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
		                       		
		                       		
		                        		
									
                        			
                        			
                        		
	                     		
			                       	
			                       	
	                     		
		                        
                        	
		                        
		                        
		                        
		                        
                        		
                        	
		                        
		                        
		                        
		                        
                        		
                        		
                        		
                        			
                        			
		                       		
		                       		
		                       		
		                       		
		                        		
			                            	“《춘추春秋》의 의리에 왕자王者는 밖이 없으니, 이는 천하를 통일하고자 한 것이다. 
			                             
									
                        			
                        			
                        		
	                     		
			                       	
			                       	
	                     		
		                        
                        	
		                        
		                        
		                        
		                        
                        		
                        	
		                        
		                        
		                        
		                        
                        		
                        		
                        		
                        			
                        			
		                       		
		                       		
		                       		
		                       		
		                        		
			                            	융적戎狄은 거리가 아득히 멀고 인적이 끊긴 곳이므로 정삭正朔이 미치지 못하고 예교禮敎가 가해지지 못하였으니, 그를 높인 것이 아니다.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저 저강氐羌으로부터 감히 와서 왕王으로 받들지 않는 이가 없다.’ 하였다.
			                             
									
                        			
                        			
                        		
	                     		
			                       	
			                       	
	                     		
		                        
                        	
		                        
		                        
		                        
		                        
                        		
                        	
		                        
		                        
		                        
		                        
                        		
                        		
                        		
                        			
                        			
		                       		
		                       		
		                       		
		                       		
		                        		
			                            	 그러므로 
요복要服과 
황복荒服의 군주가 반드시 
왕王(황제)에게 조회 오고 공물을 바치며, 만약 직책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으면 황제의 꾸짖는 말과 호령이 가해지는 것이니, 
적국敵國을 말한 것이 아니다.
注+《국어國語》에 “채공祭公 모보謀父가 말하기를 요복要服은 공물을 바치고 황복荒服은 왕王으로 받든다. 〈요복要服 중에〉 공물을 바치지 않는 자가 있으면 왕(황제)이 명분을 닦고, 〈황복荒服 중에〉 왕王으로 받들지 않는 자가 있으면 왕이 덕德을 닦는다. 이에 공물을 바치지 않음을 꾸짖고 왕王으로 받들지 않음을 고하며, 이에 위엄으로 꾸짖는 호령이 있고 글로 고告하는 말이 있다.’라고 하였다.” 하였다. 
									
                        			
                        			
                        		
	                     		
			                       	
			                       	
	                     		
		                        
                        	
		                        
		                        
		                        
		                        
                        		
                        	
		                        
		                        
		                        
		                        
                        		
                        		
                        		
                        			
                        			
		                       		
		                       		
		                       		
		                       		
		                        		
			                            	소망지蕭望之의 의논은 법도에 지나치고 순서를 잃어서 하늘의 떳떳한 도리를 어지럽혔으니, 예禮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