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資治通鑑綱目(14)

자치통감강목(1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자치통감강목(1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四年이라
趙光初十二 後趙太和二年이라
◑是歲 趙亡하니 大一小二하여 凡三僭國이라
春正月 殺右衛將軍劉超 侍中鍾雅하다
逼居民하여 聚之後苑하고 使其將匡術守之러니 至是하여 光禄大夫陸曄 及弟玩 説術하여 以苑城附於西軍하니 百官 皆赴之
鍾雅謀奉帝하여 出赴西軍이러니 事泄이라 蘇逸 使任讓將兵入宫하여 收超, 雅하니 帝抱持悲泣曰 還我侍中, 右衛하라 奪而殺之하다
冠軍將軍趙胤 攻拔歷陽하니 奔後趙하다
◑趙太子熙奔上邽하니 後趙取長安하다
趙太子熙 與南陽王胤으로 謀保秦州어늘 尙書胡勲曰 今雖喪君이나 境土尙完하고 將士不叛하니 當并力拒之 力不能拒어든 走未晚也리이다
胤以爲沮衆이라하여 斬之하고 遂奔上邽하니 關中 大亂이라
蔣英 擁衆數十萬하여 據長安하고 遣使降於後趙하니 石生 帥衆赴之하다
諸軍 攻石頭할새 建威長史滕含 大破其兵하여 獲蘇逸, 韓晃하여 斬之하고
含部將曹據 抱帝하여 奔温嶠船하니 群臣 見帝 頓首號泣請罪하고 殺西陽王羕하다
陶侃 與任讓有舊하여 爲請其死注+爲, 去聲.한대 帝曰 是殺吾侍中右衛者 不可赦也라하고 乃殺之하다
司徒導入石頭하여 令取故節注+導自討王敦時, 假節, 其自石頭出奔也, 棄之.한대 笑曰 蘇武節 似不如是라하니 導有慙色注+導爲侃所譏, 自愧其失節.이러라
宫闕 灰燼이라 欲遷都豫章하여 三吳之豪 請都會稽어늘 導曰
孫仲謀, 劉玄徳 俱言建康王者之宅이니이다 古之帝王 不必以豐儉移都하니 茍務本節用이면 何憂凋弊리오 若農事不修하면 則樂土爲墟矣리라
且北寇游魂 伺我之隙注+游魂, 言其游散也.하니 一日示弱하여 竄於蠻越이면 求之望實 懼非良計注+望, 聞望․外望也, 實, 實事也, 謂望實皆不可. 今特宜鎮之以静이면 群情 自安이라하니
由是 不復徙都하고 而以翜爲丹楊尹한대 收集散亡하니 京邑 遂安하다
論平蘇峻功하여 侃, 鑒, 嶠以下 封拜有差하고 諡卞壼曰忠貞이라하고 其二子眕, 盱及桓彝, 劉超, 鍾雅, 羊曼, 陶瞻 皆加贈諡하다
路永, 匡術, 賈寧 皆峻黨으로 先歸朝廷이러니 司徒導欲賞之한대 嶠曰
永等 首爲亂階하니 晚雖改悟 未足贖罪 得全首領 爲幸多矣라하니 乃止하다
以江陵偏遠이라하여 移鎮巴陵注+江陵偏在江北, 又遠建康. 武帝太康元年, 立巴陵縣, 屬長沙郡, 後置建昌郡.하다 朝議欲留嶠輔政이어늘
嶠以導先帝所任이라하여 固辭하고 又以京邑荒殘이라하여 留資蓄하고 具器用하고 而後還藩하다
庾亮 泥首謝罪하고 欲闔門投竄山海어늘 帝手詔慰諭曰 此 社稷之難이니 非舅之責也니라
乃求外鎮自效하니 遂以爲豫州刺史하여 出鎮蕪湖하다
侃之討峻也 獨湘州刺史卞敦 擁兵不赴하고 又不給軍糧이라
奏請檻車收付廷尉한대 司徒導以喪亂之後 宜加寛宥라하여 乃以敦爲廣州刺史하니 憂愧而卒하다
司馬公曰
庾亮 以外戚輔政하여 首發禍機하여 國破君危 竄身茍免하고 卞敦 位列方鎮하여 兵糧俱足이로되 朝廷傾覆 坐觀勝負하니 人臣之罪 孰大於此리오
既不能明正典刑하고 又以寵禄報之하니 晉室無政 亦可知矣 任是責者 豈非王導乎
夏四月 驃騎將軍始安公温嶠卒하니 以劉胤爲江州刺史하다
嶠卒하니 時年 四十二 諡曰忠武라하다
嶠軍司也 陶侃, 郗鑒 皆言胤非方伯才로되 王導不從이어늘
或謂導子悦曰 自江陵으로 至於建康 三千餘里 流民 萬計 國之南藩이요 要害之地어늘 而胤以汰侈 卧而對之하니 不有外變이면 必有内患矣注+汰, 音太, 奢也.리라
秋八月 後趙石虎攻拔上邽하여 殺趙太子熙하고 遂取秦, 隴하다
趙南陽王胤 帥衆數萬하고 自上邽趣長安하니 隴東戎, 夏皆應之注+魏收地形志有隴東郡, 領涇陽․祖厲․撫夷三縣. 蓋後趙分安定置也.
石生 嬰城自守어늘 虎救之하여 大破趙兵하고 乗勝追撃하여 枕尸千里하다
上邽潰하니 虎執趙太子熙 及胤以下三千餘人하여 皆殺之하고 徙其臺省文武 關東流民 秦, 雍大族於襄國하니 秦, 隴 悉平하다
蒲洪, 姚弋仲 俱降於虎어늘 虎表洪監六夷軍事하고 弋仲爲六夷左都督하고 徙氐, 羌十五萬落於司, 冀州하다
冬十二月 將軍郭默 殺劉胤하다
矜豪縱酒하여 不卹政事하다 郭默 被徵爲右軍將軍하여 求資於胤이로되 不得注+默蓋自平蘇峻, 還至尋陽而被徵也.이라
有司奏朝廷空竭하고 百官無禄하여 惟資江州運漕어늘 而胤 商旅繼路하여 以私廢公하니 免胤官하노이다
方自申理러니 遂誣胤以大逆하여 襲斬之하고 傳首京師하다
招引譙國内史桓宣하니 固守不從注+宣自去年歸溫嶠, 屯於武昌.이라 太尉侃 上宣爲武昌太守注+上, 時掌切, 上言於天臺也.하다
代王紇那 出奔宇文部하니 翳槐立하다
翳槐 鬱律之子也
殺河南王吐延하다
河南王吐延 爲羌酋所殺하니 其子葉延하여 保於白蘭하다
葉延 孝而好學하여 以爲禮 公孫之子 得以王父字爲氏라하여 乃自號其國曰吐谷渾이라하다


[] 진주晉主(동진東晉) 현종顯宗 성황제成皇帝 함화咸和 4년이다.
[] 조주趙主(전조前趙) 유요劉曜 광초光初 12년이고, 후조後趙 고조高祖 석륵石勒 태화太和 2년이다.
이해에 나라가 멸망하니, 큰 나라(후조後趙)가 하나이고 작은 나라(성한成漢전량前涼)가 둘로, 합하여 참국僭國이 셋이다.
[] 봄 정월에 소일蘇逸우위장군右衛將軍 유초劉超시중侍中 종아鍾雅를 죽였다.
[] 처음에 소준蘇峻은 거주하는 백성들을 핍박하여 후원後苑에 모아놓고 그의 장수 광술匡術로 하여금 지키게 하였다. 이때에 이르러 광록대부光禄大夫 육엽陸曄과 그의 아우 육완陸玩이 광술을 설득하여 원성苑城을 가지고 서군西軍에 귀의하게 하니, 백관百官도 모두 육엽 등에게 달려갔다.
종아鍾雅가 황제( 성제成帝)를 받들어 성을 빠져나가 서군에게 갈 것을 모의하였는데, 이 일이 누설되었다. 소일蘇逸임양任讓으로 하여금 군대를 거느리고 궁중으로 들어가서 유초劉超와 종아를 체포하게 하니, 황제가 이들을 껴안고서 슬피 울며 말하기를 “나의 시중侍中우위장군右衛將軍을 돌려달라.” 하였다. 그러나 임양은 황제에게서 이들을 빼앗아 죽였다.
[] 〈나라(동진東晉)〉 관군장군冠軍將軍 조윤趙胤역양歷陽을 공격하여 함락하니, 조약祖約후조後趙로 달아났다.
[] 나라(전조前趙) 태자太子 유희劉熙상규上邽로 달아나니, 후조後趙장안長安을 점령하였다.
[] 나라 태자太子 유희劉熙남양왕南陽王 유윤劉胤과 함께 진주秦州를 지킬 것을 모의하였는데, 상서尙書 호훈胡勲이 말하기를 “지금 비록 군주를 잃었으나 영토가 아직 완전하고 장병들이 배반하지 않고 있으니, 마땅히 힘을 합쳐 막아야 합니다. 힘으로 막을 수 없으면 그때 달아나도 늦지 않습니다.” 하였다.
유윤은 호훈이 사기士氣저상沮喪시킨다 하여 그를 참수하고 마침내 상규上邽로 달아났다. 이에 관중關中(장안長安)이 크게 혼란하였다.
장영蔣英이 수십만의 병력을 보유하고 장안을 점거하고서 사자를 보내어 후조後趙에 항복하니, 석생石生이 병력을 인솔하고 장안으로 달려갔다.
[] 2월에 제군諸軍소일蘇逸을 토벌하여 참수하고, 서양왕西陽王 사마양司馬羕도 참수하였다.
[] 제군諸軍석두성石頭城을 공격할 적에 건위장사建威長史 등함滕含소일蘇逸의 군대를 대파하여 소일과 한황韓晃을 사로잡아 참수하였다.
등함의 부장部將조거曹據( 성제成帝)가 황제를 안고서 온교温嶠의 배로 달려가니, 여러 신하들이 황제를 뵐 적에 머리를 조아리고 울부짖으며 죄를 청하였고, 〈아울러〉 서양왕西陽王 사마양司馬羕을 죽였다.
도간陶侃임양任讓과 옛 친분이 있어서 그를 위하여注+① 爲(위하다)는 去聲이다. 죽음을 면해줄 것을 청하자, 황제가 말하기를 “이 사람은 나의 시중侍中우위장군右衛將軍을 죽인 자이니, 용서할 수 없다.” 하고는, 마침내 그를 죽였다.
사도司徒 왕도王導가 석두성에 들어가서 명하여 자신의 옛날 부절符節을 가져오게 하자,注+② 王導는 王敦을 토벌할 때부터 符節을 갖고 있었는데, 石頭城을 나가 달아날 적에 이것을 버렸다. 도간이 웃으며 말하기를 “은 이와 같지 않을 듯합니다.” 하니, 왕도가 부끄러운 기색을 띠었다.注+③ 王導가 陶侃의 기롱을 받고서 자신이 그 符節을 잃은 것을 스스로 부끄러워한 것이다.
[] 저삽褚翜단양윤丹楊尹으로 삼았다.
[] 이때 궁궐이 불타 잿더미가 되었다. 온교温嶠예장豫章으로 천도하고자 하고, 삼오三吳 지역의 호걸들은 회계會稽에 도읍할 것을 청하자, 왕도王導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손중모孫仲謀(손권孫權)와 유현덕劉玄徳(유비劉備)이 모두 건강建康왕자王者의 거처라고 말하였습니다. 옛날 제왕들은 굳이 재정의 풍부하고 적음에 따라 도읍을 옮기지 않았으니, 만약 근본인 농업을 힘쓰고 비용을 절약한다면, 어찌 재정의 궁핍함을 근심하겠습니까. 만약 농사에 힘을 쓰지 않으면 좋은 땅도 폐허가 될 것입니다.
게다가 또 북쪽 오랑캐(후조後趙)의 떠도는 혼이注+① “游魂”은 북쪽 오랑캐들이 떠돌아다니고 흩어져 있음을 말한 것이다. 우리의 틈을 엿보고 있으니, 하루아침에 약한 모습을 보여서 만월蠻越(예장과 회계)로 달아나면, 명망과 실제를 얻는 데에 좋은 계책이 아닐 듯합니다.注+② 望은 聞望과 外望이고 實은 실제의 일이니, 명망과 실제가 모두 不可함을 말한 것이다. 지금은 오직 고요함으로 진무한다면 민심이 저절로 편안해질 것입니다.”
이로 말미암아 다시는 천도하려는 의논을 하지 않고, 저삽褚翜단양윤丹楊尹으로 삼았다. 저삽이 흩어지고 도망한 자들을 거두어 모으니, 경읍京邑이 마침내 편안하게 되었다.
[] 3월에 도간陶侃태위太尉로 삼고, 치감郗鑒사공司空으로 삼고, 온교温嶠표기장군驃騎將軍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로 삼고, 유량庾亮예주자사豫州刺史로 삼았다.
[] 소준蘇峻을 평정한 을 논하여 도간陶侃, 치감郗鑒, 온교温嶠 이하에게 차등을 두어 작위를 주고 관직을 제수하였으며, 변곤卞壼에게 충정忠貞이라는 시호를 내려주고 그의 두 아들인 변진卞眕, 변휴卞盱환이桓彝, 유초劉超, 종아鍾雅, 양만羊曼, 도첨陶瞻에게 모두 관직을 추증하고 시호를 내려주었다.
노영路永, 광술匡術, 가녕賈寧은 모두 소준의 도당徒黨이었는데, 솔선하여 조정에 귀의하였다. 사도司徒 왕도王導가 이들에게 상을 주려고 하자, 온교가 말하기를
“노영 등이 가장 먼저 의 단서를 만들었으니, 뒤늦게 비록 잘못을 고치고 깨달았다 해도 속죄할 수 없습니다. 몸을 보존하는 것도 매우 다행한 일입니다.” 하니, 마침내 중지하였다.
[] 도간陶侃강릉江陵이 외지고 멀다 하여 진영을 파릉巴陵으로 옮겼다.注+① 江陵은 강의 북쪽에 치우쳐 있고 또 도성인 建康과도 멀었다. 晉 武帝 太康 원년(280)에 巴陵縣을 세워서 長沙郡에 소속시켰는데, 뒤에 建昌郡을 설치하였다. 조정의 의논은 온교温嶠를 조정에 남겨두어 정사를 보필하게 하려 하였다.
그러나 온교는, 왕도王導선제先帝께서 임명한 사람이라 하여 굳이 사양하고, 또 경읍京邑이 황폐하다 해서 비축해둔 물자를 남겨두고 기물들만 구비한 다음 번진藩鎭(강주江州)으로 돌아갔다.
[] 유량庾亮이 머리를 땅에 박고 사죄하고는 온 집안을 멀고 외진 곳으로 귀양 보내달라고 하자, 황제는 직접 조서詔書를 써서 그를 위로하며 타이르기를 “이는 사직社稷의 변란이니, 외숙外叔의 책임이 아니다.” 하였다.
유량이 이에 밖의 번진藩鎭에서 스스로 을 바칠 것을 청하니, 마침내 그를 예주자사豫州刺史로 삼아서 경읍京邑을 나가 무호蕪湖에 진주하게 하였다.
[] 도간陶侃소준蘇峻을 토벌할 적에, 유독 상주자사湘州刺史 변돈卞敦이 병력을 보유하고 달려오지 않았고 또 군량을 공급하지도 않았다.
도간이 변돈을 함거檻車로 체포하여 정위廷尉에게 회부할 것을 주청하자, 사도司徒 왕도王導국가國家상란喪亂을 당한 뒤에는 마땅히 관용을 베풀어야 한다고 하여 마침내 변돈을 광주자사廣州刺史로 삼았다. 이에 변돈은 근심하고 부끄러워하다가 하였다.
[] 사마온공司馬溫公(사마광司馬光)이 다음과 같이 평하였다.
유량庾亮외척外戚으로 정사政事를 보필하면서 가장 먼저 의 기미를 일으켜 나라가 분열되고 군주가 위태로워졌는데도, 자신은 도망하여 구차하게 화를 면하였다. 또 변돈卞敦방진方鎮의 지위(상주자사湘州刺史)에 있으면서 병력과 군량이 모두 풍족하였는데도, 조정이 전복될 때에 가만히 앉아서 승부를 관망하기만 하였다. 신하의 죄가 무엇이 이보다 더 크겠는가.
법에 따라 공개적으로 처형하지 못하고 또 총록寵禄을 그에게 내려주었으니, 나라 황실에 정사가 없음을 또한 알 수 있다. 이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할 자가 어찌 왕도王導가 아니겠는가.”
[] 여름 4월에 표기장군驃騎將軍시안공始安公 온교温嶠하니, 유윤劉胤강주자사江州刺史로 삼았다.
[] 온교温嶠하니, 이때 나이가 42세였다. 시호諡號충무忠武라고 하였다.
유윤劉胤은 온교의 군사軍司였는데, 도간陶侃치감郗鑒이 모두 유윤이 방백方伯을 맡을 만한 인재가 아니라고 하였으나, 왕도王導는 그들의 말을 따르지 않았다.
혹자가 왕도의 아들 왕열王悅에게 이르기를 “강릉江陵에서 건강建康까지 3천여 리에 유민流民이 만 명으로 헤아려진다. 강주江州는 나라의 남쪽 울타리요 중요한 요해처要害處인데, 유윤은 지나치게注+① 汰는 音이 太이니, 지나침이다. 교만하고 방종한 태도로 누워서 상대하니, 외부에 변란이 있지 않으면 반드시 내부에 환란이 있을 것이다.” 하였다.
[] 가을 8월에 후조後趙 석호石虎상규上邽를 공격하여 함락해서 나라(전조前趙) 태자太子 유희劉熙를 죽이고 마침내 지역과 지역을 점령하였다.
[] 나라(전조前趙) 남양왕南陽王 유윤劉胤이 수만 명의 병력을 거느리고 상규上邽에서 장안長安으로 달려가니, 注+① 魏收의 ≪魏書≫ 〈地形志〉에 隴東郡이 있으니, 涇陽과 祖厲, 撫夷 3縣을 통솔한다. 이는 後趙가 安定郡을 나누어 설치한 것이다. 등의 오랑캐와 화하華夏 사람들이 모두 호응하였다.
석생石生이 직접 성벽에 올라 굳게 지키자, 석호石虎가 그를 구원하여 나라 군대를 대파하고 승세를 타고 추격하여 널린 시신이 천 리에 이어졌다.
상규上邽가 무너지자, 석호는 나라 태자 유희劉熙와 유윤 이하 3천여 명을 사로잡아 모두 죽이고, 대성臺省문무관文武官관동關東유민流民, 지역의 대족大族(명문 가문)을 양국襄國으로 옮기니, 지역과 지역이 모두 평정되었다.
포홍蒲洪요익중姚弋仲이 모두 석호에게 항복하자, 석호는 표문을 올려 포홍을 감육이군사監六夷軍事로, 요익중을 육이좌도독六夷左都督으로 삼았다. 저족氐族강족羌族 15만 부락을 사주司州기주冀州로 옮겼다.
[] 겨울 12월에 장군將軍 곽묵郭默유윤劉胤을 죽였다.
[] 유윤劉胤은 교만방자하게 호기를 부리고 지나치게 술을 마시면서 정사를 돌보지 않았다. 곽묵郭默이 조정의 부름을 받고 우군장군右軍將軍이 되어注+① 郭默이 蘇峻을 평정하고 尋陽에 돌아왔는데, 이때 조정의 부름을 받은 것이다. 유윤에게 물자를 청하였으나, 얻지 못하였다.
마침 유사有司가 아뢰기를 “조정은 재정이 텅 비고 백관들은 봉록이 없어서 오직 강주江州조운漕運에 의뢰하고 있는데, 유윤의 행상行商들은 끊임없이 길을 오가면서 사사로운 이익을 위하여 공적인 일을 폐하니, 유윤의 관직을 파면할 것을 청합니다.” 하였다.
유윤이 막 스스로 변명하려 하였는데, 곽묵이 마침내 유윤을 대역大逆으로 무함하고 기습하여 참수하고, 유윤의 수급首級경사京師로 보냈다.
곽묵이 초국내사譙國内史 환선桓宣을 불러들이려 하였는데, 환선은 한사코 그 명을 따르지 않았다.注+② 桓宣은 지난해 温嶠에게 귀의하여 武昌에 주둔하고 있었다. 태위太尉 도간陶侃상주上奏하여注+③ 上(올리다)은 時掌의 切이니, 황제에게 上言하는 것이다. 환선을 무창태수武昌太守로 삼았다.
[] 대왕代王 탁발흘나拓跋紇那우문부宇文部로 도망가니, 탁발예괴拓跋翳槐(탁발예괴)가 즉위하였다.
[] 탁발예괴拓跋翳槐탁발울률拓跋鬱律의 아들이다.
[] 강족羌族하남왕河南王 모용토연慕容吐延을 죽였다.
[] 하남왕河南王 모용토연慕容吐延강족羌族의 추장에게 살해당하니, 그 아들 모용섭연慕容葉延(모용섭연)이 즉위하여 백란白蘭을 지켰다.
모용섭연은 효성스럽고 학문을 좋아하여 말하기를 하고는, 마침내 스스로 자기 나라 이름을 토욕혼吐谷渾이라 하였다.


역주
역주1 諸軍……及西陽王羕 : “蘇逸에게 ‘討斬(토벌하여 참수했다)’이라고 쓰는 것은 마땅하지만, 司馬羕에게도 ‘及’이라고 쓴 것은 어째서인가. 사마양은 역적에게 귀의한 자이니, 그 토벌을 사양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사마양은 일찍이 弋陽縣王으로 降封되었는데, 여기서는 어찌하여 다시 ‘西陽王 司馬羕’이라고 썼는가. 거짓 封爵을 받았기 때문이니, 弋陽을 쓰지 않고 西陽을 쓴 것은 그가 역적에 귀의한 실제를 드러낸 것이다.[逸書討斬 宜矣 羕亦書及 何 羕附賊者也 有不得辭其討矣 羕嘗降封弋陽縣王矣 此則曷爲復書西陽王羕 受偽封也 不書弋陽 書西陽 著其附賊之實也]” ≪書法≫
“司馬羕은 배반한 자가 아닌데 어찌하여 蘇逸을 참수한 아래에 ‘及’이라고 썼는가. 程頥子(程伊川)가 ≪春秋≫에 序文을 쓰면서 ‘≪춘추≫의 經文을 斷(죄를 판결한 主文)이라 하고, 傳을 案(죄를 밝히는 문서)이다.’라고 하였으니, 지금 ≪資治通鑑綱目≫에서 사마양의 일을 쓴 것이 이와 같다. 分注(目)를 가지고 참고해보면, 蘇峻이 臺城으로 들어갔을 때에 사마양이 소준에게 찾아가서 그의 공덕을 칭찬하자, 소준이 사마양을 다시 太宰 西陽王으로 삼았다. 이는 사마양이 역적에게 고개를 숙이고 아첨하여 그 거짓 명령을 받은 것이니, 그 죄가 이미 이루 誅罰할 수 없을 정도로 큰 것이다. 그러므로 그 書法이 이와 같으니, 이는 綱을 斷으로 삼고 分注(目)를 案으로 삼은 것이다.[羕非反者 何以於斬逸之下而書及哉 程頥子序春秋 謂經爲斷 傳爲案 今綱目所書羕事如此 以分注考之 當峻入臺城之時 羕詣峻 稱述功徳 峻復以羕爲太宰西陽王 則是羕俯首媚賊 受其偽命 其罪已不可勝誅矣 故其書法如此 此以綱爲斷 分注爲案也]” ≪發明≫
역주2 蘇武의 符節 : 소무가 흉노로 사신 갈 때에 갖고 갔던 부절로, 忠臣의 典故로 쓰인다. 漢 武帝 때 中郎將 소무가 흉노에 사신 가자, 흉노가 그에게 항복을 요구하였으나, 소무는 절개를 굽히지 않고 부절을 지닌 채 19년 동안 北海에 억류되었다가 백발이 되어서야 돌아왔다.
역주3 以褚翜爲丹楊尹 : “이것(爲丹楊尹)을 쓴 것은 人才를 기록한 것이다. 西漢의 시대에 ‘爲京兆尹(京兆尹으로 삼았다.)’이라고 쓴 것이 8번인데, 이는 黄霸로부터 시작되었는바, 황패 외에는 모두 엄격하고 재능이 있는 자들이었다. 東漢 때에는 ‘爲河南尹(河南尹으로 삼았다.)’이라고 쓴 것이 3번인데 梁冀의 형제가 그중 둘을 차지하였고, 西晉 때에는 오직 夏侯和가 관직을 옮긴 것을 썼고, 東晉 때에는 ‘丹楊尹’을 쓴 것이 이때 처음 시작되었다. 晉나라 시대가 끝날 때까지 ‘丹楊尹’을 쓴 것이 3번이니(褚翜, 王坦之, 王雄), 인재를 얻기가 참으로 어렵지 않은가.[書 錄才也 西漢之世 書爲京兆尹八 自黄霸 霸外 皆嚴能者也 東漢書爲河南尹三 而梁冀兄弟居二焉 西晉 惟夏侯和 以徙官書 東晉 書丹楊尹始此 終晉世 書丹楊尹三(褚翜 王坦之 王雄) 才難不其然乎]” ≪書法≫
역주4 以陶侃爲大尉……庾亮爲豫州刺史 : “庾亮을 豫州刺史로 삼은 것은 내친 것인데, 내쳤다고 쓰지 않은 것은 어째서인가. 유량의 죄가 여기에 그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상을 받고 승진한 자들과 나란히 ‘以’라고 썼으니 晉나라에 법도가 없음이 무엇이 이보다 더 심하겠는가.[亮爲豫州 黜也 不書黜 何 亮之罪不止是也 故與遷賞者竝書以 晉之無章 孰甚焉]” ≪書法≫
“庾亮은 社稷을 전복하였으니 죽어도 속죄할 수가 없는데, 蘇峻이 주살을 당하고 나서 다시 높은 지위에 있었다. 유량이 비록 머리를 땅에 박고 사죄하였으나, 이는 조정에서 반드시 자기에게 주살을 가하지 않을 것을 스스로 알았기 때문에 짐짓 이러한 행동을 취하여 여러 사람을 속인 것이다. 이 때문에 分注(目)에서 그 위에 유량이 자신의 심정을 토로한 말을 외면하여 모두 삭제하고 기록하지 않았으니, 이는 바로 그 마음을 주벌하고 그 거짓말을 삭제한 것이다. 그렇다면 陶侃과 郗鑒, 温嶠를 封한 아래에 유량을 豫州刺史로 삼았다고 쓴 것은, 晉나라의 권세와 기강이 거행되지 못하여, 유량이 영화를 탐하여 염치가 없는데도 조정에 있는 公卿과 의논하는 신하들 중에도 능히 유량의 죄를 말한 자가 없었던 것이니, 그 잘못이 모두 말하지 않아도 저절로 드러난 것이다.[庾亮傾覆社稷 死不足贖 蘇峻既誅 復居大位 亮雖泥首謝罪 蓋亦自知朝廷必不加誅 姑爲是以欺衆耳 是以分注於其上 疏自陳之語 皆削不錄 正所以誅其心而刪其偽辭也 然則書亮爲豫州刺史於封侃․鑑․嶠之下 則晉之權綱不舉 亮之貪榮無恥 而在廷公卿議臣 亦無有能言其罪者 其失 皆不言自見矣]” ≪發明≫
역주5 隴東郡 등 : 원문은 ‘隴東’이다. ≪資治通鑑≫에는 隴東․安定․新平․北地․扶風․始平 등이 郡으로 되어 있다.
역주6 (詔)[請] : 저본에는 ‘詔’로 되어 있으나, ≪資治通鑑≫에 의거하여 ‘請’으로 바로잡았다.
역주7 禮에……삼았다 : ≪儀禮≫ 〈喪服〉의 傳에 “제후의 아들은 公子라 칭하는데, 공자는 禰廟를 세워서 선군을 제사 지내지 못한다. 공자의 아들은 公孫이라고 칭하는데, 공손은 祖廟를 세워서 제후를 제사 지내지 못한다.[諸侯之子稱公子 公子不得禰先君 公子之子稱公孫 公孫不得祖諸侯]”라는 말이 나온다.

자치통감강목(14) 책은 2021.11.1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