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資治通鑑綱目(5)

자치통감강목(5)

범례 |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자치통감강목(5)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庚寅年(B.C. 31)
二年이라
春正月 罷雍五畤及陳寶祠注+秦文公獲若石於陳倉北阪上, 祠之, 其神來, 常以夜光, 輝若流星, 從東南來, 集於祠城, 若雄雉其聲殷殷云, 野雞皆鳴以應之, 祠以一牢. 祠在陳倉縣, 寶而祠之. 故名曰陳寶. 若石, 質如石, 似肝也.하다
從匡衡之請也
始親祠南郊하고 減天下賦錢算四十注+本算百二十, 今減四十爲八十.하다
◑ 以渭城延陵亭部 爲初陵注+陵, 在扶風, 去長安六十二里.하다
◑ 三月 始祠后土於北郊하다
하다
車騎將軍嘉之女也
元帝傷母恭哀后居位日淺而遭霍氏之辜
選嘉女하여 以配太子하다
自爲太子時 以好色聞이러니 及卽位 皇太后 詔采良家女以備後宮하니 杜欽說王鳳曰
一娶九女 所以廣嗣重祖也注+陽數, 一三五七九. 九, 極陽數也. 天子一娶九女, 夏殷之制也. 擧求窈窕하고 不問華色 所以助德理內也 娣姪雖缺이나 不復補 所以養壽塞爭也注+媵女之內, 己之女弟則謂之娣, 兄弟之女則謂之姪. 塞, 絶也.
后妃有貞淑之行이면 則胤嗣有賢聖之君이요 制度有威儀之節이면 則人君有壽考之福이며 廢而不由 則女德不厭注+由, 用也, 從也. 女德不厭, 言好色之甚也.이요 女德不厭이면 則壽命不究於高年注+究, 竟也.이니이다
男子 五十 好色未衰하고 婦人 四十 容貌改前하니
以改前之容으로 侍於未衰之年이어늘 而不以禮爲制 則其原不可救하여
而後徠異態注+徠, 古文來字, 後徠, 謂後進者. 態, 態度也. 後徠異態 則正后自疑而支庶有間適之心注+間, 居莧切, 代也, 又離間也. 適, 讀曰嫡.이라
是以 晉獻納讒 申生蒙辜
今聖主富於春秋하여 未有適嗣하고 方鄕術入學하여 未親后妃之議注+鄕, 讀曰嚮.하니
將軍 宜因始初之隆하여 建九女之制하여 詳擇行義之家하고 求淑女之質이요 毋必有聲色技能하여 爲萬世大法注+聲色, 謂音聲及美色也.하라
夫少戒之在色하니 小卞之作 可爲寒心이라
唯將軍 常以爲憂注+卞, 音盤, 通作弁. 小卞, 小雅, 刺幽王廢后黜嫡之詩.하라
白之太后한대 太后以爲故事無有라하니 不能自立法度하여 循故事而已러라
大旱하다
◑ 匈奴呼韓邪單于死커늘 子復株累 若鞮單于立注+累, 力追切, 鞮, 丁奚切. 匈奴謂孝爲若鞮, 自呼韓邪降後, 與漢親密, 見漢帝謚常爲孝, 慕之, 至其子復株累單于以下, 皆稱若鞮.하다
呼韓邪 嬖呼衍王二女하니
長曰顓渠閼氏生二子하니 曰且莫車 次曰囊知牙斯注+且, 子餘切, 下同. 車, 昌遮切. 知, 音智. 少曰大閼氏生四子하니 曰雕陶莫皐 曰且麋胥 皆長於且莫車하다
呼韓邪欲立且莫車한대 顓渠閼氏曰 匈奴亂十年 今平定未久 且莫車年少하여 百姓未附하니 不如立雕陶莫皐니이다
大閼氏曰 舍貴立賤이면 后世必亂注+舍, 讀曰捨.이라한대 單于卒立雕陶莫皐하고 約令傳國與弟하다


경인년(B.C. 31)
[綱] 나라 효성황제孝成皇帝 건시建始 2년이다.
봄 정월에 옹현雍縣오치五畤진보사陳寶祠를 파하였다.注+나라 문공文公이 돌처럼 단단한 물건(약석若石)을 진창陳倉의 북쪽 언덕 위에서 얻고는 제사하자 그 이 왔는데, 항상 야광 때문에 유성처럼 빛났고, 동남쪽에서 와 사성祠城에 모였는데 수꿩과 같고 그 소리가 웅장하였다. 그러면 들의 야계野鷄(꿩)가 모두 울어서 이에 응하니, 한 마리 희생으로 이 에게 제사하였다. 사당이 진창현陳倉縣에 있으니, 보배로이 여겨 제사하였기 때문에 진보陳寶라 이름하였다. “약석若石”은 재질이 돌처럼 단단하고 〈형상이〉 과 비슷했다.
[目] 광형匡衡을 따른 것이다.
[綱] 처음으로 황제가 직접 남교南郊에서 〈천신天神에게〉 제사하고 注+본래의 산부算賦는 120이었는데, 지금 40을 줄여 80으로 만든 것이다.
[綱] 위성渭城에 있는 연릉정부延陵亭部초릉初陵(황제의 예비 )으로 만들었다.注+부풍扶風에 있으니, 장안長安과의 거리가 62리이다.
[綱] 3월에 처음으로 북교北郊에서 후토后土에게 제사하였다.
[綱] 황후皇后 허씨許氏를 세웠다.
[目] 황후皇后차기장군車騎將軍 허가許嘉의 딸이다.
원제元帝는 어머니 공애후恭哀后(허황후許皇后)가 황후로 있은 지가 얼마 되지 않았는데 곽씨霍氏의 시해를 만난 것을 서글퍼하였다.
그러므로 허가의 딸을 뽑아 태자太子의 배필로 삼았다.
[目] 태자太子로 있을 때부터 여색을 밝힌다고 소문이 났었는데, 즉위하자 황태후皇太后조령詔令을 내려 양가良家의 딸을 채택해서 후궁後宮에 대비하게 하니, 두흠杜欽왕봉王鳳을 다음과 같이 설득하였다.
에 한 번 장가들 적에 아홉 여자를 취함은 후사를 넓히고 선조先祖를 소중히 하려는 것이고,注+의 수는 1ㆍ3ㆍ5ㆍ7ㆍ9인데, 9는 의 수가 지극한 것이다. 요조숙녀를 널리 구하고 화려한 용색容色을 따지지 않음은 을 도와 왕실을 다스리기 위한 것이고, 제질娣姪이 결원이 생기더라도 다시 보충하지 않는 것은 군주를 잘 보양保養하여 수명을 연장하고 분쟁을 막기 위한 것입니다.注+잉첩 중에 자기의 여동생을 라 하고 형제(자매)의 딸을 (조카딸)이라 한다. 은 끊는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후비后妃가 정숙한 행실이 있으면 뒤를 잇는 태자[윤사胤嗣] 중에 어질고 성스러운 군주가 있게 되고, 제도에 위의威儀의 절도가 있으면 임금이 장수를 누리는 복이 있으며, 이것을 폐하고 따르지 않으면 여색을 지나치게 좋아하게 되고,注+은 씀이고 따른다는 뜻이다. “여덕불염女德不厭”은 여색을 좋아함이 심함을 말한 것이다. 여색을 지나치게 좋아하면 수명이 높은 나이에 이르지 못합니다.注+는 이른다는 뜻이다.
[目] 남자는 50세에도 여색을 좋아하는 마음이 줄어들지 않고, 부인은 40세에 용모가 예전과 달라집니다.
예전과 다른 용모를 가지고 노쇠하지 않은 나이의 남자를 모시게 되는데, 로써 제도를 삼지 않으면 그 근원을 구원할 수가 없습니다.
뒤에 들인 후궁은 용모가 빼어나니,注+고문古文자이니, “후래後徠”는 뒤에 나온 자(후궁)를 이른다. 는 태도이다. 후궁의 용모가 빼어나면 정후正后가 스스로 의심하고 지자支子서자庶子들이 적자嫡子를 대신하려는 마음을 갖게 됩니다.注+거현居莧이니 대신함이고 또 이간함이다. (맏아들)은 으로 읽는다.
지금 성주聖主께서 연세[춘추春秋]가 젊으시어 아직 적자嫡子가 있지 않으시고, 학문을 향하여 태학太學에 들어가셔서 후비后妃를 친히 맞이한다는 의논이 있지 않습니다.注+(향하다)은 으로 읽는다.
장군은 마땅히 즉위한 시초의 융성한 을 인하여 아홉 여자를 취하는 제도를 세워서 훌륭한 행실이 있는 가문을 잘 가리고 요조숙녀의 자질을 찾아야 할 것이요, 절대로 뛰어난 음악과 아름다운 음성과 미모와 재능만 있는 자를 구하지 말아서, 만세의 대법大法으로 삼아야 합니다.注+성색聲色”은 고운 음성과 아름다운 용모를 이른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소변小卞(소반)〉의 내용이 간담을 서늘하게 합니다.
부디 장군은 항상 이것을 근심하십시오.”注+(반)은 음이 이니, 과 통한다.
왕봉王鳳이 이것을 태후太后에게 아뢰자, 태후는 “고사故事에 이러한 일이 없다.” 하니, 왕봉은 스스로 법도를 세우지 못하여 고사故事를 따를 뿐이었다.
[綱] 여름에 크게 가물었다.
[綱] 흉노匈奴호한야선우呼韓邪單于(흉노의 제14대 선우)가 죽자, 아들 복주루약제선우復株累若鞮單于(제15대 선우)가 즉위하였다.注+력추力追이고, 정해丁奚이다. 흉노匈奴약제若鞮라 하니, 호한야呼韓邪나라에 항복한 뒤로부터 나라와 친밀해지니, 한제漢帝의 시호에 항상 자가 든 것을 보고는 이를 사모하였다. 그리하여 그의 아들 복주루선우復株累單于 이후로는 모두 약제若鞮라 칭하였다.
[目] 호한야선우呼韓邪單于호연왕呼衍王의 두 딸을 총애하였다.
장녀 전거연지顓渠閼氏가 두 아들을 낳으니 장남은 저막차且莫車이고 차남은 낭지아사囊知牙斯이며,注+자여子餘이니 아래도 같다. 창차昌遮이다. (지혜)는 음이 이다. 작은 딸 대연지大閼氏가 네 아들을 낳았는데 조요막고雕陶莫皐저미서且麋胥는 모두 저막차보다 나이가 많았다.
호한야선우가 저막차를 세우려 하자, 전거연지가 말하기를 “흉노가 10년 동안 혼란하다가 이제 평정을 되찾은 지 오래지 않고 또 저막차가 나이가 적어 백성들이 따르지 않으니, 조요막고를 세움만 못합니다.” 하였다.
대연지가 말하기를 “귀한 적자嫡子를 버리고 천한 의 아들을 세우면 후세에 반드시 혼란할 것입니다.”注+(버리다)는 로 읽는다.라 하자, 선우는 끝내 조요막고를 세우고 약속하여 나라를 아우 저막차에게 전해주게 하였다.


역주
역주1 천하의……줄였다 : 賦錢은 백성이 납부하는 세금이며, 算은 算賦로 漢代에 成人에게 징수하는 丁口稅였다. 《漢書》 〈高帝紀 上〉에 “4년(B.C. 203) 8월 처음으로 算賦를 시행하였다.[四年八月 初爲算賦]” 하였는데, 顔師古의 註에 “《漢儀註》에 ‘백성으로서 15세 이상으로부터 56세까지 算賦를 내게 하였는바, 사람마다 120錢을 1算으로 하여 무기고의 병기와 수레와 말을 수리하는 비용으로 삼았다.[民年十五以上 至五十六 出賦錢 人百二十爲一算 爲治庫馬兵車馬]” 하였다. 이외에도 商人과 手工業者, 高利貸金業者와 수레와 배에 부과한 算緡錢이 있었는바, 이 제도는 漢나라 武帝 元狩 4년(B.C. 119) 처음으로 시행되었다.
역주2 立皇后許氏 : “兩漢의 篇에 ‘아무 氏를 세워 皇后로 삼았다.’고 쓴 것이 일반적인 말인데, 여기에서 ‘皇后 許氏를 세웠다.’고 쓴 것은 어째서인가? 許氏는 許嘉의 딸이니, 許嘉는 許廣漢의 아우의 아들이다. 그래서 형제간의 차례가 다소 어긋나므로 그 글을 달리한 것이니, 그 글을 달리한 경우는 그 일을 특별하게 여긴 것이다. 兩漢 시대에 황후를 세울 적에 그 글을 달리 한 것이 5번인데, 모두 연고가 있는 자들이었다.[兩漢之篇 書立某氏爲皇后者 恒辭也 此其書曰立皇后許氏 何許氏 嘉女 嘉 廣漢弟子也 倫序亦少乖矣 故異其文 異其文者 異其事也 兩漢立后 異其文者五 皆有故者也]” 《書法》
역주3 天子가……제도이다 : 周나라는 天子는 12명의 여인을 거느리고 諸侯는 9명의 여인을 거느린다. 《三國志》 〈魏志 后妃傳序〉에 “《春秋說》에 ‘천자는 12명, 제후는 9명이다.[天子十二女 諸侯九女]’라 했다.” 하였다.
역주4 晉나라……것입니다 : 春秋시대 晉나라 獻公은 申生을 太子로 세웠었는데, 뒤에 얻은 驪姬의 참소하는 말을 듣고 신생을 죽게 하였으며 여러 公子들을 축출하였다가 큰 혼란에 빠졌다.
역주5 젊을 적에는……있으니 : 《論語》 〈季氏〉에 “君子가 세 가지 경계함이 있으니 소년기에는 血氣가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므로 경계함이 여색에 있다.[君子有三戒 少之時 血氣未定 戒之在色]”라는 孔子의 말이 보인다.
역주6 小卞은……詩이다 : 周나라 幽王의 太子인 宜臼가 폐출을 당하고 원망하여 지은 詩로, 유왕은 申后를 얻어 의구를 낳고 태자로 세웠는데, 뒤에 褒姒(포사)라는 여인을 얻고 그녀를 총애하여 아들 伯服을 낳자, 신후와 의구를 폐출하고 포사에게 빠져 국정이 크게 문란하였다. 신후의 오라비인 申侯가 犬戎을 끌어들여 유왕을 공격해서 죽이고 의구를 王으로 세우니, 이가 바로 平王인데, 이후 周나라는 국세가 크게 쇠퇴하여 다시는 제후들을 호령하지 못하였다.

자치통감강목(5)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