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
		                       		
		                        
		                        	
		                        		
		                            	初에 左雄이 薦周擧爲尙書러니 至是에 雄이 爲司隷校尉하여 擧馮直任將帥하니 直이 嘗坐臧受罪라 擧以此劾奏雄한대 
		                            	 
									
                        			
                        			
                        		
	                     		
			                       	
			                       	
	                     		
	                     		
		                        
                        	
                        	
                        	
                        	
                        		
                        		
                        		
                        			
                        			
		                       		
		                       		
		                       		
		                        
		                        	
		                        		
		                            	雄曰 詔書使選武猛이요 不使選淸高니라 擧曰 詔書使君選武猛이요 不使君選貪汙也니이다 
		                            	 
									
                        			
                        			
                        		
	                     		
			                       	
			                       	
	                     		
	                     		
		                        
                        	
                        	
                        	
                        	
                        		
                        		
                        		
                        			
                        			
		                       		
		                       		
		                       		
		                        
		                        	
		                        		
		                            	雄曰 進君은 適所以自伐也로다 擧曰 昔에 趙宣子任韓厥爲司馬어늘 而厥이 戮其僕한대 宣子謂諸大夫曰 可賀我矣라하니 
		                            	 
									
                        			
                        			
                        		
	                     		
			                       	
			                       	
	                     		
	                     		
		                        
                        	
                        	
                        	
                        	
                        		
                        		
                        		
                        			
                        			
		                       		
		                       		
		                       		
		                        
		                        	
		                        		
		                            	今君이 不以擧之不才라하여 誤升諸朝하시니 不敢阿君以爲君羞러니 不寤君之意與宣子殊也로이다 
		                            	 
									
                        			
                        			
                        		
	                     		
			                       	
			                       	
	                     		
	                     		
		                        
                        	
                        	
                        	
                        	
                        		
                        		
                        		
                        			
                        			
		                       		
		                       		
		                       		
		                        
		                        	
		                        		
		                            	雄이 悅하여 謝曰 是吾過也라하니 天下益以此賢之하니라
		                            	 
									
                        			
                        			
                        		
	                     		
			                       	
			                       	
	                     		
	                     		
		                        
                        	
                        	
                        	
                        	
                        		
                        		
                        		
                        			
                        			
		                       		
		                       		
		                       		
		                       			
		                        			
		                        				
		                        				 
		                        			
		                       			
		                       			
		                       			
		                       				目
		                       		
		                       		
		                        		
			                            	【
목目】 군대는 하루에 30리를 행군하는데, 
연주兗州와 
예주豫州는 
일남日南과 거리가 9,000여 리이니, 출동한 지 300일이 지나야 비로소 도착할 것입니다. 또 사람마다 쌀 5
승升을 지급하는 것으로 계산하면 60만 
곡斛의 쌀이 필요한데, 여기에 장수와 관리와 나귀와 말의 먹이는 계산하지 않은 것입니다.
注+품稟은 지급함이다. 옛날 되[승升]가 작았기 때문에 〈한 사람이 하루에 먹는 쌀이〉 5승升이라 한 것이다.  
									
                        			
                        			
                        		
	                     		
			                       	
			                       	
	                     		
		                        
                        	
		                        
		                        
		                        
		                        
                        		
                        	
		                        
		                        
		                        
		                        
                        		
                        		
                        		
                        			
                        			
		                       		
		                       		
		                       		
		                       		
		                        		
			                            	설령 군대가 
일남日南에 도착한다 하더라도 
사망死亡하는 자가 반드시 많아서 이미 
적敵을 막을 수 없어서, 마땅히 다시 징발해야 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이는 
심복心腹을 도려내서 
사지四肢를 보충하는 것과 같습니다.
注+≪후한서後漢書≫ 〈남만전南蠻傳〉에는 “설군設軍” 아래에 도到자가 있다.  
									
                        			
                        			
                        		
	                     		
			                       	
			                       	
	                     		
		                        
                        	
		                        
		                        
		                        
		                        
                        		
                        	
		                        
		                        
		                        
		                        
                        		
                        		
                        		
                        			
                        			
		                       		
		                       		
		                       		
		                       		
		                        		
			                            	구진九眞과 일남日南은 거리가 1,000리이니, 그곳의 관리와 백성을 징발하여도 〈병사와 군량을〉 감당할 수가 없는데, 하물며 어찌 네 주州의 병졸을 괴롭게 하여 만 리의 어려운 길을 가게 한단 말입니까? 
			                             
									
                        			
                        			
                        		
	                     		
			                       	
			                       	
	                     		
		                        
                        	
		                        
		                        
		                        
		                        
                        		
                        	
		                        
		                        
		                        
		                        
                        		
                        		
                        		
                        			
                        			
		                       		
		                       		
		                       		
		                       		
		                        		
			                            	예전에 중랑장 윤취中郞將 尹就가 익주益州의 배반한 강족羌族들을 토벌하였는데, 익주의 백성들 속담에 “오랑캐들이 쳐들어오는 것은 그래도 괜찮지만, 윤취가 오면 우리를 죽일 것이다.” 하였습니다. 뒤에 윤취는 부름을 받아 경사로 돌아오고, 자사 장교刺史 張喬에게 토벌하는 병력을 맡겼습니다. 
			                             
									
                        			
                        			
                        		
	                     		
			                       	
			                       	
	                     		
		                        
                        	
		                        
		                        
		                        
		                        
                        		
                        	
		                        
		                        
		                        
		                        
                        		
                        		
                        		
                        			
                        			
		                       		
		                       		
		                       		
		                       		
		                        		
			                            	장교는 그 장수와 관리를 그대로 인솔하여 한 달 내에 오랑캐들을 격파하여 섬멸하였으니, 이는 장수를 출동하는 것이 무익無益하다는 증거이고 주군州郡에게 맡길 만하다는 증험입니다.”
			                             
									
                        			
                        			
                        		
	                     		
			                       	
			                       	
	                     		
		                        
                        	
		                        
		                        
		                        
		                        
                        		
                        	
		                        
		                        
		                        
		                        
                        		
                        		
                        		
                        			
                        			
		                       		
		                       		
		                       		
		                       			
		                        			
		                        				
		                        				 
		                        			
		                       			
		                       			
		                       			
		                       				目
		                       		
		                       		
		                        		
			                            	【목目】 처음에, 좌웅左雄이 주거周擧를 천거하여 상서尙書로 삼았다. 이때 좌웅이 사례교위司隷校尉가 되어 풍직馮直을 장수가 될 만하다고 천거하였는데, 풍직이 일찍이 장물죄에 걸려 죄罪를 받은 적이 있으므로 주거가 이를 들어 좌웅을 탄핵하여 아뢰었다. 
			                             
									
                        			
                        			
                        		
	                     		
			                       	
			                       	
	                     		
		                        
                        	
		                        
		                        
		                        
		                        
                        		
                        	
		                        
		                        
		                        
		                        
                        		
                        		
                        		
                        			
                        			
		                       		
		                       		
		                       		
		                       		
		                        		
			                            	이에 좌웅이 말하기를 “조서詔書에서는 무예에 능하고 용맹한 자를 선발하게 한 것이지, 청렴하고 고상한 자를 선발하게 한 것이 아니다.” 하자, 주거가 “조서詔書에서는 군君으로 하여금 무예에 능하고 용맹한 자를 선발하게 한 것이지, 군君으로 하여금 탐욕스럽고 더러운 자를 선발하게 한 것이 아닙니다.” 하였다. 
			                             
									
                        			
                        			
                        		
	                     		
			                       	
			                       	
	                     		
		                        
                        	
		                        
		                        
		                        
		                        
                        		
                        	
		                        
		                        
		                        
		                        
                        		
                        		
                        		
                        			
                        			
		                       		
		                       		
		                       		
		                       		
		                        		
			                            	좌웅이 말하기를 “내가 그대를 등용한 것은 바로 나를 해롭게 한 것이다.” 하니, 주거가 말하기를 “옛날에 조선자趙宣子가 한궐韓厥을 신임하여 사마司馬를 삼았는데, 한궐이 조선자의 종을 죽이자 조선자가 여러 대부大夫들에게 이르기를 ‘나에게 축하할 만한 일이다.’ 하였습니다. 
			                             
									
                        			
                        			
                        		
	                     		
			                       	
			                       	
	                     		
		                        
                        	
		                        
		                        
		                        
		                        
                        		
                        	
		                        
		                        
		                        
		                        
                        		
                        		
                        		
                        			
                        			
		                       		
		                       		
		                       		
		                       		
		                        		
			                            	지금 군君이 저를 재주가 없다고 여기지 아니하여 잘못 조정에 올리셨으니, 제가 감히 군君에게 아첨하여 군君의 수치가 될 수 없었습니다. 그런데 군君의 뜻이 조선자와 다를 줄은 깨닫지 못했습니다.” 하였다. 
			                             
									
                        			
                        			
                        		
	                     		
			                       	
			                       	
	                     		
		                        
                        	
		                        
		                        
		                        
		                        
                        		
                        	
		                        
		                        
		                        
		                        
                        		
                        		
                        		
                        			
                        			
		                       		
		                       		
		                       		
		                       		
		                        		
			                            	좌웅이 기뻐하면서 사죄하기를 “이는 나의 잘못이다.” 하니, 천하天下 사람들이 이 때문에 더욱 그를 어질게 여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