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資治通鑑綱目(8)

자치통감강목(8)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자치통감강목(8)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辛未年(131)
六年이라 春二月 以沈景爲河間相하다
河間王政 傲狠不奉法注+政, 孝王開之子.이어늘 帝以侍御史沈景 有彊能이라하여 擢爲河間相注+侍御史, 秩六百石, 擢爲王國相, 秩二千石.하다
到國謁王한대 不正服하고 箕踞殿上이어늘 侍郞 贊拜호되 峙不爲禮하고 問王所在注+峙, 丈里切, 立也. 하니
虎賁曰 是非王耶 景曰 王不正服하니 常人何別이리오 今相 謁王하니 豈謁無禮者耶
慙而更服注+更, 工衡切.이어늘 然後拜하고 出請王傅하여 責之曰注+漢諸王國, 有太傅, 至成帝時, 更曰傅. 前發京師 陛見受詔注+見, 賢遍切.하니
以王不恭이라하여 使相檢督이라 諸君 空受爵祿하고 曾無訓導之義라하고 因捕諸姦人하여 奏案其罪하고
出冤獄百餘人하니 遂改節하여 悔過自修하다
三月 하고 開屯田하다
帝以伊吾膏腴하고 傍近西域하니 匈奴資之하여 以爲鈔暴라하여 復令開設屯田하고 置司馬一人注+通鑑復令開設屯田, 如永元時事.하다
秋九月 하다
安帝薄於藝文이라 博士不復講習하니 朋徒怠散하고 學舍頹敝하여 鞠爲園蔬注+鞠, 窮也.
將作大匠翟酺 上疏하여 請更修繕하여 誘進後學한대 帝從之하니 凡造二百四十房 千八百五十室하다


신미년辛未年(131)
나라 효순황제 영건孝順皇帝 永建 6년이다. 봄 2월에 심경沈景하간왕河間王(유정劉政)의 으로 삼았다.
하간왕 유정河間王 劉政이 오만하고 사나워 법을 받들지 않자注+유정劉政하간효왕 유개河間孝王 劉開의 아들이다., 황제는 시어사 심경侍御史 沈景이 강직하고 재능이 있다 하여 그를 발탁하여 하간왕河間王으로 삼았다.注+시어사侍御史육백석六百石이었는데, 발탁하여 왕국王國으로 삼으니 이천석二千石이다.
심경이 하간왕의 나라에 가서 왕을 뵈었는데, 왕은 정식 복식을 갖추지 않은 채 궁전 위에서 두 다리를 뻗고 걸터앉아 있었다. 시랑侍郞이 심경을 인도하여 절하게 하였으나, 심경은 꼿꼿이 서서 를 하지 않고 왕이 어디에 있느냐고 물었다.注+장리丈里이니, 꼿꼿이 서 있는 것이다.
호분虎賁이 대답하기를 “이분이 왕이 아닙니까.” 하였다. 심경이 말하기를 “왕이 정식 복식을 갖추지 않았으니, 보통 사람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지금 을 뵈려 하는 것이니, 어찌 무례無禮한 자에게 절하고 뵙겠는가.” 하였다.
이 부끄러워하고 의복을 바꿔 입은 뒤에야注+(바꾸다)은 공형工衡이다. 심경이 절하고 궁문을 나와서 를 청하여 책망하기를注+나라의 여러 왕국에 태부太傅가 있었는데, 성제成帝 때에 이르러 로 이름을 바꾸었다. “내 지난번 경사京師에서 출발할 적에 황제를 뵙고 조령詔令을 받았는데注+(뵙다)은 현편賢遍이다.,
불공不恭하다 하여 나로 하여금 조사하고 감독하게 하셨다. 제군諸君은 하는 일 없이 작록爵祿만 받고 일찍이 왕을 훈도한 의리가 없다.” 하고는 인하여 간사한 사람들을 체포해서 그 죄를 살펴 처벌할 것을 주청奏請하고,
억울하게 옥에 갇혀 있는 100여 명을 출옥시키니, 유정이 마침내 절조를 바꾸고는 과오를 뉘우치고 스스로 행실을 닦았다.
】 3월에 다시 이오사마伊吾司馬를 두고 둔전屯田을 개설하였다.
】 황제는 이오伊吾의 토지가 기름지고 곁에 서역西域과 가까우니, 흉노匈奴가 이를 믿고서 노략질하고 포악한 짓을 한다고 생각하여, 다시 둔전屯田개설開設하고 사마司馬 한 사람을 두었다.注+자치통감資治通鑑≫에는 “다시 둔전屯田개설開設하게 하여 영원永元 연간(89~104)의 일과 같게 했다.” 하였다.
】 가을 9월에 태학太學을 일으켰다.
】 처음에 안제安帝예문藝文을 하찮게 여겨서 박사博士들이 다시는 강습講習하지 않으니, 생도들이 태만하여 해이하고 학사學舍(학교)가 무너져서 끝내 채소밭이 되었다.注+(끝내)이다.
장작대장 적포將作大匠 翟酺(적포)가 글을 올려서 다시 학사를 수리하여 후학後學들을 유도해서 나오게 할 것을 청하자 황제가 그 말을 따르니, 모두 240개의 (집)에 1,850개의 (방)을 만들었다.


역주
역주1 復置伊吾司馬 : “이때까지 伊吾를 6번 썼다.[於是 六書伊吾矣]” ≪書法≫ 伊吾는 현재 중국의 新疆 지방인데 要害處이기 때문에 綱에 자주 쓴 것이다.
역주2 起太學 : “〈綱에〉 쓴 것은 인정해준 것이니, ≪資治通鑑綱目≫이 끝날 때까지 太學을 세웠다고 쓴 것이 7번이다.[書 予之也 終綱目 書立太學七]다” ≪書法≫

자치통감강목(8) 책은 2019.09.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