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
		                       		
		                        
		                        	
		                        		
		                            	曹操討張繡하여 軍于淯水한대 繡擧衆降이러니 操納張濟之妻하니 繡恨之하여 襲擊操軍하고 殺操長子昂하니 操中流矢하여 敗走하다
		                            	 
									
                        			
                        			
                        		
	                     		
			                       	
			                       	
	                     		
	                     		
		                        
                        	
                        	
                        	
                        	
                        		
                        		
                        		
                        			
                        			
		                       		
		                       		
		                       		
		                        
		                        	
		                        		
		                            	諸軍이 大亂호되 平虜校尉于禁이 獨整衆而還이러니 道逢靑州兵이 劫掠人하고 禁이 數其罪而擊之하다
		                            	 
									
                        			
                        			
                        		
	                     		
			                       	
			                       	
	                     		
	                     		
		                        
                        	
                        	
                        	
                        	
                        		
                        		
                        		
                        			
                        			
		                       		
		                       		
		                       		
		                        
		                        	
		                        		
		                            	靑州兵이 走詣操하다 禁旣至하여 先立營壘하고 不時謁이러니 或이 謂禁호되 宜促詣公辨之하라한대
		                            	 
									
                        			
                        			
                        		
	                     		
			                       	
			                       	
	                     		
	                     		
		                        
                        	
                        	
                        	
                        	
                        		
                        		
                        		
                        			
                        			
		                       		
		                       		
		                       		
		                        
		                        	
		                        		
		                            	禁曰 今賊在後하니 追至無時라 不先爲備하면 何以待敵이리오하고 徐鑿塹安營訖에 乃入謁하고 具陳其狀하다
		                            	 
									
                        			
                        			
                        		
	                     		
			                       	
			                       	
	                     		
	                     		
		                        
                        	
                        	
                        	
                        	
                        		
                        		
                        		
                        			
                        			
		                       		
		                       		
		                       		
		                        
		                        	
		                        		
		                            	操曰 淯水之難
에 吾猶狼狽
어늘 將軍
이 在亂能整
하여 討暴堅壘
하니 有不可動之節
注+討暴, 謂擊劫掠者. 堅壘, 謂先鑿塹安營也.이라 
									
                        			
                        			
                        		
	                     		
			                       	
			                       	
	                     		
	                     		
		                        
                        	
                        	
                        	
                        	
                        		
                        		
                        		
                        			
                        			
		                       		
		                       		
		                       		
		                        
		                        	
		                        		
		                            	雖古名將이라도 何以加之리오하고 於是에 封益壽亭侯하다
		                            	 
									
                        			
                        			
                        		
	                     		
			                       	
			                       	
	                     		
	                     		
		                        
                        	
                        	
                        	
                        	
                        		
                        		
                        		
                        			
                        			
		                       		
		                       		
		                       		
		                       			
		                        			
		                        				
		                        				 
		                        			
		                       			
		                       			
		                       			
		                       				目
		                       		
		                        
		                        	
		                        		
		                            	袁紹與操書에 辭語驕慢하니 操謂荀彧, 郭嘉曰 今將討不義而力不敵하니 何如오
		                            	 
									
                        			
                        			
                        		
	                     		
			                       	
			                       	
	                     		
	                     		
		                        
                        	
                        	
                        	
                        	
                        		
                        		
                        		
                        			
                        			
		                       		
		                       		
		                       		
		                        
		                        	
		                        		
		                            	對曰 劉, 項之不敵은 公所知也라 今紹有十敗하고 公有十勝하니 紹雖彊이나 無能爲也라
		                            	 
									
                        			
                        			
                        		
	                     		
			                       	
			                       	
	                     		
	                     		
		                        
                        	
                        	
                        	
                        	
                        		
                        		
                        		
                        			
                        			
		                       		
		                       		
		                       		
		                        
		                        	
		                        		
		                            	紹
는 繁禮多儀
하고 公
은 體任自然
하니 此
는 道勝也
니이다 紹
는 以逆動
하고 公
은 奉順以率天下
하니 此
는 義勝也
注+奉天子以率天下, 於理爲順.니이다 
									
                        			
                        			
                        		
	                     		
			                       	
			                       	
	                     		
	                     		
		                        
                        	
                        	
                        	
                        	
                        		
                        		
                        		
                        			
                        			
		                       		
		                       		
		                       		
		                        
		                        	
		                        		
		                            	桓靈以來
로 政失於寬
이어늘 紹
는 以寬濟寬故
로 不攝
注+攝, 整也.하고 公
은 糾之以猛
하여 而上下知制
하니 此
는 治勝也
니이다 
									
                        			
                        			
                        		
	                     		
			                       	
			                       	
	                     		
	                     		
		                        
                        	
                        	
                        	
                        	
                        		
                        		
                        		
                        			
                        			
		                       		
		                       		
		                       		
		                        
		                        	
		                        		
		                            	紹는 外寬內忌하고 用人而疑之하여 所任이 唯親戚子弟요 公은 外易簡而內機明하여 用人無疑하고 唯才所宜하여 不間遠近하니
		                            	 
									
                        			
                        			
                        		
	                     		
			                       	
			                       	
	                     		
	                     		
		                        
                        	
                        	
                        	
                        	
                        		
                        		
                        		
                        			
                        			
		                       		
		                       		
		                       		
		                        
		                        	
		                        		
		                            	此는 度勝也니이다 紹는 多謀少決하여 失在後事하고 公은 得策輒行하여 應變無窮하니 此는 謀勝也니이다
		                            	 
									
                        			
                        			
                        		
	                     		
			                       	
			                       	
	                     		
	                     		
		                        
                        	
                        	
                        	
                        	
                        		
                        		
                        		
                        			
                        			
		                       		
		                       		
		                       		
		                       			
		                        			
		                        				
		                        				 
		                        			
		                       			
		                       			
		                       			
		                       				目
		                       		
		                        
		                        	
		                        		
		                            	紹는 高議揖遜하여 以收名譽하니 士之好言飾外者 多歸之하고
		                            	 
									
                        			
                        			
                        		
	                     		
			                       	
			                       	
	                     		
	                     		
		                        
                        	
                        	
                        	
                        	
                        		
                        		
                        		
                        			
                        			
		                       		
		                       		
		                       		
		                        
		                        	
		                        		
		                            	公은 以至心待人하고 不爲虛美하여 士之忠正遠見而有實者 皆願爲用하니 此는 德勝也니이다
		                            	 
									
                        			
                        			
                        		
	                     		
			                       	
			                       	
	                     		
	                     		
		                        
                        	
                        	
                        	
                        	
                        		
                        		
                        		
                        			
                        			
		                       		
		                       		
		                       		
		                        
		                        	
		                        		
		                            	紹는 見人飢寒하면 恤念之하여 形於顔色이나 其所不見은 慮或不及하고
		                            	 
									
                        			
                        			
                        		
	                     		
			                       	
			                       	
	                     		
	                     		
		                        
                        	
                        	
                        	
                        	
                        		
                        		
                        		
                        			
                        			
		                       		
		                       		
		                       		
		                        
		                        	
		                        		
		                            	公은 於目前小事엔 時有所忽이나 至於大事하여는 與四海接하고
		                            	 
									
                        			
                        			
                        		
	                     		
			                       	
			                       	
	                     		
	                     		
		                        
                        	
                        	
                        	
                        	
                        		
                        		
                        		
                        			
                        			
		                       		
		                       		
		                       		
		                        
		                        	
		                        		
		                            	恩之所加에 皆過其望하며 雖所不見이라도 慮無不周하니 此는 仁勝也니이다
		                            	 
									
                        			
                        			
                        		
	                     		
			                       	
			                       	
	                     		
	                     		
		                        
                        	
                        	
                        	
                        	
                        		
                        		
                        		
                        			
                        			
		                       		
		                       		
		                       		
		                        
		                        	
		                        		
		                            	紹는 大臣爭權하여 讒言惑亂호되 公은 御下以道하여 浸潤不行하니 此는 明勝也니이다
		                            	 
									
                        			
                        			
                        		
	                     		
			                       	
			                       	
	                     		
	                     		
		                        
                        	
                        	
                        	
                        	
                        		
                        		
                        		
                        			
                        			
		                       		
		                       		
		                       		
		                        
		                        	
		                        		
		                            	紹는 是非不可知로되 公은 所是를 進之以禮하고 所不是를 正之以法하니 此는 文勝也니이다
		                            	 
									
                        			
                        			
                        		
	                     		
			                       	
			                       	
	                     		
	                     		
		                        
                        	
                        	
                        	
                        	
                        		
                        		
                        		
                        			
                        			
		                       		
		                       		
		                       		
		                        
		                        	
		                        		
		                            	紹는 好爲虛勢하여 不知兵要하고 公은 以少克衆하여 用兵如神하여 軍人恃之하고 敵人畏之하니 此는 武勝也니이다
		                            	 
									
                        			
                        			
                        		
	                     		
			                       	
			                       	
	                     		
	                     		
		                        
                        	
                        	
                        	
                        	
                        		
                        		
                        		
                        			
                        			
		                       		
		                       		
		                       		
		                       			
		                        			
		                        				
		                        				 
		                        			
		                       			
		                       			
		                       			
		                       				目
		                       		
		                        
		                        	
		                        		
		                            	操笑曰 如卿所言인댄 孤何德以堪之오 嘉又曰 紹方北擊公孫瓚하니 可因其遠征하여 東取呂布니
		                            	 
									
                        			
                        			
                        		
	                     		
			                       	
			                       	
	                     		
	                     		
		                        
                        	
                        	
                        	
                        	
                        		
                        		
                        		
                        			
                        			
		                       		
		                       		
		                       		
		                        
		                        	
		                        		
		                            	若紹爲寇하고 布爲之援이면 此深害也니이다 彧亦曰 不先取呂布면 河北을 未易圖也니이다
		                            	 
									
                        			
                        			
                        		
	                     		
			                       	
			                       	
	                     		
	                     		
		                        
                        	
                        	
                        	
                        	
                        		
                        		
                        		
                        			
                        			
		                       		
		                       		
		                       		
		                        
		                        	
		                        		
		                            	操曰 然하다 吾所惑者는 又恐紹侵擾關中하여 西亂羌, 胡하고 南誘蜀, 漢하면 是我獨以兗, 豫로 抗天下六分之五也니 爲將奈何오
		                            	 
									
                        			
                        			
                        		
	                     		
			                       	
			                       	
	                     		
	                     		
		                        
                        	
                        	
                        	
                        	
                        		
                        		
                        		
                        			
                        			
		                       		
		                       		
		                       		
		                        
		                        	
		                        		
		                            	彧曰 關中將帥以十數로되 莫能相一하고 唯韓遂, 馬騰이 最彊하니 今若撫以恩德하고 遣使連和하면
		                            	 
									
                        			
                        			
                        		
	                     		
			                       	
			                       	
	                     		
	                     		
		                        
                        	
                        	
                        	
                        	
                        		
                        		
                        		
                        			
                        			
		                       		
		                       		
		                       		
		                        
		                        	
		                        		
		                            	雖不能久安이나 比公安定山東엔 足以不動이라 侍中鍾繇有智謀하니 若屬以西事하면 公無憂矣리이다
		                            	 
									
                        			
                        			
                        		
	                     		
			                       	
			                       	
	                     		
	                     		
		                        
                        	
                        	
                        	
                        	
                        		
                        		
                        		
                        			
                        			
		                       		
		                       		
		                       		
		                        
		                        	
		                        		
		                            	操乃表繇以侍中守司隷校尉
하여 持節督關中諸軍
하고 特使不拘科制
注+使不拘泥科條制度, 得便宜從事.하다 
									
                        			
                        			
                        		
	                     		
			                       	
			                       	
	                     		
	                     		
		                        
                        	
                        	
                        	
                        	
                        		
                        		
                        		
                        			
                        			
		                       		
		                       		
		                       		
		                        
		                        	
		                        		
		                            	繇至長安하여 移書騰, 遂等하여 爲陳禍福하니 騰, 遂各遣子入侍하다
		                            	 
									
                        			
                        			
                        		
	                     		
			                       	
			                       	
	                     		
	                     		
		                        
                        	
                        	
                        	
                        	
                        		
                        		
                        		
                        			
                        			
		                       		
		                       		
		                       		
		                       			
		                        			
		                        				
		                        				 
		                        			
		                       			
		                       			
		                       			
		                       				目
		                       		
		                        
		                        	
		                        		
		                            	孫策이 聞之하고 與術書曰 湯, 武雖有聖德이나 假使時無失道면 無由逼而取也라
		                            	 
									
                        			
                        			
                        		
	                     		
			                       	
			                       	
	                     		
	                     		
		                        
                        	
                        	
                        	
                        	
                        		
                        		
                        		
                        			
                        			
		                       		
		                       		
		                       		
		                        
		                        	
		                        		
		                            	今主上이 非有惡於天下요 徒以幼小로 脅於强臣하니 異於湯, 武之時니이다
		                            	 
									
                        			
                        			
                        		
	                     		
			                       	
			                       	
	                     		
	                     		
		                        
                        	
                        	
                        	
                        	
                        		
                        		
                        		
                        			
                        			
		                       		
		                       		
		                       		
		                        
		                        	
		                        		
		                            	且董卓이 貪淫驕陵하여 志無紀極이나 至於廢主自興하여는 亦猶未也로되 而天下同心疾之어든
		                            	 
									
                        			
                        			
                        		
	                     		
			                       	
			                       	
	                     		
	                     		
		                        
                        	
                        	
                        	
                        	
                        		
                        		
                        		
                        			
                        			
		                       		
		                       		
		                       		
		                        
		                        	
		                        		
		                            	況效尤而甚焉者乎
注+效, 學. 尤, 過也. 左傳 “尤而效之, 罪又甚焉.”잇가 忠言逆耳
요 駁議致憎
이나 苟有益於尊明
이면 無所敢辭
注+駮議致憎, 言以持異議致憎疾也.니이다 
									
                        			
                        			
                        		
	                     		
			                       	
			                       	
	                     		
	                     		
		                        
                        	
                        	
                        	
                        	
                        		
                        		
                        		
                        			
                        			
		                       		
		                       		
		                       		
		                        
		                        	
		                        		
		                            	術이 始料策必與己合이러니 及得其書에 愁沮發疾이어늘 策이 遂絶之하다
		                            	 
									
                        			
                        			
                        		
	                     		
			                       	
			                       	
	                     		
	                     		
		                        
                        	
                        	
                        	
                        	
                        		
                        		
                        		
                        			
                        			
		                       		
		                       		
		                       		
		                       			
		                        			
		                        				
		                        				 
		                        			
		                       			
		                       			
		                       			
		                       				目
		                       		
		                       		
		                        		
			                            	【목目】 조조曹操가 장수張繡를 토벌할 적에 육수淯水에 군대를 주둔하였는데 장수가 군대를 이끌고 와서 항복하였다. 조조가 장제張濟의 처妻를 〈시침하는 희첩姬妾으로〉 맞아들이니, 장수가 원한을 품고서 조조의 군대를 습격하고 조조의 장자 조앙長子 曹昂을 죽이니, 조조는 유시流矢에 맞아 패하여 달아났다. 
			                             
									
                        			
                        			
                        		
	                     		
			                       	
			                       	
	                     		
		                        
                        	
		                        
		                        
		                        
		                        
                        		
                        	
		                        
		                        
		                        
		                        
                        		
                        		
                        		
                        			
                        			
		                       		
		                       		
		                       		
		                       		
		                        		
			                            	이때에 조조 휘하의 각 군軍이 크게 혼란하였는데, 평로교위 우금平虜校尉 于禁만이 홀로 군대를 정돈하여 돌아왔다. 우금은 길에서 사람들을 겁박하고 약탈하는 청주병靑州兵을 만나 그 죄를 낱낱이 열거하고 공격하였다. 
			                             
									
                        			
                        			
                        		
	                     		
			                       	
			                       	
	                     		
		                        
                        	
		                        
		                        
		                        
		                        
                        		
                        	
		                        
		                        
		                        
		                        
                        		
                        		
                        		
                        			
                        			
		                       		
		                       		
		                       		
		                       		
		                        		
			                            	청주병이 달아나 조조에게 가서 이를 고자질하였다. 우금은 진영에 도착한 다음 먼저 영루營壘를 세우느라 제때에 조조를 배알하지 못하였다. 어떤 이가 우금에게 이르기를 “마땅히 급히 조공曹公에게 가서 〈청주병을 공격한 일을〉 해명해야 합니다.” 하니, 
			                             
									
                        			
                        			
                        		
	                     		
			                       	
			                       	
	                     		
		                        
                        	
		                        
		                        
		                        
		                        
                        		
                        	
		                        
		                        
		                        
		                        
                        		
                        		
                        		
                        			
                        			
		                       		
		                       		
		                       		
		                       		
		                        		
			                            	우금이 말하기를 “지금 적들이 뒤에 있으니, 언제 추격해올지 모른다. 먼저 대비하지 않으면 어떻게 적들을 맞아 싸우겠는가.” 하고 서서히 참호塹壕를 파고 영루營壘를 안전하게 만든 뒤에 비로소 들어가 조조를 배알하고 전후의 상황을 갖추어 아뢰었다. 
			                             
									
                        			
                        			
                        		
	                     		
			                       	
			                       	
	                     		
		                        
                        	
		                        
		                        
		                        
		                        
                        		
                        	
		                        
		                        
		                        
		                        
                        		
                        		
                        		
                        			
                        			
		                       		
		                       		
		                       		
		                       		
		                        		
			                            	조조는 말하기를 “
육수淯水에서의 난리에 나도 오히려 
낭패狼狽하였는데, 장군이 혼란한 와중에서도 군대를 제대로 정비하여 포학한 무리를 토벌하고 
영루營壘를 안전하게 만들었으니, 동요시킬 수 없는 
기절氣節이 있다.
注+“토포討暴”는 사람들을 겁박하고 약탈하는 청주병을 공격한 것을 이른다. “견루堅壘”는 먼저 참호塹壕를 파고 영루營壘를 안전하게 만든 것을 이른다.  
									
                        			
                        			
                        		
	                     		
			                       	
			                       	
	                     		
		                        
                        	
		                        
		                        
		                        
		                        
                        		
                        	
		                        
		                        
		                        
		                        
                        		
                        		
                        		
                        			
                        			
		                       		
		                       		
		                       		
		                       		
		                        		
			                            	비록 옛날의 명장名將이라도 어찌 이보다 더하겠는가.” 하고 이에 익수정후益壽亭侯에 봉하였다.
			                             
									
                        			
                        			
                        		
	                     		
			                       	
			                       	
	                     		
		                        
                        	
		                        
		                        
		                        
		                        
                        		
                        	
		                        
		                        
		                        
		                        	
		                        	
		                        
		                        
                        		
                        		
                        		
                        			
                        			
		                       		
		                       		
		                       		
		                       			
		                        			
		                        				
		                        				 
		                        			
		                       			
		                       			
		                       			
		                       				目
		                       		
		                       		
		                        		
			                            	【목目】 원소袁紹가 조조曹操에게 편지를 보냈는데, 언사가 거만하고 무례하였다. 조조가 순욱荀彧과 곽가郭嘉에게 이르기를 “지금 의롭지 못한 원소를 토벌하고자 하는데 힘이 대등하지 못하니,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니, 
			                             
									
                        			
                        			
                        		
	                     		
			                       	
			                       	
	                     		
		                        
                        	
		                        
		                        
		                        
		                        
                        		
                        	
		                        
		                        
		                        
		                        
                        		
                        		
                        		
                        			
                        			
		                       		
		                       		
		                       		
		                       		
		                        		
			                            	두 사람이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유방劉邦과 항우項羽의 힘이 대등하지 못하였던 것은 공公께서도 아시는 바입니다. 지금 원소에게는 열 가지의 패배할 이유가 있고 공公에게는 열 가지의 이길 이유가 있으니, 원소가 비록 강하지만 아무 일도 해낼 수 없을 것입니다. 
			                             
									
                        			
                        			
                        		
	                     		
			                       	
			                       	
	                     		
		                        
                        	
		                        
		                        
		                        
		                        
                        		
                        	
		                        
		                        
		                        
		                        
                        		
                        		
                        		
                        			
                        			
		                       		
		                       		
		                       		
		                       		
		                        		
			                            	원소는 
예의禮儀가 번거로운데 
공公은 자연에 맡기니, 이는 
도道에 있어서 이긴 것입니다. 원소는 도리를 거슬려 행하는데 
공公은 순리를 받들어 천하를 통솔하니, 이는 
의義에 있어서 이긴 것입니다.
注+천자天子를 받들어 천하를 통솔함은 도리에 있어서 순順함이 되는 것이다.  
									
                        			
                        			
                        		
	                     		
			                       	
			                       	
	                     		
		                        
                        	
		                        
		                        
		                        
		                        
                        		
                        	
		                        
		                        
		                        
		                        
                        		
                        		
                        		
                        			
                        			
		                       		
		                       		
		                       		
		                       		
		                        		
			                            	환제桓帝와 
영제靈帝 이래로 정사가 너무 너그러워 잘못되었는데, 원소는 너그러움으로써 너그러움을 구제하기 때문에 정돈하지 못하는데
注+섭攝은 정제整齊함이다. 공公은 엄함으로써 바로잡아서 
상하上下가 제재할 줄을 아니, 이는 다스림에 있어서 이긴 것입니다. 
 
			                             
									
                        			
                        			
                        		
	                     		
			                       	
			                       	
	                     		
		                        
                        	
		                        
		                        
		                        
		                        
                        		
                        	
		                        
		                        
		                        
		                        
                        		
                        		
                        		
                        			
                        			
		                       		
		                       		
		                       		
		                       		
		                        		
			                            	원소는 겉으로는 너그러우나 속으로는 시기하고 사람을 쓰면서도 의심해서 임용한 자들은 오직 친척親戚과 자제子弟일 뿐인데, 공公은 겉으로는 너그럽고 소탈하면서도 속으로는 기지機智가 밝아서 사람을 씀에 의심함이 없고 오직 재주의 마땅함만을 살펴 원근遠近(친소親疏)을 따지지 않으니, 
			                             
									
                        			
                        			
                        		
	                     		
			                       	
			                       	
	                     		
		                        
                        	
		                        
		                        
		                        
		                        
                        		
                        	
		                        
		                        
		                        
		                        
                        		
                        		
                        		
                        			
                        			
		                       		
		                       		
		                       		
		                       		
		                        		
			                            	이는 도량度量에 있어서 이긴 것입니다. 원소는 계책이 많으나 결단력이 부족하여 일을 뒤늦게 처리하는 데 문제가 있는데 공公은 계책을 얻으면 즉시 행하여 변화에 대응해서 다함이 없으니, 이는 지모智謀에 있어서 이긴 것입니다.
			                             
									
                        			
                        			
                        		
	                     		
			                       	
			                       	
	                     		
		                        
                        	
		                        
		                        
		                        
		                        
                        		
                        	
		                        
		                        
		                        
		                        
                        		
                        		
                        		
                        			
                        			
		                       		
		                       		
		                       		
		                       			
		                        			
		                        				
		                        				 
		                        			
		                       			
		                       			
		                       			
		                       				目
		                       		
		                       		
		                        		
			                            	【목目】 원소袁紹는 의논이 고명하고 읍양揖讓하여 명예를 거두니 선비들 중에 말을 좋아하고 외면을 꾸미는 자들이 그에게 많이 귀의하는데 
			                             
									
                        			
                        			
                        		
	                     		
			                       	
			                       	
	                     		
		                        
                        	
		                        
		                        
		                        
		                        
                        		
                        	
		                        
		                        
		                        
		                        
                        		
                        		
                        		
                        			
                        			
		                       		
		                       		
		                       		
		                       		
		                        		
			                            	공公은 지극한 마음으로 사람들을 대하고 헛되이 찬미하지 않아서 충성스럽고 정직하며 원대한 식견과 실제 재주가 있는 선비들이 모두 쓰이기를 원하니, 이는 덕德에 있어서 이긴 것입니다. 
			                             
									
                        			
                        			
                        		
	                     		
			                       	
			                       	
	                     		
		                        
                        	
		                        
		                        
		                        
		                        
                        		
                        	
		                        
		                        
		                        
		                        
                        		
                        		
                        		
                        			
                        			
		                       		
		                       		
		                       		
		                       		
		                        		
			                            	원소는 굶주리고 추위에 떠는 사람을 보면 가엾게 여기고 염려하여 이러한 생각이 낯빛에 나타나지만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생각이 혹 미치지 못하는데 
			                             
									
                        			
                        			
                        		
	                     		
			                       	
			                       	
	                     		
		                        
                        	
		                        
		                        
		                        
		                        
                        		
                        	
		                        
		                        
		                        
		                        
                        		
                        		
                        		
                        			
                        			
		                       		
		                       		
		                       		
		                       		
		                        		
			                            	공公은 목전의 작은 일에 대해서는 때로 소홀히 하는 경우가 있으나 큰일에 이르러서는 사해四海와 서로 접하고 
			                             
									
                        			
                        			
                        		
	                     		
			                       	
			                       	
	                     		
		                        
                        	
		                        
		                        
		                        
		                        
                        		
                        	
		                        
		                        
		                        
		                        
                        		
                        		
                        		
                        			
                        			
		                       		
		                       		
		                       		
		                       		
		                        		
			                            	은혜가 베풀어지는 바에 모두 그 소망을 넘으며 비록 보이지 않는 것이라도 생각이 두루 미치지 않음이 없으니, 이는 인仁에 있어서 이긴 것입니다. 
			                             
									
                        			
                        			
                        		
	                     		
			                       	
			                       	
	                     		
		                        
                        	
		                        
		                        
		                        
		                        
                        		
                        	
		                        
		                        
		                        
		                        
                        		
                        		
                        		
                        			
                        			
		                       		
		                       		
		                       		
		                       		
		                        		
			                            	원소는 대신大臣들이 권력을 다투어서 참소하는 말로 미혹시키고 어지럽히는데 공公은 아랫사람을 도道로써 어거하여 서서히 젖어드는 참소가 행해지지 않으니, 이는 밝음에 있어서 이긴 것입니다. 
			                             
									
                        			
                        			
                        		
	                     		
			                       	
			                       	
	                     		
		                        
                        	
		                        
		                        
		                        
		                        
                        		
                        	
		                        
		                        
		                        
		                        
                        		
                        		
                        		
                        			
                        			
		                       		
		                       		
		                       		
		                       		
		                        		
			                            	원소는 옳고 그름을 알지 못하는데 공公은 옳게 여기는 사람은 예禮로써 올려주고 옳지 않다고 여기는 사람은 법法으로써 바로잡으니, 이는 문文에 있어서 이긴 것입니다. 
			                             
									
                        			
                        			
                        		
	                     		
			                       	
			                       	
	                     		
		                        
                        	
		                        
		                        
		                        
		                        
                        		
                        	
		                        
		                        
		                        
		                        
                        		
                        		
                        		
                        			
                        			
		                       		
		                       		
		                       		
		                       		
		                        		
			                            	원소는 허장성세를 좋아하여 용병用兵의 요점을 알지 못하는데 공公은 적은 병력으로 많은 적을 이겨서 용병술用兵術이 신神과 같아 장수와 군사들이 믿고 의지하며 적들이 두려워하니, 이는 무武에 있어서 이긴 것입니다.”
			                             
									
                        			
                        			
                        		
	                     		
			                       	
			                       	
	                     		
		                        
                        	
		                        
		                        
		                        
		                        
                        		
                        	
		                        
		                        
		                        
		                        
                        		
                        		
                        		
                        			
                        			
		                       		
		                       		
		                       		
		                       			
		                        			
		                        				
		                        				 
		                        			
		                       			
		                       			
		                       			
		                       				目
		                       		
		                       		
		                        		
			                            	【목目】 조조曹操가 웃으면서 말하기를 “경卿이 말한 바와 같다면 내가 무슨 덕德으로 이를 감당하겠는가.” 하였다. 곽가郭嘉가 또 말하기를 “원소袁紹가 지금 북쪽으로 공손찬公孫瓚을 공격하고 있으니, 그가 원정遠征하는 틈을 타 동쪽으로 가서 여포呂布를 공격해 취할 수 있습니다. 
			                             
									
                        			
                        			
                        		
	                     		
			                       	
			                       	
	                     		
		                        
                        	
		                        
		                        
		                        
		                        
                        		
                        	
		                        
		                        
		                        
		                        
                        		
                        		
                        		
                        			
                        			
		                       		
		                       		
		                       		
		                       		
		                        		
			                            	만약 원소가 우리를 침략하고 여포가 원소의 원조가 된다면 이는 큰 폐해가 될 것입니다.” 하자, 순욱荀彧이 또한 말하기를 “먼저 여포를 공격해 취하지 않으면 하북河北을 도모하기가 쉽지 않을 것입니다.” 하였다. 
			                             
									
                        			
                        			
                        		
	                     		
			                       	
			                       	
	                     		
		                        
                        	
		                        
		                        
		                        
		                        
                        		
                        	
		                        
		                        
		                        
		                        
                        		
                        		
                        		
                        			
                        			
		                       		
		                       		
		                       		
		                       		
		                        		
			                            	조조가 말하기를 “그러하다. 그러나 내가 의혹하는 바는 또 원소가 관중關中을 침범해 소요를 일으켜서 서쪽으로 강족羌族과 호족胡族과 연합해 난亂을 일으키고 남쪽으로 촉蜀과 한중漢中을 유인하여 결탁할까 두려운 것이다. 이렇게 되면 우리가 오직 연주兗州와 예주豫州만을 가지고 천하의 6분의 5에 대항하는 것이니, 장차 어찌해야 하겠는가?” 하니, 
			                             
									
                        			
                        			
                        		
	                     		
			                       	
			                       	
	                     		
		                        
                        	
		                        
		                        
		                        
		                        
                        		
                        	
		                        
		                        
		                        
		                        
                        		
                        		
                        		
                        			
                        			
		                       		
		                       		
		                       		
		                       		
		                        		
			                            	순욱이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관중關中의 장수가 열 명으로 헤아려지는데 서로 연합하여 하나가 될 수 없고, 오직 한수韓遂와 마등馬騰이 가장 강성하니 지금 만약 은덕恩德으로 안무安撫하고 사자使者를 보내어 연합하면 
			                             
									
                        			
                        			
                        		
	                     		
			                       	
			                       	
	                     		
		                        
                        	
		                        
		                        
		                        
		                        
                        		
                        	
		                        
		                        
		                        
		                        
                        		
                        		
                        		
                        			
                        			
		                       		
		                       		
		                       		
		                       		
		                        		
			                            	비록 오랫동안 평안할 수는 없으나 공公이 산동山東을 안정시킬 때까지는 움직이지 못하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시중 종요侍中 鍾繇가 지모智謀가 있으니, 만약 그에게 서쪽의 일을 맡기면 공公께서는 근심이 없을 것입니다.” 
			                             
									
                        			
                        			
                        		
	                     		
			                       	
			                       	
	                     		
		                        
                        	
		                        
		                        
		                        
		                        
                        		
                        	
		                        
		                        
		                        
		                        
                        		
                        		
                        		
                        			
                        			
		                       		
		                       		
		                       		
		                       		
		                        		
			                            	조조가 이에 
표문表文을 올려서 종요를 
시중 수사예교위侍中 守司隷校尉로 삼게 하여 
로 
관중關中의 각 
군軍을 감독하게 하고, 특별히 
과제科制(법조문과 제도)에 구애받지 않고 직무를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注+〈“특사불구과제特使不拘科制”는〉 종요鍾繇로 하여금 과조科條와 제도制度에 구애받지 않고 편의에 따라 종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요가 장안長安에 이르러 마등馬騰과 한수韓遂 등에게 공문公文을 보내어 화복禍福(이해利害)을 말해주니, 마등과 한수가 각각 아들을 보내어 입시入侍하게 하였다.
			                             
									
                        			
                        			
                        		
	                     		
			                       	
			                       	
	                     		
		                        
                        	
		                        
		                        
		                        
		                        
                        		
                        	
		                        
		                        
		                        
		                        	
		                        	
		                        
		                        
                        		
                        		
                        		
                        			
                        			
		                       		
		                       		
		                       		
		                       			
		                        			
		                        				
		                        				 
		                        			
		                       			
		                       			
		                       			
		                       				目
		                       		
		                       		
		                        		
			                            	【목目】 원술袁術이 처사 장범處士 張範을 초빙하자, 장범이 그 아우 장승張承을 보내어 사양하였다. 원술이 장승에게 이르기를 “내가 광대한 토지와 수많은 사민士民으로 재 환공齊 桓公의 복을 바라고 한 고조漢 高祖에게 자취를 견주고자 하니, 어떠한가?” 하자, 
			                             
									
                        			
                        			
                        		
	                     		
			                       	
			                       	
	                     		
		                        
                        	
		                        
		                        
		                        
		                        
                        		
                        	
		                        
		                        
		                        
		                        
                        		
                        		
                        		
                        			
                        			
		                       		
		                       		
		                       		
		                       		
		                        		
			                            	장승이 말하기를 “이는 덕德에 달려 있고 세력의 강함에 달려 있지 않습니다. 무릇 덕德으로써 천하 사람들이 바라는 바에 부응하면 비록 필부匹夫의 밑천을 가지고 패자霸者와 왕자王者의 공功을 일으키더라도 어려운 일이라고 할 수 없지만 
			                             
									
                        			
                        			
                        		
	                     		
			                       	
			                       	
	                     		
		                        
                        	
		                        
		                        
		                        
		                        
                        		
                        	
		                        
		                        
		                        
		                        
                        		
                        		
                        		
                        			
                        			
		                       		
		                       		
		                       		
		                       		
		                        		
			                            	만약 분수에 넘치게 참람하여 시세時勢를 어기면서 동動하면 이는 사람들이 버리는 바이니, 어느 누가 그로 하여금 흥성하게 하겠습니까.” 하니, 원술이 기뻐하지 않았다.
			                             
									
                        			
                        			
                        		
	                     		
			                       	
			                       	
	                     		
		                        
                        	
		                        
		                        
		                        
		                        
                        		
                        	
		                        
		                        
		                        
		                        
                        		
                        		
                        		
                        			
                        			
		                       		
		                       		
		                       		
		                       			
		                        			
		                        				
		                        				 
		                        			
		                       			
		                       			
		                       			
		                       				目
		                       		
		                       		
		                        		
			                            	【목目】 손책孫策이 이 소식을 듣고 원술袁術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보내었다. “탕왕湯王과 무왕武王이 비록 성덕聖德이 있었지만 만약 당시에 걸왕桀王과 주왕紂王이 도道를 잃음이 없었다면 걸왕과 주왕을 핍박하여 천하를 취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지금 주상主上께서는 천하에 악惡을 행함이 있는 것이 아니고, 다만 나이가 어려 강한 신하들에게 협박을 받으실 뿐이니, 탕왕湯王과 무왕武王의 때와 다릅니다. 
			                             
									
                        			
                        			
                        		
	                     		
			                       	
			                       	
	                     		
		                        
                        	
		                        
		                        
		                        
		                        
                        		
                        	
		                        
		                        
		                        
		                        
                        		
                        		
                        		
                        			
                        			
		                       		
		                       		
		                       		
		                       		
		                        		
			                            	또한 동탁董卓이 탐욕스럽고 음탕하며 교만하고 흉포하여 뜻에 한도가 없었으나 천자를 폐위하고 스스로 천자가 되는 짓은 또한 오히려 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도 천하 사람들이 한 마음으로 그를 미워하였습니다. 
			                             
									
                        			
                        			
                        		
	                     		
			                       	
			                       	
	                     		
		                        
                        	
		                        
		                        
		                        
		                        
                        		
                        	
		                        
		                        
		                        
		                        
                        		
                        		
                        		
                        			
                        			
		                       		
		                       		
		                       		
		                       		
		                        		
			                            	하물며 그의 잘못을 본받으면서 그보다 더 심한 짓을 하는 자는 더 말해 무엇하겠습니까.
注+효效는 배움이고 우尤는 허물(잘못)이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희공僖公 24년(B.C.636) 조에 “〈남의 잘못을〉 허물로 여기면서 그 허물을 본받는다면 죄罪가 더욱 심한 것이다.” 하였다. 충성스러운 말은 귀에 거슬리고 반박하는 의논은 증오를 초래하나 진실로 
존명尊明께 유익함이 있으면 감히 사양하지 않겠습니다.”
注+“박의치증駁議致憎”은 남과 다른 의논을 제기하여 증오憎惡와 질시疾視를 초래함을 말한다.  
									
                        			
                        			
                        		
	                     		
			                       	
			                       	
	                     		
		                        
                        	
		                        
		                        
		                        
		                        
                        		
                        	
		                        
		                        
		                        
		                        
                        		
                        		
                        		
                        			
                        			
		                       		
		                       		
		                       		
		                       		
		                        		
			                            	원술이 처음에는 손책이 반드시 자기와 뜻이 부합할 것이라고 생각하였는데 손책의 편지를 받고는 근심하고 기운이 꺾여 병이 나니, 손책이 마침내 원술과 절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