎으로 계엄戒嚴을 하고 건안왕建安王 유휴인劉休仁도독정토제군사都督征討諸軍事로 삼고, 강주자사江州刺史 왕현모王玄謨부도독副都督으로 삼고, 심유지沈攸之심양태수尋陽太守로 삼아 병사를 거느리고 호함虎檻注+① 虎檻은 洲 이름이고, 赭圻 동북쪽 長江 안에 있으니, 蕪湖의 서남이다. 주둔하게 하였다.
왕현모의 선봉 부대 10이 계속 도착하여 밤마다 각 성호姓號(암구호暗口號)를 달리 사용하여 서로 연계되지 못하였다.
심유지가 제장諸將들에게 말하기를 “이제 여러 성호姓號가 다르니, 만일 어떤 농부나 어부가 밤에 서로 소리치면 바로 군중軍中이 놀라 어지러워질 것이니 이는 패배를 자초하는 길이다. 청컨대 한 성호姓號를 취하여 통일하였으면 한다.”라고 하니 모든 군대가 따랐다.
등완鄧琬노태후路太后새서璽書를 받았다고 사칭詐稱하고서 장군과 보좌관들을 거느리고 유자훈劉子勛에게 황제의 존호를 올렸는데, 유자훈이 마침내 즉위即位하고 의가義嘉개원改元하였다.
그리고 등완鄧琬원의袁顗복야僕射로 삼고 장열張悅상서尙書로 삼으니, 서주자사徐州刺史 설안도薛安都기주자사冀州刺史 최도고崔道固청주자사靑州刺史 심문수沈文秀의양내사義陽内史 방맹규龎孟虯오군태수吳郡太守 고침顧琛오흥태수吳興太守 왕담생王曇生의흥태수義興太守 유연희劉延熙진릉태수晉陵太守 원표袁標가 모두 병사를 일으켜 호응하였다.注+② 司州를 義陽에 설치하고, 義陽內史 龐孟虯를 司州刺史로 삼았다.
송주宋主(유욱劉彧)가 유업庾業으로 유연희劉延熙를 대신하게 하였는데, 유업이 도착하여 도리어 유연희와 연합하였고, 송주宋主공조孔璪를 보내 회계會稽 지역을 위로하게 하였는데 공조는 도착하여 도리어 회계 사람들을 설득하여 심양尋陽(유자훈)의 정권을 따르도록 하였다.注+③ 宋主(劉彧)가 尋陽王長史 行會稽郡事 孔覬를 불러 太子詹事로 삼고, 또 都水使者 孔璪를 보내어 동쪽으로 들어가서 慰勞하도록 하였다. 공조가 공기를 설득하기를 “建康이 허약하니 5郡을 포섭하여 袁覬와 鄧琬에게 호응하는 것이 낫습니다.”라고 하니. 공의는 마침내 병사를 출동하여 격문을 보내 尋陽을 받들었다.
그리고 익주자사益州刺史 소혜개蕭惠開도 장군과 보좌관들에게 말하기를 “상동왕湘東王(유욱)은 태조太祖(문제文帝 유의륭劉義隆)의 (손자)이고 진안왕晉安王세조世祖(효무제孝武帝 유준劉駿)의 (형)이다. 당벽當璧(황제 자격)에 있어서 안 될 것이 없지만注+④ ≪春秋左氏傳≫ 昭公 13년에 “楚共王에게 適子가 없고, 寵愛하는 庶子가 다섯이 있었으나, 태자로 적합한 자가 없었다. 이에 群望(명망 있는 산천)에게 성대하게 祭祀를 지내면서 祈願하기를 ‘神께서는 이 다섯 사람 중에서 하나를 選擇하여 社稷을 主管하게 하소서.’라고 하고, 곧 玉璧을 群望에 두루 보이고서 말하기를 ‘玉璧을 묻은 곳에 가서 절하는 자가 바로 神께서 태자로 세우는 자입니다.’라고 하였다. 마침내 巴姬와 함께 太室(宗廟)의 뜰에 玉璧을 묻고서 다섯 사람에게 齋戒하고서 연장자 순서로 들어와 절을 하게 하였다. 康王은 〈그 이마가〉 玉璧 상단을 지나갔고, 靈王은 팔꿈치가 玉璧에 닿았고, 子干과 子皙은 모두 玉璧과 거리가 멀었다. 平王은 어려서 안고 들어와서 再拜하였는데 두 번 모두 그 이마가 玉璧의 紐(끈을 매는 꼭지)에 닿으니, 그 뒤에 마침내 楚國을 소유하였다.”고 하였다. 厭(누르다)은 於甲의 切이다. 다만 경화景和(유자업劉子業)는 본래 세조世祖의 아들로 사직社稷을 감당하지 못했으나 그의 형제들이 여전히 많다.
내가 세조世祖의 은혜를 받았으니 당연히 구강九江(유자훈)을 받들 것이다.”라고注+⑤ 劉子業은 연호를 景和로 바꾸었다. 宋나라 이래로 대부분 江州를 九江이라고 불렀다. 劉子勛은 예전에 江州刺史를 지냈으므로, 九江이라고 일컬은 것이다. 하고, 이에 파군태수巴郡太守 비흔수費欣壽를 보내어 5천 명을 지휘하여 동쪽으로 내려가게 하였다.
이때에 상주행사湘州行事 하혜문何慧文광주자사廣州刺史 원담원袁曇遠양주자사梁州刺史 유원호柳元怙注+⑥ 柳元怙는 柳元景의 從兄이다.산양태수山陽太守 정천조程天祚가 모두 유자훈에게 붙었다.
[] 사방의 공물과 회계 장부가 모두 심양尋陽으로 송부되니 조정朝廷이 보존한 곳은 오직 단양丹楊회남淮南의 몇 이고, 동쪽의 반군이 또한 이미 영세永世에 이르니 〈건강建康의〉 궁성宮省의 사람들이 위태로워하고 두려워하였다.注+① 貢은 토산물을 바치는 것을 말한다. 計는 上計(지방관이 매년 戶口, 賦稅, 獄訟 등의 항목을 적은 장부를 중앙에 보고하는 것)하는 장부이다. 吳나라 때에는 溧陽을 나누어 永平縣을 만들고, 晉 武帝 太康 원년(280)에 지명을 永世縣으로 바꾸고, 丹楊郡에 소속시켰다.
이에 송주宋主(유욱劉彧)가 신하들과 상의하였는데, 채흥종蔡興宗이 말하기를 “지금 온 천하가 함께 반란하여 사람마다 다른 마음이 있으니 마땅히 그들을 고요함으로써 진정시키고 지극한 믿음으로 그들을 대하여야 합니다. 배반자의 친척들이 궁성宮省에 널려 있으니 만약 그들을 법으로 다스린다면 땅이 무너질 형세가 바로 닥칠 것입니다.
마땅히 반역의 죄가 그들에게 미치지 않는다는 뜻을 밝혀야 합니다.注+② 父子와 兄弟 간에 죄가 서로 미치지 않는 것은 옛날의 도리이다. 민심이 안정되면 사람들이 싸울 마음이 있게 될 것이고, 육군六軍이 정예롭고 무기와 갑옷이 견고하고注+③ 犀는 견고함이다. 예리하니 훈련되지 않은 반군叛軍을 상대하면 그 형세는 만 배나 차이가 날 것입니다. 원컨대 폐하께서는 근심하지 마소서.”라고 하였다.
건무사마建武司馬 유순劉順예주자사豫州刺史 은염殷琰을 설득하여 심양尋陽의 정권에 호응하게 하였는데, 은염은 당초에 가족이 건강建康에 있었기 때문에 허락하지 않다가 뒤에 어쩔 수 없이 따랐다.
송주宋主가 다시 채흥종에게 말하기를 “여러 지역이 평정되기도 전에 은염이 이미 다시 역적들과 함께하니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고 하였다.
채흥종이 말하기를 “반역과 순종은 이 변별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이제 상인이 단절되어 쌀이 매우 많이 남아 가격이 떨어지고 사방에서 사람들이 구름처럼 모여들어 인정人情이 다시 편안해졌으니, 이것으로 헤아린다면 반역의 무리를 깨끗이 없앨 수 있는 것을 장담할 수 있습니다.注+④ 湘東王(劉彧)이 황위를 찬탈한 것은 그의 本心이 아니고, 尋陽(劉子勛)에서 병사를 일으킨 것은 명분이 바르며 말이 순하므로, “반역과 순종은 臣이 변별할 수 없습니다.” 하였다. 상인이 단절되어 쌀이 매우 많이 남아 가격이 떨어진 것은 이전 조정의 업적이고, 사방에서 사람들이 구름처럼 모여들어 人情이 다시 편안해진 것은 狂暴한 임금에게 오랫동안 고통을 당하다가 관대한 정치에 갑자기 즐거워한 것이다. 다만 이 걱정하는 것은 다시 일이 끝난 뒤에 양호羊祜의 말과 같을 뿐입니다.”라고注+⑤ 晉나라가 吳나라를 정벌하는데 이때 羊祜는 병이 깊었다. 晉 武帝는 양호를 시켜 諸将들을 누워서 지휘하게 하려 하자 양호가 말하기를 “吳나라를 빼앗는 것은 臣이 직접 갈 필요가 없고, 다만 吳나라를 평정한 이후에 聖上의 노고를 위로해야 할 뿐입니다.” 하였다. 하였다.
송주宋主는 은염이 심양의 정부를 따른 것이 본심이 아닌 것을 알고 그의 가족들을 후하게 어루만져 그를 불러들이고, 원영조垣榮祖를 보내서 설안도薛安都를 설득하게 하였는데注+⑥ 여러 垣氏들은 略陽에서 남쪽으로 와서 대물려 靑州․徐州에 살면서 공을 세워 土人들에게 신망을 얻었으므로, 그를 시켜 돌아가 薛安都를 설득하게 한 것이다. 桓榮祖는 桓護之의 從子(조카)이다.,
설안도가 말하기를 “나는 효무제孝武帝를 저버리고 싶지 않소.”라고 하니, 원영조가 말하기를 “효무제의 행적은 남은 재앙을 부르기에 충분하다.注+⑦ 선행이 쌓이지 않으면 반드시 남는 재앙이 있다. 孝武帝는 탐욕스럽고 음탕하고 사치와 학대를 이루어 人倫의 도리가 다 없어졌으므로 桓榮祖가 그렇게 말한 것이다. 지금 비록 천하가 부화뇌동하고 있으나注+⑧ 우레가 소리를 내면 사물이 그때를 따라 응하지 않는 것이 없으므로 響應을 雷同이라고 한다. 이렇게 하면 바로 죽음을 재촉할 뿐이다.”라고 하였다. 설안도는 따르지 않고 이어서 원영조를 억류하여 자신의 장수가 되게 하였다.
[] 나라 연주자사兗州刺史 은효조殷孝祖가 군대를 이끌고 건강建康으로 달려갔다.
[] 송주宋主(유욱劉彧)가 연주자사兗州刺史 은효조殷孝祖의 사위 갈승소葛僧韶를 보내어 은효조를 입조入朝하도록 설득하게 하였는데, 은효조가 처자妻子하구瑕丘注+① 瑕丘縣은 옛적의 魯瑕邑이니, 漢나라 때에는 山陽郡에 속하고, 魏․晉 때에는 없앴고, 宋나라때에는 兗州의 治所가 되었다. 맡겨두고 문관과 무관 2천 명을 인솔하여 그날로 건강建康으로 갔다.
이때 조정 안팎의 사람들이 근심하고 위태로워하여 모두 도망해 흩어지려 하였는데, 은효조가 갑자기 이르니 거느린 사람들이 모두 중원中原형주荊州注+② 江南에서는 中原 사람을 傖이라 하고, 荊州 사람을 楚라고 하였다. 장사들이었으므로 인심이 크게 안정되었다. 마침내 은효조에게 부절符節을 주어 선봉을 감독하게 하여 호함虎檻으로 가게 하였다.
예전에 송주宋主필중경畢衆敬을 보내어 연주兗州에 가서 사람들을 모집하라고 하였는데, 이때에 설안도薛安都가 필중경을 연주행사兗州行事를 삼고 필중경을 시켜 은효조의 여러 아들들을 죽이게 하였다. 연주 경내 사람들이 모두 필중경을 따랐으나 오직 동평태수東平太守 신찬申纂만은注+③ 申纂은 申鍾의 曾孫이다. 무염無鹽을 점거하고 따르지 않았다.
[] 나라가 병사를 나누어 예주豫州회계會稽를 토벌하다.
[] 송주宋主(유욱劉彧)가 친히 군사를 통솔하여 중당中堂에 나아가 머물렀고, 산양왕山陽王 유휴우劉休祐예주자사豫州刺史를 삼아 유면劉勔注+① 勔은 彌兗의 切이다.여안국呂安國 등의 군대를 감독하여 은염殷琰을 토벌하게 하고, 파릉왕巴陵王 유휴약劉休若으로 심회명沈懐明장영張永소도성蕭道成 등의 군대를 감독하여 공의孔顗를 토벌하게 하였다.
이때에 장사將士들이 대부분 동쪽 지방 사람들이어서 부형父兄 자제子弟들이 대부분 공의孔顗를 따랐다. 송주宋主가 이로 말미암아 군대를 전송하면서 유시하기를 “이 막 덕에 힘쓰고 형벌을 줄여서 부자父子형제兄弟 간에 죄가 서로 미치지 않게 하겠다. 등이 마땅히 이 뜻을 깊이 헤아려 친척 때문에 근심하지 말라.”라고 하니 군사들이 이에 크게 기뻐하였다.
무릇 반역자의 친당親黨으로 건강建康에 있는 자들은 직책을 이전대로 두었다.
[] 나라 태후太后 노씨路氏하였다.
[] 태후太后송주宋主(유욱劉彧)를 초청하여 술자리를 마련하고 독주를 올리니, 송주宋主가 그것을 알아차리고 즉시 그 술잔으로 축수祝壽를 올리니, 이날에 태후太后하였다.
[] 2월에 나라 대군臺軍(관군官軍)이 의흥義興에서 승리하였다.
[] 공의孔顗가 그의 장수를 보내어 진릉晉陵에 주둔하게注+① 軍은 주둔하여 지킴을 말한다. 하였는데, 진용陣容이 매우 성대하니 심회명沈懐明 등이 감히 전진하지 못하였다. 모두가 파릉왕巴陵王 유휴약劉休若에게 물러나 파강破岡注+② 破岡은 曲阿 경내에 있는데, 秦 始皇帝가 뚫은 것이다. 지킬 것을 권하였는데, 유휴약이 명령을 내리기를 “감히 후퇴를 말하는 자가 있으면 참수하겠다.”라고 하니, 군사들이 마침내 조금 안정되었다.
전중어사殿中御史 오희吳喜송주宋主(유욱劉彧)에게 청하여 정예병 3백 명을 얻어 동쪽에서 목숨을 바쳐 싸울 것을 바라였는데, 송주宋主우림군羽林軍용사勇士를 뽑아서 배속시켰다. 논의하는 이들은 오희가 문서를 담당하는 사람이여서 장수가 된 적이 없으니 보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중서사인中書舍人 소상지巢尙之가 말하기를 “오희는 옛날에 심경지沈慶之를 따라 여러 번 전쟁을 경험하여 용기 있게 결단하고 전투에 익숙하니 만약 그에게 맡길 수 있다면 반드시 공적을 이룰 것입니다.”라고 하자, 마침내 그를 파견하였다.
오희는 성품이 관후寛厚하여서 누차 동오東吳 지역에 사신 갔을 적에 사람들이 모두 사모하였다.注+③ ≪資治通鑑≫에는 “이르는 곳마다 사람들이 모두 그를 사모하였다.” 하였다. 이때 오희가 왔다는 소식을 듣고 모두 멀리서 그 모습만 보고도 항복하거나 흩어졌다.
국산國山注+④ 國山은 陽羨縣 경내에 있다. 晉나라 때에는 義興郡을 세우고, 陽羨縣을 나누어 國山縣을 두고 의흥군에 소속시켰다. 이르러 동군東軍(동쪽 지역의 반군)과 조우하여 격파하여 그 장군을 참수하고 전진하여 의흥義興注+⑤ 胡三省이 말하기를 “義興은 지금 常州의 宜興이다. 우리 宋나라 太平興國 원년(976)에 을 피하여 宜興으로 바꾸었다. 여기의 긴 다리는 荊溪의 상류에 있는 것이다. 지금 宜興縣 남쪽 20步에 荊溪가 있는데, 위로 1백 개의 개울을 이어받고 겸하여 몇 郡의 물을 받아들인다. 劉延熙는 木柵을 세우고 荊溪의 다리를 끊어서 자신을 보전한 것이다. ≪輿地志≫에 말하기를 ‘지금 常州 宜興縣 남쪽 30步에 긴 다리가 있는데 바로 곳이다.” 하였다. 압박하였다. 유연희劉延熙목책木柵을 세우고 긴 다리를 끊고서 의흥군義興郡을 직접 지켰다. 그러자 오희가 성책을 쌓아 포위하고 유연희와 서로 대치하였다.
유업庾業장당長塘에 성을 쌓아 유연희와 서로 호응하려 하였는데, 마침 송주宋主가 다시 독호督護 임농부任農夫를 파견하여 임농부가 여기에 이르러서注+⑤ 여기에서 句를 뗀다. 유업의 성이 완성되기 전에 공격하여 패주시키고 그들의 배와 병장기를 거두었다.
그러고 나서 의흥군을 향해 전진하여 오희를 도와서 의흥군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다. 반군의 여러 보루들이 모두 무너지자 유연희는 물에 뛰어들어 죽었다.
[] 북위北魏 승상丞相 태원왕太原王 을혼乙渾이 반역을 도모하다 주벌되고 풍태후馮太后하였다.
[] 을혼乙渾은 정권을 독점하고 사람을 많이 죽이니 시중侍中 탁발비拓跋丕注+① 拓跋丕는 拓跋翳槐(烈帝)의 玄孫이다. 을혼이 반란을 도모했다고 고하였는데, 풍태후馮太后가 을혼을 체포하여 죽이고 마침내 조정에 임하여 를 칭하고 중서령中書令 고윤髙允시랑侍郎 고려髙閭장군將軍 가수賈秀를 끌어들여 중대한 정무에 함께 참여하게 하였다.
[] 나라 대군臺軍(관군官軍)이 진릉晉陵오흥呉興오군呉郡을 함락하였다.
[] 심회명沈懐明 등이 동군東軍(동쪽 지역의 반군)과 서로 대치하였는데 오래도록 결판이 나지 않았다. 마침 송주宋主(유욱劉彧)가 장군將軍 강방흥江方興어사御史 왕도륭王道隆을 보내어 이들이 진릉晉陵에 도착하니 동쪽 지역의 반군은 5개 성이 서로 연대하였으나 성이 아직 견고하지는 못하였다.
왕도륭王道隆제장諸將들에게 말하기를 “이 성이 아직 견고하지 못하니 그대들의 손을 빌려서 공격하여 위로는 성상聖上의 뜻에 부합하고 아래로는 군대의 사기를 높이고자 한다.”라고 하고, 마침내 거느린 병사들을 지휘하여 급히 공격해 함락하고 그 장군을 참수하고 승세를 타서 진격하니 동군東軍이 패주하여 마침내 진릉군晉陵郡을 함락하였다.
공조孔璪는 이때 오흥군吳興郡 남정南亭에 주둔하고 있었는데 왕담생王曇生고침顧琛과 함께 모두 을 버리고 회계會稽로 도주하였다. 송주宋主는 4개 注+① 4郡은 晉陵郡․義興郡․吳興郡․吳郡이다. 평정되었다고 하여 마침내 오희吳喜를 남겨두어 제장諸將들을 통솔하게 하여 회계를 공격하게 하고, 장영을 불러서 팽성彭城을 공격하게 하고, 강방흥江方興을 불러서 심양尋陽을 공격하게 하였다.
[] 나라가 채흥종蔡興宗복야僕射로 삼고 저연褚淵이부상서吏部尙書로 삼았다.
[] 나라 대군臺軍(관군官軍)이 회계會稽를 함락하였다.
[] 오희吳喜임농부任農夫 등이 병사를 이끌고 회계會稽로 향해 가서 그 군대를 격파하고 서릉西陵을 빼앗아 유업庾業을 참수하였고, 상우현령上虞縣令 왕안王晏이 병사를 출동하여 을 공격하니, 공의孔顗가 도주하였다.
거기종사중랑車騎從事中郎 장수張綏가 창고를 봉하고 오희를 기다렸는데注+① 여기에서 句를 뗀다., 왕안이 성에 들어와서 장수를 죽이고 심양왕尋陽王 유자방劉子房을 사로잡고 군사를 풀어 크게 노략질하여 공조孔璪공의孔顗를 잡아서 공조를 죽이고
공의에게 말하기를 “이 일은 공조가 한 짓이니 의 일과는 상관이 없다. 자수하는 글을 작성하라. 응당 경을 위해 상신上申하겠다.”라고注+② “首辭”는 죄를 시인하는 것이다. 爲(위하다)는 去聲이다. 上(올리다)은 時掌의 切이다. 하니, 공의가 말하기를 “강동江東에서 조처한 일이 나에게 연유하지 않은 것이 없었으니 죄를 떠넘기고 살길을 찾는 것은 그대 무리의注+③ 行(무리)는 胡郞의 切이다. “君輩行”은 王晏 등을 가리킨다. 뜻일 뿐이다.”라고 하자, 아울러 참수하였다.
고침顧琛 등이 오희에게 가서 죄를 받겠다고 하자注+④ “歸罪”는 자신에게 돌려 죄를 청함이다. 오희가 모두 용서하고, 심양왕尋陽王 유자방劉子房건강建康에 압송하여 송자후松滋侯로 강등시켰다.
[] 3월에 나라 대군臺軍(관군官軍)이 자은赭圻(자기)에서 패하여 은효조殷孝祖가 죽으니, 심유지沈攸之가 〈강방흥江方興에게〉 대신 군대를 거느리게 하여 심양尋陽의 군대를 공격하여 크게 격파하였다.
[] 등완鄧琬은 비루하고 어리석으며 탐욕스럽고 인색하며 관작을 팔고 장사를 하며 술 마시고 노름하여 밤낮으로 쉬지 않으니, 여러 소인들이 횡포를 부려서 상과 벌을 다투어 행사하였다. 이에 사민士民들이 분개하며 원망하여 안팎으로 인심이 이반되었다.
등완은 손충지孫沖之를 보내어 설상보薛常寳 등 1만 명을 통솔하여 선봉이 되어 자은赭圻(자기)를 점거하게 하였다. 손충지가 유자훈劉子勛에게 아뢰기를 “함선은 이미 마련되었고 무기도 역시 정비되었으니 즉시 강물을 따라 곧바로 백하白下注+① 白下는 江寧縣 경내 臨江津에 있다. 차지하려고 합니다.
원컨대 속히 여러 군대를 보내어 두 배 속도로 행군하여 서로 만나도록 하십시오.”라고 하였다. 유자훈은 마침내 도량陶亮으로 5注+② 5州는 郢州․荊州․湘州․梁州․雍州이다. 병사 도합 2만 명을 통솔하여 함께 내려가게 하였다. 도량은 감히 전진하지 못하고 군대를 작주鵲洲注+③ 鵲頭는 宣城 경내에 있고, 鵲尾는 廬江 경내에 있는데, 鵲洲는 長江 안의 섬이다. 주둔시켰다.
은효조殷孝祖는 충성스런 절의를 자부하여 제장諸將들을 능멸하고 대군臺軍 중에 친속親屬남군南軍(심양尋陽의 반군)에 있는 자들을 모두 심문해 다스리려고 하니, 이로 말미암아 인심이 이반되었다.注+④ “誠節”은 鎭을 맡아 王事에 힘써서 妻子를 돌보지 않음을 말한다. 南은 南軍(남쪽에 있는 군대)이다. 南은 尋陽이 남쪽에 있어서 臺軍(官軍)이 長江을 따라 남쪽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공격하는 것을 이른다. 심유지沈攸之는 안으로 장사將士들을 어루만지고 밖으로 여러 장수들을 화합시키니 대중들이 모두 그를 의지하였다.
은효조殷孝祖는 전투할 때마다 늘 북과 일산日傘을 가지고 자신을 따르게 하니, 군중軍中에서 서로 말하기를 “은통군殷統軍은 죽은 장군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적과 칼날이 교차하는데 자신을 드러내기를注+⑤ 標라는 말은 나타냄이며 기록함이다. ≪資治通鑑≫에는 “羽儀로 자신을 나타냈다.” 하였다. 이와 같이 하니, 만일 열 사람이 겨누어 쏘면 죽지 않으려고 해도 가능하겠는가.”라고 하였다.
자기를 공격할 적에 은효조가 과연 날아오는 화살에 맞아 죽었다. 사람들이 마음속으로 놀라고 두려워하면서 아울러 심유지가 당연히 대신 군대를 통솔하고 감독해야 한다고 여겼다.
[] 이때에 유휴인劉休仁강방흥江方興 등을 보내어 자은赭圻에 나아가게 하였다. 심유지沈攸之은효조殷孝祖가 이미 죽었으니 다음 날 공격하지 않으면 허약함을 보이는 것이고, 강방흥의 명예와 지위가 서로 버금가서注+① 沈攸之와 江方興은 모두 寧朔將軍이었으므로, 명예와 지위가 서로 버금간다고 한 것이다. 亞는 버금이다. 반드시 자신의 아래가 되지 않을 것이니 군대의 정령政令이 통일되지 않음은 패배를 초래하는 길이라 하고,
마침내 제군諸軍주장主將들을 이끌고서 강방흥에게 가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일의 성공 여부는 오직 내일 아침 한 번의 전투에 달려 있으니 이기지 못하면 대세가 틀어질 것이다. 여러 사람들 중에 어떤 사람은 내가 마땅히 통군統軍이 되어야 한다고 말하지만 내 자신을 헤아려보면 재능이 적어 재간과 책략이 보다 못하다. 지금 바로 그대를 추대할 것이니 다만 서로 함께 힘을 다할 뿐이다.”
강방흥은 매우 기뻐하여 허락하였는데, 제군諸軍의 주장들 중에 어떤 사람이 심유지를 책망하자 심유지가 말하였다. “나는 본래 난리를 함께 구제하여 국가를 안정시키고 살리려고 하는 것이니 어찌 명예와 지위의 높낮이를 따져서 스스로 분란을 조성하겠는가.”
다음 날에 강방흥이 여러 군대를 지휘하여 나아가 전투하여 남군南軍(심양尋陽의 반군)을 크게 격파하고 소호구巢湖口백수구白水口의 두 성을注+② 孫沖之가 湖口․白口에 두 개 성을 쌓았다. 湖口와 白口는 巢湖口와 白水口를 말한다. 빼앗았는데, 황제(유욱劉彧)가 조서를 내려서 심유지에게 선봉을 감독하게 하니, 도량陶亮이 크게 두려워하여 손충지孫沖之를 불러서 작미鵲尾로 돌아오게 하고 설상보薛常寳를 남겨서 자은赭圻를 지키게 하였다.
이때 전쟁이 크게 일어나 국가 재정이 부족하니, 백성을 모집하여 조정에 돈과 곡식을 바치게 하고 그들을 차등에 따라 관직에 보임하였는데도 군대에는 식량이 부족하였다. 건안왕建安王 유휴인劉休仁장사將士들을 위로하면서 양식의 분배를 고르게 하고, 죽은 이를 조문하고 다친 이를 문병하면서 몸소 긍휼히注+③ 隱은 헤아림이며 아파함이다. 恤은 근심함이며 가여워함이다. 여겼다. 이 때문에 10만 군사 중에 이반할 마음을 갖는 자가 없었다.
등완鄧琬유호劉胡를 보내어 군사 10여만 명을 통솔하여 작미에 주둔하게 하였다. 유호는 노숙한 장군이라, 용감하고 임기응변이 많아서 누차 전공戰功을 세우니 장사將士들이 경외하였다.
참군參軍 채나蔡那의 자제들이 양양襄陽에 있었다. 유호는 전투할 때마다 그들을 성 밖에 매달아 두었는데, 채나는 전진하여 싸우면서 돌아보지 않았다.注+④ 劉胡는 襄陽에서 동쪽으로 내려갈 적에 蔡那의 子弟를 구속하여 군대를 따르게 한 것이다. 오희吳喜 역시 휘하의 5천 명을 통솔하고 아울러 군수품을 운반하여 자기에 도착하였다.
[] 나라가 새로운 동전의 유통을 금지하고 옛 동전만을 사용하게 하였다.注+① 元嘉四銖錢과 孝建四銖錢을 아울러 금지하고 사용하지 않은 것이다.
[] 여름 4월에 나라 대군臺軍(관군官軍)이 자은赭圻를 함락하였다.
[] 심유지沈攸之가 여러 군대를 거느리고서 자은赭圻를 포위하니 설상보薛常寳 등이 군량이 다하여 유호劉胡에게 고하여 구원을 청하였다. 유호는 쌀자루를 뗏목과 배의 선창에 매달고 이를 뒤엎어서 바람을 따라 흘러 내려가게 하여注+① 査는 槎와 통하니 물에 띄운 나무이다. 船腹은 배의 中心이다. 覆은 엎어짐이다. 설상보에게 수송하였다. 심유지가 이상한 점을 의심하여 사람을 보내 그것을 가져오게 하여 쌀자루를 많이 얻었다.
유호가 또 육로로 쌀을 수송하자 심유지가 요격하여 유호가 상처를 입고 도주하였다. 이에 설상보가 두려워하여 도주해 돌아오자 심유지가 마침내 자기를 함락시키고 건안왕建安王 유휴인劉休仁이 진군하여 주둔하였다.
유호 등의 병력이 여전히 강성하여 송주宋主(유욱劉彧)가 저연褚淵을 보내 호함虎檻에 이르게 하여 장사將士들을 선발하여 임용하게 하니注+② 〈“選用將士”는〉 인심을 안정시키려 한 것이다., 이때에 군공軍功으로 관직을 제수한 자가 많아 전부 을 줄 수 없어서 비로소 황지黄紙를 사용하였다.注+③ 魏․晉에서 梁․陳까지 관직을 제수하는 데 板이 있었는데, 길이가 1尺 2寸, 두께가 1寸, 너비가 7寸이었다. 관직을 제수하는 말이 板 위에 있으니, 라고 한다.
[] 5월에 나라 대군臺軍(관군官軍)이 수양壽陽을 포위하였다.
[] 은염殷琰유순劉順을 보내서 제장諸將을 감독하여 완당宛唐에 웅거하게 하였는데 황보도열皇甫道烈은 토착 호족豪族이고 유륜柳倫대성臺省(조정)의 사자이므로 지휘를 받지 않았다.注+① 宛唐은 살펴보건대 ≪水經註≫에 死雩로 되어 있다. ≪수경주≫에 이르기를 “肥水는 九江 成德縣을 지나 서북으로 가서 芍陂로 들어가고, 또 북쪽으로 가서 오른쪽으로 閻潤水와 합류하고, 물이 모여 陽湖가 되었다. 陽湖水는 제방에서 서북쪽으로 가서 死雩亭을 지나는데, 宋나라 泰始 초기에 劉順이 점거하여 劉勔에게 항거한 곳이다.” 하였다. 杜佑의 ≪通典≫에는 死虎로 되어 있고, 말하기를 “死虎는 地名이니, 壽州 壽春縣 동쪽 40여 里에 있다.” 하였다. ≪資治通鑑≫에는 “이때 殷琰이 보낸 諸軍이 모두 劉順의 지휘를 받았다. 그러나 皇甫道烈은 토착 豪族이고, 柳倫은 臺省(조정)에서 파견한 인물인데 유순은 본래 한미한 출신이므로 오직 두 군대만은 통솔하고 감독하지 못하게 하였다.” 하였다.
유면劉勔이 막 도착하여 참호와 보루가 완성되지 않았을 때에 유순이 공격하려 하였는데, 황보도열과 유륜柳倫이 안 된다고 하니 유순이 홀로 전진할 수 없어 마침내 중지하였다. 유면의 진영이 완성되고 나서는 다시 공격할 수 없어서 그대로 서로 굳게 지켰다. 유순 등의 양식이 바닥나자 은염의 장수 두숙보杜叔寳가 쌀을 실어서 수송하였다.
여안국呂安國이 말하기를 “유순은 정예병이 8천 명인데 우리 군대는 반도 되지 못하니, 의존할 것은 저들의 식량이 장차注+② 行(장차)은 將과 같다. 고갈하는 것이요, 우리들의 식량이 넉넉한 것뿐입니다. 만일 쌀을 도착되게 하면 다시 도모하기가 어렵습니다. 지금 샛길로 가서 저들의 쌀 수레를 습격하여 저들이 생각지 못한 곳을 공격해야 하니, 만약 이를 제압할 수 있으면 장차 싸우지 않고도 패주시킬 수 있습니다.” 하였다.
유면은 옳다고 여기고 피로하며 허약한 자들로 군영을 지키게 하고 정예병 1천 명을 뽑아서 여안국에게 배속시켜서 샛길을 따라가서 쌀 수레를 빼앗게 하였다. 여안국이 그 선두 대열 5백 명을 참수하자 두숙보가 쌀을 버리고 도주하였다.
5월에 유순의 부대가 붕괴되어 도주하자 이에 유면이 북을 치며 행군하여 수양壽陽으로 가서 제군諸軍과 함께 성 밖 여러 산에 군영을 나누어 설치하였다.
송주宋主(유욱劉彧)가 사람을 보내어 조서詔書를 가지고 가서 은염의 죄를 사면하니 은염은 두숙보와 함께 항복하려 하였으나 군심軍心이 일치하지 않아서 다시 성곽을 둘러싸고 굳게 수비하였다.
[] 가을 7월에 나라가 양승사楊僧嗣무도왕武都王으로 삼았다.
[] 예전에 무도왕武都王 양원화楊元和가 나라를 버리고 북위北魏로 도주하니 그의 종제從弟 양승사楊僧嗣가 스스로 즉위하여 가로葭蘆에 주둔하였다. 비흔수費欣壽파동巴東에 이르니 파동巴東 사람들이 그를 참수하고 삼협三峽注+① 江水는 巴東에서 夷陵에 이르는데, 그 사이에 廣溪峽․巫峽․西陵峽이 있어 이를 三峽이라고 하였다. 일설에 “三峽은 西峽․歸峽․巫峽이다.”라고 하였다. 7백 리 중 양쪽 강안에 산이 이어져 조금도 끊긴 곳이 없어 하늘과 해를 가려서 한낮이나 한밤중이 아니면 해나 달을 보지 못하였다. 막아 지켰다.
소혜개蕭惠開가 다시 병사를 보내어 양주梁州로 출동하니 양승사楊僧嗣가 여러 저족氐族들을 통솔하여 그 길을 단절시키고 샛길로 사자를 보내어 보고하자 송주宋主(유욱劉彧)가 양승사를 무도왕武都王으로 삼았다.
[] 8월에 나라 대군臺軍(관군官軍)이 강주江州를 함락하고 유자훈劉子勛을 죽였다.
[] 등완鄧琬이 전쟁이 오래도록 결판이 나지 않으므로, 마침내 유자훈劉子勛의 명으로 원의袁顗양양襄陽으로 불러서 도독都督으로 삼았다.
원의의 성품이 유약하여 군중軍中에 있을 적에 군복을 입지 않고 의리를 논하고 시를 지으면서 제장諸將들을 위무하지 않았고, 유호劉胡가 남쪽에서 오는 군량이 아직 도착하지 않아서 원의에게 가서 쌀을 빌렸는데 원의가 또 허락하지 않으니, 이로 말미암아 인심을 크게 잃었다.
대군臺軍(관군官軍)과 서로 농호濃湖에서注+① 濃湖는 鵲尾 아래에 있다. 오랫동안 대치하니, 장군將軍 장흥세張興世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역적들이 상류를 점거하고서 병사도 강하고 지형도 유리하니, 우리가 비록 대치하는 데에 넉넉하지만 제어하기에는 부족합니다. 만약 기병奇兵 수천으로 몰래 그 배후로 나아가서 험준한 지형을 이용하여 성벽을 쌓고 이로운 때를 살펴 출동하여 저들의 선두와 후미를 경황이注+② 遑은 急함이다. 없게 만들고 군량의 수송을 어렵게 하면 이는 적을 제압하는 기책奇策입니다.
전계錢溪의 강안은 매우 좁은데다 대군大軍과 거리가 멀지 않고, 아래로 물이 소용돌이치는 곳에 이어져注+③ 胡三省이 말하기를 “≪新唐書≫ 〈地理志〉에 宣州 南陵縣에 梅根監錢官이 있으니, 지금의 梅根港이 그것이다. 鑄錢監이 있으므로 그것을 錢溪라고 한다.” 하였다. 돌아 흐르는 것을 洄라 하고, 잠복하여 흐르는 것을 洑이라 한다. 〈올라오는〉 배가 반드시 강안에 정박해야 하고, 게다가 횡포항横浦港이 있어서 배를 숨길 수 있습니다. 천 명이 험지를 지키면 만 명이 통과할 수 없으니 요충지 중에 이보다 나은 곳이 없습니다.” 심유지沈攸之는 옳다고 여기고 전사戰士 7천을 뽑아 쾌선 2백 척에 배속시켰다.
[] 장흥세張興世가 물을 거슬러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왔는데, 이와 같이 며칠을 하였다. 유호劉胡가 비웃으며 말하기를 “내가 아직도 감히 저들을 뛰어넘어 하류로 내려가 양주揚州注+① 揚州는 建康을 말한다. 빼앗지 못하고 있는데, 장흥세가 뭐하는 사람이기에 경솔히 우리의 배후를 점거하려 하는가.”라고 하고는 이 때문에 대비하지 않았다.
어느 날 밤 4(오전 2시)에 바람이 유리해지자 장흥세가 돛을 올려 곧장 전진하여 작미鵲尾를 통과하였다. 유호가 군대를 보내 추격하자 장흥세는 그 장수 황도표黄道標를 몰래 보내 쾌선 70척을 거느리고 곧바로 전계錢溪로 향하여 영채營寨를 세우게 하고 다음 날 군사를 인솔하여 전계를 점거하였다.
유호는 직접 수군水軍보군步軍 26을 거느리고 와서 공격하자 장사將士들이 유호의 군대를 맞아 공격하려 하였는데, 장흥세가 말하기를 “적들이 오려면 아직도 멀었고 적의 기세가 왕성하고 화살처럼 빠르다. 빠르면 힘이 다하기 쉽고注+② “易盡”은 화살이 쉽게 다함을 말한다. 왕성하면 쇠하기 쉬우니 저들을 기다리는 것만 못하다.”라고 하였다.
이윽고 유호의 군대가 와서 가까이 다가왔다. 유호의 배가 소용돌이치는 곳으로 들어오자 장흥세가 임농부任農夫 등에게 명하여 장사壯士를 거느리고 공격하게 하고, 여러 군대를 계속 전진시키니 유호가 패하여 도주하였다.
건안왕建安王 유휴인劉休仁전계성錢溪城이 아직 견고하지 못하기 때문에 심유지沈攸之 등에게 명하여 농호濃湖를 공격하게 하여 유호의 병력을 분산시키게 하였다. 유호가 과연 다시 장흥세를 공격하려 하였는데, 유호의 군대가 전계성에 도착하기 전에 원의袁顗가 심유지 등의 군대를 급히 추격하니 전계성이 마침내 완성될 수 있었다.
유호가 사람을 보내어 “전계성이 이미 평정되었다.”라고 크게 외치게 하니, 대군臺軍들이 두려워하였다. 심유지가 말하기를 “만일 그렇다면 만 명 중에 응당 한 사람이라도 살아 돌아왔을 것인데, 〈아직 돌아온 자가 없으니〉 이는 반드시 저들이 싸움에 불리하여 헛소리를 외쳐서 아군을 의혹시키려고 한 것일 뿐이다.”라고 하고,
군중軍中신칙申飭하여 경거망동輕擧妄動하지 못하게 하니, 얼마 후 승첩이 도착하였다. 심유지는 포획한 적병의 귀와 코를 농호에 보이자 원의가 크게 놀라 두려워하였다.
[] 8월에 농호濃湖의 군사들이 식량이 부족하니, 등완鄧琬이 물자와 식량을 대규모로 수송하는데 장흥세張興世를 두려워하여 감히 전진하지 못하였다. 유호劉胡가 다시 전계錢溪를 공격하려다가 이윽고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나는 젊어서 보전步戰에 익숙하고 수전水戰에 익숙하지 못하니, 가령 보전步戰은 〈그 승패가〉 늘 수만의 군사 중에 달려 있지만 수전水戰은 한 척의 배 위에 있는 군사에 달려 있다. 이 때문에 배마다 각기 전진하여 다시 서로 상관하지 않고 〈그 처지가〉 바로 〈배 위의 군사〉 30명 중에 달려 있게 되니, 전계를 공격하는 것은 만전萬全의 계책 이 아니다. 나는 그것을 하지 않겠다.”
원의袁顗는 유호가 싸우지 않은 것에 분노하여 유호에게 말하기를 “군량의 운송이 막혔으니注+① “鯁塞”은 물고기의 가시가 목구멍에 막힘과 같음을 말한다. 이러한 경우에 어찌할 것인가.”라고 하였다.
그러나 유호는 마침내 병사를 보내어 도보로 남릉南陵으로 가게 하여 쌀 30만 과 돈․포목을 수십 척 배에 싣고 배 위에 목판을 세워서 성루를 만들어 전계를 돌파하여 지나갈 것을 꾀하다가 배들이 귀구貴口에 이르러 감히 전진하지 못하자注+② 豎는 세움이고, 榜은 나무 조각이다. ≪水經註≫에 “江水가 石城에서 동쪽으로 들어가는 곳을 貴口라 한다.” 하였다., 장흥세가 군대를 보내어 공격하게 하여 노획하였다.
〈장흥세의 군대가〉 전진하여 유호의 군영을 압박하니, 유호가 제압하지 못하여 마침내 도망가고 원의 역시 도주하자, 유휴인劉休仁이 군대를 정비하고 원의의 군영으로 들어가서 항복한 병사 10만 명을 받아들였다. 원의는 작두鵲頭에 이르러 어느 사람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 등완鄧琬이 근심하고 두려워하여 계책을 세우지 못하자, 장열張悅이 병을 핑계로 등완을 불러 일을 상의하자고 하면서 측근들을 시켜 장막 뒤에 갑사甲士를 숨겨두고서 술을 내오는 것을 가지고 〈등완을 공격하는〉 신표信標로 삼았다. 등완이 도착하자 장열이 계책을 물으니,
등완이 말하기를 “바로 진안왕晉安王(유자훈劉子勛)을 참수하고 창고를 봉하여 사죄謝罪할 뿐입니다.”라고 하였다. 장열이 말하기를 “금일에 어찌 전하殿下(유자훈劉子勛)를 팔아서 살기를 구할 것인가.”라고 하고 이어서 술을 내오라고 하자, 복병이 나와서 등완을 참수하였다. 〈장열이〉 한 척의 배를 타고서 등완의 수급을 가지고 유휴인劉休仁에게 가서 항복하였다.
채나蔡那의 아들이 심양尋陽작부作部注+① 作部는 병기와 의장을 만드는 것을 주관하니 尋陽城 밖에 있다. 갇혀 있었는데, 〈심양이 혼란해지자〉 형틀을 풀고 탈출하여 심양성尋陽城에 들어가서 유자훈劉子勛을 가두자 심유지沈攸之의 여러 군대가 도착하여 유자훈을 참수하고 그의 수급을 파발마로 건강建康에 보내니, 이때 유자훈의 나이가 11세였다.
유자업劉子業의 시대에 관원들이 재앙을 두려워하여 모두 멀리 탈출하려 하였는데, 이때에 이르러 외방의 난리에 유리되어 100명 중에 1명도 생존하지 못하니, 사람들이 채흥종蔡興宗선견지명先見之明에 탄복하였다.注+② 宋主 劉子業 景和 원년(465)에 袁顗가 雍州刺史로 나가기를 요구하였는데, 이때 그의 외삼촌 蔡興宗이 荆州長史가 되었으나 사양하고 가지 않았다. 원의가 말하기를 “朝廷의 형세는 사람들이 다 아는 바입니다. 중앙에 있는 大臣들도 언제 무슨 일이 있을지 보장하지 못합니다.”라고 하니, 채흥종이 말하기를 “宮省 안팎의 사람들이 스스로 보전하지 못하니 당연히 변란이 있을 것이다. 가령 중앙의 혼란은 그칠 수 있지만 외방의 혼란은 반드시 헤아릴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너는 외방에서 온전함을 구하려 하고 나는 중앙에서 재앙을 면하려고 하는 것이다.” 하였다.
유휴인이 심양에 들어와서 오희吳喜 등을 보내어 형주荆州영주郢州옹주雍州상주湘州예장豫章으로 가서 남은 반군叛軍을 평정하게 하고, 유호劉胡가 도주하여 석성石城注+③ 여기의 石城은 竟陵의 石城이다. 이르자 그를 잡아 참수하였다.
[] 9월에 북위北魏군학郡學(군국郡國의 학교)을 세웠다.
[] 북위北魏가 처음으로 군학郡學을 세우고 박사博士조교助敎생원生員을 두니 고윤髙允의 청을 따른 것이다.
[] 겨울 10월에 송주宋主(유욱劉彧)가 그 형의 아들 안륙왕安陸王 유자수劉子綏 등 13명을 죽였다.
[] 송주宋主(유욱劉彧)가 유자훈劉子勛을 죽이고 나서 또 안륙왕安陸王 유자수劉子綏, 임해왕臨海王 유자욱劉子頊, 소릉왕邵陵王 유자원劉子元을 죽였다. 건안왕建安王 유휴인劉休仁에게 말하기를 “송자후松滋侯(유자방劉子房) 형제가 여전히 살아 있으니 사직社稷을 위한 계책이 아닙니다. 마땅히 서둘러 처치해야 합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유자방劉子房 등 10명을 모두 사사賜死하니, 세조世祖의 아들 28명이 이때에 이르러 전부 죽었다.
[] 나라 서주자사徐州刺史 설안도薛安都여남태수汝南太守 상진기常珍奇가 배반하여 북위北魏에 투항하였다.
[] 나라 서주자사徐州刺史 설안도薛安都, 익주자사益州刺史 소혜개蕭惠開, 양주梁州 유원호柳元怙, 연주兗州 필중경畢衆敬, 예장태수豫章太守 은부殷孚, 여남태수汝南太守 상진기常珍奇가 모두 사신을 보내 건강建康에 항복할 것을 청하였다.
송주宋主(유욱劉彧)는 남쪽 지역이 이미 평정된 것으로 회북淮北에 위엄을 보이고자 하여 장영張永심유지沈攸之에게 명하여 병사 5만을 거느리고 설안도를 맞이하게 하였다.
채흥종蔡興宗이 말하기를 “설안도가 귀순하는 것은 허위가 아니니 바로 한 명 사신만 필요할 뿐입니다. 지금 많은 병사로 그를 맞이하면 형세상 반드시 의심하고 두려워할 것입니다. 설안도는 외방에서 큰 진영을 차지하고 있고 변경에 가까우면서 땅이 험준하고 병력이 강성하니 더욱 그를 길들여야 합니다. 만일 그가 외방에서 반란하여 북쪽의 적군(북위北魏)을 불러 끌어들이면 장차 조정(황제)이 이에 골몰하여 밥을 제때 먹지 못하는 우환이 될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송주宋主가 따르지 않고 소도성蕭道成에게 말하기를 “내가 지금 이를 이용하여 북쪽(설안도)을 토벌하고자 하니 은 어떻게 생각하는가.”라고 하니, 대답하기를 “설안도는 교활함이 많으니 병력으로 핍박하면 국가의 이익이 아닐 것입니다.”라고 하였으나, 송주宋主는 역시 따르지 않았다.
설안도는 과연 두려워하여 반란하고 상진기常珍奇현호懸瓠를 가지고 북위北魏에 투항하여 모두 자신들을 구하고자 북위北魏에 군사를 청하였다.
[] 나라가 황자皇子 유욱劉昱을 세워서 태자太子로 삼았다.
[] 송주宋主(유욱劉彧)는 아들이 없었다. 한번은 궁인宮人 진씨陳氏폐인嬖人 이도아李道兒에게 주었다가 얼마 후에 다시 맞아 돌아오게 하여注+① 已는 이윽고이니, 〈“已復迎還”은〉 얼마 후에 다시 맞이하여 돌아오게 함이다. 유욱劉昱을 낳았다.
게다가 몰래 여러 왕들의 희첩姬妾 중에 임신한 자를 취하여 궁중에 들여서注+② 內(들이다)은 納으로 읽는다. 아들을 낳으면 그 모친을 죽이고 총희寵姬를 시켜서 어머니 노릇을 하게 하였다.
[] 북위北魏 장군將軍 울원尉元(울원)이 팽성彭城을 구원하고자 하여 현호懸瓠로 들어가니, 나라 연주자사兗州刺史 필중경畢衆敬북위北魏 군대에 투항하였다.
[] 북위北魏장군將軍 울원尉元(울원)․공백공孔伯恭 등을 파견하여 팽성彭城을 구원하게 하고 서하공西河公 탁발석拓跋石에게注+① 拓跋石은 北魏의 宗室이다. 현호성懸瓠城을 구원하게 하였다. 나라 연주자사兗州刺史 신찬申纂무염無鹽을 수비하면서 거짓으로 울원에게 항복하니 울원이 이를 받아들였지만 은밀하게 대비하였다. 북위北魏의 군대가 도착하자 신찬이 과연 성문을 닫고 항거하였다.
필중경畢衆敬은 아들이 건강建康에서 죽임을 당했다 하여注+② 畢衆敬의 아들 畢元賓이 建康에 있다가 앞서 다른 죄에 걸려 주살되었다. 역시 북위北魏에 항복하니 울원이 장수를 보내서 그 성을 먼저 점거하고 마침내 기세를 몰아 나아갔다. 서하공 탁발석이 상채上蔡에 도착하니 상진기常珍奇가 나와 맞이하였는데, 탁발석은 곧바로 현호성懸瓠城에 들어가지 않았다.
박사博士 정희鄭羲가 말하기를 “상진기는 뜻을 헤아릴 수 없으므로, 곧바로 그 성으로 들어가 창고를 점거하고 그 중심을 제어하는 것이 낫습니다.”라고 하였다. 탁발석은 마침내 말에 채찍질하여 서둘러 성에 들어가고 이어서 술자리를 마련하고 즐겁게 놀았다.
정희가 말하기를 “상진기의 안색을 보면 매우 불평스러우니 대비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라고 하니, 탁발석은 병사를 엄중히 다스리고 대비하였다. 그날 저녁에 상진기가 사람을 시켜서 관부官府옥사屋舍에 불을 질러 변란을 일으키려 하다가 탁발석이 대비함이 있어서 중지하였다.
회서淮西 7注+③ 淮西 7郡은 汝南郡․新蔡郡․汝陽郡․汝陰郡․陳郡․南頓郡․潁川郡이다. 백성들은 대부분 북위北魏에 소속되는 것을 원하지 않아 진영을 연합하여 남쪽으로 도주하려고 하자, 북위北魏건안왕建安王 육발陸馛(육발)을 보내어 위로하였는데, 군대의 약탈을 받아 노비奴婢가 된 백성들을 육발이 모두 면제하니 새로 귀부한 백성들이 기뻐하였다.
[] 나라 예주豫州가 평정되었다.
[] 유면劉勔수양壽陽을 포위하여 전투에 승리하지 않은 일이 없고 관후寛厚함으로 민심을 얻었다. 심양尋陽이 평정되고 나서 송주宋主(유욱劉彧)가 중서성中書省에게 조서를 짓게 하여 은염殷琰에게 유시하려 하였는데, 채흥종蔡興宗이 말하기를
“반란이 이미 평정되었으니 바로 은염이 잘못을 반성할 때입니다. 마땅히 손수 쓰신 조서를 내려서 그를 위로하고 불러야 합니다.注+① 慰는 그 마음을 편안하게 함이고, 引은 인도하여 귀순하게 함이다. 지금 다만 중서성에서 조서를 지어 내리면 은염이 반드시 의심할 것이니 한 지방의 난리를注+② “方難”은 한 지방의 난리를 말한다. 속히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닙니다.”라고 하였으나 송주宋主는 따르지 않았다.
은염이 과연 유면의 속임수라고 의심하여 북위北魏에 항복하려 하자, 주부主簿 하후상夏侯詳이 말하기를 “금일의 거사는 본래 나라에 충절忠節을 바치려는 것이었습니다. 만약 사직社稷을 받드는 임금이 있으면 바로 조정에 귀순해야 합니다. 어찌 북위北魏에게 북면北面(칭신稱臣)하여 옷깃을 왼쪽으로 여미는 오랑캐가 될 수 있겠습니까.
또 지금 북위北魏 군대가 가까이 회수淮水 가에 있고注+③ 北魏의 군대는 西河公 拓跋石의 군대를 이른다. “淮次”는 淮水의 물가이다., 관군官軍은 아직 우리의 의향을 헤아리지 못하니, 만약 조정에 사자를 보내 귀순할 성심을 보이면 반드시 후하게 위로하고 받아들일 것이니 어찌 죄를 면할 뿐이겠습니까.”라고 하였다.
은염이 하후상으로 하여금 성을 나가서 유면을 만나게 하고 이르기를 “성안의 병사와 백성들은 장군의 주벌을 겁내어 모두 스스로 북위北魏에 귀순하려고 합니다. 원컨대 장군께서 관대히 용서해주신다면 서로 이끌고 장군에게 투항하지 않을 자가 없을 것입니다.”라고 하니, 유면이 허락하였다.
은염이 성을 나와서 항복하자, 유면은 모두 위로하고 한 사람도 죽이지 않고 장사將士들을 엄히 단속하여 조금도 침해하지 않으니 수양壽陽 사람들이 크게 기뻐하였다. 북위北魏 군대가 도착할 쯤에 은염이 이미 조정에 항복했다는 소식을 듣고 의양義陽을 약탈하고서 떠났다.
[] 나라 익주益州가 평정되었다.
[] 소혜개蕭惠開익주益州에 있으면서 마음대로 형벌하고 주벌하는 경우가 많으니 여러 들이 배반하고 병사를 연합하여 성도成都를 포위하였는데, 심양尋陽이 이미 평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다투어 성을 도륙하려 하였다. 송주宋主(유욱劉彧)가 소혜개의 아우 소혜기蕭惠基성도成都로 사신 보내어 소혜개를 사면하니, 소혜개가 항복하였고 성의 포위도 풀렸다.
소혜개를 건강建康으로 소환하여 송주宋主가 군대를 일으킨 상황을 물었는데, 대답하기를 “이 오직 반역하거나 귀순할 줄만 알고, 천명天命을 알지 못하였습니다.”라고 하니 송주宋主는 그를 사면하였다.
[] 나라가 연주兗州서주徐州청주靑州기주冀州하였다.注+① 兗州․徐州․靑州․冀州가 모두 北魏에 항복하였으므로, 僑州를 설치하였다.
[] 연주兗州회음淮陰치소治所를 두고, 서주徐州종리鍾離에 치소를 두고, 청주靑州기주冀州울주鬱洲에 치소를 두었다. 울주鬱洲는 바다 안에 있어서 주위가 수백 였다. 돌을 쌓아 성을 만들어 높이가 8, 9이고 허명으로 을 설치하였으나 이주한 백성은 거의 없었다.
[] 북위北魏팽성彭城을 차지하였다.
[] 나라 장영張永심유지沈攸之가 병사를 진격시켜서 팽성彭城을 압박하였다. 북위北魏울원尉元(울원)이 도착하자 설안도薛安都가 나가 맞이하니 울원이 이찬李璨注+① 璨은 음이 粲이다. 보내어 설안도와 함께 먼저 성안에 들어가서 성문의 자물쇠를 거두게 하고, 별도로 공백공孔伯恭을 보내어 정병 2천으로 성 안팎의 사람들을 어루만지게 한 뒤에 울원이 성으로 들어가니, 그날 밤에 장영이 성을 공격하였으나 함락시키지 못하였다.
울원이 설안도를 예우하지 않으니 설안도는 항복한 것을 후회하고 다시 북위北魏를 배반하려고 하였는데, 울원이 그것을 알아차렸으므로 끝내 실행하지 못하고 마침내 울원 등에게 많은 뇌물을 주었다.
울원은 이찬과 설안도를 시켜서 팽성彭城을 수비하게 하고, 자신이 군사를 거느리고 장영을 공격하여 그 군량을 운반하는 길을 차단하였다.


역주
역주1 春正月……皆應之 : “尋陽(劉子勛)에 대해 앞에서는 ‘擧兵(군대를 출동했다.)’이라고 기록했는데 여기서는 ‘討(토벌했다)’라고 기록한 것은 어째서인가. 劉子業이 혼우하고 포악하여 이미 제거되어 社稷은 받드는 이가 있는데 다시 전쟁을 하게 되었으니 이는 다툰 것이다. 난리가 언제 그칠 것인가. 그러므로 이보다 앞서 稱帝한 경우 ‘遂’라고 쓴 적이 없었는데, 여기서는 특별히 ‘遂’라고 기록하였으니, ‘暗君에게 擧兵한 것은 옳지만 마침내[遂] 帝를 칭한 것은 옳지 않다.’라고 말한 것과 같다. 무릇 ‘遂’를 기록한 것은 갑작스러운 말이니, 이 때문에 劉子勛이 帝를 일컬었을 적에 ‘遂’를 기록하였고, 陳霸先이 皇帝를 일컬었을 적에 ‘遂’를 기록하였고, 唐 武宗 即位했을 때 ‘遂’를 기록하였던 것이다.[尋陽前書擧兵矣 此其書討何 子業昏虐 既已除矣 社稷有奉 而復尋干戈 是爭也 亂何時而已乎 故稱帝前乎此未有書遂者 此特書遂 若曰 擧兵於昏虐可也 而遂稱帝不可也 凡書遂 遽辭也 是故子勛稱帝書遂 陳霸先稱皇帝書遂 唐武宗即位書遂]” ≪書法≫“劉子勛에 대해 앞에서 ‘擧兵’이라고 기록한 것은 劉子業이 無道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유자훈을 ‘反’이라고 기록하지 않은 것이다. 그런데 여러 州에서 擧兵하여 호응하였을 적에 또한 ‘反’이라고 기록하지 않은 것은 어째서인가. 유자훈은 바로 世祖(孝武帝)의 아들로 여러 州에서 진실로 받들어 임금으로 삼고자 한 것이니, 이는 또한 本朝를 잊지 않은 뜻일 뿐이다. 그렇다면 이미 ‘反’이라고 기록하지 않고 또다시 어찌하여 ‘討江州’라고 기록하였는가. 나라의 임금이 전혀 없어서는 안 되지만 두 명이 있어서도 안 된다. 湘東王(劉彧)이 이미 大統을 이었다면 이는 社稷에 이미 받드는 자가 있는 것이고 백성들에게 이미 임금이 있는 것이다. 유자훈이 전일에 擧兵한 것은 진실로 ‘狂暴한 임금(劉子業)에게 핍박을 받았다.’고 말할 수 있지만, 이제 이미 그가 의탁할 대상을 얻었다면 바로 깃발을 돌려 자신의 州로 돌아가서 여러 郡에 국가에 이미 임금이 계시다는 뜻으로 諭示했어야 한다. 이와 같이 하였다면 宗廟가 안정되고 境内에 근심이 없을 것이니, 어찌 아름답지 않겠는가. 이를 생각하지 않고 마침내 황제를 칭하였으니, 이 뜻은 황제의 지위를 다투는 데에 있는 것이고 다시 이보다 앞서 재앙을 피하려고 했던 뜻이 아니다. ≪資治通鑑綱目≫에서 정리를 살펴 죄를 定하여 곧바로 ‘討’라고 기록하였다. 그런 뒤에 宋나라 군사(官軍)가 일어날 수 있으니 명분과 의리가 바르다. 그러므로 이 이하로는 모두 臺軍(官軍)으로써 구별하여 기록하였으니, 어찌 지나친 것이겠는가.[子勛前書擧兵者 子業無道 故子勛不以反書也 至諸州擧兵應之 亦不書反何耶 子勛既世祖之子 諸州茍欲奉而君之 是亦不忘本朝之意爾 然既不書反 又胡爲以討江州書之乎 夫國君不可無一 亦不可有二 湘東既繼大統 則是社稷已有奉 人民已有主矣 子勛前日擧兵 固曰迫於狂暴 今既得其所託 便當返斾還州 告諭諸郡以國已有君之意 如是 則宗廟重安 境内無虞 豈不休哉 不是之思 遂乃正號稱尊 則是志在爭帝 非復前此避禍之意也 綱目原情定罪 直書曰討 然後宋師可擧 名義正矣 故自此以下 皆以臺軍别異而書之 夫豈過哉]” ≪發明≫
역주2 (組)[紐] : 저본에는 ‘組’로 되어 있으나, ≪資治通鑑≫ 註와 ≪春秋左氏傳≫에 의거하여 ‘紐’로 바로잡았다.
역주3 (漢)[以] : 저본에는 ‘漢’으로 되어 있으나, ≪資治通鑑≫ 註에 의거하여 ‘以’로 바로잡았다.
역주4 (栗)[溧] : 저본에는 ‘栗’로 되어 있으나, ≪資治通鑑≫ 註에 의거하여 ‘溧’로 바로잡았다.
역주5 宋兗州刺史殷孝祖帥兵赴建康 : “建康으로 달려갔다고 한 것은 무엇인가. 바름을 따름을 인정한 것이다.[書赴建康 何 予從正也]” ≪書法≫
역주6 宋太后路氏殂 : “이에 太后가 宋主를 초청하여 술 안에 독약을 넣었다. 황제가 그것을 알아차리고 그대로 그 술잔으로 祝壽를 올리니 마침내 태후가 殂하였다. 宋主는 孝武帝에게 이복동생이 되고 태후는 효무제의 모친인데, ‘弑(시해했다)’라고 기록하지 않은 것은 어째서인가. 죄가 宋主에게 있지 않기 때문에 일상적인 말을 따라 ‘殂’라고 기록한 것이다.[於是 太后延宋主進毒酒中 帝知之 因以上壽遂殂 宋主於孝武爲異母弟 太后則孝武之母也 其不書弑 何 罪不在宋主也 故從恒辭書殂]” ≪書法≫
역주7 太宗의 御名 : 宋 太宗 趙光義를 말한다. 즉위한 뒤에 趙炅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역주8 周處가……벤 : 晉나라 때 周處가 사는 향리에서 南山의 범, 물속의 이무기, 주처 자신을 세 가지 해악으로 꼽았는데, 나중에 주처가 개과천선하여 범을 사살하고 이무기를 베어 죽이고, 그 뒤에 주처가 분발하여 학문에 매진했다.(≪晉書≫ 권58 〈周處列傳〉)
역주9 宋臺軍……大破之 : “江左에 나라를 세운지 오래되었는데, 아직 ‘臺軍’이라고 기록한 적이 없었는데 ‘臺軍’이라고 기록한 것은 어째서인가. 外兵(지방의 반군)과 구별한 것이다. 이때에 劉子勛도 宋나라 황제를 칭하였으니 ‘宋’이라고 기록하면 누구인지를 알지 못하므로 ‘臺軍’이라고 말한 것이다. 臺軍을 패배시킨 이는 孫沖之인데, 스스로 패한 것으로 글을 쓴 것은 어째서인가. 外兵을 臺軍의 위에 올려놓지 않은 것이다. 그렇다면 南兵(남쪽 지역의 반군)의 격파는 江方興의 힘인데, 어째서 沈攸之만 기록하였는가. 심유지가 사양하고 統軍이 되지 않았으니, 그런 뒤에 강방흥이 감격하여 힘써 싸웠으니 강방흥의 공은 심유지의 공이다. ≪資治通鑑綱目≫에서 공을 심유지에게 돌린 것은 국가를 생각하고 사사로움을 잊게 하는 권고가 지극하기 때문이다.[江左建國久矣 未有書臺軍者 書臺軍 何 别外兵也 於是子勛亦稱宋帝 書宋 則不知其爲誰也 故曰臺軍 敗臺軍者 孫沖之也 以自敗爲文 何 不以外兵加臺軍也 然則南兵之破 方興力也 曷爲止書攸之 攸之讓不爲統 然後方興感激力戰 則方興之功 攸之之功也 綱目歸功攸之 其爲體國忘私之勸至矣]” ≪書法≫
역주10 : 저본에는 ‘朝’로 되어 있으나, ≪資治通鑑≫에 ‘旦’으로 되어 있다. ‘旦’은 太祖 李成桂의 改諱이므로 朝鮮本에서 忌諱하여 ‘朝’로 대용한 것이다.
역주11 (儒)[懦] : 저본에는 ‘儒’로 되어 있으나, ≪資治通鑑≫에 의거하여 ‘懦’로 바로잡았다.
역주12 元嘉四銖 孝建四銖 : 元嘉四銖錢은 宋 文帝 元嘉 7년(430)에 鑄造한 四銖錢이고, 孝建四銖錢은 宋 武帝 孝建 원년(454)에 주조한 것으로 뒷면에 ‘孝建’이라고 표시하였다. 둘 다 동전의 크기와 두께가 이전의 동전보다 작고 형태도 조잡하여 백성들이 몰래 주조하는 경우가 많았다.
역주13 鵠頭書 : 鵠頭 書體로 쓴 詔書이다. 인재를 辟召할 때 사용한 詔書 또는 詔板으로 鵠頭版, 鵠頭板, 鵠板, 鵠書라 하였다.
역주14 八月……殺子勛 : “江州에 ‘討(토벌했다)’라고 기록하고 ‘誅(주벌했다)’라고 기록하지 않은 것은 어째서인가. 劉子業과 劉子勛이 親屬이기 때문이다. ≪資治通鑑綱目≫에서는 이때에 權衡(척도)이 있으므로 군사를 일으켜 유자훈에게 호응한 자 중에 그들을 토벌하는 경우에 모두 이름을 쓰지 않고, 반드시 薛安都․常珍奇․畢衆敬과 같이 北魏에 항복한 뒤에 이름을 썼다.[江州書討矣 其不書誅 何 子業子勛親也 綱目於是有權衡矣 故擧兵應子勛者 其討之也 皆不名 必若安都珍奇衆敬降魏而後名]” ≪書法≫
역주15 横浦 : 배를 댈 수 있는 물가로 해석한 경우가 있고, 항구의 명칭으로 해석한 경우가 있는데, ≪宋書全譯≫(漢語大詞典出版社, 2004)에 의거하여 번역하였다.
역주16 마침내……패주시켰다 : 본문의 내용은 ≪資治通鑑≫의 내용을 줄인 것이다. ≪자치통감≫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劉胡가 병을 핑계로 움직이지 않고서 錢溪로 진격 중인 龍驤將軍 陳慶에게 싸우지 말도록 주의를 주자 진경의 함선 300척은 梅根에 주둔하고 전진하지 않았다. 또 유호의 別將 王起가 전선 100척을 거느리고 張興世를 공격하다가 패하였다.
역주17 宋主殺……十三人 : “이때에 郢州刺史 劉子綏, 荆州刺史 劉子頊, 會稽太守 劉子房이 모두 劉子勛에게 호응한 자들이다. 모두 형의 아들로 ‘殺(죽였다)’이라고 기록하면서 宋主를 지척하였으니 ≪資治通鑑綱目≫에서 경중을 판단한 뜻이 은미하다. 아! 슬프다.[於是(鄭子綏)[郢子綏]荆子頊會稽子房 皆應子勛者也 皆以兄之子書殺 而斥宋主 綱目權衡之意微矣 吁]” ≪書法≫ 四庫全書本에 ‘鄭子綏’로 되어 있는데, ‘郢子綏’로 바로잡았다.“宋 孝武帝는 부도덕하고 음란하고 함부로 욕심을 부려 다시 사람의 도리가 없었다. 그러므로 그의 아들들이 誅滅되어 한 명도 남은 자가 없었으니, 이는 하늘이 효무제의 행위를 추악하게 여긴 것일 뿐이다. 그러나 孝明帝(劉彧)로 말한다면 또한 지나친 것이다. 우선 자기가 형의 아들을 다 죽인 까닭은 자기의 자손을 편안히 하려고 해서이다. 그렇지만 뒷날 자기 자손들이 자기의 행위를 본받는다면 그 화가 미치는 바가 반드시 자기의 자손들일 것이다. 처음에 나의 자손을 편안히 하려 했다가 도리어 자신의 자손을 죽이는 데 이를 것이니 그 계책이 또한 잘못된 것이 아니겠는가. 세태의 변화가 날로 나빠지고 하늘의 도리가 끊어져서 國運이 오래가지 못하고 禍亂이 번갈아 나오게 된 것이 어찌 유래가 없어서 그런 것이겠는가. ‘其兄之子十三人’이라고 기록하였으니 그 악행을 폄하하고 끊지 않더라도 저절로 드러난다.[宋孝武不道 淫亂縱欲 無復人理 故其諸子誅滅 靡有孑遺 蓋天醜其行云爾 然自孝明言之 則亦過矣 且吾之所以盡殺兄之子者 蓋欲安吾之子孫也 他日吾子孫效吾所爲 則所及者必吾之子孫矣 始欲安吾之子孫 而反至於殺吾之子孫 其爲計 不亦左乎 世變日下 天理絶滅 祚運之所以不長 禍亂之所以迭出 夫豈無自而然哉 書殺其兄之子十三人 其惡不待貶絶而自見矣]” ≪發明≫
역주18 宋徐州刺史薛安都……叛降于魏 : “徐州는 예전에 劉子勛에게 호응했을 때 ≪資治通鑑綱目≫에서는 으레 刺史의 이름을 기록하지 않았는데, 여기서 이름을 쓴 것은 어째서인가. 배반하여 北魏에 투항했기 때문이다. 유자훈에게 호응한 것은 괜찮지만 土地를 가지고 원수를 섬긴 것은 잘못이므로 모두 ‘叛(배반했다)’이라고 기록한 것이다.[徐州初應子勛 綱目例不名之 此其名之 何 叛降魏也 應子勛 可也 挈土地以事讐 則非矣 故皆書叛]” ≪書法≫
역주19 魏將軍尉元……降魏師 : “薛安都․常珍奇에게는 ‘叛(배반했다)’이라고 기록하였는데, 여기서는 어찌하여 기록하지 않았는가. 宋나라가 초래한 것이다. 그 아들을 죽였으니,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기록하기를 ‘降魏師’라고 하였으나, 北魏 군사가 도착하고 난 뒤에 투항하였으니, 北魏에 구원을 요청한 것과는 다르다. 그러므로 설안도․상진기에게는 ‘叛’이라고 기록하고, 畢衆敬에게는 ‘叛’이라고 기록하지 않은 것이다. 설안도․상진기에게는 ‘降于魏’라고 기록하였으나 필중경에게는 ‘降魏師’라고 기록하였으니, ≪資治通鑑綱目≫에서 그 마음을 잘 헤아린 것이다.[安都珍奇書叛 此則曷爲不書 宋速之也 殺其子矣 能無懼乎 書曰降魏師 魏師適至 而後降之也 與請救於魏者異矣 是故安都珍奇書叛 而衆敬不書叛 安都珍奇書降于魏 而衆敬書降魏師 綱目有以亮其心矣]” ≪書法≫
역주20 僑置 : 地名을 다른 곳에 그대로 옮겨서 설치한 것이다. 東晉과 南朝 시대에 북방 민족들이 침범하자 중원의 사람들이 전란을 피해 남방으로 왔는데, 남방의 지역을 택하여 중원의 지명을 그대로 써서 郡縣을 설치하고 그들을 안주시켰다.

자치통감강목(18) 책은 2022.01.2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