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資治通鑑綱目(1)

자치통감강목(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자치통감강목(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癸卯年(B.C. 258)
五十七年이라
伐趙하야 圍邯鄲하다
秦武安君이어늘 使王陵伐趙하야 攻邯鄲하야 少利注+少利, 謂兵頗失利也.하다
武安君 病愈어늘 欲使伐之한대
武安君曰 邯鄲 實未易攻也 且諸侯之救日至리니
雖勝於長平하나 然士卒死者過半이라
國內空이어늘 遠絶河山而爭人國都注+自秦而攻邯鄲, 有大河王屋‧太行諸山之阻. 橫度曰絶.라가 趙應其內하고 諸侯攻其外 破秦軍 必矣리이다
又使應侯請之호대 終辭不行이어늘
乃以王齕代陵하다
趙公子勝 如楚乞師이어늘 楚黃歇 帥師救趙하다
趙王 使平原君으로 求救於楚할새
約其門下文武備具者二十人與俱러니 得十九人하고 餘無可取者러니
毛遂自薦이어늘 平原君曰 夫賢士之處世 如錐處囊中이라 其末注+錐, 銳也, 又器如鑽. 囊, 袋也. 立, 卽便也. 見, 胡甸切.하나니
今先生 處勝門下 三年於此矣로대 未有所聞호니 先生 無所有也로이다 遂曰 臣 乃今日 請處囊中耳로리라
使臣으로 得蚤處囊中이면 乃脫穎而出이니 非特其末見而已注+脫, 吐活切, 突也. 頴, 錐鋩也. 言猶錐鋩銳上突然而出.니라
平原君 乃與之俱하야 至楚하야 與楚王言合從之利하야 久而不決이어늘
毛遂按劒歷階而上曰 從之利害 兩言而決耳注+兩言, 謂利與害也.어늘 今日出而言하야 日中不決 何也
怒叱之한대 遂按劒而前曰 王之所以叱遂者 以楚國之衆也어니와 今十步之內 不得恃楚國之衆也 王之命 懸於遂手하니이다
吾君 在前이어늘 叱者 何也
且遂聞湯 以七十里而王天下하시고 文王 以百里而臣諸侯
今楚地方五千里 持戟 百萬이니 此霸王之資也
白起 小豎子耳로대 率數萬之衆하야 一戰而擧鄢郢하고 再戰而燒夷陵하고 三戰而辱王之先人注+辱王之先人, 謂焚夷楚之陵廟也.하니 百世之怨이라
趙之所羞로대 而王 不知惡焉注+惡, 去聲.하니
合從者 爲楚 非爲趙也注+爲, 去聲.니라 王曰 唯唯라하야늘
乃與楚王으로 歃血定從而歸注+歃, 所甲切, 口含血也.하다
平原君曰 勝 不敢復相天下士矣注+相, 去聲, 視也.리라하고 因以毛遂 爲上客而楚 使春申君으로 將兵救趙하다
魏晉鄙帥師救趙할새 次于鄴이러니 公子無忌襲殺鄙하고 奪其軍以進하다
魏王 使晉鄙救趙注+晉, 姓也.러니 秦王 使謂魏曰 吾攻趙하야 旦暮且下 諸侯敢救者 必移兵先擊之호리라
魏王하야 止晉鄙壁鄴하고 又使新垣衍으로 入邯鄲說趙하야 欲共尊秦爲帝하야 以却其兵注+新垣, 複姓, 衍, 名也.이어늘
魯仲連 聞之하고 往見衍曰 彼秦者 棄禮義而上首功之國也注+上, 猶尙也. 首功, 以斬首爲功.
彼卽肆然而爲帝於天下 則連 有蹈東海而死耳언정 不願爲之民也注+肆然, 猶肆志也.하노라
且梁 未睹秦稱帝之害故耳注+梁, 卽魏也.니라
昔者 九侯鄂侯文王 紂之三公也注+括地志 “相州釜陽縣西南, 有九侯城.” 鄂, 音萼, 國名.
紂醢九侯어늘 鄂侯爭之彊이라
故脯鄂侯注+九侯有好女, 入之紂. 其女不憙淫, 紂怒殺之, 而醢九侯. 爭, 去聲. 脯, 音斧, 乾肉.하니
文王 聞之하시고 喟然而歎하신대 故拘之牖里之庫하야 欲令之死注+牖, 音酉, 本作羑. 地理志 “河內湯陰縣有羑里城.” 庫, 兵車藏也.하니
今秦梁萬乘之國하야 各有稱王之名하니 奈何 睹其一戰而勝하고 欲從而帝之하야 卒就脯醢之地乎
且秦 無已而帝 則將行其天子之禮하야 以號令天下하야 變易諸侯之大臣하야 奪其所憎而與其所愛하고
又使女子讒妾으로 爲諸侯妃姬하리니 梁王 安得晏然而已乎 而將軍 又何以得故寵乎이리오
起再拜曰 吾乃今 知先生 天下士也
吾請出하야 不敢復言帝秦矣리라
魏公子無忌愛人下士하야 致食客三千人注+下, 謂禮遇之.이러니
有隱士侯嬴 家貧하야 爲夷門監者注+嬴, 音盈, 又音. 夷門, 大梁城東門. 監, 抱關者.어늘
公子置酒大會하야 賓客坐定 從車騎虛左하야 自迎侯生注+古者乘車, 尊者在左. 生, 謂諸生.한대
直上載하야 不讓이어늘 公子執轡愈恭이러니
又謂公子曰 臣 有客在市屠中하니 願枉車騎過之하노라 公子引車入市한대
下見其客朱亥하야 睥睨故久立注+睥, 普計切. 睨, 魚計切. 睥睨, 不正視也.하야 與其客語하고 微察公子하니 公子色愈和어늘
乃謝客就車하야 至公子家하야는 公子引侯生坐上坐하니 賓客 皆驚注+下坐, 才臥切.하다
及秦 圍趙 趙平原君夫人 無忌姊也
使者冠蓋 相屬於魏하야 讓公子注+蓋, 繖也. 冠蓋, 有冠有蓋之士大夫. 屬, 音燭, 下同.한대
公子患之하야 數請魏王하야 勅晉鄙救趙하고 及賓客辯士遊說萬端호대 終不聽이어늘
公子乃賓客하야 約車騎百餘乘하야 欲赴鬪以死於趙할새
過見侯生한대 生曰 公子無他端이요 而欲赴秦軍하니 如以肉投餒虎
何功之有注+無佗端, 言無佗奇策以發端也.리오
公子再拜問計한대 生曰 吾聞晉鄙兵符在王臥內而如姬 最幸하니 力能竊之
且公子嘗爲報其父仇하니 如姬欲爲公子하야 死無所辭하나니
誠一開口 則得虎符하리니 奪鄙兵하야 北救趙하고 西却秦이면 此五之功也注+爲, 去聲. 如姬之父爲人所殺, 公子使客斬其仇頭, 以進如姬. 虎, 威猛之獸, 故以爲兵符. 漢有銅虎符.니라
公子如其言하야 得兵符어늘 侯生曰 將 在外 君令 有所不受注+孫武子之言.하나니
有如鄙疑而復請之 則事危矣리니
臣客朱亥 力士 可與俱하야
鄙不聽이어든 使擊之하라
公子至鄴한대 晉鄙合符果疑之하야 擧手視公子曰 吾擧十萬之衆하야 屯於境上하니 國之重任이어늘
今單車來代之 何如哉 亥袖四十斤鐵椎라가 椎殺鄙注+椎殺, 擊殺也.하고
公子勒兵下令曰 父子俱在軍中者 父歸하고 兄弟俱在軍中者 兄歸하고 獨子無兄弟者 歸養注+養, 去聲.하라하고 得選兵八萬人하야 將之而進하다


계묘년(B.C. 258)
[綱]나라 난왕赧王 57년이다.
나라가 나라를 정벌하여 한단邯鄲을 포위하였다.
[目]나라 무안군武安君이 병이 나자 왕릉王陵으로 하여금 나라를 정벌하게 하였는데, 한단邯鄲을 공격하여 패하였다.注+소리少利는 전쟁에서 자못 패하였음을 말한 것이다.
무안군의 병이 낫자 왕이 그를 보내 왕릉을 대신하게 하고자 하였다.
무안군이 아뢰기를 “한단은 실제로 공격하기 쉽지 않고, 또 제후들의 구원이 바로 도착할 것입니다.
나라가 비록 장평長平에서 승리하였으나, 사졸 가운데 전사한 자가 반을 넘었습니다.
나라 안이 빈 상황에서 멀리 대하大河와 산을 건너 다른 나라의 국도國都를 다투다가注+나라로부터 한단邯鄲을 공격함에 대하大河왕옥산王屋山, 태행산太行山 등의 험난함이 있다. 가로질러 건너는 것을 이라고 한다.나라가 안에서 호응하고 제후들이 밖에서 공격하면 나라 군대가 패하는 것은 필연적입니다.” 하였다.
왕이 다시 응후應侯를 보내 무안군에게 가기를 청하였으나 끝내 사양하고 가지 않았다.
결국 왕흘王齕로 왕릉을 교체하였다.
[綱]나라 공자公子 나라에 가서 군대를 빌리자 나라 황헐黃歇이 군대를 이끌고 나라를 구원하였다.
[目]나라 왕이 평원군平原君으로 하여금 나라에 가서 구원을 요청하게 하였다.
평원군이 문하의 식객 가운데 문무文武를 갖춘 자 20인과 함께 가기로 약속하였는데, 19인을 얻고는 나머지는 뽑을 만한 사람이 없었다.
모수毛遂가 자신을 천거하자 평원군이 말하기를 “어진 선비가 세상에 처하는 것은 비유하자면 송곳이 주머니 속에 있는 것과 같아서 그 끝이 바로 드러납니다.注+는 날카로운 것이니, 또한 송곳과 같은 물건이다. 은 주머니이다. 은 바로이다. (드러나다)은 호전胡甸이다.
지금 선생이 저의 문하에 계신 지가 이제 3년인데, 제가 들은 바가 없으니, 이것은 선생이 가지고 있는 것이 없기 때문입니다.” 하니, 모수가 말하기를 “신이 오늘에야 주머니 속에 있고자 청합니다.
신으로 하여금 진작에 주머니 속에 있게 하였다면 뾰쪽한 송곳의 끝이 삐져나왔을 것이니, 끝이 보일 뿐만이 아니었을 것입니다.”注+토활吐活이니, 돌출한다는 뜻이다. 은 송곳 끝이다. 송곳 끝의 뾰족한 부분이 돌출하여 주머니 밖으로 삐져나오는 것과 같음을 말한 것이다. 하였다.
毛遂가 자신을 천거하다毛遂가 자신을 천거하다
[目]평원군平原君이 마침내 그와 함께 나라에 도착하여 나라 왕과 합종의 이해득실에 대하여 논의하였는데, 오래도록 결정이 나지 않았다.
모수毛遂가 칼을 어루만지며 계단을 지나 올라가 말하기를 “합종의 이해득실은 두 마디 말이면 결정이 나는데注+양언兩言은 이로움과 해로움을 말한다., 오늘 해가 뜨면서 논의하기 시작하여 해가 중천에 이르도록 결정을 내리지 않는 것은 무슨 까닭입니까?” 하였다.
왕이 노하여 꾸짖자 모수가 칼을 어루만지며 앞으로 나아가 말하기를 “왕께서 저를 꾸짖는 것은 나라의 많은 병사들 때문인데, 지금 10보 안에서는 왕께서 나라의 많은 병사를 의지할 수 없으니, 왕의 생명이 저의 손에 달려 있습니다.
저의 주군이 앞에 계신데 저를 꾸짖는 것은 어째서입니까?
그리고 제가 들은 바로는 탕왕湯王은 70리의 땅을 가지고 천하에 왕 노릇 하였고, 문왕文王은 100리의 땅을 가지고 제후들을 신하로 거느렸다고 합니다.
지금 나라가 땅이 사방 5천 리요 군사가 100만이니, 이는 패자霸者왕자王者의 자질을 갖춘 것입니다.
, 이놈은 백대의 원수입니다.注+(미워하다)는 거성去聲이다.
나라도 수치스럽게 여기는데, 왕께서는 미워할 줄 모르십니다.
합종이라는 것은 나라를 위한 것이지 나라를 위한 것이 아닙니다.”注+(위하다)는 거성去聲이다. 하니, 왕이 “그렇소. 그렇소.”라고 하였다.
마침내 나라 왕과 하여 합종을 정하고서 돌아왔다.注+소갑所甲이니, 입에 피를 머금는 것이다.
평원군이 말하기를 “나는 감히 다시는 천하의 선비를 외모로 판단하지 않겠다.”注+거성去聲이니, 본다는 뜻이다. 하고, 이 일로 인하여 모수를 상객上客으로 삼았다. 그리고 나라가 춘신군春申君으로 하여금 군대를 이끌고 나라를 구원하도록 하였다.
[綱]나라의 진비晉鄙가 군대를 이끌고 나라를 구원할 때에 에 주둔하였는데, 공자公子 무기無忌(信陵君)가 진비를 습격하여 죽이고 그 군대를 탈취하여 진군하였다.
[目]나라 왕이 진비晉鄙로 하여금 나라를 구원하게 하니注+이다., 나라 왕이 사신을 보내 나라에게 말하기를 “내가 나라를 공격하여 조만간 함락시킬 것이니, 제후 가운데 감히 구원하는 자가 있으면 반드시 군대를 이동하여 먼저 공격하겠다.” 하였다.
나라 왕이 두려워서 진비로 하여금 구원을 중지하여 의 성벽에 주둔하게 하고, 다시 신원연新垣衍으로 하여금 한단邯鄲에 들어가 나라를 설득하여 함께 나라를 높여 로 삼아 그 군대를 퇴각시키고자 하였다.注+신원新垣복성複姓이며, 은 이름이다.
노중련魯仲連이 그 소식을 듣고 가서 신원연을 만나 말하기를 “저 나라는 예의를 버리고 적을 참수한 공로를 숭상하는 나라입니다.注+(숭상하다)은 과 같다. 수공首功은 참수한 것으로 공을 삼는 것이다.
저들이 만약 방자하게 천하에 가 된다면 내가 동해에 뛰어들어 죽을지언정 그 백성이 되기를 원하지 않습니다.注+사연肆然사지肆志(뜻대로 함)와 같다
그리고 나라가 를 칭했을 때의 해악을 간파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러는 것입니다.注+은 곧 나라이다.
옛날에 구후九侯, 악후鄂侯, 문왕文王주왕紂王삼공三公이었습니다.注+⑥ 《괄지지括地志》에 “상주相州 부양현釜陽縣 서남쪽에 구후성九侯城이 있다.”고 하였다. 은 음이 이니, 나라 이름이다.
주왕이 구후를 죽여 젓갈을 담그자 악후가 강력하게 간쟁하였습니다.
이것을 이유로 주왕은 악후를 죽여 포를 떴습니다.注+구후九侯에게 훌륭한 딸이 있어서 주왕紂王에게 바쳤다. 그 딸이 음란한 짓을 좋아하지 않자 주왕紂王이 화가 나서 죽이고는 구후를 죽여 젓갈을 담갔다. (간쟁하다)은 거성去聲이다. 는 음이 이니, 마른 고기이다.
문왕이 이 소식을 듣고 한숨을 쉬며 탄식하였는데, 이것을 이유로 주왕은 문왕을 의 감옥에 가두어 죽게 만들고자 하였습니다.注+는 음이 인데, 본래는 라고 쓴다. 《한서漢書》 〈지리지地理志〉에 “하내河內 탕음현湯陰縣유리성羑里城이 있다.”고 하였다. 는 병거를 보관하는 곳이다.
지금 나라와 나라가 모두 만승의 나라를 근거로 각자 왕을 칭하는 명성을 갖고 있는데, 어찌하여 나라가 한 번 전투에서 승리하는 것을 보고 바로 복종하여 로 섬기고 마침내 포와 젓갈이 되는 지경으로 나아간단 말입니까.
魯仲連이 秦나라가 帝를 칭하는 해악을 논하다魯仲連이 秦나라가 帝를 칭하는 해악을 논하다
그리고 나라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의 노릇을 계속한다면, 장차 천자天子의 예를 행하여 천하를 호령하고 제후의 대신大臣을 바꿀 것이며, 미워하는 자에게 빼앗아 좋아하는 자에게 주고,
또 자신들의 딸과 참소하기 좋아하는 여자들로 하여금 제후들의 비빈이 되게 할 것이니, 나라 왕이 어떻게 편안히 지낼 수 있겠으며, 장군은 또한 어떻게 이전의 은총을 얻을 수 있겠습니까.” 하였다.
신원연新垣衍이 일어나 두 번 절하고 말하기를 “제가 오늘에야 선생께서 천하의 선비임을 알았습니다.
여기서 나가 감히 다시는 나라를 로 높이자는 말을 하지 않겠습니다.” 하였다.
[目] 처음에 나라 공자公子 무기無忌가 사람들을 사랑하고 선비를 예우하여 초치한 식객이 3천 명이었다.注+는 예우하는 것을 말한다.
은사 후영侯嬴이라는 사람이 집이 가난하여 이문夷門의 문지기가 되었다.注+은 음이 인데, 또 다른 음은 이수羸瘦이다. 이문夷門대량성大梁城동문東門이다. 은 문지기이다.
공자公子가 술자리를 마련하고 빈객을 크게 모아 자리가 정해지자, 왼쪽 자리를 비워둔 수레를 따르게 하여 자신이 직접 후생侯生을 맞이하였다.注+③ 옛날에 수레를 탈 때에 높은 사람이 왼쪽에 앉았다. 은 제생을 이른다.
후생이 곧바로 올라타서 자리를 사양하지 않으니, 공자公子가 고삐를 잡고 더욱 공손히 하였다.
후생이 다시 공자에게 말하기를 “신이 시장 푸줏간에 문객이 있는데, 수레를 둘러 가서 방문하고자 합니다.” 하니, 공자가 수레를 끌고 시장에 들어갔다.
후생이 수레에 내려가 자신의 문객인 주해朱亥를 만나서 곁눈질로 공자를 보며 일부러 오래 서서注+보계普計이다. 어계魚計이다. 비예睥睨는 똑바로 보지 않는 것이다. 문객과 대화하고 몰래 공자를 관찰하니 공자의 안색이 더욱 온화해졌다.
이에 문객과 작별하고 수레에 올라 공자의 집에 이르러서는 공자가 후생을 인도하여 윗자리에 앉히니, 빈객들이 모두 놀랐다.注+⑤ 아래 (자리)는 재와才臥이다.
[目]나라가 나라를 포위했을 때에 나라 평원군平原君의 부인은 공자公子 무기無忌의 누이였다.
나라 사신의 수레가 나라에 잇달아 이르러 공자 무기를 나무랐다.注+는 일산이다. 관개冠蓋는 관모도 있고 일산도 있는 사대부이다. (닿다)은 음이 이니, 아래도 같다.
공자가 근심하여 여러 번 나라 왕에게 진비晉鄙로 하여금 나라를 구원하게 할 것을 청하였고, 심지어 빈객과 변사가 백방으로 설득하였으나, 왕이 끝내 듣지 않았다.
공자가 이에 빈객을 모으고 수레 백여 대를 준비하여 싸움에 달려가 나라에서 죽고자 하였다.
나라로 가는 길에 후생侯生을 만났는데, 후생이 말하기를 “공자께서 별다른 계책도 없이 나라 군대에게 달려들려고 하니, 이것은 마치 굶주린 호랑이에게 고기를 주는 격입니다.
무슨 공이 있겠습니까.”注+② “무타단無佗端”은 별다른 기이한 계책이 없어 단서를 열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하였다.
공자가 두 번 절하고 계책을 묻자 후생이 말하기를 “제가 듣건대, 진비의 병부兵符가 왕의 침실 안에 있고 여희如姬가 가장 총애를 받는다고 하니, 충분히 병부를 훔쳐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공자께서 일찍이 여희를 위해 그 아비의 원한을 갚아주었으니, 여희가 공자를 위하여 죽음도 사양하지 않을 것입니다.
진실로 여희에게 한 번 말을 하면 병부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니, 진비의 병부를 탈취하여 북쪽으로 나라를 구원하고 서쪽으로 나라를 물리치면, 이것이 오패五霸의 공적입니다.”注+(위하다)는 모두 거성去聲이다. 여희如姬의 아비가 어떤 사람에게 피살되었는데, 공자公子가 문객으로 하여금 그 원수의 머리를 베어 여희에게 바치게 하였다. 호랑이는 위엄이 있고 용맹한 짐승이므로 병부로 삼았다. 나라 때에 동호부銅虎符가 있었다. 하였다.
[目]공자公子가 그의 말대로 하여 병부兵符를 얻으니, 후생侯生이 말하기를 “장수가 야전에 있을 때에는 군주의 명령을 받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注+손무자孫武子의 말이다.
만약 진비晉鄙가 의심하여 다시 왕에게 물으면 일이 위태로워질 것입니다.
신의 문객인 주해朱亥는 힘센 장사이니 데리고 갈만 합니다.
진비가 말을 듣지 않으면 그로 하여금 공격하게 하십시오.” 하였다.
공자가 에 이르자 진비가 병부를 맞추어 보고 과연 의심하여 손을 든 채로 공자를 보고 말하기를 “내가 10만의 군대를 이끌고 국경에 주둔하고 있으니, 국가의 중임입니다.
그런데 지금 한 대의 수레를 타고 와서 이를 대신하려는 것은 무슨 까닭입니까?” 하니, 주해가 40근짜리 철퇴를 소매 속에 넣고 있다가 진비를 쳐서 죽였다.注+추살椎殺은 쳐서 죽이는 것이다.
공자가 병사를 모아놓고 명령을 내리기를 “부자父子가 함께 군중에 있는 자는 아비가 집으로 돌아가고, 형제兄弟가 함께 군중에 있는 자는 형이 집에 돌아가고, 독자獨子로 형제가 없는 자는 집에 돌아가 부모를 봉양하라.”注+(봉양)은 거성去聲이다. 하고 8만 명의 병사를 뽑아 그들을 이끌고 진군하였다.


역주
역주1 (反)[及] : 저본에는 ‘反’으로 되어 있으나, 思政殿訓義 《資治通鑑》에 근거하여 ‘及’으로 바로잡았다.
역주2 白起는……욕보였으니 : 白起가 楚나라를 정벌한 것은 赧王 36년조에 보인다.
역주3 歃血 : 맹세할 때에 犧牲을 잡아 그 피를 입에 머금고서 誓約을 꼭 지킬 것을 신에게 약속하는 일이다.
역주4 梁나라 : 곧 魏나라를 가리킨다. 大梁에 도읍을 두었기 때문에 이렇게 불렀다.
역주5 牖里 : 羑里라고도 한다.
역주6 : 《史記》와 《資治通鑑》에는 ‘據’로 되어 있다.
역주7 (嬴瘦之嬴)[羸瘦之羸] : 저본에는 ‘嬴瘦之嬴’로 되어 있으나, 《資治通鑑綱目集覽》에 의거하여 ‘羸瘦之羸’로 바로잡았다.
역주8 : 촉
역주9 : 패
역주10 (普)[並] : 저본에는 ‘普’로 되어 있으나, 문맥을 살펴 ‘並’로 바로잡았다.

자치통감강목(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