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資治通鑑綱目(17)

자치통감강목(17)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자치통감강목(17)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宋元嘉二十七年이요 魏太平眞君十一年이라
春正月 宋將軍沈慶之 討蠻平之하다
沈慶之自冬至春 屢破山蠻하고 因其穀以充軍食이러니 幸諸山犬羊蠻 憑險築城하여 守禦甚固注+沈慶之傳 “討犬羊諸山蠻.”하다
慶之命諸軍連營於山中하여 開門相通하고 各穿池於營內하여 朝夕不外汲하니 蠻潛兵夜來燒營이어늘 諸軍以池水沃火하고 多出弓弩하여 夾射之하니 蠻兵散走하다
蠻所據 險固不可攻이어늘 慶之乃置六戍以守之하니 久之 蠻食盡하여 稍稍請降이어늘 悉遷於建康하여 以爲營戶하다
二月 魏主侵宋하여 圍懸瓠하다
魏主將伐宋이어늘 宋主聞之하고 勅淮泗諸郡하여 若魏寇小至 則各堅守하고 大至 則拔民歸壽陽이러니
邊戍偵候不明注+偵候, 謂覘偵而伺候之也.이어늘 魏主自將步騎十萬하여 奄至南頓하니 潁川太守竝棄城走注+南頓縣, 本屬汝南, 晉惠帝分置南頓郡.하다
是時 豫州刺史南平王鑠 鎭壽陽注+鑠, 文帝子.이러니 遣參軍陳憲하여 守懸瓠하니 城中戰士 不滿千人이라 魏主圍之하다
三月 宋減百官俸하다
以軍興으로 減內外官俸三分之一하다
夏四月 魏師還하다
魏人晝夜攻懸瓠하여 作高樓하여 臨城以射之하니 矢下如雨 城中負戶以汲注+半門曰戶, 謂汲水者背負其戶以禦流矢也.이러라
施大鉤於衝車之端하여 以牽樓堞하여 壞其南城하니 陳憲 內設女牆하고 外立木柵以拒之注+樓堞, 城上之樓. 櫓, 女垣也.
魏人塡塹하고 肉薄登城注+薄, 迫也. 不用梯衝, 以身迫城, 緣之而上, 謂之肉薄登城.하니 憲督厲將士苦戰이어늘 積尸與城等이라
魏人乘尸上城하여 短兵相接이어늘 憲銳氣愈奮하여 戰士無不一當百이라 殺傷萬計 城中死者亦過半이러라
魏遣永昌王仁하여 驅所掠六郡生口하여 北屯汝陽注+仁, 健之子也. 生口, 生獲之人也. 汝陽縣, 本屬汝南郡, 江左分立汝陽郡.이러니 宋主遣間使하여 命武陵王駿하여 發騎襲之하니 駿發百里內馬하여 得千五百匹하여 分爲五軍하여 遣參軍劉泰之等將之하여 直趨汝陽이러라
魏人唯慮救兵自壽陽來 不備彭城이러니 泰之等 潛進擊之하여 殺三千餘人하고 燒其輜重하니 魏人奔散하고 諸生口 悉得東走러라
魏偵知泰之等兵無後繼하고 復引兵擊之하니 士卒驚亂走死하여 免者九百餘人이요 馬還者四百匹이라
魏主攻懸瓠四十二日 宋主遣南平內史臧質司馬劉康祖하여 共救懸瓠注+康祖, 道錫之從兄也. 道錫, 道産之弟.하니
魏主遣任城公乞地眞하여 逆拒之어늘 質等擊斬乞地眞하니
四月 魏主引兵還이어늘 宋以陳憲으로 爲龍驤將軍하다
魏主遺宋主書曰 前蓋吳反逆하여 扇動關隴이어늘 彼復使人誘之하니 是曹正欲譎誑取賂 豈有遠相服從之理注+是曹, 蓋指吳也.리오
爲大丈夫하여 何不自來取之하고 而以貨誘我邊民 我今至此하니 所得孰與彼多
彼又北通蠕蠕하고 西結赫連沮渠吐谷渾하며 東連馮弘高麗러니 凡此數國 我皆滅之하니 彼豈能獨立邪
我今北征 先除有足之寇 以彼無足이라 故不先討耳注+柔然多馬, 故言其有足. 我當顯然往取揚州 不若彼翳行竊步也注+翳, 隱也. 翳行, 言隱蔽其身而行也리라
彼前使裴方明取仇池하고 旣得之 疾其勇功하여 己不能容이라 有臣如此호되 尙殺之어니 烏得與我校邪
彼嘗欲與我一交戰하나 我亦不癡 復非苻堅이니 何時與彼交戰이리오 晝則遣騎圍遶하고 夜則離彼百里外宿하리니 吳人正有斫營伎注+伎, 巨綺切, 伎倆. 不過行五十里 天已明矣리니 其首豈得不爲我有哉
彼公時舊臣 雖老 猶有智策이러니 知今已殺盡하니 非天資我邪注+彼公指武帝也. 舊臣, 謂謝晦․檀道濟輩.
宋以江湛爲吏部尙書하다
湛性公廉하여 與僕射徐湛之 竝爲上所寵信하니 時稱江徐러라
專制朝權하여 嘗薦士數十人하여 皆起家爲郡守어늘
太子晃曰 先徵之人 亦州郡之選也注+先徵之人, 謂游雅․李靈․高允等. 在職已久하여 勤勞未答하니 宜先補郡縣하고 以新徵者 代爲郞吏 且守令治民 宜得更事者라하니
浩固爭而遣之한대 中書侍郞高允聞之하고 曰崔公其不免乎인저 苟遂其非而校勝於上하니 將何以堪之리오
魏主使浩允等으로 共譔國記曰 務從實錄注+譔, 通作撰.하라하다
著作令史閔湛郗標性巧佞이라 浩嘗注易及論語詩書어늘 湛標上疏言호되 馬鄭王賈不如浩之精微注+馬․鄭․王․賈, 謂馬融․鄭玄․王肅․賈逵也.하니 乞收境內諸書하고 班浩所注하여 令天下習業注+令習肄浩所注經以爲家業.하노이다
浩亦薦湛標有著述才라하고 湛標又勸浩刊所譔國史于石하여 以彰直筆한대 允聞之하고 謂著作郞宗欽曰
湛標所營分寸之間 恐爲崔門萬世之禍로다 吾徒亦無噍類矣리라
浩竟刊石立於郊壇東方百步注+據水經註, 平城西郭外有郊天壇.하니 所書魏之先世事 皆詳實하여 列於衢路하니 北人無不忿恚하여 相與譖浩하여 以爲暴揚國惡注+北人, 謂其先世從拓跋氏來自北荒者.이라한대
魏主大怒하여 使有司按浩及秘書郞吏等罪狀하다
遼東公翟黑子 奉使并州하여 受布千匹注+翟, 姓也. 黑子, 其名.이라가 事覺하여 謀於高允한대
允曰 公帷幄寵臣이라 有罪首實이면 庶或見原이니 不可重爲欺罔注+首, 謂有罪自陳也. 原, 赦也. 重, 直用切.이니라
崔覽謂曰 首實이면 罪不可測이니 不如諱之注+覽, 本傳作鑑.라하니
黑子怨允曰 君奈何誘人就死地 遂不以實對한대 魏主殺之하니라
魏主使允授太子經이러니 及崔浩被收 太子召允謂曰 吾自導卿하리니 至尊有問이어든 但依吾語하라
太子入言호되 高允小心愼密하고 且制由崔浩하니 請赦其死하소서하니
魏主問曰 國書皆浩所爲乎아하니 對曰 太祖記 前著作郞鄧淵所爲 先帝記及今記 臣與浩共爲之 然浩所領事多하여 摠裁而已 至於著述 臣多於浩注+摠裁, 謂摠其大綱, 裁其可否也.니이다
魏主怒曰 允罪甚於浩하니 何以得生이리오 太子懼曰 天威嚴重하시고 允小臣이라 迷亂失次耳로이다 臣曏問하니 皆云 浩所爲라하니이다
魏主問信如東官所言乎아하니 對曰 臣罪當滅族이어니와 不敢虛妄이니 殿下哀臣하여 欲匄其生耳니이다
魏主顧謂太子曰 直哉 此人情所難이로되 而允能爲之하니 臨死不易辭 信也 爲臣不欺君 貞也 宜特除其罪以旌之라하고 遂赦之注+旌, 表異也.하다
召浩臨詰한대 浩惶惑不能對하고 允事事申明하여 皆有條理어늘 魏主命允爲詔하여 誅浩及僚屬僮吏凡百二十八人하여 皆夷五族할새 允持疑不爲어늘
帝頻使催切한대 允曰 浩之所坐 若更有餘釁이면 非臣敢知어니와 若直以觸犯이면 罪不至死注+餘釁, 猶言別罪也. 觸犯, 謂直書國惡, 不爲尊者諱也.니이다
魏主怒하여 命武士執允한대 太子爲之拜請하니 魏主意解하여 乃曰 無斯人이면 當更有數千口死矣라하다
六月 詔誅浩夷其族하고 餘皆誅其身하다
它日 太子讓允曰 吾欲爲卿脫死로되 而卿終不從하여 激怒帝如此하니 每念之 使人心悸러라
允曰 夫史者 所以記人主善惡하여 爲將來勸戒 故人主有所畏忌하여 愼其擧措하나니
崔浩孤負聖恩하여 以私欲으로 沒其廉潔하며 愛憎으로 蔽其公直하니 不爲無罪어니와 至於書朝廷起居하고 言國家得失하여는 此爲史之大體 未爲多違
臣與浩實同其事하니 死生榮辱 義無獨殊 誠荷殿下再造之慈어니와 違心苟免 非臣所願也니이다하니 太子動容稱歎注+造, 成也, 謂再使成人.이라
允退謂人曰 我不奉東宮指導者 恐負翟黑子故也라하다
魏主旣誅浩而悔之러니 會北部尙書宣城公李孝伯病篤이어늘 或傳已卒注+魏北部尚書知北邊州郡.한대 魏主悼之曰 李宣城可惜이로다하고 旣而曰 朕失言이라 崔司徒 可惜이요 李宣城 可哀라하다
孝伯 順從父弟也 自浩之誅 軍國謀議皆出孝伯하여 寵眷亞於浩러라
冬十月 魏主自將救之한대 宋將軍王玄謨退走하다
宋主欲伐魏할새 丹楊尹徐湛之尙書江湛寧朔將軍王玄謨等 竝勸之한대 將軍劉康祖以爲歲月已晚하니 請待明年하소서하니
宋主曰 北方苦虜虐政하여 義徒竝起한대 頓兵一周하니 向義之心 不可沮也
校尉沈慶之諫曰 我步彼騎 其勢不敵이요 檀道濟再行無功하고 到彥之失利而返하니 今料王玄謨等 未踰兩將이요 六軍之盛 不過往時하니 恐重辱王師注+重, 直用切.하노이다
宋主曰 道濟養寇自資하고 彥之中塗疾動注+謂彥之目疾大動也.이라 虜所恃惟馬 今夏水浩汗하여 河道流通하니 汎舟北下 碻磝必走 滑臺易拔이니
克此二城하여 館穀弔民하면 虎牢洛陽 自然不固注+館穀, 因其軍之館, 食其軍之穀也. 一說 “館穀就食敵人所積之穀.”리니 比及冬初 城守相接하여 虜馬過河 卽成擒也
慶之又固陳不可라한대 宋主使湛之等難之하니 慶之曰
治國譬如治家하여 耕當問奴 織當訪婢어늘 陛下今欲伐國호되 而與白面書生輩謀之하니 事何由濟리오하니
宋主大笑러라 太子劭及將軍蕭思話亦諫호되 皆不從하다
魏主復與宋主書曰 彼此和好日久어늘 而彼志無厭하여 誘我邊民하고 又聞彼欲自來라하니 彼年已五十 未嘗出戶하니 雖自力而來 如三歲嬰兒 與我鮮卑生長馬上者 果如何哉注+用力勉强曰力.
七月 宋主遣王玄謨하여 帥沈慶之申坦水軍入河하여 受督於靑冀二州刺史蕭斌注+坦, 鍾之曾孫也.하다
臧質王方回徑造許洛하고 駿鑠 東西齊擧注+駿, 武陵王名, 時爲徐․兗二州刺史. 鑠, 南平王名, 時爲豫州刺史.하고 劉秀之震盪汧隴하고 義恭出次彭城하여 爲衆軍節度注+震, 搖動也. 盪, 洗滌也. 汧水․隴山相連, 皆在扶風.하다
是時 軍旅大起 王公妃主及朝士牧守下至富民 各獻金帛雜物하여 以助國用하고
又以兵力不足으로 悉發六州하여 倩使蹔行注+六州, 謂靑․冀․徐․豫․南兗․北兗也. 倩, 七政切, 假也.하고 募中外有馬步衆藝武力之士하여 應科者 皆加厚賞하니
有司奏軍用不充이어늘 富民家貲滿五十萬 僧尼滿二十萬 竝四分借一하여 事息卽還하다
建武司馬申元吉 趣碻磝하니 魏濟靑刺史皆棄城走어늘 蕭斌與沈慶之 留守碻磝하고 使王玄謨 進圍滑臺하다
隨王誕 遣雍州參軍柳元景將軍尹顯祖曾方平薛安都龐法起하여 將兵出弘農注+曾方平, 南史作魯方平.하니
參軍龐季明 年七十餘 自以關中豪右 請入長安招合夷夏어늘 誕許之한대
乃自貲谷入盧氏하니 盧氏民趙難 納之注+貲谷, 在盧氏縣南山之南. 盧氏縣, 漢屬弘農郡, 晉分屬上洛郡.어늘 季明 誘說士民하니 應者甚衆이라
安都等因之하여 自熊耳山出하고 元景繼進注+熊耳山, 在盧氏故縣東.하고 南平王鑠 遣豫州參軍胡盛之出汝南하고
梁坦 出上蔡向長社하고 王陽兒 擊豫州하니 魏荊豫刺史魯爽僕蘭 皆棄城走하다 鑠又遣司馬劉康祖하여 助坦進逼虎牢하다
魏群臣 初聞有宋師하고 言於魏主하여 請遣兵하고 救緣河穀帛한대
魏主曰 馬今未肥하고 天時尙熱하니 速出이면 必無功이니 若兵來不止어든 且還陰山避之 國人本著羊皮袴하니 何用綿帛이리오 展至十月이면 吾無憂矣注+
火箭火箭
國人, 謂同自北荒來之種人也. 著, 陟略切. 展, 寬也.
리라
九月 魏主引兵南救滑臺하고 命太子晃하여 屯漠南以備柔然하다
王玄謨士衆甚盛하고 器械精嚴이로되 而玄謨貪愎好殺이라 初圍滑臺 城多茅屋이어늘 衆請以火箭燒之注+杜佑曰 “以小瓢盛油冠矢端, 射城樓櫓板木上, 瓢敗油散, 因燒矢內簳中射油散處, 火立燃, 復以油瓢續之, 則樓櫓盡焚, 謂之火箭.”한대
玄謨曰 彼吾財也 何遽燒之리오하니 城中卽撤屋穴處하다
河洛之民 競出租穀操兵來赴者 日以千數어늘 玄謨不卽其長帥而以配私暱하고 家付匹布하며 責大棃八百注+即, 就也, 言不能就其長帥而用之, 使各爲部隊, 而以其人分配私所愛暱者.하니 由是 衆心失望하여 攻城數月不下러라
聞魏救將至하고 衆請發車爲營한대 玄謨不從하다
十月 魏主夜渡河하니 衆號百萬이라 鞞鼓之聲 震動天地어늘 玄謨懼하여 退走한대 魏人追擊之하니 死者萬餘人이라 麾下散亡略盡하고 委棄軍資器械山積이러라
先是 玄謨遣垣護之하여 以百舸爲前鋒하여 據石濟러니 護之聞魏兵將至하고 馳書勸玄謨急攻曰
武皇攻廣固 死沒甚衆이러니 況今事迫於曩日하니 豈得計士衆傷疲리오 願以屠城爲急하라한대 玄謨不從하다
魏人以所得戰艦으로 連以鐵鎖하여 三重斷河하여 以絶護之還路하니 河水迅急이라 護之中流而下라가 每至鐵鎖 以長柯斧斷之하니 魏不能禁하여 唯失一舸하고 餘皆完備而返하다
蕭斌遣沈慶之將五千人하여 救玄謨한대 慶之曰 玄謨士衆 疲老하고 宼虜已逼하니 小軍輕往 無益也
斌固遣之러니 會玄謨遁還이어늘 斌將斬之할새 慶之固諫曰 佛貍威震天下하고 控弦百萬이니 豈玄謨所能當이리오 且殺戰將以自弱 非良計也라하니 斌乃止注+佛音弼. 佛貍, 魏主小字.하다
斌欲守固碻磝한대 慶之曰 今靑冀虛弱한대 而坐守窮城하니 若虜衆東過 淸東非國家有也 碻磝孤絶하면 復作朱脩之滑臺耳注+東過, 謂越碻磝而過, 東入靑․冀界. 淸東, 謂淸水以東也. 先時到彦之北侵, 自河南回, 留脩之守滑臺, 明年魏將安頡攻破之, 囚修之.라하다
會詔使至러니 不聽退師하니 斌復召諸將議之한대 慶之曰 閫外之事 將軍得以專之하나니 詔從遠來하여 不知事勢 節下有一范增호되 不能用하니 空議何施注+節下稱蕭斌也. 慶之引漢高帝之言, 以喩斌不用其言.리오
斌及坐者竝笑曰 沈公乃更學問注+更, 工衡切, 經也, 歷也.이로다하니 慶之厲聲曰 衆人雖知古今이나 不如下官耳學也注+耳學, 謂雖未嘗目覽書傳, 能以耳聽人所講說者而學之.라하니
斌乃使王玄謨戍碻磝하고 申坦垣護之據淸口하고 自帥諸軍還歷城注+淸水南通淮, 北通河, 此謂淸水入河之口. 水經 “濟水東北過壽張縣西界安民亭南, 汶水從東北來注之.” 註云 “戴延之所謂淸口也.”하다
魏主命諸將分道竝進할새 永昌王仁 自洛陽趨壽陽하고 尙書長孫眞 趣馬頭하며 楚王建 趣鍾離하고 高涼王那 自靑州趣下邳注+沈約曰 “馬頭郡故淮南當塗縣地, 晉安帝立馬頭郡, 因山形而名, 屬南豫州, 宋屬徐州.” 建, 太武之子也.하며
魏主自東平趣鄒山하여 十一月 禽魯郡太守崔邪利注+宋魯郡時治鄒山.하다
見秦始皇石刻하고 使人排而仆之하고 以太牢 祠孔子注+秦始皇二十八年, 上鄒嶧山, 立石頌德.하다
宋略陽太守龐法起等諸軍 入盧氏하여 斬縣令하고 以趙難爲令하여 使爲鄕導
柳元景等 進攻弘農拔之하고 進向潼關이러니 詔以元景爲弘農太守하다
元景使薛安都尹顯祖 先引兵就法起等於陝하고 元景於後督租러니
陝城險固 攻之不拔한대 魏洛州刺史張是連提 帥衆二萬하여 度崤救陝注+張是, 復姓. 連提, 名也. 自洛至陝有三崤之險.이어늘 安都等與戰於城南이러니
魏人縱突騎하니 諸軍不能敵이라 安都怒하여 脫兜鍪解鎧하고 馬亦去具裝하고 瞋目橫矛하여 單騎突陳하니 所向無前하며 魏人夾射不能中이라
如是數四하니 殺傷不可勝數러라 日暮 別將魯元保引兵自函谷關至하니 魏兵乃退하다
明日 安都等 陳於城西南이어늘 曾方平謂安都曰 今勍敵在前하고 堅城在後하니 是吾取死之日이라 卿若不進이면 我當斬卿이요 我若不進이어든 卿斬我也하라하니 安都曰善이라하고
遂合戰하니 軍副柳元怙引兵自南門鼓譟直出하여 旌旗甚盛하니 魏衆驚駭注+一軍之將, 謂之軍主. 副將, 謂之軍副. 安都挺身奮擊하여 流血凝肘하고 矛折이어늘 易之更入하니
諸軍齊奮하여 自旦至日昃하니 魏衆大潰 斬張是連提及將卒三千餘級하고 其餘赴河塹死者甚衆이요 降者二千餘人이라
明日 元景至하여 讓降者曰 汝輩本中國民이어늘 今爲虜盡力하다가 力屈乃降 何也注+爲, 去聲.오하니
皆曰虜驅民使戰하여 後出者滅族하고 以騎蹙步하여 未戰先死하니 此將軍所親見也
諸將欲盡殺之어늘 元景曰 王旗北指 當令仁聲先路라하고 盡釋而遣之하니 皆稱萬歲而去注+先, 悉薦切, 言當修仁政以爲前導也.러라
遂克陝城하고 進攻潼關據之하니 關中豪桀 所在蠭起하고 及四山羌胡 皆來送款注+關中之地, 四面阻山, 時羌胡皆依山而居, 自爲聚落.이러라
宋以王玄謨敗退魏兵深入하니 柳元景等 不宜獨進이라하여 皆召還하다 元景使薛安都斷後하고 引兵歸襄陽이어늘 詔以元景爲襄陽太守하다
魏永昌王仁 克懸瓠하고 遂敗宋師于尉武하여 殺其將劉康祖하고 進逼壽陽하다
魏永昌王仁 攻懸瓠項城拔之하니 宋主恐魏兵至壽陽하여 召劉康祖使還이러니 仁將八萬騎하여 追及康祖於尉武注+尉武, 亭名, 去壽陽裁數十里.
康祖有衆八千人하니 軍副胡盛之 欲依山險하여 間行取至注+取至, 謂取至壽陽也.한대 康祖怒曰 臨河求敵 遂無所見이어늘 幸其自送하니 奈何避之리오하고
乃結車營而進하여 下令軍中曰 顧望者斬首하고 轉步者斬足하리라하다
魏人四面攻之호되 將士皆殊死戰하여 自旦至하여 殺魏兵萬餘人하니 流血沒踝注+踝, 戶瓦切. 腿兩旁曰內外踝.하고 康祖身被十創이로되 意氣彌厲러라
魏分其衆爲三하여 且休且戰이러니 會日暮風急이라 魏以騎負草하여 燒車營하니 康祖隨補其闕이라가 有流矢貫康祖頸하여 墜馬死하니 餘衆遂潰 魏人掩殺殆盡이러라
南平王鑠 使參軍王羅漢으로 以三百人戍尉武러니 魏兵至 衆欲南依卑林以自固호되 羅漢以受命居此하여 不去
魏人攻而擒之하여 鎖其頸하여 使三郞將掌之注+三郎將, 蓋主內三郞, 魏謂衛士曰三郞將.어늘 羅漢夜斷三郞將首하고 抱鎖亡奔盱眙하니
仁進逼壽陽이어늘 南平王鑠 嬰城固守하다
魏主攻彭城不克하다
魏軍在蕭城하니 去彭城十餘里注+魏收地形志 “沛郡蕭縣有蕭城.” 彭城兵雖多而食少하니 江夏王義恭 欲棄彭城南歸
沈慶之以爲歷城兵少食多라하여 欲爲函箱車陳하여 以精兵爲外翼하고 奉二王及妃女直趨歷城注+陳, 讀曰陣.하고 何勖欲席卷奔鬱洲하여 自海道還京師注+東海郡贛榆縣東海中有鬱洲.하니
義恭去意已判이로되 唯二議未決注+判, 亦決也.이러니 長史張暢曰
若歷城鬱洲有可至之理 下官敢不高贊注+高, 抗也. 贊, 助也, 言抗聲以助決其議也.이리오마는 今城中乏食하여 百姓咸有走志하니 但以關扃嚴固耳注+扃, 古螢切, 外閑之關也. 此言門守嚴固, 百姓無從得去.
一旦動足이면 則各自逃散하리니 欲至所在인들 何由可得이리오 今軍食雖寡 朝夕 猶未窘罄注+窘, 迫也. 罄, 盡也.하니 豈有捨萬安之術하고 而就危亡之道리오
若此計必行인댄 下官請以頸血 汚公馬蹄注+污, 烏路切.하리라
武陵王駿謂義恭曰 阿父旣爲總統하니 去留非所敢干이어니와 道民忝爲城主하니 必與此城으로 共其存沒하리니 張長史言 不可異也라한대 義恭乃止注+阿父, 義恭於駿諸父也. 義恭頓彭城爲諸軍節度, 故曰總統. 道民, 駿小字. 徐州刺史治彭城, 故曰城主.하다
魏主至彭城하여 使尙書李孝伯으로 至南門하여 餉義恭貂裘하고 餉駿橐駝及騾하고 且曰 魏主致意安北하니 可蹔出見我注+上二十五年, 宋以駿爲安北將軍徐州刺史.어다
駿使張暢으로 開門出見之한대 孝伯曰 魏主不圍此城하고 自帥衆軍하여 直造瓜步하여 飮江湖以療渴耳注+造, 至也. 瓜步, 山名, 在秦郡尉氏縣界.니라
暢曰 去留之事 自適彼懷어니와 若虜馬遂得飮江인댄 便爲無復天道리라하다
先是 童謠云 虜馬飮江水 佛貍死卯年이라하니 故暢云然이라 暢音容雅麗하고 孝伯亦辯贍이라
且去 謂暢曰 長史深自愛하라 相去步武로되 恨不執手注+擧足而行曰步, 足迹曰武, 言至近也.로다
暢曰 君善自愛어다 冀蕩定有期하여 君還宋朝하노니 今爲相識之始니라
宋取陰平平武郡하다
宋主起楊文德爲輔國將軍하여 引兵自漢中西入하여 搖動汧隴하니 陰平平武悉平注+陰平縣, 漢屬廣漢屬國, 晉泰始中置陰平郡. 劉蜀分陰平置平廣縣, 晉太康元年更名平武.하다
梁南秦刺史劉秀之 遣文德伐啖提氐로되 不克이어늘 執送荊州하고 使文德從祖兄頭 戍葭蘆注+氐之號曰啖提也.하다
十二月 魏主引兵南下하여 攻盱眙不克하고 進次瓜步하니 宋人戒嚴守江하다
魏主引兵南下하여 使中書郞魯秀 出廣陵하고 高涼王那 出山陽하고 永昌王仁으로 出橫江하니 所過無不殘滅이라 城邑皆望風奔潰하니 建康纂嚴注+纂嚴, 纂集兵嚴也.하다
魏兵至淮上이어늘 宋主使將軍臧質 將萬人救彭城할새 至盱眙하니 魏主已過淮
質使胡崇之等으로 營東山前浦하고 而自營於城南이러니 魏燕王譚攻之하니 皆敗沒注+東山․前浦, 皆在盱眙城左右. 譚, 太武之子也.하고 質軍亦潰하니 質棄輜重器械하고 單將七百人赴城하다
盱眙太守沈璞到官 王玄謨猶在滑臺하여 江淮無警注+璞, 林子之子也.호되 璞以郡當衝要라하여 乃繕城浚隍하고 積財穀儲矢石하여 爲城守之備하니 僚屬皆非之하고 朝廷亦以爲過러라
及魏兵南向 守宰多棄城走 或勸璞還建康한대 璞曰 虜若以城小不顧 夫復何懼 若肉薄來攻인댄 此乃吾報國之秋 諸君封侯之日也 奈何去之리오 諸君嘗見數十萬人 聚於小城之下而不敗者乎 昆陽合肥 前事之明驗也라하니 衆心稍定注+王尋․王邑以百萬敗於昆陽, 諸葛恪以二十萬敗於合肥.이러라
璞收集得二千精兵하고 曰 足矣라하더니 及臧質向城 衆謂璞曰 虜若不攻城이면 則無所事衆이어니와 若其攻城이면 則城中止可容見力耳注+見力, 謂見在城中所有之兵力也. 地狹人多 鮮不爲患이요 若以質衆能退敵完城者인댄 則全功不在我 若避歸都하여 會資舟楫이면 必更相蹂踐이니 正足爲患이라 不若勿受니라
璞歎曰 虜必不能登城이니 敢爲諸君保之호리라 舟楫之計 固已久息이요 虜之殘害 古今未有 屠剝之苦 衆所共見이니 其中幸者 不過得驅還北國하여 作奴婢耳
彼雖烏合이나 寧不憚此邪 所謂同舟而濟 胡越一心者也注+王弼曰 “同舟而濟, 則胡越何患乎異心.” 今兵多則虜退速하고 少則退緩이니 吾寧可欲專功而留虜乎아하고 乃開門納質이라
質見城中豐實하고 大喜하여 因與璞共守하다
魏人之南寇也 不齎糧用하고 唯以抄掠爲資러니 及過淮 民多竄匿하니 抄掠無所得하여 人馬飢乏이라 聞盱眙有積粟하고 欲以爲北歸之資하여 攻城이라가 不拔하고 卽留數千人하여 守盱眙하고 自帥大衆南向하니 由是 盱眙得益完守備하다
魏主至瓜步하여 壞民廬舍하고 及伐葦爲筏하여 聲言欲渡江注+筏, 音伐, 大曰筏, 小曰桴, 乘之渡水.이라하니 建康震懼하여 民皆荷擔而立이라
內外戒嚴하여 丹楊統內盡戶發丁하니 王公以下子弟皆從役이라 命劉遵考等하여 將兵分守津要하여 遊邏上接于湖하여 下至蔡洲하고 陳艦列營 周亘江濱하니 自採石至于暨陽 六七百里注+胡三省曰 “暨陽今江陰軍.”러라
太子劭出鎭石頭하여 總統水軍하고 徐湛之守石頭倉城하고 江湛兼領軍하여 軍事處置悉以委焉이라
宋主登石頭城하여 有憂色하여 謂江湛曰 北伐之計 同議者少注+謂唯江․徐贊北伐之計, 群臣之議多不同也.러니 今日士民勞怨하니 不得無慚이로다 貽大夫之憂 予之過也라하고
又曰 檀道濟若在런들 豈使胡馬至此리오하다
魏及宋平하다
魏主以橐駝名馬 餉宋主하여 求和請婚한대 宋主亦餉以珍羞異味어늘
魏主以其孫示使者曰 吾遠來至此 非欲爲功名이라 實欲繼好援이니 宋若能以女妻此孫이면 我以女妻武陵王하고 自今匹馬不復南顧리라
使還 宋主召群臣議之한대 衆謂宜許어늘 江湛曰 戎狄無親하니 許之無益이니이다
太子劭怒謂湛曰 今三王在阨하니 詎宜苟執異議리오 聲色甚厲注+三王在阨, 謂江夏王義恭․武陵王駿在彭城, 南平王鑠在壽陽也.러라
坐散 劭又言於宋主曰北伐敗辱하여 數州淪破하니 獨有斬江徐라야 可以謝天下로이다
宋主曰 北伐自是我意 江徐但不異耳 由是 太子與江徐不平이러라 魏亦竟不成婚하다


宋나라 太祖 文帝 劉義隆 元嘉 27년이고, 北魏 世祖 太武帝 拓跋燾 太平眞君 11년이다.
[綱] 봄 정월에 宋나라 將軍 沈慶之가 蠻族을 토벌하여 평정하였다.
[目] 沈慶之가 겨울부터 봄에 이르기까지 여러 차례 山蠻을 격파하고 그들의 곡식을 군량으로 충당하였다. 幸諸山에 있는 犬羊蠻이 험한 지형에 의지하여 성을 쌓아서 수비가 매우 견고하였다.注+① ≪南史≫ 〈沈慶之傳〉에 “犬羊 등 여러 산에 사는 蠻族을 토벌하였다.”라고 하였다.
심경지가 여러 부대에 명령하여 산속에다가 軍營을 연결하여 문을 열어 서로 통하게 하고 각기 군영 안에다가 연못을 파서 아침저녁으로 밖에서 물을 깃지 않게 하였다. 蠻族이 군사들을 잠복시켰다가 밤에 와서 군영에 불을 지르자, 여러 부대가 연못의 물로 불을 끄고 弓弩手를 많이 보내서 양쪽에서 그들을 향해 쏘니, 만족 군사들이 흩어져서 도주하였다.
만족이 점거한 곳이 험준하고 견고하여 공격할 수가 없자, 심경지가 마침내 여섯 곳에 수자리를 설치하고 그곳을 지키게 하였다. 오랜 시일이 지나자 만족은 군량이 바닥나서 점점 항복을 청하였는데, 모두 建康으로 옮겨서 로 삼았다.
狐帽蠻(狐帽를 쓴 沈慶之가 山蠻을 두렵게 하다)狐帽蠻(狐帽를 쓴 沈慶之가 山蠻을 두렵게 하다)
[綱] 2월에 魏主가 宋나라를 침범하여 懸瓠를 포위하였다.
[目] 魏主가 宋나라를 정벌하려고 하는데 宋主가 그 소식을 듣고 淮水와 泗水의 여러 郡에 칙서를 내려 “만약 소규모의 北魏 군대가 도착하면 각자 견고하게 지키고, 대규모의 군대가 도착하면 백성들을 빼내어 壽陽으로 돌아오라.”라고 하였다.
변방 수자리에서 정찰한 것이注+① “偵候”는 정탐하여 엿보는 것을 말한다. 명확하지 않았는데, 魏主가 직접 보병과 기병 10만을 거느리고 갑자기 南頓에注+② 南頓縣은 본래 汝南에 속하였는데, 晉 惠帝 때에 분리하여 南頓郡을 두었다. 이르니, 〈南頓太守와〉 潁川太守가 모두 성을 버리고 도주하였다.
이때에 豫州刺史 南平王 劉鑠이注+③ 劉鑠은 宋 文帝의 아들이다. 壽陽을 鎭守하고 있던 터라 參軍 陳憲을 파견하여 懸瓠를 지키게 하였는데, 城中의 병사가 1천 명도 되지 않았다. 魏主가 현호를 포위하였다.
[綱] 3월에 宋나라가 百官의 녹봉을 경감하였다.
[目] 군대를 일으킨 일로 內外 官員의 녹봉 1/3을 경감한 것이다.
[綱] 여름 4월에 北魏의 군대가 돌아갔다.
[目] 北魏 사람들이 밤낮으로 懸瓠를 공격하면서 높은 망루를 지어 성을 내려다보며 성안에 화살을 쏘니, 화살이 비처럼 쏟아져서 성안에서는 문짝을 지고 물을 길었다.注+① 반쪽 門을 戶라고 하니, 물을 긷는 자가 외짝문을 등지고 날아오는 화살을 막은 것을 말한다.
衝車의 끝에다 큰 갈고리를 설치하여 망루와 성가퀴에 〈갈고리를 걸어〉 끌어당겨 남쪽 성벽을 파괴하니, 陳憲이 안쪽에는 성가퀴를 설치하고 바깥쪽에는 木柵을 세워서 그들을 막았다.注+② “樓堞”은 성 위의 망루이다. 櫓는 성가퀴이다.
北魏 사람들이 참호를 메우고 몸으로 직접 성을 기어오르자注+③ 薄은 접근하다는 뜻이다. 사다리와 충차를 쓰지 않고, 제 몸으로 성벽에 다가가 기어올라가는 것이니, 이를 “肉薄登城”이라 한 것이다., 진헌은 장수와 병사들을 독려하며 힘겹게 싸웠는데, 쌓인 시체가 성의 높이와 비슷해졌다.
北魏 사람들이 시체를 타고 성에 올라 짧은 병기로 서로 맞붙어 싸웠는데, 진헌의 銳氣가 더욱 분발하니 병사들이 한 명당 백 명을 상대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죽거나 부상을 당한 北魏 사람이 1만을 헤아렸으며, 성안에도 죽은 사람이 역시 절반이 넘었다.
北魏가 永昌王 拓跋仁을 파견하여 노략질한 6郡의 포로들을 데리고 북쪽으로 가서 汝陽에 주둔하였는데注+④ 拓跋仁은 拓跋健의 아들이다. 生口는 생포한 사람이다. 汝陽縣은 본래 汝南郡에 속하였는데, 江左 때에 분리하여 汝陽郡을 세웠다., 유준이 100리 안에 있는 말을 징발하여 1,500필을 얻어 5軍으로 나누어 參軍 劉泰之 등을 파견하여 그들을 거느리고 곧바로 여양으로 가게 하였다.
北魏 사람들이 오직 구원병이 壽陽에서 올 것이라 생각하고 彭城을 방비하지 않았는데, 유태지 등이 몰래 진군하여 그들을 공격하여 3천여 명을 죽이고 그들의 輜重을 불태우니, 北魏 사람들이 도망하여 흩어졌고 여러 포로들은 모두 동쪽으로 도주하였다.
北魏에서 정탐하여 유태지 등의 군대에게 후속부대가 없음을 알고 다시 군사들을 이끌고 그들을 공격하니, 士卒들이 놀라 혼란에 빠져 도주하다가 죽고 살아남은 사람이 900여 명이었으며, 말 가운데 돌아온 것이 400필이었다.
魏主가 현호를 42일 동안 공격하였는데, 宋主가 南平內史 臧質과 司馬 劉康祖를注+⑤ 劉康祖는 劉道錫의 종형이고, 劉道錫은 劉道産의 아우이다. 파견하여 현호를 구원하게 하였다.
魏主가 任城公 拓跋乞地眞을 파견하여 그들을 맞아서 막게 하였는데, 장질 등이 탁발걸지진을 공격하여 목을 베었다.
4월에 魏主가 군사를 이끌고 회군하니, 宋나라가 진헌을 龍驤將軍으로 삼았다.
[目] 魏主가 宋主에게 서신을 보내어 말하였다. “이전에 蓋吳가 반역하여 關中과 隴西를 선동하였다. 그대가 다시 합오에게 사람을 보내어 그들을 유인하려 하였는데, 그들이注+① “是曹”는 대개 蓋吳를 가리킨 것이다. 바로 그대를 속여서 보내준 재물을 취하려고 한 것이지, 어찌 멀리에서 그대에게 복종하는 도리가 있겠는가.
대장부가 되어서 어찌 직접 와서 〈관중․농서 지역을〉 취하지 않고 재물을 가지고 우리 변방의 백성들을 유인하는 것인가. 내가 지금 여기에 이르렀는데, 획득한 땅이 그대와 비교하면 누가 더 많은가.
그대는 또 북쪽으로 蠕蠕을 왕래하고 서쪽으로는 赫連, 沮渠, 吐谷渾과 결탁하고, 동쪽으로는 馮弘, 高句麗와 결탁하였는데, 이들 여러 나라를 모두 내가 멸망시켰으니, 그대가 어찌 홀로 설 수 있겠는가.
내가 지금 북쪽을 정벌하여 발이 있는注+② 柔然에는 말이 많기 때문에 발이 있다고 말한 것이다. 도적을 먼저 제거한 것이고, 그대는 발이 없으므로 먼저 토벌하지 않았을 뿐이다. 나는 당당하게 揚州를 빼앗으러 갈 것이니, 그대가 군대를 숨겨서 몰래 보내는 것과는注+③ 翳는 가린다는 뜻이니, “翳行”은 몸을 가리고 가는 것을 말한다. 같지 않다.
그대는 이전에 裴方明을 시켜서 仇池를 취하게 하였는데, 그곳을 얻고 나자 그의 용기와 공로를 질투하여 자신이 포용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이런 신하가 있었는데도 오히려 그를 죽였으니, 어찌 나와 상대할 수 있겠는가.
그대는 늘 나와 한 차례 서로 싸우길 원하였지만, 나 역시 어리석지 않고 또 언제 그대와 서로 交戰을 하겠는가. 낮에는 기병을 보내어 포위하고, 밤에는 그대와 100리 떨어진 밖에 묵을 것이니, 吳人(宋나라 사람)이 확실히 밤에 군영을 습격할 기량은注+④ 伎(재주)는 巨綺의 切이니, 재주라는 뜻이다. 있지만, 50리도 가지 못하여 날이 이미 밝을 것이니, 그들의 머리가 어찌 나의 소유가 되지 않겠는가.
그대 아버지(宋 高祖)注+⑤ “彼公”은 武帝(劉裕)를 가리킨다. “舊臣”은 謝晦와 檀道濟의 무리를 말한다. 때의 옛 신하들은 비록 늙었다고는 하나 오히려 지혜로운 계책을 지니고 있었는데, 지금 이미 그대가 다 죽인 것을 알고 있으니, 하늘이 나를 도와주는 것이 아니겠는가.”
[綱] 宋나라가 江湛을 吏部尙書로 삼았다.
[目] 江湛의 성품이 공정하고 청렴하며 僕射 徐湛之와 더불어 나란히 上의 총애와 신임을 받으니, 당시 사람들이 江徐로 일컬었다.
[綱] 6월에 北魏가 司徒 崔浩를 죽이고 그의 종족을 멸하였다.
[目] 崔浩는 재주와 지략을 자부하였는데, 魏主에게 총애를 받게 되어서는 조정의 권한을 마음대로 통제하여 일찍이 수십 명의 선비를 천거하여 모두가 가문을 일으키고 郡守에 기용되었다.
太子 拓跋晃이 말하기를 “먼저 徵召한 사람들도注+① “先徵之人”은 游雅․李靈․高允 등을 말한다. 州와 郡에서 선발한 사람들이고, 관직에 재임한 지가 이미 오래되었는데 노고에 보답이 없으니, 마땅히 먼저 郡과 縣에 보임하고, 새로 징소한 사람들을 대신 郞吏로 삼게 하소서. 또 백성을 다스리는 수령은 일을 겪어본 사람을 임용하는 것이 마땅합니다.”라고 하였다.
최호가 굳게 간쟁하여 그들을 파견하였는데, 中書侍郞 高允이 이 소식을 듣고 말하기를 “崔公이 죽음을 면하기 어렵겠구나. 진실로 그릇된 일을 끝까지 하면서 윗사람에게 이기고자 하니 장차 어찌 감당할 수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魏主가 최호와 고윤 등에게 함께 를 저술하게注+② 譔(찬술하다)은 撰과 통용된다. 하면서 말하기를 “힘써 사실에 따라 기록하라.”라고 하였다.
著作令史 閔湛과 郗標가 성품이 아첨을 잘하여 최호가 일찍이 ≪周易≫․≪論語≫․≪詩經≫․≪書經≫을 注釋할 때 민담과 치표가 상소를 올려 “馬融․鄭玄․王肅․賈逵의注+③ “馬鄭王賈”는 馬融․鄭玄․王肅․賈逵를 말한다. 주석은 최호의 정밀한 주석만 못하니, 청컨대 경내에 그들의 모든 책을 수거하고 최호가 주석한 것을 반포하여 천하 사람들에게 학습하여 家業으로 삼게 하소서.”注+④ 崔浩가 주석을 한 經書를 익혀 家業으로 삼게 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최호 역시 민담과 치표가 저술하는 일에 재주가 있다고 하여 천거하였다. 민담과 치표가 또 최호에게 그가 저술한 ≪國史≫를 돌에 새겨서 直筆을 빛내라고 권하였는데, 고윤이 이 소식을 듣고 著作郞 宗欽에게 말하기를
“민담과 치표가 꾀한 일이 잠깐 사이에 최씨 가문에 만세의 재앙이 될까 두렵다. 우리들 역시 살아남지 못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최호는 마침내 〈≪國史≫의 내용을〉 돌에 새겨 교단의注+⑤ ≪水經註≫에 의하면 平城 서쪽 성곽 밖에 郊天壇이 있다. 동쪽 100보 되는 곳에 세웠다. 기록한 北魏 선조의 일이 모두 상세하고 이를 길거리에 나열하니, 〈이를 본〉 北人들注+⑥ 北人은 그 先代가 拓跋氏를 따라 北荒에서 온 사람들을 말한다. 중에 화를 내지 않는 사람이 없어 서로 더불어 최호를 참소하여 나라의 잘못된 점을 폭로하였다고 하였다.
魏主가 크게 성을 내어 有司를 시켜서 최호와 秘書省 郞吏 등의 죄상을 조사하도록 하였다.
[目] 예전에 遼東公 翟黑子가注+① 翟은 姓이고, 黑子는 이름이다. 使命을 받들고 并州에 가서 베 1천 필을 뇌물로 받았다가 일이 발각되어 高允과 방책을 모의하였는데,
고윤이 말하기를 “공은 궁정에서 총애를 받는 신하이니, 罪狀을 사실대로 자백하면 아마도 용서를 받을 것입니다. 거듭 임금을 속이는 일을 저질러서는 안 됩니다.”注+② 首는 지은 죄를 스스로 아뢰는 것이다. 原은 용서한다는 뜻이다. 重(거듭)은 直用의 切이다.라고 하였다.
崔覽이注+③ 覽은 ≪魏書≫ 〈高允列傳〉에 鑑으로 되어 있다. 적흑자에게 말하기를 “사실대로 자백하면 어떤 죄를 받을지 예측할 수 없으니, 은폐하는 것만 못합니다.”라고 하니,
적흑자가 고윤을 원망하며 말하기를 “그대는 어찌하여 사람을 꾀어서 죽을 지경에 이르게 하는 것인가.”라고 하였다. 드디어 사실대로 대답하지 않으니, 魏主가 그를 죽였다.
魏主가 고윤을 시켜서 太子에게 경전을 가르치게 하였는데, 崔浩가 체포되기에 이르자 태자가 고윤을 불러 말하기를 “내가 卿을 인도할 것이니, 군주께서 묻거든 단지 내 말대로 하라.”라고 하였다.
태자가 군주를 알현하고 말하기를 “고윤이 조심스럽고 신중한 사람인데 또 최호에게 통제를 받았으니, 청컨대 그에게 내린 사형을 사면해주소서.”라고 하였다.
魏主가 묻기를 “≪國書≫는 모두 최호가 쓴 것인가?”라고 하니, 고윤이 대답하기를 “〈太祖記〉는 前 著作郞 鄧淵이 저술하였고, 〈先帝記〉와 〈今記〉는 臣이 최호와 공동으로 저술하였습니다. 그러나 최호는 관장한 일이 많아 대강을 총괄했을 뿐이며注+④ “摠裁”는 大綱을 총괄하여 可否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저술은 臣이 최호보다 많이 하였습니다.”라고 하였다.
魏主가 화를 내며 말하기를 “고윤의 죄가 최호보다 심한데 어찌 살 수 있단 말인가.”라고 하니, 태자가 두려워 말하기를 “천자께서 위엄을 엄중히 하시니 고윤은 小臣이라 정신이 헷갈리고 어지러워 평상심을 잃어 이렇게 대답한 것일 뿐입니다. 臣이 종전에 물어보니 모두가 최호의 소행이라고 말하였습니다.”라고 하였다.
魏主가 묻기를 “진실로 東官이 말한 바와 같은가?”라고 하니, 고윤이 대답하기를 “신의 죄는 멸족을 당해야 마땅하거니와 감히 헛되고 망령된 말을 아뢸 수가 없는데, 太子 殿下께서 臣을 애달피 여겨 신의 목숨을 빌어 구해주려는 것일 뿐입니다.”라고 하였다.
魏主가 태자를 돌아보며 말하기를 “정직하구나, 이는 사람의 情理로 보면 어려운 일인데 고윤이 능히 그렇게 하는구나. 죽음에 임박해서도 말을 바꾸지 않았으니 믿음직하고, 신하가 되어 임금을 속이지 않았으니 바른 것이다. 특별히 그의 죄를 사면하여 표창한다.”注+⑤ 旌은 특별함을 표창하는 것이다.라고 하고 드디어 사면해주었다.
[目] 〈魏主가〉 崔浩를 불러와 직접 그를 힐문하니, 최호는 당혹해하며 대답을 하지 못하였고, 高允은 일마다 분명히 설명하여 모두 조리가 있었다. 魏主가 고윤에게 명령을 내려 최호와 僚屬․僮吏(胥吏) 등 128명을 죽이고 모두 5族을 멸하라는 詔書를 만들게 하였는데, 고윤이 주저하며 조서를 짓지 않았다.
황제가 자주 사람을 보내 재촉하자, 고윤이 말하기를 “최호가 연루된 것이 만약 다시 또 다른 죄가 있는 것이라면 이는 臣이 감히 아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만약 直書한 것으로 죄에 저촉한 것이라면 그 죄는 사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注+① “餘釁”은 別罪(별도의 죄)라는 말과 같다. “觸犯”은 곧바로 나라의 문제점을 써서 높은 사람을 위해 피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라고 하였다.
魏主가 성을 내어 武士에게 명을 내려 고윤을 체포하도록 하였는데, 태자가 그를 위해 절을 하며 용서해주기를 청하였다. 魏主가 마음이 누그러져서 말하기를 “이 사람이 없었으면 응당 다시 수천 명이 죽어 나갔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6월에 조서를 내려 최호를 죽이고 그 종족을 멸하였으며, 나머지는 모두 해당하는 사람만 죽였다.
다른 날에 태자가 고윤을 질책하며 말하기를 “내가 卿을 죽음에서 벗어나게 해주려 하였는데, 경이 끝내 따르지 않아 황제의 분노를 산 것이 이와 같으니, 매번 생각할 때마다 사람의 마음을 두근거리게 한다.”라고 하였다.
고윤이 말하기를 “무릇 역사란 人主의 善惡을 기록하여 장래를 위해 권고하거나 경계하는 것이므로, 人主는 두려워하고 꺼리는 바가 있게 되어 행동거지를 신중히 하는 법입니다.
최호는 홀로 聖恩을 입어 개인적인 욕망으로 인해 청렴함을 버렸으며 애증으로 인해 공평함과 정직함을 가렸으니 죄가 없다고 할 수 없지만, 조정(임금)의 거둥을 기록하고 국가(임금)의 득실을 말한 것에 이르러서는 이는 역사의 대체가 되니, 많은 것을 어기지 않았습니다.
臣은 최호와 실제로 그 일을 함께하였으니, 삶과 죽음, 영예와 치욕에는 의리상 별다른 점이 없습니다. 태자 전하께서 다시 살려 주신注+② 造는 이룬다는 뜻이니, 다시 사람을 이루어주는 것을 말한다. 은혜는 참으로 감사하지만, 마음을 어기고 구차하게 죽음을 면하는 것은 臣이 원하는 바가 아닙니다.”라고 하니, 태자가 안색을 바꾸어 칭찬하고 감탄하였다.
고윤이 물러나와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내가 동궁이 이끌어주는 대로 받들지 않은 것은 翟黑子에게 죄를 지을까 두려웠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魏主가 최호를 죽이고 나서 그 일을 후회하였다. 때마침 北部尙書注+③ 北魏의 北部尚書는 북쪽 변방의 州郡을 관할하였다. 宣城公 李孝伯이 병으로 위독하였는데, 어떤 사람이 이미 죽었다고 전하자 魏主가 애도하며 말하기를 “李宣城은 애석하도다.”라고 하고는, 잠시 후에 말하기를 “짐이 실언을 하였구나. 崔司徒(崔浩)는 애석하고, 李宣城은 애달프구나.”라고 하였다.
이효백은 李順의 사촌동생인데, 최호가 죽은 뒤로는 軍國의 모의가 모두 이효백에게서 나와서 총애가 최호에 버금갔다.
[綱] 가을에 宋나라 사람이 크게 군사를 일으켜 北魏를 침략하여 碻磝를 취하고 滑臺를 포위하였다.
겨울 10월에 魏主가 직접 그들을 구원하였는데, 宋나라 將軍 王玄謨가 물러나 달아났다.
[目] 宋主가 北魏를 정벌하고자 하니, 丹楊尹 徐湛之, 尙書 江湛, 寧朔將軍 王玄謨 등이 모두 권하였는데, 將軍 劉康祖가 말하기를 “한 해가 이미 저물어가니, 내년을 기다리소서.”라고 하였다.
宋主가 말하기를 “북방 사람들이 오랑캐의 포악한 정치에 고통을 받아서 의로운 무리들이 나란히 일어나고 있다. 전쟁을 멈춘 지 1년이 되었으니 의리를 향하는 저들의 마음을 그치게 해서는 안 된다.”라고 하였다.
校尉 沈慶之가 간언하기를 “우리는 보병이고 저들은 기병이니, 그 형세상 대적하기 어렵습니다. 지금 헤아려보건대 王玄謨 등이 두 장수보다 못하고, 六軍의 강성함도 예전보다 낫지 않으니, 王師(제왕의 군사)들이 거듭注+① 重(거듭)은 直用의 切이다. 치욕을 당하지 않을까 두렵습니다.”라고 하였다.
宋主가 말하기를 “ 도언지는 중도에 병이 난 것이다.注+② 〈“彥之中塗疾動”은〉 到彥之에게 눈병이 크게 난 것을 말한 것이다. 오랑캐들이 믿는 것은 오직 말뿐인데, 지금은 여름철이라 물이 풍부하여 水路가 통하니, 배를 띄워서 북쪽으로 내려가면 碻磝의 적군들은 반드시 도주할 것이고, 滑臺는 쉽게 함락할 것이다.
이 두 성을 점령하여 적들이 쌓아놓은 곡식을 먹고注+③ “館穀”은 군대가 머무는 곳을 따라 그 군대의 곡식을 먹는 것이다. 일설에 “‘館穀’은 적들이 쌓아둔 곡식에 나아가서 먹는 것이다.”라 하였다. 백성들을 위로하면 虎牢․洛陽은 자연히 견고하지 못할 것이다. 초겨울에 이르면 점령한 성들의 방비가 서로 긴밀해져서 오랑캐의 기병이 黃河를 건너면 즉시 사로잡을 수 있다.”라고 하였다.
심경지가 또다시 불가하다고 굳게 아뢰었는데, 宋主가 서담지 등을 시켜서 그를 논란하게 하였다. 심경지가 말하기를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비유하자면 집안을 다스리는 것과 같아서 농사짓는 일은 응당 노복에게 물어야 하며, 베 짜는 일은 응당 여종에게 물어야 하는데, 폐하께서는 지금 다른 나라를 정벌하고자 하시면서 白面書生들과 더불어 그 일을 도모하고 있으시니, 일이 어찌 성공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하니,
宋主가 크게 웃었다. 太子 劉劭와 將軍 蕭思話가 역시 간언하였으나 모두 따르지 않았다.
[目] 魏主가 다시 宋主에게 서신을 보내 말하기를 “피차간에 화친을 맺은 지 오래되었는데, 그대의 뜻은 만족할 줄을 몰라 우리 변방의 백성들을 유인하였다. 또 듣기로 그대가 직접 오고자 한다는데 그대의 나이는 이미 50세로 일찍이 문밖을 나가 본적이 없기에 비록 스스로 힘을 다하여注+① 역량을 다하는 것을 力이라 한다. 온다고 하나 세 살짜리 어린애와 같으니, 말 위에서 태어나고 자란 우리 선비족과 비교하면 과연 어떠한가.”라고 하였다.
7월에 宋主가 王玄謨를 파견하여 沈慶之와 申坦을注+② 申坦은 申鍾의 증손이다. 거느리고 水軍으로 黃河로 진압하고 靑州冀州刺史인 蕭斌에게 감독을 받도록 하였다.
臧質과 王方回는 곧바로 許昌 지역과 洛陽 지역으로 나아가고, 劉駿과 劉鑠은注+③ 劉駿은 武陵王의 이름으로, 당시에 徐州와 兗州 두 주의 刺史였다. 劉鑠은 南平王의 이름으로 당시에 豫州刺史였다. 동쪽과 서쪽에서 일제히 출발하고, 劉秀之는 汧水와 隴山 지역을 동요시켰으며注+④ 震은 동요시킨다는 뜻이다. 盪은 씻어버린다는 뜻이다. 汧水와 隴山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모두 扶風에 있다., 劉義恭은 출병하여 彭城에 주둔하면서 諸軍을 지휘하게 하였다.
이때에 군사를 크게 일으키니, 王公․妃嬪․公主․조정의 관리․牧使․太守로부터 아래로 부유한 백성에 이르기까지 각기 금과 비단, 여러 물건을 헌납하여 국가의 재정을 보태었다.
또 병력이 부족하다고 하여 6州에서 3명 중 1명, 5명 중 2명꼴로 民丁을 징발하면서 다른 사람을 고용하여 대신 갈 수 있게 하고注+⑤ “六州”는 靑州․冀州․徐州․豫州․南兗州․北兗州를 말한다. 倩은 七政의 切이니 빌리다는 뜻이다., 안팎으로 기병과 보병 중에 많은 기예와 武勇이 있는 무사들을 모집하여 모집에 응한 자에게는 모두 후한 상을 주었다.
有司가 군수품이 부족하다고 상주하자, 부유한 백성 중에 자산이 50만 전을 채운 사람과 승려 가운데 20만 전을 채운 사람은 모두 4분의 1을 빌렸다가 일이 끝나면 즉시 돌려주기로 하였다.
[目] 建武司馬 申元吉이 〈군사를 이끌고〉 碻磝로 달려가니 北魏 濟州刺史와 靑州刺史가 모두 성을 버리고 달아났는데, 蕭斌이 沈慶之와 남아서 碻磝를 지키고 왕현모에게 나아가 滑臺를 포위하게 하였다.
隨王 劉誕이 雍州參軍 柳元景, 將軍 尹顯祖, 曾方平注+① 曾方平은 ≪南史≫ 〈柳元景列傳〉에 魯方平으로 되어 있다., 薛安都, 龐法起를 파견하여 군대를 거느리고 弘農으로 나아가게 하였다.
參軍 龐季明이 나이가 70여 세였는데, 스스로 關中의 豪族이라고 하면서 長安으로 들어가 오랑캐와 중원 사람을 불러 모으겠다고 청하자, 유탄이 그것을 허락하였다.
마침내 방계명이 貲谷에서 盧氏縣으로 들어가니注+② 貲谷은 盧氏縣 南山의 남쪽에 있다. 盧氏縣은 漢나라 때에는 弘農郡에 속하였고, 晉나라 때에는 분리되어 上洛郡에 속하였다., 盧氏縣의 백성 趙難이 그를 받아들여 머물게 하였다. 방계명이 병사들과 백성들을 유도하고 설득하니, 호응하는 사람들이 아주 많았다.
설안도 등이 그로 인해 熊耳山에서注+③ 熊耳山은 盧氏故縣의 동쪽에 있다. 출병하였고, 유원경이 군사를 이끌고 이어서 진격하였으며, 南平王 劉鑠이 豫州參軍 胡盛之를 파견하여 汝南으로 출동하였고,
梁坦은 上蔡에서 출동하여 長社로 향하였으며, 王陽兒는 豫州를 공격하니, 北魏의 荊州刺史 魯爽과 豫州刺史 僕蘭이 모두 성을 버리고 달아났다. 유삭이 또 司馬 劉康祖를 파견하여 양탄을 원조하고 진격하여 虎牢를 압박하게 하였다.
北魏의 여러 신하들은 애초에 宋나라가 군사를 일으킨다는 소식을 듣고 魏主에게 말을 하여 군사를 파견해줄 것을 청하고 〈군수품으로 사용할〉 黃河 연안의 곡식과 비단을 요청하였다.
魏主가 말하기를 “지금 말은 살이 찌지도 않았고, 날씨가 여전히 더우니, 빨리 나아가면 반드시 공로를 세울 수가 없다. 만약 군사들이 계속해서 몰려오면 우선 陰山으로 돌아가 그들을 피할 것이다. 國人들은 본래 양가죽 바지를 입는데, 어찌 솜과 비단을 쓰겠는가. 10월까지 끌면 나는 염려할 것이 없다.”注+④ 國人은 〈拓跋氏와〉 함께 北荒에서 온 종족을 말한다. 著(붙다)은 陟略의 切이다. 展은 여유가 있다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9월에 魏主가 군사를 이끌고 남하하여 滑臺를 구원하고 太子 拓跋晃에게 명령하여 漠南에 주둔하여 柔然을 방비하게 하였다.
[目] 王玄謨의 군사들이 아주 강성하고 무기가 정교하며 정비되어 있었지만, 왕현모는 탐욕스럽고 괴팍하여 죽이는 것을 좋아하였다. 처음 滑臺를 포위하였을 때에 성안에는 초가집이 많아 군사들이 火箭으로注+① 杜佑가 말하기를 “작은 표주박에 기름을 담아 화살의 끝에 매달아 성의 樓櫓(지붕이 없는 망루)에 설치된 板木 위에다 발사하면 표주박이 깨지면서 기름이 흩뿌려진다. 뒤이어 화살 안쪽 조릿대 가운데에 불을 붙여 이를 기름이 흩뿌려진 곳으로 쏘아서 불길이 일어나게 하고, 다시 기름이 담긴 표주박을 계속해서 쏘면 樓櫓가 모두 불타 없어지게 되는데, 이를 일러 火箭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그것을 태울 것을 요청하였다.
왕현모가 말하기를 “저것은 우리 재산이니, 어찌 급히 태울 수 있겠는가.”라고 하니, 성안에서는 즉시 초가집을 철거하고 땅을 파서 거처하였다.
당시에 黃河와 洛水의 백성들 중에 다투어 곡식을 내오고 무기를 들고 내려오는 사람들이 하루에 천 명을 헤아렸으나, 왕현모는 그들의 우두머리를 등용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친한 사람들에게 이들을 분배하였으며注+② 即은 나아간다는 뜻이니, 〈“不卽其長帥而以配私暱”은〉 그 우두머리를 취하여 등용해서, 각각 부대를 만들게 하지 않고, 자원한 사람들을 사적으로 친애하는 사람에게 분배한 것을 말한다., 집집마다 한 필의 포를 요구하고, 큰 배 800개를 책임 지우니, 이로 말미암아 民心이 실망하여 성을 공격해도 몇 달 동안이나 함락하지 못했다.
北魏의 구원병이 온다는 소식을 듣고 군사들이 수레를 징발하여 군영을 만들 것을 요청하였으나 왕현모가 따르지 않았다.
10월에 魏主가 밤에 황하를 건너니, 그 무리가 1백만이라 칭하였다. 진군의 북소리가 천지를 진동시키자 왕현모가 두려워 후퇴하였는데, 北魏 사람들이 추격하니 죽은 자가 1만여 명이었고, 휘하의 군사들은 흩어지거나 도망가서 거의 사라졌으며 버리고 간 군수물자와 무기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다.
[目] 이에 앞서 王玄謨는 垣護之를 파견하여 100척의 전함을 가지고 선봉에 서게 하여 石濟를 점거하였는데, 원호지는 北魏 군대가 도착할 것이라는 소식을 듣고 말을 달려 왕현모에게 급히 공격할 것을 권하는 편지를 보내어 말하기를
“옛날 武皇(宋 武帝 劉裕)께서 廣固를 공격하였을 때 죽은 사람이 아주 많았습니다. 더구나 지금의 사정은 예전보다 급박한데 어찌 군사들이 손상되고 피로해지는 것을 따질 것이 있겠습니까. 바라건대 성을 도륙하는 것을 급선무로 삼으십시오.”라고 하니, 왕현모가 따르지 않았다.
北魏의 군사들은 획득한 전함을 쇠사슬로 연결하여 세 겹으로 黃河를 차단하여 원호지가 돌아가는 길을 끊어버렸다. 황하의 물살이 빠르고 급하였기에 원호지가 강 가운데서 물살을 타고 내려가다가 쇠사슬을 만날 때마다 자루가 긴 도끼로 그것을 절단하니, 北魏 군사들이 저지하지 못하여 〈원호지가〉 오직 한 척의 배만 잃고 나머지는 모두 온전하게 돌아갔다.
蕭斌이 沈慶之를 파견하여 5천 명을 거느리고서 왕현모를 구하게 하였는데, 심경지가 말하기를 “왕현모의 군사가 피로하고 적들은 이미 가까이 다다랐으니 적은 군대로 경솔히 가는 것은 무익합니다.” 하였다.
소빈이 억지로 그를 보내고자 하였는데, 마침 왕현모가 도망쳐 돌아오자 소빈이 왕현모의 목을 베려고 하였다. 심경지가 굳게 간언하기를 “佛貍(拓拔燾)의注+① 佛(돕다)는 음이 弼이니, 佛貍는 魏主 拓拔燾의 어릴 때 字이다. 위엄이 천하를 진동시키고 활을 당길 수 있는 병사가 백 만 명인데, 왕현모가 어찌 감당할 수 있겠습니까. 또 전투를 잘하는 장수를 죽여 스스로를 약화시키는 것은 좋은 계책이 아닙니다.”라고 하니, 소빈이 마침내 중지하였다.
[目] 소빈이 碻磝를 견고하게 지키고자 하니, 沈慶之가 말하기를 “지금 靑州와 冀州가 허약한데 앉아서 궁지에 몰린 성만 지키고 있으니, 만약 오랑캐의 무리가 동쪽으로 지나가면 淸水의 동쪽은 우리나라의 소유가 아닐 것이며, 碻磝가 고립되고 단절되면 朱脩之가 滑臺에서 당했던 일을 다시 겪게 될 뿐입니다.”注+① “東過”는 碻磝를 넘어서 지나쳐 동쪽으로 靑州와 冀州의 경계로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淸東”은 淸水의 동쪽을 말한다. 이보다 앞서 到彦之가 北伐할 적에 河南으로부터 회군하면서 朱修之를 남겨 滑臺를 지키게 하였는데, 이듬해에 北魏 장군 安頡이 공격해 격파하여 주수지를 가두었다.라고 하였다.
때마침 조서를 지닌 使者가 도착하였는데 군사의 퇴각 요청을 들어주지 않자, 소빈이 다시 諸將들을 불러 논의하니, 심경지가 말하기를 “戰場의 일은 將軍이 오로지 결정하는 법이니, 조서는 먼 곳에서 와서 지금의 사태를 알지 못합니다. 휘하에 과 같은 사람이 한 명 있는데도 등용하지 못하니, 공연한 논의를 어디에다 쓸 수 있겠습니까.”注+② “節下”는 蕭斌을 칭한 것이다. 심경지가 漢 高帝의 말을 인용하여 소빈이 자신의 말을 쓰지 않음을 비유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소빈과 앉아 있던 사람들이 모두 웃으며 말하기를 “沈公이 학문을 배운 사람 같구려.”注+③ 更(거치다)은 工衡의 切이니, 거치고 지난다는 뜻이다.라고 하니, 심경지가 성난 목소리로 말하기를 “많은 사람들이 비록 옛날과 지금의 일을 안다고 하나 제가 귀로 듣고 배운 것만注+④ “耳學”은 일찍이 눈으로 서적을 보지는 않았지만 귀로 남이 강설하는 것을 들어서 배웠음을 말한 것이다. 못합니다.”라고 하였다.
소빈이 마침내 왕현모을 시켜서 碻磝를 지키도록 하고, 申坦과 垣護之를 시켜서 淸口를注+⑤ 淸水의 남쪽은 淮水와 통하고 북쪽은 河水와 통하니, 이는 청수가 黃河로 들어가는 입구임을 말한 것이다. ≪水經注≫에 “濟水가 동북쪽으로 壽張縣의 서쪽 경계와 安民亭의 남쪽을 지나는데, 汶水가 동북쪽에서 와서 합쳐진다.”라고 하였는데, 그 註에 “戴延이 이른바 淸口이다.”라고 하였다. 점거하도록 하였으며, 자신은 諸軍을 인솔하여 歷城으로 돌아왔다.
[綱] 11월에 魏主가 진군하여 魯郡에 이르러 太牢로 孔子에게 제사를 지냈다.
[目] 魏主가 諸將들에게 명을 내려 길을 나누어 일제히 진군하도록 하였는데, 永昌王 拓跋仁은 洛陽에서 壽陽으로 진군하고, 尙書 長孫眞은 馬頭로 진군하고注+① 沈約이 말하기를 “馬頭郡은 옛날 淮南 當塗縣 지역으로, 晉 安帝가 馬頭郡을 세우고 산의 모양을 따서 이름을 지었으며, 南豫州에 소속시켰는데, 宋나라 때는 徐州에 속하였다.”라고 하였다. 拓跋建은 太武帝의 아들이다., 楚王 拓跋建은 鍾離로 진군하고, 高涼王 拓跋那는 靑州에서 下邳로 진군하였으며,
魏主는 東平에서 鄒山으로注+② 宋나라의 魯郡은 당시에 鄒山에 치소를 두었다. 진군하여 11월에 魯郡太守 崔邪利를 사로잡았다.
秦 始皇의 石刻을注+③ 秦 始皇 28년(B.C.219)에 시황제가 鄒嶧山에 올라 비석을 세워 자신의 공덕을 칭송하였다. 보고는 사람을 시켜 넘어뜨리고 太牢로 孔子에게 제사를 지냈다.
[綱] 雍州參軍 柳元景이 陝城에서 北魏 군대를 크게 격파하여 장수 張是連提의 목을 베었으며, 진격하여 潼關을 점거하고 돌아왔다.
[目] 宋나라의 略陽太守 龐法起 등 여러 군대가 盧氏縣에 들어가서 縣令을 참수하고 趙難을 현령으로 삼아 鄕導가 되게 하였다.
柳元景 등이 나아가 弘農을 공격하여 함락하고, 潼關으로 진격하니, 조서를 내려 유원경을 弘農太守로 삼았다.
유원경이 薛安都와 尹顯祖를 시켜서 먼저 병력을 이끌고 陝城에 있는 방법기 등에게 가도록 하고, 유원경은 후방에서 군량을 조달하는 것을 감독하였다.
陝城이 험준하고 견고하여 공격하였으나 함락하지 못하였는데, 北魏 洛州刺史 張是連提가 군사 2만 명을 인솔하여 崤山을 넘어 陝城을 구원하자注+① 張是는 復姓이고, 連提는 이름이다. 洛水에서 陝城에 이르기까지 三崤의 험한 지형이 있다., 설안도 등이 이들과 성의 남쪽에서 싸웠다.
北魏 사람들이 돌격기병을 보내니 여러 군대들이 대적하지 못하였다. 설안도가 성을 내어 투구와 갑옷을 벗고 말에도 馬甲을 떼어버리고는 눈을 부릅뜨고 창을 비껴든 채 홀로 말을 타고 적진으로 돌진하자 가는 곳마다 앞을 가로막는 자들이 없었으며, 北魏 사람들이 양쪽에서 활을 쏘아도 맞출 수가 없었다.
이와 같이 네 차례를 하니, 죽거나 부상당한 사람이 헤아릴 수 없이 많았다. 해가 저물어 別將 魯元保가 군사를 이끌고 函谷關에서 도착하니, 北魏 군대가 그제야 물러갔다.
[目] 다음 날에 薛安都 등이 성의 서남쪽에 陣을 쳤는데, 曾方平이 설안도에게 말하기를 “지금 강한 적들이 앞에 있고 견고한 성이 뒤에 있으니, 이는 우리가 죽을 날이다. 경이 만약 진격하지 않는다면 내가 응당 경의 목을 벨 것이고, 내가 만약 진격하지 않는다면 경이 나의 목을 베라.”라고 하니, 설안도가 말하기를 “경의 말이 옳다.”라고 하였다.
드디어 교전을 하였는데, 軍副注+① 一軍의 장수를 軍主라 하고, 副將을 軍副라고 한다. 柳元怙가 군사를 이끌고 남문에서부터 북을 치고 함성을 지르며 곧바로 나가서 旌旗가 대단히 성대하니 北魏 군사들이 크게 놀랐다. 설안도가 앞장서서 나아가 분전하여 흐르는 피가 팔꿈치에 고이고 창이 부러지자 바꾸어서 다시 진격하였다.
그러자 여러 군사들이 일제히 분발하여 아침부터 해가 기울 때까지 싸우니, 北魏 군대가 크게 궤멸되었다. 張是連提와 장졸 3천여 명의 수급을 베었고, 그 남은 자 중에 강이나 해자에 빠져 죽은 이가 아주 많았으며, 투항한 자들이 2천여 명이었다.
다음 날 유원경이 도착하여 투항한 자들을 꾸짖으며 말하기를 “너희들은 본래 중국의 백성들인데 지금 오랑캐들을 위하여注+② 爲(위하다)는 去聲이다. 힘을 다해 싸우다가 힘이 모자라자 마침내 투항한 것은 어째서인가?”라고 하니,
모두 말하기를 “오랑캐가 백성들을 내몰아서 싸우게 하면서 뒤에 나오는 사람은 一族을 없애고, 기병으로 보병을 몰아세워 전투가 시작되기 전에 먼저 죽게 하니, 이는 장군이 직접 목격한 일입니다.”라고 하였다.
諸將들이 그들을 모조리 죽이고자 하니, 유원경이 말하기를 “王師의 깃발이 북쪽을 향해 가고 있으니, 응당 인자하다는 소문이 앞서 퍼져나가도록 해야 한다.”注+③ 先(앞장서다)은 悉薦의 切이니, 〈“當令仁聲先路”는〉 마땅히 어진 정치를 닦아 앞장서서 인도해야 함을 말한 것이다.라고 하여 전부 풀어주어 보내니, 모두가 만세를 부르며 돌아갔다.
드디어 陝城을 함락하고 潼關으로 진격하여 점거하니, 關中의 호걸이 도처에서 벌떼처럼 일어났고, 사방의 산에 살던 羌族과 胡族이注+④ 關中 지역은 사방이 험한 산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당시에 羌族과 胡族이 모두 산에 의지하여 거처하며 스스로 취락을 형성하였다. 모두 와서 충성을 표하였다.
宋나라는 王玄謨가 패퇴하고 北魏 군대가 깊숙이 들어오자, 유원경 등이 홀로 진격하는 것이 마땅하지 않다고 여겨 모두 불러 돌아오도록 하였다. 유원경이 설안도를 시켜서 후방을 차단하게 하고 군대를 이끌고 襄陽으로 돌아오자, 조서를 내려 유원경을 襄陽太守로 삼았다.
[綱] 北魏 永昌王 拓跋仁이 懸瓠를 함락하고 드디어 尉武에서 宋나라 군대를 패퇴시켜 장수 劉康祖를 죽이고 진격하여 壽陽을 압박하였다.
[目] 北魏 永昌王 拓跋仁이 懸瓠와 項城을 공격하여 함락하니, 宋主는 北魏 군대가 壽陽에 이를까 두려워 劉康祖를 불러 돌아오도록 하였는데, 탁발인이 8만 기병을 거느리고서 추격하여 유강조를 尉武에서注+① 尉武는 정자의 이름으로, 壽陽과의 거리가 겨우 수십 리이다. 따라잡았다.
유강조에게는 8천의 병력이 있었는데, 軍副 胡盛之가 험한 산악 지형을 의지하여 샛길로 행군하여 〈壽陽에〉 도달하고자 하니注+② “取至”는 壽陽에 도달함을 말한 것이다., 유강조가 성을 내며 말하기를 “黃河에 임하여 적을 찾아 싸우려 해도 마침내 적을 보지 못했는데, 다행히도 그들이 제 발로 찾아왔으니, 어찌 피하겠는가.”라고 하고,
마침내 수레를 연결한 진영을 만들어 진격하면서 군중에 명을 내려 말하기를 “뒤돌아보는 자는 목을 벨 것이며, 발걸음을 돌리는 자는 발을 자를 것이다.”라고 하였다.
北魏 사람들이 사방에서 그들을 공격하였으나 장수와 군사들이 모두 죽음을 각오하고 싸워 아침부터 晡時(오후 3~5시)까지 北魏 병사 1만여 명을 죽이니, 흐르는 피가 복사뼈까지注+③ 踝(복사뼈)는 戶瓦의 切이니, 정강이의 양쪽을 안팎 복사뼈라고 한다. 잠겼고, 유강조는 몸에 열 군데의 창상을 입었으나 의기는 더욱 맹렬하였다.
北魏는 무리를 나누어 셋으로 만들어 한편으로는 쉬고 한편으로는 전투를 치르게 하였다. 때마침 날이 저물고 갑자기 바람이 불자 北魏는 기병들을 시켜서 풀을 짊어져다가 수레를 연결한 宋나라의 진영을 불태우게 하니, 유강조가 수시로 무너진 부분을 보수하였다. 그러다가 날아온 화살이 유강조의 목을 관통하여 말에서 떨어져 죽자 나머지 무리들이 모두 궤멸되니, 北魏 사람들이 엄습하여 거의 모두를 죽였다.
南平王 劉鑠이 參軍 王羅漢을 시켜서 300명으로 尉武를 지키도록 하였는데, 北魏 군대가 도착하자 무리들은 남쪽으로 작은 나무에 의지하여 스스로를 지키려고 하였으나 왕나한은 명령을 받고서 이곳에 머무르며 떠나지 않았다.
북위 사람들이 공격하여 그를 사로잡아 쇠사슬로 목을 묶고 注+④ 三郎將은 內三郞을 주관하니, 北魏에서는 衛士를 三郞將이라고 하였다. 시켜서 잡고 있게 하였는데, 왕나한이 밤중에 삼랑장의 목을 베고 쇠사슬을 안은 채 盱眙(우이)로 도망쳤다.
탁발인이 진군하여 壽陽을 압박하였는데, 남평왕 유삭이 성곽을 둘러싸고 굳게 지켰다.
[綱] 魏主가 彭城을 공격하였으나 승리하지 못하였다.
[目] 北魏 군대가 蕭城에注+① 魏收의 ≪魏書≫ 〈地形志〉에 “沛郡의 蕭縣에 蕭城이 있다.”고 하였다. 있었는데, 彭城과의 거리가 10여 리였다. 彭城에 있는 군사가 비록 많았지만 군량이 적었기에 江夏王 劉義恭이 팽성을 버리고 남쪽으로 돌아가려고 하였다.
沈慶之가 歷城에는 군사는 적지만 식량이 많다고 하여, 注+② 陳(진을 치다)은 陣으로 읽는다. 사용하여 정예병으로 바깥 날개를 삼고 과 王妃, 그 딸들을 받들고 곧바로 歷城으로 향하려고 하였으며, 何勖은 자리를 거두어 鬱洲로注+③ 東海郡 贛榆縣의 東海 가운데 鬱洲가 있다. 달아나 바닷길을 이용하여 京師로 돌아가려고 하였다.
유의공은 떠날 뜻이 이미 결정되었으나注+④ 判은 역시 결정하다는 뜻이다., 두 사람의 의논이 결정되지 못하였는데 長史 張暢이 말하기를
“만약 歷城과 鬱洲에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제가 감히 목소리를 높여 협조하지注+⑤ 高는 올리다는 뜻이고, 贊은 돕는다는 뜻이니, 〈“高贊”은〉 소리를 질러 그 논의를 도와 결정하게 한 것이다. 않겠습니까마는 지금 성곽 안에는 식량이 부족하여 백성들이 모두 도주할 뜻을 지니고 있으니, 단지 빗장을 걸어 잠그고注+⑥ 扃(빗장)은 古螢의 切이니, 외부를 막는 관문이다. 이는 문의 수비를 삼엄하고 견고하게 하여 백성들이 나갈 수가 없음을 말한 것이다. 엄히 지키고 있을 뿐입니다.
일단 발을 움직이면 각기 서로 도망하여 흩어질 것이니, 목적지에 도달하고자 하여도 무슨 수로 그렇게 할 수 있겠습니까. 지금 군대의 양식이 비록 적다고 하더라도 아침저녁으로 아직은 궁핍하지 않은데注+⑦ 窘은 급박하다는 뜻이고, 罄은 다한다는 뜻이다., 어찌하여 만전을 기하는 계책을 버리고서 위태롭고 멸망하는 길로 나갈 수 있습니까.
만약 도주하려는 계책을 반드시 시행하신다면 제가 목을 찔러 그 피로 공이 타고 가시는 말의 발굽을 더럽히고자 합니다.”注+⑧ 污(더럽히다)는 烏路의 切이다.라고 하였다.
武陵王 劉駿이 유의공에게 말하기를 “阿父께서 이미 總統이 되셨으니, 떠나시든 머무르시든 간에 감히 간여할 일이 아니지만, 저 道民(劉駿)이 황송하게도 城主가 되었으므로, 반드시 이 성과 더불어 生死를 함께 할 것이니, 張長史의 말에 동의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注+⑨ 阿父라고 한 것은 劉義恭이 劉駿에게 諸父(삼촌)가 되기 때문이다. 유의공이 팽성에 주둔하며 諸軍을 지휘하였기 때문에 總統이라고 한 것이다. 道民은 어릴 적 유준의 字이다. 徐州刺史가 彭城을 치소로 두었기 때문에 城主라고 한 것이다.라고 하니, 유의공이 마침내 중지하였다.
[目] 魏主가 彭城에 이르러 尙書 李孝伯을 시켜서 남문에 이르게 하여 劉義恭에게 담비 가죽으로 만든 갖옷을 보내고, 劉駿에게는 낙타와 노새를 보내고서 또 말하기를 “魏主께서 安北將軍에게注+① 위의 元嘉 25년(448)에 宋나라가 劉駿을 安北將軍 徐州刺史로 삼았다. 안부를 물으셨으니, 잠시 나와서 저를 보시지요.”라고 하였다.
유준이 張暢을 시켜서 성문을 열고 나가서 그를 만나보게 하였다. 이효백이 말하기를 “魏主께서 이 성을 포위하지 않고 친히 대군을 인솔하여 곧바로 瓜步로 가서注+② 造는 이른다는 뜻이다. 瓜步는 산 이름으로, 秦郡 尉氏縣 경계에 있다. 長江과 太湖의 물을 마시고 갈증을 면하려고 하실 뿐이다.”라고 하니,
장창이 말하기를 “떠나고 머무르는 일은 너희 마음대로 하면 되지만 만약 오랑캐의 말이 마침내 장강의 물을 마시게 되면 天道가 회복됨이 없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보다 앞서 童謠에 이르기를 “오랑캐의 말이 長江의 물을 마시면 佛貍(太武帝)가 卯年에 죽는다.”라고 하였기 때문에 장창이 이렇게 말한 것이다. 장창은 목소리와 용모가 우아하고 수려했으며, 이효백 역시 언변이 넉넉했다.
떠나는 길에 이효백이 장창에게 말하기를 “長史(장창)는 깊이 스스로를 아끼라. 지금 서로 간의 거리가 매우 가까운데도注+③ 발을 들어서 가는 것을 步라고 하고, 발자취를 武라고 하니, 〈“步武”는〉 아주 가까운 거리를 말한다. 손을 잡을 수 없는 것이 유감이다.”라고 하였다.
왕창이 말하기를 “君도 스스로를 잘 아끼라. 천하가 평정될 날에 君이 宋나라 조정으로 돌아오기를 바라니, 〈그렇게 되면〉 지금이 서로 알고 지낸 것의 시작이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綱] 宋나라가 陰平郡과 平武郡을 취하였다.
[目] 宋主가 楊文德을 기용하여 輔國將軍으로 삼아 군사를 이끌고 漢中에서 서쪽으로 들어가서 汧水와 隴山 지역을 요동치게 하니, 陰平郡과 平武郡이注+① 陰平縣은 漢나라 때에는 廣漢屬國에 속하였는데, 晉나라 泰始 年間(265~274)에 陰平郡을 설치하였다. 劉蜀(蜀漢)은 陰平을 분리하여 平廣縣을 두었고, 晉나라 太康 원년(280)에 이름을 平武로 고쳤다. 모두 평정되었다.
梁州南秦州刺史 劉秀之가 양문덕을 파견하여 啖提氐를注+② 이 氐族의 이름이 啖提이다. 토벌하였으나 이기지 못하자 〈유수지는 사람을 보내 양문덕을〉 붙잡아 荊州로 호송하였고, 양문덕의 從祖兄(육촌형)인 楊頭를 시켜서 葭蘆를 지키도록 하였다.
[綱] 12월에 魏主가 군대를 이끌고 남하하여 盱眙를 공격하였으나 이기지 못하고 진격하여 瓜步에 주둔하니, 宋나라 사람들이 경계를 엄하게 하여 長江을 지켰다.
[目] 魏主가 군대를 이끌고 남하하여 中書郞 魯秀를 廣陵으로 나가도록 하고, 高涼王 拓跋那를 山陽으로 나가도록 하고, 永昌王 拓跋仁을 橫江으로 나가도록 하였는데, 지나가는 곳마다 잔인하게 파괴하지 않은 곳이 없어서 城邑에서는 모두 그 모습만 보고도 달아나니, 〈宋나라 都城인〉 建康에서 군사를 모으고 대비태세를 갖추었다.注+① “纂嚴”은 군사를 모으고 무장을 갖추는 것이다.
北魏 군대가 淮水 가에 도달하자 宋主가 將軍 臧質을 시켜서 1만 명을 거느리고 彭城을 구원하도록 하여 盱眙에 도착하니, 魏主가 이미 淮水를 지난 뒤였다.
장질이 胡崇之 등으로 東山과 前浦에 군영을 설치하도록 하고, 자신은 성의 남쪽에 군영을 설치하였다. 北魏의 燕王 拓跋譚이 그들을 공격하자 모두 패몰하였고注+② 東山과 前浦는 모두 盱眙城의 좌우에 있다. 拓跋譚은 太武帝(拓跋燾)의 아들이다., 장질의 군대 역시 궤멸되자 장질이 군수품과 무기를 버리고 혼자 700명을 거느리고 盱眙城으로 갔다.
[目] 예전에 盱眙太守 沈璞이注+① 沈璞은 沈林子의 아들이다. 임지에 부임하였을 때 王玄謨는 아직 滑臺에 있어서 江淮 사람들이 경계함이 없었다. 그러나 심박은 盱眙郡이 요충지에 해당한다고 여겨 마침내 성을 보수하고 해자를 깊게 팠으며, 재물과 곡식을 비축하고 화살과 돌을 저장해놓고서 성을 지킬 대비를 하니, 속료들이 모두 그 일을 비난하고 조정에서도 역시 지나치다고 생각하였다.
北魏 군대가 南下하기에 이르자, 守宰들이 대부분 성을 버리고 도주하였다. 어떤 사람이 심박에게 建康으로 돌아갈 것을 권하자, 심박이 말하기를 “오랑캐가 만약 성이 작다고 여겨 돌아보지 않는다면 다시 무엇을 두려워하겠으며, 만약 적들이 다가와서 공격해오면 이는 마침내 내가 나라의 은혜에 보답할 때이고, 諸君이 제후에 책봉될 때이니, 어찌 이곳을 떠나겠는가. 제군은 적군 수십만이 작은 성 아래에 모여 있다가 패배하지 않은 경우를 본 적이 있는가. 昆陽과 合肥의 옛일이 명확한 증거이다.”注+② 王尋과 王邑은 백만의 군사로 昆陽에서 패배하였고, 諸葛恪은 20만의 군사로 合肥에서 패배하였다.라고 하니, 무리들의 마음이 조금씩 진정되었다.
심박은 군사를 모아 2천 명의 정예 군사를 얻고서 “이걸로 충분하다.”고 하였다. 臧質이 〈패한 뒤에〉 성을 향해 오자 군사들이 심박에게 말하기를 “오랑캐가 만일 성을 공격하지 않는다면 많은 병사를 부릴 것이 없겠지만, 만약 그들이 성을 공격하면 성안에는 단지 현재의 병력만을注+③ “見力”은 현재 성곽 안에 소유한 병력을 말한다. 수용할 수 있을 뿐이니, 땅은 좁고 사람들은 많으면 근심거리가 되지 않는 경우가 드뭅니다. 만약 장질의 무리가 적을 물리치고 성을 온전히 지켜낸다면 모든 공로는 우리에게 있지 않으며, 만약 적을 피하여 都城으로 돌아가고자 배와 노를 모은다면 반드시 〈사람들이 도망가고자〉 서로를 짓밟게 될 것입니다. 참으로 근심거리가 되기에 충분하니 그들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만 못합니다.”라고 하였다.
심박이 탄식하며 말하기를 “오랑캐는 반드시 성곽을 오르지 못할 것이니, 감히 제군을 위하여 보장하겠다. 배를 타고 돌아갈 계책은 진실로 이미 오래 전에 막혀버렸고, 오랑캐의 잔학함은 고금에 아직까지 없었으며, 죽임을 당하거나 겁탈당하는 고난은 그대들이 함께 본 것이니, 그 가운데 다행스러운 것은 사람들을 북쪽 나라로 데리고 돌아가서 노비로 삼는 것에 불과할 뿐이다.
장질의 군사들이 비록 오합지졸이지만 어찌 이를 두렵게 여기지 않겠는가. 이른바 배를 함께 타고 건널 때에는 胡族과 越族이 한마음이라고 하였다.注+④ 王弼이 말하기를 “배를 함께 타고 건너는 경우에는 배 안의 胡族과 越族이 어찌 다른 마음을 품을까 근심할 것이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지금 우리 군사들의 수가 많으면 오랑캐들이 빨리 물러갈 것이며, 수가 적으면 천천히 물러갈 것이니, 내가 어찌 공로를 독점하고자 하여 오랑캐를 머무르게 하겠는가.”라고 하고는 마침내 문을 열고 장질을 받아들였다.
장질이 성안에 물자가 충실한 것을 보고는 크게 기뻐하여 이로 인해 심박과 함께 성을 지켰다.
北魏 사람들이 남쪽을 침략했을 때 군량과 군수품을 가지고 오지 않고 노략질한 것을 밑천으로 삼았는데, 淮水를 지나면서는 백성들이 대부분 도망쳐 숨어버렸으므로 노략질을 해도 얻은 것이 없어서 사람과 말이 굶주리고 盱眙에 쌓아놓은 곡식이 있다는 소문을 듣고 북쪽으로 돌아가는 밑천으로 삼고자 하여 성을 공격했다가 함락시키지 못하고, 즉시 수천 명을 남겨 盱眙를 지키도록 하고는 〈魏主가〉 스스로 대군을 인솔하고 남쪽으로 갔다. 이로 말미암아 盱眙의 수비가 더욱 완비되었다.
[目] 魏主가 瓜步에 도착하자 민가를 헐고 또 굵은 갈대를 베어 뗏목을 만들면서 長江을 건너려고 한다고 소문을 내니注+① 筏(뗏목)은 음이 伐이니 큰 것을 筏이라 하고 작은 것을 桴라 하는데, 타고서 물을 건너는 것이다., 建康에서는 백성들이 두려움에 떨어 모두 짐을 꾸리고 〈즉시 도망갈 수 있도록〉 서 있었다.
그러자 안팎이 경계를 엄격히 하여 丹楊의 관할 안에 있는 모든 民家에서 장정을 징발하니, 王公 이하의 자제들도 모두 군역을 수행하였다. 劉遵考 등에게 명하여 군사를 거느리고 나누어서 주요 나루를 지키게 하면서 위로는 太湖에 인접하고 아래로는 蔡洲에 이르기까지 순찰하도록 하고, 진열한 함선과 군영이 강가에 이어지니, 採石에서 暨陽에注+② 胡三省이 말하기를 “暨陽은 지금의 江陰軍이다.”라고 하였다. 이르기까지 6, 7백 리였다.
太子 劉劭가 石頭에 출진하여 水軍을 통솔하였고, 徐湛之는 을 지켰으며, 江湛은 을 겸직하였는데, 군사에 관한 일은 모두 그에게 위임하였다.
宋主가 石頭城에 올라가 근심스런 낯빛으로 강담에게 말하기를 “북벌 계획에 찬동한 사람이 적었는데注+③ 〈“北伐之計 同議者少”는〉 오직 江湛과 徐湛之가 북벌의 계획에 찬성하였고, 여러 신하들의 의견은 대부분 찬성하지 않았음을 말한다., 오늘날 병사들과 백성들이 수고롭고 원망하니 부끄러움이 없을 수가 없다. 大夫들에게 근심을 끼친 것은 나의 잘못이다.”라고 하고,
또 말하기를 “檀道濟가 만약 살아 있다면 어찌 오랑캐의 말들이 여기까지 이르게 했겠는가.”라고 하였다.
[綱] 北魏가 宋나라와 화친을 맺었다.
[目] 魏主가 낙타와 名馬를 宋主에게 보내어 화친을 구하고 혼인을 요청하자, 宋主 역시 진수성찬과 진기한 음식을 보냈다.
魏主가 그의 손자를 使者에게 보여주며 말하기를 “내가 멀리에서 여기까지 온 것은 功名을 위한 것이 아니라, 실제 계속하여 우호관계를 맺고자 해서이다. 宋나라가 만약 딸을 내 손자에게 시집보내면 나도 딸을 武陵王에게 시집보낼 것이고, 지금부터 한 필의 말도 다시는 남쪽을 돌아보지 않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사신이 돌아오자 宋主가 군신들을 불러 그 일을 의논하였는데, 여러 사람들이 마땅히 허락해야 한다고 말하자, 江湛이 말하기를 “戎狄은 친하게 대함이 없고 〈이익만을 탐하니,〉 이를 허락하여도 유익함이 없습니다.”라고 하였다.
太子 劉劭가 화를 내며 강담에게 말하기를 “지금 세 王이 험한 곳에 있는데注+① “三王在阨”은 江夏王 劉義恭과 武陵王 劉駿이 彭城에 있고, 南平王 劉鑠이 壽陽에 있음을 말한 것이다., 어찌 구차하게 다른 의견을 제기할 수 있단 말인가.”라고 하였는데 목소리와 안색이 아주 엄중하였다.
자리가 파하자, 유소가 또 宋主에게 말하기를 “북벌이 실패하고 치욕을 당하여 여러 州가 함락되고 파괴되었으니, 오직 江湛과 徐湛之의 목을 베어야만 천하 사람들에게 사죄할 수 있습니다.”라고 하니,
宋主가 말하기를 “북벌은 내 뜻에서 나온 것이니, 강담과 서담지는 다만 다른 이견이 없었을 뿐이다.”라고 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태자는 강담․서담지와 화목하지 못하였으며, 北魏 역시 결국에는 혼인을 성사시키지 못하였다.


역주
역주1 營戶 : 점령지의 포로나 주민을 새로 호적에 편입시켜 군대의 관할 하에 두는 일 또는 그러한 民戶를 말한다.
역주2 宋主가……명령하니 : ≪資治通鑑≫에 당시 劉駿이 彭城에 주둔하였다고 하였다.
역주3 苻堅도 아니니 : 苻堅(337~385)은 5胡16國 시기 前秦의 제3대 임금이다. 王猛의 보필을 받아 학문을 장려하고 농경에 힘쓰는 등 국세를 떨쳤다. 東晉을 공격하려 할 때 石越이 長江의 험고함을 들어 만류하였으나 듣지 않고 공격하였다가 淝水에서 크게 패하여 나라가 멸망할 지경에 이르렀다. 北魏 太武帝가 이렇게 말한 것은 함부로 만용을 부려 宋나라의 도발에 넘어가지 않겠다는 뜻이다.
역주4 魏殺其司徒崔浩 夷其族 : “≪周禮≫ 〈司宼〉의 八議에 議故․議賢․議功․議貴의 규정이 있다. 崔浩는 그의 아버지 崔宏 때부터 北魏에서 벼슬하였으니, 실제로 世臣이다. 최호는 세 조정을 대대로 섬겨 자신이 上公이 되어 재주와 책략이 유독 뛰어났고 계책을 내어 적에게 승리를 거두어 자주 공적을 이루었다. 八議로 말한다면 최호는 네 가지에 해당되는데 한 번 忌諱에 저촉되어 대번에 멸족을 당했으니, 凶暴한 나라에는 그 조정에 벼슬을 할 수 있겠는가. 拓跋氏는 본래 夷狄으로 中國에 진출하였으나 아직 순수한 중국이 되지 못하였으므로, 하는 짓이 이와 같았다. ‘殺司徒崔浩 夷其族’이라고 기록한 것은 심하게 여긴 것이다.[周官司宼八議 有議故議賢議功議貴之典 崔浩自其父宏仕魏 實爲世臣 浩歷事三朝 身爲上公 才略獨優 運籌制勝 屢有成績 自八議言之 浩居其四 而乃一觸忌諱 遽赤其族 凶暴之國 尙可立其朝哉 拓跋本夷狄 進於中國 而未能純乎中國 故其所爲如此 書殺司徒崔浩夷其族 蓋甚之也]” ≪發明≫ 議故는 왕실과 오랜 기간 관계하여 특별한 은혜를 입었는지를 따지고, 議賢는 어진 사람인지를 따지고, 議功은 공로가 있는지를 따지고, 議貴는 귀한 사람인지를 따지는 것이니, 모두 이와 같은 것을 참작하여 죄를 정하는 것을 말한다.
역주5 國記 : 書名으로 ≪國史≫와 같다. ≪資治通鑑≫(北魏 太武帝 神䴥 원년(428))에 “예전에 北魏 太祖가 尚書 鄧淵에게 명하여 ≪國記≫ 10여 권을 짓게 하였는데 완성하지 못하고 중지되었다. 世祖가 다시 崔浩와 中書侍郎 鄧穎 등에게 명하여 그것을 이어 이루게 하여 ≪國書≫ 30권을 지었다.[初魏太祖命尚書鄧淵 撰國記十餘卷 未成而止 世祖更命崔浩與中書侍郎鄧穎等續成之 爲國書三十卷]”라고 하였는데, ≪資治通鑑新注≫에서 ≪國記≫를 ≪國史≫와 같은 것으로 보았다.
역주6 浩自恃才略 及爲魏主所寵任 : 저본 등 懸吐本에는 위처럼 현토되어 있다. 그러나 중국의 표점본이나 해석본 등에서는 及을 ‘및’의 뜻으로 쓰인 접속사로 보았다.
역주7 宋人大擧侵魏 取碻磝圍滑臺 : “앞에서 두 번이나 ‘宋伐魏(宋나라가 北魏를 정벌하였다.)’라고 기록하였는데, 여기에서는 ‘大擧’라고 기록하고 다만 ‘侵’이라고 말한 것은 어째서인가. 분노로 인한 出兵이기 때문이다. 宋나라가 楊難當을 토벌하자 北魏가 구원하고 北魏가 蓋吳를 토벌하자 宋나라가 구원하고 나서부터 이때에 北魏가 宋나라를 두 번 침략하였는데, 지금 이 出兵은 서로 침략한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그 뒤에 北魏가 다시 碻磝를 취하였을 때 宋나라에 연계하여 기록하지 않은 것은 이 출동으로 수복했음을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前再書宋伐魏矣 此書大擧而止曰侵 何 忿兵也 葢自宋討楊難當而魏救之 魏討蓋吳而宋援之 於是魏再侵宋 今之此擧 則亦交侵而已矣 故其後魏復取碻磝 不繫之宋 不與此擧之爲克復也]” ≪書法≫ “魏復取碻磝”는 본서 326쪽에 보인다.“宋나라가 蓋吳를 원조한 일은 北魏 사람이 죄를 물을 수 없는 것인데, 이해 4월에 와서 ‘魏師還’의 아래 分注(目)에 魏主가 宋主에게 보낸 편지를 갖추어 기록하면서 가장 먼저 꾸짖어 이 내용을 언급하였으니 그 잘못이 宋나라에 있는 것이다. 그러나 北魏의 군대가 물러났으니, 宋나라 군사들이 어찌 스스로 돌아갈 것을 알지 못했겠는가. 그런데 지금 그렇지 않아 도리어 크게 군대를 일으켜서 정벌하였으니 과연 무슨 의리인가. 이때 北魏에서 다시 宋나라에 편지를 보내어 彼此의 화친을 맺은 날이 오래되었는데 宋主의 마음에 만족함이 없어 우리 변방 백성들을 유혹한다는 말까지 하였으니, 宋나라의 입장에서는 애초부터 내세울 말이 없는 것이다. 무릇 군대의 출동에 명분이 없으면 일이 그로인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다. 宋나라의 이번 出兵은 명분과 의리가 이미 없는데 어찌 성공할 수 있겠는가. 그렇다면 中原이 夷狄의 손에 떨어지는데도 내버려두고 묻지 않아도 되는가. 이는 晉나라의 경우에 있어서는 회복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으나 지금 宋나라는 〈中原이 본인들의〉 옛 영토가 아니니, 진실로 무력을 기르며 때를 기다려야 하는데, 어찌 경거망동하여 스스로 근심을 남기는가. 그러므로 ≪資治通鑑綱目≫에서 이미 ‘大擧’라고 기록하고서 다시 ‘侵’이라고 기록하여 비루하게 여긴 것이다. 北魏에 있어서는 ‘救’라고 기록하여 應兵(적에게 응전한 출병)인 것을 보였으니, 이것이 輕重의 척도이다. 어찌 당당하게 대규모로 출병을 하면서 겨우 남의 나라를 침략하는 경우가 있단 말인가. 애석하다![宋有援蓋吳之事 魏人不能問罪 至是年四月 分注於魏師還之下 備載魏主遺宋主書 首責及此則是其曲蓋在宋也 然魏兵既退 宋人盍知自反 今乃不然 反大起軍旅以伐之 果何義哉 是時魏復與宋書 且有彼此和好日久 彼志無厭 誘我邊民之語 而在宋則初無詞可執也 夫師出無名 事故不成 宋之此擧 名義既已索然 烏在其能成功 然則中原淪於夷虜 置之不問 可乎 曰 此在晉則可言克復爾 今宋非其故土 固當養威俟時 胡可輕擧妄動以自詒伊慼哉 是以綱目既書大擧而復書侵以陋之 至魏則書救以見其爲應兵 此葢輕重之權衡也 烏有堂堂大擧而僅能侵人之國者哉 噫]” ≪發明≫
역주8 檀道濟가……돌아왔습니다 : 檀道濟는 宋 文帝 元嘉 원년(424)과 元嘉 7년(430)에 출병하였다. 到彥之는 元嘉 7년에 단도제에 앞서 출전하였다.
역주9 단도제는……하였고 : 景平 원년(423)에 北魏가 河南과 山東을 침입했을 때 檀道濟가 湖陸에 주둔하면서 北魏의 세력이 두려워 하남을 구원하지 않은 일을 가리킨다.
역주10 三五民丁 : ≪資治通鑑≫의 註에 3丁 중에 1丁을 5丁 중에 2丁을 징발한다고 하였다.
역주11 范增 : 秦나라 말기 項羽의 謀臣으로, 훌륭한 계책을 많이 세워 亞父라는 칭호를 받기까지 하였다. 그러나 여러 차례 劉邦을 죽이라고 충고한 것이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오히려 유방의 반간계로 항우의 의심을 사게 되었다. 이에 울분을 못 이겨 길을 떠났고 도중에 등창이 도져 彭城에서 병사하였다.(≪史記≫ 〈項羽本紀〉)
역주12 魏主進至魯郡 以太牢 祠孔子 : “漢 章帝가 孔子에게 제사를 지냈을 때에는 ‘至’라고 기록하고, 여기에서는 ‘進至’라고 기록한 것은 어째서인가. 〈先聖을 숭배하고자 하는〉 전일함을 아름답게 여긴 것이다. 魏主가 한창 전쟁을 하는 중인데도 先聖을 숭배할 줄 알아 특별히 이런 행위를 하였다. ≪資治通鑑綱目≫에서 기록하기를 ‘進至’라고 하고 또 ‘以太牢’라고 기록하였으니 漢 高帝가 공자에게 제사한 것과 똑같은 서법으로 기록한 것이 마땅하다. ≪資治通鑑綱目≫이 끝날 때까지 ‘祠孔子’라고 기록한 것은 다섯 번이고, ‘謁孔子祠(공자를 알현하고 제사 지내다.)’라고 기록한 것이 한 번이다(漢 高帝 12년(B.C.195)에 자세하다.). 北魏에 ‘祠孔子’를 기록한 것은 두 번인데(이해(450)와 乙亥年(495)) 한 번은 ‘進至’라고 기록하고 한 번은 ‘如(가다)’라고 기록하였으니, 모두 전일함을 인정하는 말이다.[漢章祠孔子 書至 此書進至 何 嘉專也 魏主方事干戈 而知崇先聖 特爲此行 綱目書曰進至 且以以太牢書 同於高帝宜矣 終綱目書祠孔子五 書謁孔子祠一(詳漢高帝十二年) 而魏書祠孔子者再(是年 乙亥年) 一書進至 一書如 皆予其專之辭也]” ≪書法≫ “漢章祠孔子”는 ≪資治通鑑綱目≫ 漢 章帝 元和 2년(85)에 보인다. 漢 高帝가 太牢로 공자에게 제사 지낸 것은 同書 漢 高祖 12년(B.C.195)에 “過魯以太牢祠孔子”라고 하였다. 乙亥年은 北魏 孝文帝 太和 19년(495)인데, 그 기사에 “魏主如魯城 祠孔子”라고 하였다.“拓跋(北魏)은 夷狄인데, 전쟁 중에도 오히려 聖人을 존중할 줄 알았다. 典午氏(司馬氏의 晉나라)는 中原의 正統인데도 孔子의 사당을 수리하자고 청하자 묵묵부답하였다. ≪資治通鑑綱目≫에서는 모두 冊에 명확히 기록하였으니 이른바 ‘夷狄에게 임금이 있는 것이 중국에 없는 것보다 낫다.’는 것이다.[拓跋夷虜 在戎馬之中 猶知尊聖人 典午氏中原正統 請修孔子廟 乃寢而不報 綱目皆明書于冊 所謂夷狄之有君 不如諸夏之亡也]” ≪發明≫ “夷狄之有君 不如諸夏之亡也”는 ≪論語≫ 〈八佾〉에 보인다.
역주13 雍州參軍柳元景……進據潼關而還 : “王玄謨는 北伐의 계책을 앞장서서 건의하고는 친히 대군을 지휘하였는데 적의 기세를 바라보고 물러나 도주하였다. 柳元景은 偏裨의 别將으로서 적을 격파하여 공을 이루었다. 〈그런데도〉 宋主는 드러내어 이들에게 상벌을 주지 않았으니 이것이 진실로 佛貍(拓跋燾)가 〈서신으로〉 책망하여 모욕한 것이다. 오히려 그와 함께 勝負를 겨룰 수 있겠는가.[王元謨首建北伐之謀 親將大衆 望風退走 柳元景偏裨别將 破敵成功 宋主不能顯加賞戮 此固佛貍之所望而侮者 尙可與之校勝負哉]” ≪發明≫
역주14 三郎將 : 三郎은 원래 秦漢時代 郎官의 합칭 또는 中郎․外郞․散郞 또는 議郞․中郎․散郞, 혹은 郎中․車郞․戶郞을 칭하는데, 여기서는 內三郞을 가리킨다. 내삼랑은 北魏 前期에 설치된 것으로 황제의 호위를 담당하였다. 종실 및 공신의 자제 중에 騎射에 능한 자로 충원하였다. 孝文帝 때 폐지되었다.
역주15 : 저본에는 ‘脯’로 되어 있는데, ‘脯’는 ‘晡’와 통용이다.
역주16 函箱車陳 : 수레를 연결하여 만든 方陣이다.
역주17 二王 : 江夏王 劉義恭과 武陵王 劉駿을 말한다.
역주18 (罪)[賊] : 저본에는 ‘罪’로 되어 있으나, ≪宋書≫ 〈自序〉에 의거하여 ‘賊’으로 바로잡았다.
역주19 石頭倉城 : ≪資治通鑑新註≫(陝西人民出版社, 1998)에는 군량을 보관한 城樓라고 하였다. ≪景定建康志≫에는 石頭城 내에 있는 성으로 보았다. 또한 石頭倉의 명칭을 ≪晉書≫ 〈沈瑀傳〉 등을 통해 石頭山의 官倉에서 유래했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
역주20 領軍 : 領軍將軍을 가리킨 것으로 본서 221쪽 역주 46) 참조.

자치통감강목(17) 책은 2021.11.08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