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
		                       		
		                        
		                        	
		                        		
		                            	苟晞移檄諸州하여 陳越罪狀하니 帝亦惡越專權違命하고
		                            	 
									
                        			
                        			
                        		
	                     		
			                       	
			                       	
	                     		
	                     		
		                        
                        	
                        	
                        	
                        	
                        		
                        		
                        		
                        			
                        			
		                       		
		                       		
		                       		
		                        
		                        	
		                        		
		                            	所留何倫等이 抄掠公卿하고 逼辱公主하여 密賜晞詔하여 使討之러니
		                            	 
									
                        			
                        			
                        		
	                     		
			                       	
			                       	
	                     		
	                     		
		                        
                        	
                        	
                        	
                        	
                        		
                        		
                        		
                        			
                        			
		                       		
		                       		
		                       		
		                        
		                        	
		                        		
		                            	越亦下檄하여 罪狀晞하고 遣兵攻之하다 晞遣騎하여 收越黨尙書劉曾과 侍中程延하여 斬之하니
		                            	 
									
                        			
                        			
                        		
	                     		
			                       	
			                       	
	                     		
	                     		
		                        
                        	
                        	
                        	
                        	
                        		
                        		
                        		
                        			
                        			
		                       		
		                       		
		                       		
		                        
		                        	
		                        		
		                            	越이 憂憤成疾하여 以後事付王衍而卒하다 衆이 共推衍爲元帥하니 衍이 不敢當하여 奉越喪하여 還葬東海하다
		                            	 
									
                        			
                        			
                        		
	                     		
			                       	
			                       	
	                     		
	                     		
		                        
                        	
                        	
                        	
                        	
                        		
                        		
                        		
                        			
                        			
		                       		
		                       		
		                       		
		                        
		                        	
		                        		
		                            	倫等이 以裴妃及世子毗로 自洛陽東走하니 城中士民이 爭隨之러라
		                            	 
									
                        			
                        			
                        		
	                     		
			                       	
			                       	
	                     		
	                     		
		                        
                        	
                        	
                        	
                        	
                        		
                        		
                        		
                        			
                        			
		                       		
		                       		
		                       		
		                        
		                        	
		                        		
		                            	帝追貶越爲縣王하고 以晞爲大將軍하여 都督靑徐兗豫荊揚諸軍事하다
		                            	 
									
                        			
                        			
                        		
	                     		
			                       	
			                       	
	                     		
	                     		
		                        
                        	
                        	
                        	
                        	
                        		
                        		
                        		
                        			
                        			
		                       		
		                       		
		                       		
		                       			
		                        			
		                        				
		                        				 
		                        			
		                       			
		                       			
		                       			
		                       				目
		                       		
		                        
		                        	
		                        		
		                            	衆人
이 畏死
하여 多自陳述
호되 獨襄陽王範
이 神色儼然
하여 顧呵之曰 今日之事
는 何復紛紜
注+範, 瑋之子也, 永寧元年受封.고 
									
                        			
                        			
                        		
	                     		
			                       	
			                       	
	                     		
	                     		
		                        
                        	
                        	
                        	
                        	
                        		
                        		
                        		
                        			
                        			
		                       		
		                       		
		                       		
		                        
		                        	
		                        		
		                            	勒이 謂孔萇曰 吾行天下多矣로되 未嘗見此輩人하니 當可存乎아 萇曰 彼皆晉之王公이니 終不爲吾用이니이다
		                            	 
									
                        			
                        			
                        		
	                     		
			                       	
			                       	
	                     		
	                     		
		                        
                        	
                        	
                        	
                        	
                        		
                        		
                        		
                        			
                        			
		                       		
		                       		
		                       		
		                        
		                        	
		                        		
		                            	勒曰 雖然이나 要不可加以鋒刃이라하고 夜에 使人排牆殺之하다
		                            	 
									
                        			
                        			
                        		
	                     		
			                       	
			                       	
	                     		
	                     		
		                        
                        	
                        	
                        	
                        	
                        		
                        		
                        		
                        			
                        			
		                       		
		                       		
		                       		
		                        
		                        	
		                        		
		                            	剖越柩하여 焚其尸하고 曰 亂天下者는 此人也니 吾爲天下報之라하다
		                            	 
									
                        			
                        			
                        		
	                     		
			                       	
			                       	
	                     		
	                     		
		                        
                        	
                        	
                        	
                        	
                        		
                        		
                        		
                        			
                        			
		                       		
		                       		
		                       		
		                        
		                        	
		                        		
		                            	世子毗及宗室四十八王이 皆沒於勒하고 裴妃爲人所掠賣라가 久之에 渡江하다
		                            	 
									
                        			
                        			
                        		
	                     		
			                       	
			                       	
	                     		
	                     		
		                        
                        	
                        	
                        	
                        	
                        		
                        		
                        		
                        			
                        			
		                       		
		                       		
		                       		
		                        
		                        	
		                        		
		                            	初에 琅邪王睿之鎭建業은 裴妃意也라 故睿德之하여 厚加存撫하고 以其子沖으로 繼越後하다
		                            	 
									
                        			
                        			
                        		
	                     		
			                       	
			                       	
	                     		
	                     		
		                        
                        	
                        	
                        	
                        	
                        		
                        		
                        		
                        			
                        			
		                       		
		                       		
		                       		
		                       			
		                        			
		                        				
		                        				 
		                        			
		                       			
		                       			
		                       			
		                       				目
		                       		
		                        
		                        	
		                        		
		                            	南陽王模 使牙門趙染
으로 戍蒲坂
注+劉聰在平陽, 欲窺關中. 蒲坂, 兵衝也.이러니 染
이 帥衆降漢
하니 
									
                        			
                        			
                        		
	                     		
			                       	
			                       	
	                     		
	                     		
		                        
                        	
                        	
                        	
                        	
                        		
                        		
                        		
                        			
                        			
		                       		
		                       		
		                       		
		                        
		                        	
		                        		
		                            	漢이 遣染與將軍劉雅하여 攻模于長安하고 劉曜, 劉粲이 繼之하다
		                            	 
									
                        			
                        			
                        		
	                     		
			                       	
			                       	
	                     		
	                     		
		                        
                        	
                        	
                        	
                        	
                        		
                        		
                        		
                        			
                        			
		                       		
		                       		
		                       		
		                        
		                        	
		                        		
		                            	染
이 敗模兵於潼關
하고 長驅至下邽
注+下邽縣, 前漢屬京兆, 後漢省, 倂入鄭縣, 桓帝復置, 晉屬馮翊郡. 應曰 “有上邽, 故稱下, 秦武公伐邽戎置.”한대 涼州將北宮純
이 自長安
으로 帥衆降漢
이어늘 
									
                        			
                        			
                        		
	                     		
			                       	
			                       	
	                     		
	                     		
		                        
                        	
                        	
                        	
                        	
                        		
                        		
                        		
                        			
                        			
		                       		
		                       		
		                       		
		                        
		                        	
		                        		
		                            	漢兵이 圍長安하니 模倉庫虛竭하고 士卒離散이라 遂降于漢하니 粲이 殺之하다
		                            	 
									
                        			
                        			
                        		
	                     		
			                       	
			                       	
	                     		
	                     		
		                        
                        	
                        	
                        	
                        	
                        		
                        		
                        		
                        			
                        			
		                       		
		                       		
		                       		
		                        
		                        	
		                        		
		                            	關西饑饉하여 白骨이 蔽野하고 士民存者 百無一二라 漢主聰이 以曜爲雍州牧하여 封中山王하고 守長安하다
		                            	 
									
                        			
                        			
                        		
	                     		
			                       	
			                       	
	                     		
	                     		
		                        
                        	
                        	
                        	
                        	
                        		
                        		
                        		
                        			
                        			
		                       		
		                       		
		                       		
		                        
		                        	
		                        		
		                            	模都尉陳安이 帥衆하고 歸世子保於上邽하니 保遂據有秦州러니
		                            	 
									
                        			
                        			
                        		
	                     		
			                       	
			                       	
	                     		
	                     		
		                        
                        	
                        	
                        	
                        	
                        		
                        		
                        		
                        			
                        			
		                       		
		                       		
		                       		
		                        
		                        	
		                        		
		                            	尋稱大司馬하고 承制署하니 隴右氐, 羌이 皆從之하다
		                            	 
									
                        			
                        			
                        		
	                     		
			                       	
			                       	
	                     		
	                     		
		                        
                        	
                        	
                        	
                        	
                        		
                        		
                        		
                        			
                        			
		                       		
		                       		
		                       		
		                       			
		                        			
		                        				
		                        				 
		                        			
		                       			
		                       			
		                       			
		                       				目
		                       		
		                        
		                        	
		                        		
		                            	晞驕奢苛暴
하니 前遼西太守閻亨
이 數諫
한대 殺之
注+亨, 纘之子也.하다 
									
                        			
                        			
                        		
	                     		
			                       	
			                       	
	                     		
	                     		
		                        
                        	
                        	
                        	
                        	
                        		
                        		
                        		
                        			
                        			
		                       		
		                       		
		                       		
		                        
		                        	
		                        		
		                            	從事明預有疾
이러니 自轝入諫
注+明, 姓也.한대 晞怒曰 我殺閻亨
이 何關人事
완대 而轝病罵我
오 
									
                        			
                        			
                        		
	                     		
			                       	
			                       	
	                     		
	                     		
		                        
                        	
                        	
                        	
                        	
                        		
                        		
                        		
                        			
                        			
		                       		
		                       		
		                       		
		                        
		                        	
		                        		
		                            	預曰 明公이 以禮待預라 故預以禮自盡하노니 今明公이 怒預면 其如遠近怒明公何오
		                            	 
									
                        			
                        			
                        		
	                     		
			                       	
			                       	
	                     		
	                     		
		                        
                        	
                        	
                        	
                        	
                        		
                        		
                        		
                        			
                        			
		                       		
		                       		
		                       		
		                        
		                        	
		                        		
		                            	桀爲天子로되 猶以驕暴而亡이어든 況人臣乎아 願明公은 且置是怒하고 思預之言하라
		                            	 
									
                        			
                        			
                        		
	                     		
			                       	
			                       	
	                     		
	                     		
		                        
                        	
                        	
                        	
                        	
                        		
                        		
                        		
                        			
                        			
		                       		
		                       		
		                       		
		                        
		                        	
		                        		
		                            	晞不從하니 由是로 衆心離怨하고 加以疾疫, 饑饉하다
		                            	 
									
                        			
                        			
                        		
	                     		
			                       	
			                       	
	                     		
	                     		
		                        
                        	
                        	
                        	
                        	
                        		
                        		
                        		
                        			
                        			
		                       		
		                       		
		                       		
		                        
		                        	
		                        		
		                            	勒이 襲蒙城하여 執晞及豫章王하여 鎖晞頸하여 以爲左司馬하다
		                            	 
									
                        			
                        			
                        		
	                     		
			                       	
			                       	
	                     		
	                     		
		                        
                        	
                        	
                        	
                        	
                        		
                        		
                        		
                        			
                        			
		                       		
		                       		
		                       		
		                       			
		                        			
		                        				
		                        				 
		                        			
		                       			
		                       			
		                       			
		                       				目
		                       		
		                       		
		                        		
			                            	[目] 처음에 譙周의 아들이 巴西에 거주하다가 成나라 太守 馬脫에게 살해를 당하니, 그의 아들 譙登이 복수하기 위해 劉弘을 찾아가서 병력을 청하였다.
			                             
									
                        			
                        			
                        		
	                     		
			                       	
			                       	
	                     		
		                        
                        	
		                        
		                        
		                        
		                        
                        		
                        	
		                        
		                        
		                        
		                        
                        		
                        		
                        		
                        			
                        			
		                       		
		                       		
		                       		
		                       		
		                        		
			                            	유홍이 표문을 올려 초등을 
梓潼內史로 삼고 그로 하여금 직접 
巴, 
蜀의 
流民들을 모집하게 하여 2천 명을 얻자 서쪽으로 올라가 
宕渠縣을 공격하게 하였다. 초등이 마탈을 참수하여 그의 
肝을 먹고 마침내 
涪城을 점거하니,
注+宕渠縣은 漢나라 때에는 巴郡에 속하였는데, 蜀漢 이래로 巴西에 속하였다. 
									
                        			
                        			
                        		
	                     		
			                       	
			                       	
	                     		
		                        
                        	
		                        
		                        
		                        
		                        
                        		
                        	
		                        
		                        
		                        
		                        
                        		
                        		
                        		
                        			
                        			
		                       		
		                       		
		                       		
		                       		
		                        		
			                            	成나라 사람들이 부성을 공격하였으나 여러 번 그에게 패하였다. 3년이 지난 이때에 양식이 다하고 후원이 끊기니, 백성들이 쥐를 잡아 구워먹고 굶어 죽는 자가 매우 많았으나 한 사람도 이반하는 자가 없었다.
			                             
									
                        			
                        			
                        		
	                     		
			                       	
			                       	
	                     		
		                        
                        	
		                        
		                        
		                        
		                        
                        		
                        	
		                        
		                        
		                        
		                        
                        		
                        		
                        		
                        			
                        			
		                       		
		                       		
		                       		
		                       		
		                        		
			                            	城이 함락되자 초등이 사로잡혔는데, 成主 李雄이 용서하고자 하였으나, 초등이 어조를 굽히지 않자 마침내 그를 죽였다.
			                             
									
                        			
                        			
                        		
	                     		
			                       	
			                       	
	                     		
		                        
                        	
		                        
		                        
		                        
		                        
                        		
                        	
		                        
		                        
		                        
		                        	
		                        	
		                        
		                        
                        		
                        		
                        		
                        			
                        			
		                       		
		                       		
		                       		
		                       			
		                        			
		                        				
		                        				 
		                        			
		                       			
		                       			
		                       			
		                       				目
		                       		
		                       		
		                        		
			                            	[目] 苟晞가 여러 州에 격문을 보내어 司馬越의 죄상을 열거하니, 황제 또한 사마월이 권력을 독단하고 명령을 어기고
			                             
									
                        			
                        			
                        		
	                     		
			                       	
			                       	
	                     		
		                        
                        	
		                        
		                        
		                        
		                        
                        		
                        	
		                        
		                        
		                        
		                        
                        		
                        		
                        		
                        			
                        			
		                       		
		                       		
		                       		
		                       		
		                        		
			                            	그가 도성에 남겨놓은 何倫 등이 公卿의 재물을 노략질하고 公主를 핍박하여 욕보인 것을 미워하여 은밀히 구희에게 詔書를 내려 사마월을 토벌하게 하였다.
			                             
									
                        			
                        			
                        		
	                     		
			                       	
			                       	
	                     		
		                        
                        	
		                        
		                        
		                        
		                        
                        		
                        	
		                        
		                        
		                        
		                        
                        		
                        		
                        		
                        			
                        			
		                       		
		                       		
		                       		
		                       		
		                        		
			                            	이에 사마월도 격문을 내려서 구희의 죄상을 나열하고 군대를 보내어 그를 공격하였다. 구희가 기병을 보내어 사마월의 도당인 尙書 劉曾과 侍中 程延을 체포하여 참수하니,
			                             
									
                        			
                        			
                        		
	                     		
			                       	
			                       	
	                     		
		                        
                        	
		                        
		                        
		                        
		                        
                        		
                        	
		                        
		                        
		                        
		                        
                        		
                        		
                        		
                        			
                        			
		                       		
		                       		
		                       		
		                       		
		                        		
			                            	사마월은 근심하고 분노하던 끝에 병이 나서 死後의 일을 王衍에게 부탁하고 卒하였다. 사람들이 함께 왕연을 추대하여 元帥로 삼으려 하니, 왕연은 감히 감당할 수 없다 하여 사마월의 영구를 받들고 東海로 돌아가 장례하였다.
			                             
									
                        			
                        			
                        		
	                     		
			                       	
			                       	
	                     		
		                        
                        	
		                        
		                        
		                        
		                        
                        		
                        	
		                        
		                        
		                        
		                        
                        		
                        		
                        		
                        			
                        			
		                       		
		                       		
		                       		
		                       		
		                        		
			                            	하륜 등이 裴妃와 世子 司馬毗를 데리고 洛陽에서 동쪽으로 달아나니, 성안에 있던 선비와 백성들이 다투어 따라갔다.
			                             
									
                        			
                        			
                        		
	                     		
			                       	
			                       	
	                     		
		                        
                        	
		                        
		                        
		                        
		                        
                        		
                        	
		                        
		                        
		                        
		                        
                        		
                        		
                        		
                        			
                        			
		                       		
		                       		
		                       		
		                       		
		                        		
			                            	황제는 사마월을 追貶하여 縣王으로 삼고, 구희를 大將軍 都督靑徐兗豫荊揚州諸軍事로 삼았다.
			                             
									
                        			
                        			
                        		
	                     		
			                       	
			                       	
	                     		
		                        
                        	
		                        
		                        
		                        
		                        
                        		
                        	
		                        
		                        
		                        
		                        	
		                        	
		                        
		                        
                        		
                        		
                        		
                        			
                        			
		                       		
		                       		
		                       		
		                       			
		                        			
		                        				
		                        				 
		                        			
		                       			
		                       			
		                       			
		                       				目
		                       		
		                       		
		                        		
			                            	[
目] 많은 사람들이 죽음을 두려워하여 대부분 스스로 
晉나라가 패망하게 된 이유를 진술하였으나, 유독 
襄陽王 司馬範은 정신과 기색을 엄숙히 하고서 사람들을 돌아보며 꾸짖기를 “오늘의 일을 어찌 다시 분분하게 말하는가.”
注+司馬範은 司馬瑋의 아들이니, 永寧 원년(301)에 봉지를 받았다. 하였다.
 
									
                        			
                        			
                        		
	                     		
			                       	
			                       	
	                     		
		                        
                        	
		                        
		                        
		                        
		                        
                        		
                        	
		                        
		                        
		                        
		                        
                        		
                        		
                        		
                        			
                        			
		                       		
		                       		
		                       		
		                       		
		                        		
			                            	石勒이 孔萇에게 이르기를 “내가 천하를 많이 다녀보았으나, 일찍이 이런 사람을 보지 못했으니, 마땅히 살려두어야 하지 않겠는가.” 하니, 공장이 말하기를 “저들은 모두 晉나라의 王公이니 끝내 우리에게 쓰이지 않을 것입니다.” 하였다.
			                             
									
                        			
                        			
                        		
	                     		
			                       	
			                       	
	                     		
		                        
                        	
		                        
		                        
		                        
		                        
                        		
                        	
		                        
		                        
		                        
		                        
                        		
                        		
                        		
                        			
                        			
		                       		
		                       		
		                       		
		                       		
		                        		
			                            	석륵이 말하기를 “그렇지만 그에게 칼날을 가해서는 안 된다.” 하고는 밤에 사람을 시켜서 담장을 떠밀어 압사하게 하였다.
			                             
									
                        			
                        			
                        		
	                     		
			                       	
			                       	
	                     		
		                        
                        	
		                        
		                        
		                        
		                        
                        		
                        	
		                        
		                        
		                        
		                        
                        		
                        		
                        		
                        			
                        			
		                       		
		                       		
		                       		
		                       		
		                        		
			                            	그리고 司馬越의 관을 깨서 그의 시신을 불태우고 말하기를 “천하를 어지럽힌 자는 바로 이 사람이니, 내가 천하 사람들을 위하여 원수를 갚는다.” 하였다.
			                             
									
                        			
                        			
                        		
	                     		
			                       	
			                       	
	                     		
		                        
                        	
		                        
		                        
		                        
		                        
                        		
                        	
		                        
		                        
		                        
		                        
                        		
                        		
                        		
                        			
                        			
		                       		
		                       		
		                       		
		                       		
		                        		
			                            	世子 司馬毗와 宗室 48명의 왕이 모두 석륵에게 죽임을 당하였고, 裴妃는 남에게 붙들려 팔려갔다가 오랜 뒤에야 長江을 건너왔다.
			                             
									
                        			
                        			
                        		
	                     		
			                       	
			                       	
	                     		
		                        
                        	
		                        
		                        
		                        
		                        
                        		
                        	
		                        
		                        
		                        
		                        
                        		
                        		
                        		
                        			
                        			
		                       		
		                       		
		                       		
		                       		
		                        		
			                            	처음에 琅邪王 司馬睿가 建業에 진주한 것은 裴妃의 뜻이었다. 그러므로 사마예는 그 일을 고맙게 여겨서 그녀를 극진하게 위문하고, 자기의 아들 司馬沖으로 하여금 사마월의 뒤를 잇게 하였다.
			                             
									
                        			
                        			
                        		
	                     		
			                       	
			                       	
	                     		
		                        
                        	
		                        
		                        
		                        
		                        
                        		
                        	
		                        
		                        
		                        
		                        	
		                        	
		                        
		                        
                        		
                        		
                        		
                        			
                        			
		                       		
		                       		
		                       		
		                       			
		                        			
		                        				
		                        				 
		                        			
		                       			
		                       			
		                       			
		                       				目
		                       		
		                       		
		                        		
			                            	[目] 처음에 劉曜는 王彌가 자신이 오기를 기다리지 않고 먼저 洛陽에 들어갔다 하여 그를 원망하였다.
			                             
									
                        			
                        			
                        		
	                     		
			                       	
			                       	
	                     		
		                        
                        	
		                        
		                        
		                        
		                        
                        		
                        	
		                        
		                        
		                        
		                        
                        		
                        		
                        		
                        			
                        			
		                       		
		                       		
		                       		
		                       		
		                        		
			                            	왕미가 유요를 설득하기를 “낙양은 천하의 중앙입니다. 산과 江河가 사방으로 둘려 있고 城池와 宮室은 굳이 수리하고 경영할 필요가 없으니, 主上에게 아뢰어서 平陽에서 이곳 낙양으로 천도하여야 합니다.” 하였으나,
			                             
									
                        			
                        			
                        		
	                     		
			                       	
			                       	
	                     		
		                        
                        	
		                        
		                        
		                        
		                        
                        		
                        	
		                        
		                        
		                        
		                        
                        		
                        		
                        		
                        			
                        			
		                       		
		                       		
		                       		
		                       		
		                        		
			                            	유요는 천하가 아직 평정되지 못하였고 낙양이 四面으로 적의 침공을 받으므로 지킬 수 없다고 생각하여 왕미의 계책을 따르지 않고 불을 질렀다.
			                             
									
                        			
                        			
                        		
	                     		
			                       	
			                       	
	                     		
		                        
                        	
		                        
		                        
		                        
		                        
                        		
                        	
		                        
		                        
		                        
		                        
                        		
                        		
                        		
                        			
                        			
		                       		
		                       		
		                       		
		                       		
		                        		
			                            	왕미가 유요를 꾸짖기를 “
屠各(저각)의 자식에게 어찌 제왕의 뜻이 있겠는가.”
注+屠는 直於의 切이다. ≪晉書≫에 “北狄은 部落을 族類로 삼는바, 변방 안에 들어와 산 자 중에 屠各 등 19종류의 족속이 있는데 모두 部落이 따로 있어서 서로 뒤섞이지 않았다. 그중 屠各이 가장 호걸스럽고 귀하였으므로 單于가 되어 여러 종족들을 다스릴 수 있었다.” 하였다. 하고는, 마침내 유요와 틈이 생겨서 병력을 인솔하고 동쪽으로 가서 
項關에 주둔하였다.
注+陳郡 項縣에 項關이 있다. 
									
                        			
                        			
                        		
	                     		
			                       	
			                       	
	                     		
		                        
                        	
		                        
		                        
		                        
		                        
                        		
                        	
		                        
		                        
		                        
		                        
                        		
                        		
                        		
                        			
                        			
		                       		
		                       		
		                       		
		                       		
		                        		
			                            	劉暾이 왕미를 설득하기를 “장군은 不世出의 공을 세우고 또 始安王(유요)과 사이가 좋지 못하니, 장차 어떻게 자신을 보전하려 합니까.
			                             
									
                        			
                        			
                        		
	                     		
			                       	
			                       	
	                     		
		                        
                        	
		                        
		                        
		                        
		                        
                        		
                        	
		                        
		                        
		                        
		                        
                        		
                        		
                        		
                        			
                        			
		                       		
		                       		
		                       		
		                       		
		                        		
			                            	동쪽으로 
本州(
靑州)를 점거하고 서서히 천하의 형세를 관망하는 것만 못하니,
注+王彌는 靑州 東萊 사람이다. 〈그리하여 靑州를 本州라고 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잘 되면 천하를 통일할 수 있고 잘못되더라도 솥발의 형세를 이루어 
三分天下의 
功業을 잃지 않을 것입니다.” 하니, 왕미가 내심 그 말을 옳게 여겼다.
 
									
                        			
                        			
                        		
	                     		
			                       	
			                       	
	                     		
		                        
                        	
		                        
		                        
		                        
		                        
                        		
                        	
		                        
		                        
		                        
		                        	
		                        	
		                        
		                        
                        		
                        		
                        		
                        			
                        			
		                       		
		                       		
		                       		
		                       			
		                        			
		                        				
		                        				 
		                        			
		                       			
		                       			
		                       			
		                       				目
		                       		
		                       		
		                        		
			                            	[
目] 
南陽王 司馬模가 
牙門 趙染을 
蒲坂에 주둔시켜 지키게 하였는데,
注+劉聰이 平陽에 있으면서 關中 지역을 엿보려 하였다. 蒲坂은 군대의 요충지이다. 조염이 병력을 거느리고 
漢나라(
前趙)에 항복하니,
 
									
                        			
                        			
                        		
	                     		
			                       	
			                       	
	                     		
		                        
                        	
		                        
		                        
		                        
		                        
                        		
                        	
		                        
		                        
		                        
		                        
                        		
                        		
                        		
                        			
                        			
		                       		
		                       		
		                       		
		                       		
		                        		
			                            	漢나라는 조염과 將軍 劉雅를 보내 長安에서 사마모를 공격하게 하고 劉曜와 劉粲으로 하여금 뒤를 잇게 하였다.
			                             
									
                        			
                        			
                        		
	                     		
			                       	
			                       	
	                     		
		                        
                        	
		                        
		                        
		                        
		                        
                        		
                        	
		                        
		                        
		                        
		                        
                        		
                        		
                        		
                        			
                        			
		                       		
		                       		
		                       		
		                       		
		                        		
			                            	조염이 사마모의 군대를 
潼關에서 패퇴시키고 승승장구하여 
下邽까지 이르자,
注+下邽縣은 前漢 때에는 京兆에 속하였는데, 後漢 때에는 없애고 鄭縣으로 합병하였다가 桓帝 때에 다시 설치하였으며, 晉나라 때에는 馮翊郡에 속하였다. 應劭가 말하기를 “上邽가 있기 때문에 下邽라고 칭하였으니, 秦나라 武公이 邽 지역의 戎族을 정벌하고 설치했다.” 하였다. 涼州의 장수 
北宮純이 장안에서 병력을 거느리고 와서 
漢나라에 항복하였다.
 
									
                        			
                        			
                        		
	                     		
			                       	
			                       	
	                     		
		                        
                        	
		                        
		                        
		                        
		                        
                        		
                        	
		                        
		                        
		                        
		                        
                        		
                        		
                        		
                        			
                        			
		                       		
		                       		
		                       		
		                       		
		                        		
			                            	漢나라 군대가 장안을 포위하자, 사마모가 창고가 텅 비고 병졸들이 뿔뿔이 흩어져 마침내 漢나라에 항복하니, 劉粲이 그를 죽였다.
			                             
									
                        			
                        			
                        		
	                     		
			                       	
			                       	
	                     		
		                        
                        	
		                        
		                        
		                        
		                        
                        		
                        	
		                        
		                        
		                        
		                        
                        		
                        		
                        		
                        			
                        			
		                       		
		                       		
		                       		
		                       		
		                        		
			                            	關西 지역에 기근이 들어서 白骨이 들판을 뒤덮고, 병사와 백성 중에 살아남은 자가 백 명 중에 한두 명 밖에 없었다. 漢主 劉聰은 劉曜를 雍州牧으로 삼아 中山王을 봉하고 장안을 지키게 하였다.
			                             
									
                        			
                        			
                        		
	                     		
			                       	
			                       	
	                     		
		                        
                        	
		                        
		                        
		                        
		                        
                        		
                        	
		                        
		                        
		                        
		                        
                        		
                        		
                        		
                        			
                        			
		                       		
		                       		
		                       		
		                       		
		                        		
			                            	사마모의 都尉 陳安이 병력을 거느리고 上邽에 있는 세자 司馬保에게 돌아가니, 사마보가 마침내 秦州를 점거하였다.
			                             
									
                        			
                        			
                        		
	                     		
			                       	
			                       	
	                     		
		                        
                        	
		                        
		                        
		                        
		                        
                        		
                        	
		                        
		                        
		                        
		                        
                        		
                        		
                        		
                        			
                        			
		                       		
		                       		
		                       		
		                       		
		                        		
			                            	얼마 후 사마보가 大司馬를 칭하고 制命을 받들어 부서를 설치하니, 隴右 지역의 氐族과 羌族이 모두 따랐다.
			                             
									
                        			
                        			
                        		
	                     		
			                       	
			                       	
	                     		
		                        
                        	
		                        
		                        
		                        
		                        
                        		
                        	
		                        
		                        
		                        
		                        	
		                        	
		                        
		                        
                        		
                        		
                        		
                        			
                        			
		                       		
		                       		
		                       		
		                       			
		                        			
		                        				
		                        				 
		                        			
		                       			
		                       			
		                       			
		                       				目
		                       		
		                       		
		                        		
			                            	[
目] 
苟晞가 교만하고 사치하고 가혹하고 포악하니, 
前 遼西太守 閻亨이 여러 번 
諫하자, 그를 죽였다.
注+閻亨은 閻纘의 아들이다. 
									
                        			
                        			
                        		
	                     		
			                       	
			                       	
	                     		
		                        
                        	
		                        
		                        
		                        
		                        
                        		
                        	
		                        
		                        
		                        
		                        
                        		
                        		
                        		
                        			
                        			
		                       		
		                       		
		                       		
		                       		
		                        		
			                            	從事 明預가 병이 있었는데도 직접 수레를 타고 들어가서 간하자,
注+明은 姓이다. 구희가 노하여 말하기를 “내가 
閻亨을 죽인 것이 그대와 무슨 상관이 있기에 병든 몸으로 수레를 타고 와서 나를 꾸짖는가.” 하니,
 
			                             
									
                        			
                        			
                        		
	                     		
			                       	
			                       	
	                     		
		                        
                        	
		                        
		                        
		                        
		                        
                        		
                        	
		                        
		                        
		                        
		                        
                        		
                        		
                        		
                        			
                        			
		                       		
		                       		
		                       		
		                       		
		                        		
			                            	명예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明公이 나를 禮로 대우하였기 때문에 나도 禮를 다하는 것입니다. 이제 明公이 나를 노여워하면 遠近에서 명공을 원망하고 노여워하는 사람들에게는 어찌하시겠습니까.
			                             
									
                        			
                        			
                        		
	                     		
			                       	
			                       	
	                     		
		                        
                        	
		                        
		                        
		                        
		                        
                        		
                        	
		                        
		                        
		                        
		                        
                        		
                        		
                        		
                        			
                        			
		                       		
		                       		
		                       		
		                       		
		                        		
			                            	桀王은 天子인데도 교만함과 포악함으로 망하였는데 하물며 남의 신하된 자의 경우이겠습니까. 원컨대 명공은 우선 이 노여움을 가라앉히고 저의 말을 생각해보십시오.”
			                             
									
                        			
                        			
                        		
	                     		
			                       	
			                       	
	                     		
		                        
                        	
		                        
		                        
		                        
		                        
                        		
                        	
		                        
		                        
		                        
		                        
                        		
                        		
                        		
                        			
                        			
		                       		
		                       		
		                       		
		                       		
		                        		
			                            	구희가 그의 말을 따르지 않으니, 이로 말미암아 여러 사람들의 마음이 離反하고 원망하였으며, 게다가 역병과 기근이 들었다.
			                             
									
                        			
                        			
                        		
	                     		
			                       	
			                       	
	                     		
		                        
                        	
		                        
		                        
		                        
		                        
                        		
                        	
		                        
		                        
		                        
		                        
                        		
                        		
                        		
                        			
                        			
		                       		
		                       		
		                       		
		                       		
		                        		
			                            	石勒이 蒙城을 습격하여 구희와 豫章王을 사로잡고는 구희의 목에 쇠사슬을 채워 左司馬로 삼았다.
			                             
									
                        			
                        			
                        		
	                     		
			                       	
			                       	
	                     		
		                        
                        	
		                        
		                        
		                        
		                        
                        		
                        	
		                        
		                        
		                        
		                        	
		                        	
		                        
		                        
                        		
                        		
                        		
                        			
                        			
		                       		
		                       		
		                       		
		                       			
		                        			
		                        				
		                        				 
		                        			
		                       			
		                       			
		                       			
		                       				目
		                       		
		                       		
		                        		
			                            	[目] 漢나라(前趙) 大將軍 王彌가 石勒과 겉으로는 서로 친하였으나 속으로는 시기하였다. 마침 왕미의 장수 徐邈이 배반하고 떠나가니, 왕미의 군대가 점점 쇠약해졌다.
			                             
									
                        			
                        			
                        		
	                     		
			                       	
			                       	
	                     		
		                        
                        	
		                        
		                        
		                        
		                        
                        		
                        	
		                        
		                        
		                        
		                        
                        		
                        		
                        		
                        			
                        			
		                       		
		                       		
		                       		
		                       		
		                        		
			                            	왕미는 석륵이 苟晞를 사로잡았다는 말을 듣고 내심 언짢아하면서도 편지로 석륵에게 축하하기를 “公이 구희를 사로잡아 등용하였으니, 어쩌면 그리도 신묘합니까. 만일 구희가 공의 왼손이 되고 제가 공의 오른손이 되면 천하를 평정하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하였다.
			                             
									
                        			
                        			
                        		
	                     		
			                       	
			                       	
	                     		
		                        
                        	
		                        
		                        
		                        
		                        
                        		
                        	
		                        
		                        
		                        
		                        
                        		
                        		
                        		
                        			
                        			
		                       		
		                       		
		                       		
		                       		
		                        		
			                            	석륵이 張賓에게 이르기를 “王公이 지위가 높은데 말을 겸손하게 하니, 틀림없이 나를 도모하려는 것이다.” 하였다. 장빈이 인하여 석륵에게 왕미의 군대가 다소 쇠약한 틈을 타서 그를 유인하여 죽일 것을 권하였다.
			                             
									
                        			
                        			
                        		
	                     		
			                       	
			                       	
	                     		
		                        
                        	
		                        
		                        
		                        
		                        
                        		
                        	
		                        
		                        
		                        
		                        
                        		
                        		
                        		
                        			
                        			
		                       		
		                       		
		                       		
		                       			
		                        			
		                        				
		                        				 
		                        			
		                       			
		                       			
		                       			
		                       				目
		                       		
		                       		
		                        		
			                            	[目] 이때에 王彌가 劉瑞와 서로 대치하여 형세가 매우 위급하였다. 왕미가 石勒에게 구원을 청하였으나 석륵이 허락하지 않았다.
			                             
									
                        			
                        			
                        		
	                     		
			                       	
			                       	
	                     		
		                        
                        	
		                        
		                        
		                        
		                        
                        		
                        	
		                        
		                        
		                        
		                        
                        		
                        		
                        		
                        			
                        			
		                       		
		                       		
		                       		
		                       		
		                        		
			                            	張賓이 말하기를 “公이 항상 王公을 제거할 기회를 얻지 못하는 것을 안타까워하였는데, 지금 하늘이 왕공을 우리에게 넘겨주었습니다.” 하니, 석륵이 마침내 군대를 인솔하고 유서를 공격하여 참수하였다.
			                             
									
                        			
                        			
                        		
	                     		
			                       	
			                       	
	                     		
		                        
                        	
		                        
		                        
		                        
		                        
                        		
                        	
		                        
		                        
		                        
		                        
                        		
                        		
                        		
                        			
                        			
		                       		
		                       		
		                       		
		                       		
		                        		
			                            	왕미는 크게 기뻐하여 석륵이 실제로 자기와 친하다고 생각해서 다시는 의심하지 않았다. 석륵이 왕미를 초청하여 연회를 베풀었는데, 왕미가 술에 취하자 그의 목을 베고 그 병력을 자기 휘하에 병합하였다.
			                             
									
                        			
                        			
                        		
	                     		
			                       	
			                       	
	                     		
		                        
                        	
		                        
		                        
		                        
		                        
                        		
                        	
		                        
		                        
		                        
		                        
                        		
                        		
                        		
                        			
                        			
		                       		
		                       		
		                       		
		                       		
		                        		
			                            	漢主 劉聰은 〈이 일을 알고〉 크게 노하고 사자를 보내어 ‘마음대로 公輔(大臣)를 살해하여 君主를 무시하는 마음이 있다.’고 석륵을 책망하였으나, 또 한편으로는 석륵에게 鎭東大將軍을 加하여 그의 마음을 위로해주었다.
			                             
									
                        			
                        			
                        		
	                     		
			                       	
			                       	
	                     		
		                        
                        	
		                        
		                        
		                        
		                        
                        		
                        	
		                        
		                        
		                        
		                        
                        		
                        		
                        		
                        			
                        			
		                       		
		                       		
		                       		
		                       		
		                        		
			                            	苟晞가 점차 석륵을 배반할 것을 모의하자, 석륵이 그를 죽이고, 군대를 이끌고서 
豫州의 여러 
郡을 노략질하다가 장강에 이르러 군대를 되돌려 
葛陂에 주둔하였다.
注+≪續漢書≫ 〈郡國志〉에 “汝南郡 鮦陽縣에 葛陂가 있다.” 하였다. 
			                             
									
                        			
                        			
                        		
	                     		
			                       	
			                       	
	                     		
		                        
                        	
		                        
		                        
		                        
		                        
                        		
                        	
		                        
		                        
		                        
		                        
                        		
                        		
                        		
                        			
                        			
		                       		
		                       		
		                       		
		                       			
		                        			
		                        				
		                        				 
		                        			
		                       			
		                       			
		                       			
		                       				目
		                       		
		                       		
		                        		
			                            	[目] 처음에 石勒이 남에게 붙잡혀 팔려갈 적에 그 어머니 王氏와 헤어졌다. 劉琨이 그녀를 찾아내고는 사자를 보내어 그 從子 石虎와 함께 석륵에게 보내고,
			                             
									
                        			
                        			
                        		
	                     		
			                       	
			                       	
	                     		
		                        
                        	
		                        
		                        
		                        
		                        
                        		
                        	
		                        
		                        
		                        
		                        
                        		
                        		
                        		
                        			
                        			
		                       		
		                       		
		                       		
		                       		
		                        		
			                            	인하여 편지를 보내기를 “將軍의 용병술이 귀신과 같으나, 천하를 두루 떠돌아다녀도 발을 용납할 땅이 없으니, 이는 훌륭한 군주를 얻으면 의로운 군대가 되고, 역적에게 붙으면 역적의 무리가 되기 때문이다.
			                             
									
                        			
                        			
                        		
	                     		
			                       	
			                       	
	                     		
		                        
                        	
		                        
		                        
		                        
		                        
                        		
                        	
		                        
		                        
		                        
		                        
                        		
                        		
                        		
                        			
                        			
		                       		
		                       		
		                       		
		                       		
		                        		
			                            	성공과 실패가 나뉘는 이치는 마치 호흡과 같으니, 급히 숨을 내쉬면 차갑게 느껴지고 서서히 내쉬면 따뜻하게 느껴지는 법이다.
注+숨을 급히 내쉬는 것을 吹라 하고, 천천히 내쉬는 것을 噓라 한다. 지금 내가 그대에게 
侍中을 제수하고 
護匈奴中郞將을 겸하게 하니, 장군은 이것을 받으라.” 하였다.
 
									
                        			
                        			
                        		
	                     		
			                       	
			                       	
	                     		
		                        
                        	
		                        
		                        
		                        
		                        
                        		
                        	
		                        
		                        
		                        
		                        
                        		
                        		
                        		
                        			
                        			
		                       		
		                       		
		                       		
		                       		
		                        		
			                            	석륵이 답장을 보내기를 “
功을 세우는 것은 길이 다르니, 이는 진부한 
儒者가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
注+腐는 썩어 문드러진 모양이니, “腐儒”는 儒者가 진부한 견해만을 지키면서 時宜를 알지 못함을 말한 것이다. 그대는 마땅히 그대의 조정(
晉나라)에 충절을 다할 것이요, 나는 직접 난을 평정하여 
功效를 바치겠다.”
注+夷는 평정함이고, 難은 환란이고, “爲効”는 그 수고한 공효를 바치는 것이니, 〈“吾自夷難爲効”는〉 내(석륵)가 난을 평정하는 일로 스스로 공효를 바치겠다는 것이다. 하고는,
 
									
                        			
                        			
                        		
	                     		
			                       	
			                       	
	                     		
		                        
                        	
		                        
		                        
		                        
		                        
                        		
                        	
		                        
		                        
		                        
		                        
                        		
                        		
                        		
                        			
                        			
		                       		
		                       		
		                       		
		                       		
		                        		
			                            	유곤에게 名馬와 진귀한 보물을 보내고 사자를 후하게 예우였으나, 그의 제의는 사절하였다.
			                             
									
                        			
                        			
                        		
	                     		
			                       	
			                       	
	                     		
		                        
                        	
		                        
		                        
		                        
		                        
                        		
                        	
		                        
		                        
		                        
		                        
                        		
                        		
                        		
                        			
                        			
		                       		
		                       		
		                       		
		                       			
		                        			
		                        				
		                        				 
		                        			
		                       			
		                       			
		                       			
		                       				目
		                       		
		                       		
		                        		
			                            	[目] 遼東의 변방에 사는 鮮卑族인 素喜連과 木丸津이 요동의 여러 縣을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郡의 군대를 여러 번 격파하였으나, 東夷校尉 封釋이 이들을 토벌하지 못하였다.
			                             
									
                        			
                        			
                        		
	                     		
			                       	
			                       	
	                     		
		                        
                        	
		                        
		                        
		                        
		                        
                        		
                        	
		                        
		                        
		                        
		                        
                        		
                        		
                        		
                        			
                        			
		                       		
		                       		
		                       		
		                       		
		                        		
			                            	백성들 중에 생업을 잃고 
慕容廆에게 귀의하는 자가 매우 많았다. 모용외의 작은아들 
慕容翰이 모용외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注+≪晉書≫ 〈載記〉에 근거해보면, 慕容翰은 慕容皝에게 庶兄이 되고 모용황은 慕容廆의 셋째아들이니, 그렇다면 모용한은 작은아들이 아니다. “예로부터 훌륭한 일을 한 군주는 모두 
天子를 높여 백성들의 바람을 따르고서 대업을 이루었습니다.
 
									
                        			
                        			
                        		
	                     		
			                       	
			                       	
	                     		
		                        
                        	
		                        
		                        
		                        
		                        
                        		
                        	
		                        
		                        
		                        
		                        
                        		
                        		
                        		
                        			
                        			
		                       		
		                       		
		                       		
		                       		
		                        		
			                            	지금 소희연과 목환진이 끊임없이 포악하게 도둑질을 하니, 그들의 죄를 열거하여 토벌하는 것만 못합니다.
			                             
									
                        			
                        			
                        		
	                     		
			                       	
			                       	
	                     		
		                        
                        	
		                        
		                        
		                        
		                        
                        		
                        	
		                        
		                        
		                        
		                        
                        		
                        		
                        		
                        			
                        			
		                       		
		                       		
		                       		
		                       		
		                        		
			                            	이렇게 하면 위로는 어지러운 요동을 다시 회복하고 아래로는 소희연과 목환진 두 
部를 병탄할 수가 있으니, 그리되면 우리의 
忠義가 
晉나라 조정에 드러나고 사사로운 이익이 우리나라로 돌아옵니다. 이는 
霸王의 기반이 될 것입니다.”
注+2部는 素喜連과 木丸津을 이른다. 
									
                        			
                        			
                        		
	                     		
			                       	
			                       	
	                     		
		                        
                        	
		                        
		                        
		                        
		                        
                        		
                        	
		                        
		                        
		                        
		                        
                        		
                        		
                        		
                        			
                        			
		                       		
		                       		
		                       		
		                       		
		                        		
			                            	모용외가 웃으며 말하기를 “어린아이의 생각이 여기에까지 미친단 말인가.” 하고는 마침내 소희연과 목환진을 공격할 적에 모용한을 선봉으로 삼아서 이들을 격파하여 참수하고, 소희연과 목환진 두 部의 무리를 모두 병합하였다.
			                             
									
                        			
                        			
                        		
	                     		
			                       	
			                       	
	                     		
		                        
                        	
		                        
		                        
		                        
		                        
                        		
                        	
		                        
		                        
		                        
		                        
                        		
                        		
                        		
                        			
                        			
		                       		
		                       		
		                       		
		                       		
		                        		
			                            	봉석이 병이 위독해지자, 손자인 封奕을 모용외에게 부탁하였다.
			                             
									
                        			
                        			
                        		
	                     		
			                       	
			                       	
	                     		
		                        
                        	
		                        
		                        
		                        
		                        
                        		
                        	
		                        
		                        
		                        
		                        
                        		
                        		
                        		
                        			
                        			
		                       		
		                       		
		                       		
		                       		
		                        		
			                            	봉석이 
卒하자 모용외가 봉혁을 불러 함께 말해보고는 매우 기뻐하여 말하기를 “기이한 선비이다.”라 하고 
小都督으로 임용하였다.
注+說(기뻐하다)은 悅로 읽는다. 
									
                        			
                        			
                        		
	                     		
			                       	
			                       	
	                     		
		                        
                        	
		                        
		                        
		                        
		                        
                        		
                        	
		                        
		                        
		                        
		                        
                        		
                        		
                        		
                        			
                        			
		                       		
		                       		
		                       		
		                       		
		                        		
			                            	봉석의 아들 封悛(봉전)과 封抽가 喪에 달려왔는데, 모용외는 이들을 만나보고 말하기를 “이 집안사람들은 모두 하늘에서 내려온 千斤의 거세한 황소이다.” 하였다.
			                             
									
                        			
                        			
                        		
	                     		
			                       	
			                       	
	                     		
		                        
                        	
		                        
		                        
		                        
		                        
                        		
                        	
		                        
		                        
		                        
		                        
                        		
                        		
                        		
                        			
                        			
		                       		
		                       		
		                       		
		                       		
		                        		
			                            	봉석의 아들들은 길이 통하지 않아서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모두 머물러 모용외에게 벼슬해서, 봉추는 
長史가 되고 봉전은 
參軍이 되었다.
注+抎은 羽敏의 切이니, 높은 곳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것이다. 犍은 居言의 切이니, 거세한 황소이다. 千斤의 거세한 황소는 마치 하늘에서 내려온 것처럼 인간 세상에서 많이 얻을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一說에 “‘抎抎’은 강건하여 힘이 있는 모양이니, 犍은 바로 거세한 소로 강건하고 온순한데, 여기서는 다만 그 무겁고 큰 것만을 말했을 뿐이다.”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