目
		                       		
		                        
		                        	
		                        		
		                            	臣聞 命者는 天之令也요 性者는 生之質也요 情者는 人之欲也라
		                            	 
									
                        			
                        			
                        		
	                     		
			                       	
			                       	
	                     		
	                     		
		                        
                        	
                        	
                        	
                        	
                        		
                        		
                        		
                        			
                        			
		                       		
		                       		
		                       		
		                        
		                        	
		                        		
		                            	 堯舜行徳이면 則民仁壽하고 桀紂行暴면 則民鄙夭하여 有治亂之所生이라
		                            	 
									
                        			
                        			
                        		
	                     		
			                       	
			                       	
	                     		
	                     		
		                        
                        	
                        	
                        	
                        	
                        		
                        		
                        		
                        			
                        			
		                       		
		                       		
		                       		
		                        
		                        	
		                        		
		                            	 故
로 不齊也
注+仁者, 不鄙詐. 壽者, 不夭折也.니이다 
									
                        			
                        			
                        		
	                     		
			                       	
			                       	
	                     		
	                     		
		                        
                        	
                        	
                        	
                        	
                        		
                        		
                        		
                        			
                        			
		                       		
		                       		
		                       		
		                        
		                        	
		                        		
									
                        			
                        			
                        		
	                     		
			                       	
			                       	
	                     		
	                     		
		                        
                        	
                        	
                        	
                        	
                        		
                        		
                        		
                        			
                        			
		                       		
		                       		
		                       		
		                        
		                        	
		                        		
		                            	 天道之大者는 在陰陽하니 陽爲徳이요 陰爲刑이요 刑主殺而徳主生이라
		                            	 
									
                        			
                        			
                        		
	                     		
			                       	
			                       	
	                     		
	                     		
		                        
                        	
                        	
                        	
                        	
                        		
                        		
                        		
                        			
                        			
		                       		
		                       		
		                       		
		                        
		                        	
		                        		
		                            	 是故로 陽은 常居大夏하여 而以生育長養爲事하고 陰은 常居大冬하여 而積於空虛不用之處하니 以此로 見天之任徳, 不任刑也니이다
		                            	 
									
                        			
                        			
                        		
	                     		
			                       	
			                       	
	                     		
	                     		
		                        
                        	
                        	
                        	
                        	
                        		
                        		
                        		
                        			
                        			
		                       		
		                       		
		                       		
		                        
		                        	
		                        		
		                            	 王者는 承天意以從事라 故로 任徳敎而不任刑也니이다
		                            	 
									
                        			
                        			
                        		
	                     		
			                       	
			                       	
	                     		
	                     		
		                        
                        	
                        	
                        	
                        	
                        		
                        		
                        		
                        			
                        			
		                       		
		                       		
		                       		
		                        
		                        	
		                        		
		                            	 今廢先王徳敎之官하고 獨任執法之吏하여 而欲徳敎之被四海하시니 難矣니이다
		                            	 
									
                        			
                        			
                        		
	                     		
			                       	
			                       	
	                     		
	                     		
		                        
                        	
                        	
                        	
                        	
                        		
                        		
                        		
                        			
                        			
		                       		
		                       		
		                       		
		                       			
		                        			
		                        				
		                        				 
		                        			
		                       			
		                       			
		                       			
		                       				目
		                       		
		                        
		                        	
		                        		
		                            	仲舒少治春秋爲博士하여 進退容止를 非禮不行하니 學士皆師尊之러니
		                            	 
									
                        			
                        			
                        		
	                     		
			                       	
			                       	
	                     		
	                     		
		                        
                        	
                        	
                        	
                        	
                        		
                        		
                        		
                        			
                        			
		                       		
		                       		
		                       		
		                        
		                        	
		                        		
		                            	 及爲江都相
하여 事易王
注+易, 音亦, 謚也. 王名, 非.하니 
									
                        			
                        			
                        		
	                     		
			                       	
			                       	
	                     		
	                     		
		                        
                        	
                        	
                        	
                        	
                        		
                        		
                        		
                        			
                        			
		                       		
		                       		
		                       		
		                        
		                        	
		                        		
		                            	 王은 帝兄이라 素驕好勇이어늘 仲舒以禮匡正하니 王이 敬重焉이러라
		                            	 
									
                        			
                        			
                        		
	                     		
			                       	
			                       	
	                     		
	                     		
		                        
                        	
                        	
                        	
                        	
                        		
                        		
                        		
                        			
                        			
		                       		
		                       		
		                       		
		                        
		                        	
		                        		
		                            	 嘗問之曰 粤王句踐
이 與大夫泄庸, 種, 蠡
로 伐吳滅之
하니 寡人
은 以爲粤有三仁
이라하노니 何如
注+句踐, 粵王名. 泄姓, 庸名也. 種, 卽大夫種也. 蠡, 范蠡也.오 仲舒對曰
 
									
                        			
                        			
                        		
	                     		
			                       	
			                       	
	                     		
	                     		
		                        
                        	
                        	
                        	
                        	
                        		
                        		
                        		
                        			
                        			
		                       		
		                       		
		                       		
		                        
		                        	
		                        		
		                            	 昔에 魯君이 問伐齊於柳下惠한대 惠有憂色曰 吾聞伐國에 不問仁人이라하니 此言이 何爲至於我哉잇가하니
		                            	 
									
                        			
                        			
                        		
	                     		
			                       	
			                       	
	                     		
	                     		
		                        
                        	
                        	
                        	
                        	
                        		
                        		
                        		
                        			
                        			
		                       		
		                       		
		                       		
		                        
		                        	
		                        		
									
                        			
                        			
                        		
	                     		
			                       	
			                       	
	                     		
	                     		
		                        
                        	
                        	
                        	
                        	
                        		
                        		
                        		
                        			
                        			
		                       		
		                       		
		                       		
		                        
		                        	
		                        		
		                            	 夫仁人者는 正其誼하고 不謀其利하며 明其道하고 不計其功이라
		                            	 
									
                        			
                        			
                        		
	                     		
			                       	
			                       	
	                     		
	                     		
		                        
                        	
                        	
                        	
                        	
                        		
                        		
                        		
                        			
                        			
		                       		
		                       		
		                       		
		                        
		                        	
		                        		
									
                        			
                        			
                        		
	                     		
			                       	
			                       	
	                     		
	                     		
		                        
                        	
                        	
                        	
                        	
                        		
                        		
                        		
                        			
                        			
		                       		
		                       		
		                       		
		                        
		                        	
		                        		
		                            	 爲其先詐力而後仁義也니繇此言之하면 則粤未嘗有一仁也니이다
		                            	 
									
                        			
                        			
                        		
	                     		
			                       	
			                       	
	                     		
	                     		
		                        
                        	
                        	
                        	
                        	
                        		
                        		
                        		
                        			
                        			
		                       		
		                       		
		                       		
		                        
		                        	
		                        		
									
                        			
                        			
                        		
	                     		
			                       	
			                       	
	                     		
	                     		
		                        
                        	
                        	
                        	
                        	
                        		
                        		
                        		
                        			
                        			
		                       		
		                       		
		                       		
		                       			
		                        			
		                        				
		                        				 
		                        			
		                       			
		                       			
		                       			
		                       				目
		                       		
		                       		
		                        		
			                            	[目] 현량賢良하고 방정方正하고 직언극간直言極諫하는 선비를 뽑아 상上이 친히 책문策問하였는데, 광천廣川 사람 동중서董仲舒가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신臣이 삼가 《춘추春秋》의 기록을 살펴 전대前代에 이미 행해진 일을 보고서 하늘과 사람이 서로 감응感應하는 즈음을 살펴보니, 매우 두려울 만하였습니다.
			                             
									
                        			
                        			
                        		
	                     		
			                       	
			                       	
	                     		
		                        
                        	
		                        
		                        
		                        
		                        
                        		
                        	
		                        
		                        
		                        
		                        
                        		
                        		
                        		
                        			
                        			
		                       		
		                       		
		                       		
		                       		
		                        		
			                            	 국가가 장차 
도道를 잃어 패망함이 있으려 할 때에는 하늘이 먼저 재해를 내어 견책하여 경고하고,
注+견譴은 견책한다는 뜻이다. 그래도 스스로 살필 줄을 모르면 또다시 변괴를 보여 경계하고 두렵게 합니다.
 
									
                        			
                        			
                        		
	                     		
			                       	
			                       	
	                     		
		                        
                        	
		                        
		                        
		                        
		                        
                        		
                        	
		                        
		                        
		                        
		                        
                        		
                        		
                        		
                        			
                        			
		                       		
		                       		
		                       		
		                       		
		                        		
			                            	 그런데도 변할 줄을 모르면 상패傷敗가 마침내 이르니, 이로써 하늘의 마음이 임금을 인애仁愛하여 그 혼란을 그치게 하고자 함을 알 수 있습니다.
			                             
									
                        			
                        			
                        		
	                     		
			                       	
			                       	
	                     		
		                        
                        	
		                        
		                        
		                        
		                        
                        		
                        	
		                        
		                        
		                        
		                        
                        		
                        		
                        		
                        			
                        			
		                       		
		                       		
		                       		
		                       		
		                        		
			                            	만일 크게 무도한 세상이 아니면 하늘이 모두 붙들어주어 온전히 하고 편안히 하고자 하니, 일은 힘써 노력함에 달려 있을 뿐입니다.
注+강强(힘쓰다)은 기량其兩의 절切이다. 
									
                        			
                        			
                        		
	                     		
			                       	
			                       	
	                     		
		                        
                        	
		                        
		                        
		                        
		                        
                        		
                        	
		                        
		                        
		                        
		                        
                        		
                        		
                        		
                        			
                        			
		                       		
		                       		
		                       		
		                       		
		                        		
			                            	학문을 힘쓰면 견문이 넓어져 지혜가 더욱 밝아지고, 
도道를 행함을 힘쓰면 
덕徳이 날로 일어나 크게 
공功이 있으니, 이는 모두 곧바로 이르러서 당장 효험이 있게 하는 것입니다.
注+지知(지혜)는 지智로 읽으니, 아래의 “지명知明”과 “진지盡知”도 같다. 선還은 선旋으로 읽으니, 빠르다는 뜻이다. 
									
                        			
                        			
                        		
	                     		
			                       	
			                       	
	                     		
		                        
                        	
		                        
		                        
		                        
		                        
                        		
                        	
		                        
		                        
		                        
		                        
                        		
                        		
                        		
                        			
                        			
		                       		
		                       		
		                       		
		                       			
		                        			
		                        				
		                        				 
		                        			
		                       			
		                       			
		                       			
		                       				目
		                       		
		                       		
		                        		
			                            	[目] 
도道는 말미암아 다스림에 나아가는 길이니,
注+적適은 간다는 뜻이다.인의仁義와 
예악禮樂이 모두 그 도구입니다.
 
									
                        			
                        			
                        		
	                     		
			                       	
			                       	
	                     		
		                        
                        	
		                        
		                        
		                        
		                        
                        		
                        	
		                        
		                        
		                        
		                        
                        		
                        		
                        		
                        			
                        			
		                       		
		                       		
		                       		
		                       		
		                        		
			                            	 그러므로 성왕聖王이 별세한 뒤에도 자손들이 장구하게 수백 년 동안 편안하였으니, 이는 모두 예악禮樂으로 교화한 공功입니다. 
			                             
									
                        			
                        			
                        		
	                     		
			                       	
			                       	
	                     		
		                        
                        	
		                        
		                        
		                        
		                        
                        		
                        	
		                        
		                        
		                        
		                        
                        		
                        		
                        		
                        			
                        			
		                       		
		                       		
		                       		
		                       		
		                        		
			                            	임금 중에는 나라가 편안하고 보존되기를 바라고 위태롭고 망하게 되는 것을 싫어하지 않는 이가 없습니다.
			                             
									
                        			
                        			
                        		
	                     		
			                       	
			                       	
	                     		
		                        
                        	
		                        
		                        
		                        
		                        
                        		
                        	
		                        
		                        
		                        
		                        
                        		
                        		
                        		
                        			
                        			
		                       		
		                       		
		                       		
		                       		
		                        		
			                            	 그러나 정사가 혼란하고 나라가 위태로운 경우가 매우 많은 것은, 임용한 자가 올바른 사람이 아니고 행한 바가 올바른 도道가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정사가 날로 쇠퇴하여 멸망에 이른 것입니다.
注+부仆는 죽음이다. 
									
                        			
                        			
                        		
	                     		
			                       	
			                       	
	                     		
		                        
                        	
		                        
		                        
		                        
		                        
                        		
                        	
		                        
		                        
		                        
		                        
                        		
                        		
                        		
                        			
                        			
		                       		
		                       		
		                       		
		                       		
		                        		
			                            	주周나라의 도道가 유왕幽王과 여왕厲王에서 쇠하였으니, 도道가 망한 것이 아니고 유왕과 여왕이 행하지 않은 것입니다. 
			                             
									
                        			
                        			
                        		
	                     		
			                       	
			                       	
	                     		
		                        
                        	
		                        
		                        
		                        
		                        
                        		
                        	
		                        
		                        
		                        
		                        
                        		
                        		
                        		
                        			
                        			
		                       		
		                       		
		                       		
		                       		
		                        		
			                            	선왕宣王에 이르러서는 옛 선왕의 덕徳을 생각하여 침체한 것을 일으키고 해진 것을 보충하여, 문왕文王과 무왕武王의 공업功業을 밝혀서 주周나라의 도道가 찬란하게 부흥하였습니다.
			                             
									
                        			
                        			
                        		
	                     		
			                       	
			                       	
	                     		
		                        
                        	
		                        
		                        
		                        
		                        
                        		
                        	
		                        
		                        
		                        
		                        
                        		
                        		
                        		
                        			
                        			
		                       		
		                       		
		                       		
		                       		
		                        		
			                            	 이에 상천上天이 선왕을 도와 어진 보좌를 내어 후세의 칭송이 지금까지도 끊어지지 않으니, 이는 선왕이 밤낮으로 게을리하지 않고 선善을 행한 결과입니다.
			                             
									
                        			
                        			
                        		
	                     		
			                       	
			                       	
	                     		
		                        
                        	
		                        
		                        
		                        
		                        
                        		
                        	
		                        
		                        
		                        
		                        
                        		
                        		
                        		
                        			
                        			
		                       		
		                       		
		                       		
		                       		
		                        		
			                            	그러므로 나라의 
치란治亂과 
흥망興亡은 군주 자신에게 달려 있는 것이지, 하늘이 내린 명이어서 돌이킬 수 없는 것이 아닙니다.
注+반反은 돌아온다는 뜻이다. 
									
                        			
                        			
                        		
	                     		
			                       	
			                       	
	                     		
		                        
                        	
		                        
		                        
		                        
		                        
                        		
                        	
		                        
		                        
		                        
		                        
                        		
                        		
                        		
                        			
                        			
		                       		
		                       		
		                       		
		                       			
		                        			
		                        				
		                        				 
		                        			
		                       			
		                       			
		                       			
		                       				目
		                       		
		                       		
		                        		
			                            	[目] 신臣이 들으니, 명命은 하늘이 명령한 것이고 성性은 타고난 본질이고 정情은 사람의 욕망이라고 하였습니다. 
			                             
									
                        			
                        			
                        		
	                     		
			                       	
			                       	
	                     		
		                        
                        	
		                        
		                        
		                        
		                        
                        		
                        	
		                        
		                        
		                        
		                        
                        		
                        		
                        		
                        			
                        			
		                       		
		                       		
		                       		
		                       		
		                        		
			                            	요堯임금과 순舜임금이 덕徳을 행하면 백성들이 인仁하고 장수하며, 걸왕桀王과 주왕紂王이 포악한 짓을 행하면 백성들이 탐욕스럽고 요절하여, 다스려짐과 혼란함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똑같지 않은 것입니다.
注+인仁은 탐욕스럽거나 속이지 않음이고, 수壽는 요절하지 않음이다. 
									
                        			
                        			
                        		
	                     		
			                       	
			                       	
	                     		
		                        
                        	
		                        
		                        
		                        
		                        
                        		
                        	
		                        
		                        
		                        
		                        
                        		
                        		
                        		
                        			
                        			
		                       		
		                       		
		                       		
		                       		
		                        		
			                            	왕자王者가 훌륭한 일을 하고자 한다면 마땅히 그 단서를 하늘에서 찾아야 합니다. 
			                             
									
                        			
                        			
                        		
	                     		
			                       	
			                       	
	                     		
		                        
                        	
		                        
		                        
		                        
		                        
                        		
                        	
		                        
		                        
		                        
		                        
                        		
                        		
                        		
                        			
                        			
		                       		
		                       		
		                       		
		                       		
		                        		
			                            	천도天道의 큰 것은 음陰‧양陽에 있으니, 양陽은 덕이고 음陰은 형벌이며, 형벌은 죽이는 것을 위주로 하고 덕은 살리는 것을 위주로 합니다.
			                             
									
                        			
                        			
                        		
	                     		
			                       	
			                       	
	                     		
		                        
                        	
		                        
		                        
		                        
		                        
                        		
                        	
		                        
		                        
		                        
		                        
                        		
                        		
                        		
                        			
                        			
		                       		
		                       		
		                       		
		                       		
		                        		
			                            	 이 때문에 양陽은 항상 한여름[대하大夏]에 있어 생육生育하고 장양長養하는 것을 일로 삼고, 음陰은 항상 한겨울[대동大冬]에 있어 공허하여 쓰지 않는 곳에 쌓이니, 이로써 하늘이 덕徳에 맡기고 형벌에 맡기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왕자王者는 하늘의 뜻을 받들어 종사從事하므로 덕교徳敎에 맡기고 형벌에 맡기지 않는 것입니다.
			                             
									
                        			
                        			
                        		
	                     		
			                       	
			                       	
	                     		
		                        
                        	
		                        
		                        
		                        
		                        
                        		
                        	
		                        
		                        
		                        
		                        
                        		
                        		
                        		
                        			
                        			
		                       		
		                       		
		                       		
		                       		
		                        		
			                            	지금 선왕先王의 덕교를 맡은 관원을 폐하고 오직 법을 집행하는 관리에게 맡기고서 덕교가 사해四海에 입혀지기를 바라시니, 이는 어려운 일입니다.
			                             
									
                        			
                        			
                        		
	                     		
			                       	
			                       	
	                     		
		                        
                        	
		                        
		                        
		                        
		                        
                        		
                        	
		                        
		                        
		                        
		                        
                        		
                        		
                        		
                        			
                        			
		                       		
		                       		
		                       		
		                       			
		                        			
		                        				
		                        				 
		                        			
		                       			
		                       			
		                       			
		                       				目
		                       		
		                       		
		                        		
			                            	[目] 상上이 다시 책문策問하자, 동중서董仲舒가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신臣이 들으니, 성왕聖王이 천하를 다스릴 적에 어려서는 학교에서 익히게 하고 장성해서는 재목에 따라 지위를 맡겨주어, 관작과 녹봉으로써 그 덕徳을 길러주고 형벌로써 그 오惡을 두렵게 한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백성들이 
예의禮誼(
예의禮義)를 분명히 알아서 윗사람을 범하는 것을 부끄럽게 여긴 것입니다.
注+“재제위材諸位”는 재질의 우열에 따라 지위를 맡겨줌을 이른다. 일설에 “지위를 주어 그 재능을 시험한다.” 하였다. 
									
                        			
                        			
                        		
	                     		
			                       	
			                       	
	                     		
		                        
                        	
		                        
		                        
		                        
		                        
                        		
                        	
		                        
		                        
		                        
		                        
                        		
                        		
                        		
                        			
                        			
		                       		
		                       		
		                       		
		                       		
		                        		
			                            	무왕武王이 
대의大誼(
대의大義)를 행하여 
잔적殘賊을 평정하시고 
주공周公이 
예악禮樂을 만들어 
문식文飾을 가하셨는데, 
성왕成王과 
강왕康王에 이르러서는 〈죄인이 없어서〉 감옥이 40여 년 동안 텅 비었으니, 이는 교화가 젖어들어 
인의仁義가 흘러 퍼졌기 때문입니다.
注+영囹은 음이 영零이고 어圄는 음이 어語이니, 영어囹圄는 진秦나라 감옥의 명칭이다. 영囹은 명령하여 듣게 하는 것이고 어圄는 말해주어 깨닫게 하는 것이다. 일설에 “영囹은 거느림이고 어圄는 막음이니, 죄수들을 거느려 잘못을 금하고 막게 하는 것이다.” 하였다. 
			                             
									
                        			
                        			
                        		
	                     		
			                       	
			                       	
	                     		
		                        
                        	
		                        
		                        
		                        
		                        
                        		
                        	
		                        
		                        
		                        
		                        
                        		
                        		
                        		
                        			
                        			
		                       		
		                       		
		                       		
		                       		
		                        		
			                            	진秦나라에 이르러는 그렇지 아니하여 
신불해申不害와 
한비자韓非子의 학설을 스승으로 삼고 
제왕帝王의 
도道를 미워하여, 탐욕스럽고 사나운 것을 풍속으로 삼으며, 명분을 
책責하고 실질을 살피지 않아, 
선善을 행한 자가 반드시 화를 면하지는 못하였고 
오惡을 범한 자가 반드시 형벌을 받지는 못하였습니다.
注+이리의 성품이 모두 탐욕스럽기 때문에 탐욕스러운 자를 탐랑貪狼이라 한다. 주誅는 책責함이다. 
			                             
									
                        			
                        			
                        		
	                     		
			                       	
			                       	
	                     		
		                        
                        	
		                        
		                        
		                        
		                        
                        		
                        	
		                        
		                        
		                        
		                        
                        		
                        		
                        		
                        			
                        			
		                       		
		                       		
		                       		
		                       		
		                        		
			                            	이 때문에 백관百官이 모두 빈말을 꾸미고 실제를 돌아보지 아니하여, 겉으로는 임금을 섬기는 예禮가 있으나 속으로는 윗사람을 배반하는 마음을 품고 있어서 거짓을 지어내고 속임수를 꾸며서 이익을 쫓고 부끄러움이 없었습니다. 
			                             
									
                        			
                        			
                        		
	                     		
			                       	
			                       	
	                     		
		                        
                        	
		                        
		                        
		                        
		                        
                        		
                        	
		                        
		                        
		                        
		                        
                        		
                        		
                        		
                        			
                        			
		                       		
		                       		
		                       		
		                       		
		                        		
			                            	이 때문에 형벌 받은 자가 매우 많고 죽은 자가 서로 이어졌으나 간악함이 그치지 않았으니, 세속의 변화가 그렇게 만든 것입니다.
			                             
									
                        			
                        			
                        		
	                     		
			                       	
			                       	
	                     		
		                        
                        	
		                        
		                        
		                        
		                        
                        		
                        	
		                        
		                        
		                        
		                        
                        		
                        		
                        		
                        			
                        			
		                       		
		                       		
		                       		
		                       			
		                        			
		                        				
		                        				 
		                        			
		                       			
		                       			
		                       			
		                       				目
		                       		
		                       		
		                        		
			                            	[目] 지금 폐하께서는 천하를 모두 소유하시어 천하에 따르고 복종하지 않는 자가 없으나 공功이 백성들에게 베풀어지지 못하는 것은 아마도 왕자王者의 마음을 베풀지 않으셨기 때문일 것입니다.
			                             
									
                        			
                        			
                        		
	                     		
			                       	
			                       	
	                     		
		                        
                        	
		                        
		                        
		                        
		                        
                        		
                        	
		                        
		                        
		                        
		                        
                        		
                        		
                        		
                        			
                        			
		                       		
		                       		
		                       		
		                       		
		                        		
									
                        			
                        			
                        		
	                     		
			                       	
			                       	
	                     		
		                        
                        	
		                        
		                        
		                        
		                        
                        		
                        	
		                        
		                        
		                        
		                        
                        		
                        		
                        		
                        			
                        			
		                       		
		                       		
		                       		
		                       		
		                        		
			                            	 원컨대 폐하께서는 들은 바를 행하시되, 성심誠心을 안에 간직하고 지극히 행하시면 삼왕三王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폐하께서 새벽에 일찍 잠에서 깨어 일어나셔서 현자賢者를 구하는 일을 힘쓰시니, 이는 바로 요堯‧순舜의 마음 쓰심입니다.
			                             
									
                        			
                        			
                        		
	                     		
			                       	
			                       	
	                     		
		                        
                        	
		                        
		                        
		                        
		                        
                        		
                        	
		                        
		                        
		                        
		                        
                        		
                        		
                        		
                        			
                        			
		                       		
		                       		
		                       		
		                       		
		                        		
			                            	 그런데도 훌륭한 선비를 얻지 못하는 것은 선비들을 평소 권면하여 양성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注+여厲는 권면勸勉함을 이른다. 일설에 “그 행실을 갈고닦음이다.” 하였다. 
									
                        			
                        			
                        		
	                     		
			                       	
			                       	
	                     		
		                        
                        	
		                        
		                        
		                        
		                        
                        		
                        	
		                        
		                        
		                        
		                        
                        		
                        		
                        		
                        			
                        			
		                       		
		                       		
		                       		
		                       		
		                        		
			                            	평소 선비를 기르지 않고 현자를 구하고자 하면, 이는 비유하건대 옥을 쪼아 다듬지 않고 문채文采를 구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선비를 기르는 데 있어 
태학太學보다 중요한 것이 없으니,
注+호虖는 호乎의 고자古字이다. 태학은 어진 선비의 
관문關門이고 교화의 근본입니다.
注+관關은 경유한다는 뜻이다. 
									
                        			
                        			
                        		
	                     		
			                       	
			                       	
	                     		
		                        
                        	
		                        
		                        
		                        
		                        
                        		
                        	
		                        
		                        
		                        
		                        
                        		
                        		
                        		
                        			
                        			
		                       		
		                       		
		                       		
		                       		
		                        		
			                            	원컨대 태학을 일으키고 현명한 스승을 배치하여, 천하의 선비를 길러서 자주 상고하고 물어 그 재능을 다하게 하시면 영재英材와 준걸俊傑들을 마땅히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目
		                       		
		                       		
		                        		
			                            	[目] 상上이 세 번째로 책문策問하자, 동중서董仲舒가 다시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
신臣이 들으니, 하늘은 
만물萬物의 시조이므로 만물을 두루 덮어주고 포용하여 차별하는 바가 없고,
注+함函(포함하다)은 함含과 같다.성인聖人 또한 하늘을 본받아 
도道를 세울 적에 두루 사랑하고 사사로움이 없다고 하였습니다.
注+부溥는 음이 보普이니, 두루한다는 뜻이다. 
									
                        			
                        			
                        		
	                     		
			                       	
			                       	
	                     		
		                        
                        	
		                        
		                        
		                        
		                        
                        		
                        	
		                        
		                        
		                        
		                        
                        		
                        		
                        		
                        			
                        			
		                       		
		                       		
		                       		
		                       		
		                        		
			                            	봄은 하늘이 만물을 낳는 것이고 인仁은 군주가 백성을 사랑하는 것이며, 여름은 하늘이 만물을 자라게 하는 것이고 덕徳은 군주가 백성을 길러주는 것이며, 서리는 하늘이 만물을 죽이는 것이고 형벌은 군주가 백성들에게 벌을 내리는 것입니다.
			                             
									
                        			
                        			
                        		
	                     		
			                       	
			                       	
	                     		
		                        
                        	
		                        
		                        
		                        
		                        
                        		
                        	
		                        
		                        
		                        
		                        
                        		
                        		
                        		
                        			
                        			
		                       		
		                       		
		                       		
		                       		
		                        		
			                            	공자孔子께서 《춘추春秋》를 지으실 적에 위로는 천도天道를 헤아리고 아래로는 인정人情에 바탕을 두셨습니다.
			                             
									
                        			
                        			
                        		
	                     		
			                       	
			                       	
	                     		
		                        
                        	
		                        
		                        
		                        
		                        
                        		
                        	
		                        
		                        
		                        
		                        
                        		
                        		
                        		
                        			
                        			
		                       		
		                       		
		                       		
		                       		
		                        		
			                            	 그리하여 옛날을 참작하고 지금을 상고하셨으니, 이 때문에 《춘추》에서 비판한 것은 재해가 가해지는 것이고, 《춘추》에서 싫어한 것은 괴이한 일이 시행되는 것이었습니다.
			                             
									
                        			
                        			
                        		
	                     		
			                       	
			                       	
	                     		
		                        
                        	
		                        
		                        
		                        
		                        
                        		
                        	
		                        
		                        
		                        
		                        
                        		
                        		
                        		
                        			
                        			
		                       		
		                       		
		                       		
		                       		
		                        		
			                            	 공자께서 국가의 잘못을 기록할 적에 재이災異의 변고變故도 아울러 기록하셨으니, 이로써 사람의 행위에 지극히 아름답거나 추악한 것이 마침내 천지와 유통하여 오고 가며 서로 응함을 볼 수 있으니, 이 또한 천도天道를 말하는 한 단서입니다. 
			                             
									
                        			
                        			
                        		
	                     		
			                       	
			                       	
	                     		
		                        
                        	
		                        
		                        
		                        
		                        
                        		
                        	
		                        
		                        
		                        
		                        
                        		
                        		
                        		
                        			
                        			
		                       		
		                       		
		                       		
		                       			
		                        			
		                        				
		                        				 
		                        			
		                       			
		                       			
		                       			
		                       				目
		                       		
		                       		
		                        		
			                            	[目] 하늘이 사물과 물건에게 명한 것을 명命이라 하니 명命은 성인聖人이 아니면 행하지 못하고, 질박한 것을 성性이라 하니 성性은 교화가 아니면 이루어지지 못하고, 사람의 욕망을 정情이라 하니 정情은 제도制度가 아니면 절제하지 못합니다. 
			                             
									
                        			
                        			
                        		
	                     		
			                       	
			                       	
	                     		
		                        
                        	
		                        
		                        
		                        
		                        
                        		
                        	
		                        
		                        
		                        
		                        
                        		
                        		
                        		
                        			
                        			
		                       		
		                       		
		                       		
		                       		
		                        		
			                            	이 때문에 왕자王者가 위로는 하늘의 뜻을 삼가 받들어 명命을 순히 따르고, 아래로는 교화를 밝혀 백성들을 교화해서 성性을 이루기를 힘쓰며, 법도의 마땅함을 바루고 상하의 차례를 분별하여 욕망을 막으니, 이 세 가지를 닦으면 큰 근본이 거행됩니다. 
			                             
									
                        			
                        			
                        		
	                     		
			                       	
			                       	
	                     		
		                        
                        	
		                        
		                        
		                        
		                        
                        		
                        	
		                        
		                        
		                        
		                        
                        		
                        		
                        		
                        			
                        			
		                       		
		                       		
		                       		
		                       		
		                        		
			                            	사람은 하늘에서 
명命을 부여받아 본래 여러 생물과는 
초연超然히 달라서 들어가면 부모와 형제의 친함이 있고 나가면 군신과 상하의 의리가 있으며, 만나고 서로 모일 적에 
기로耆老와 
장유長幼의 차례를 베풂이 있습니다.
注+시施는 베푼다는 뜻이니, 그 차례를 진설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찬란하게 문채가 있어 서로 대하며, 즐겁게 은혜가 있어 서로 사랑합니다.
			                             
									
                        			
                        			
                        		
	                     		
			                       	
			                       	
	                     		
		                        
                        	
		                        
		                        
		                        
		                        
                        		
                        	
		                        
		                        
		                        
		                        
                        		
                        		
                        		
                        			
                        			
		                       		
		                       		
		                       		
		                       		
		                        		
			                            	이 때문에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시기를 “천지가 낳은 것 중에
注+성性은 태어난다는 뜻이다. 사람이 가장 귀하다.”라고 하셨으니,
 
									
                        			
                        			
                        		
	                     		
			                       	
			                       	
	                     		
		                        
                        	
		                        
		                        
		                        
		                        
                        		
                        	
		                        
		                        
		                        
		                        
                        		
                        		
                        		
                        			
                        			
		                       		
		                       		
		                       		
		                       		
		                        		
			                            	 천성天性을 밝게 알아서 스스로 만물萬物보다 귀함을 안 뒤에야 인의仁誼를 알 수 있고, 인의仁誼를 안 뒤에야 예절을 중하게 여기고,
			                             
									
                        			
                        			
                        		
	                     		
			                       	
			                       	
	                     		
		                        
                        	
		                        
		                        
		                        
		                        
                        		
                        	
		                        
		                        
		                        
		                        
                        		
                        		
                        		
                        			
                        			
		                       		
		                       		
		                       		
		                       		
		                        		
			                            	 예절을 중하게 여긴 뒤에야 선善에 처하기를 편안히 여기고, 선善에 처하기를 편안히 여긴 뒤에야 이치를 따르기를 좋아하고, 이치를 따르기를 좋아한 뒤에야 군자君子라 이를 수 있는 것입니다.
			                             
									
                        			
                        			
                        		
	                     		
			                       	
			                       	
	                     		
		                        
                        	
		                        
		                        
		                        
		                        
                        		
                        	
		                        
		                        
		                        
		                        
                        		
                        		
                        		
                        			
                        			
		                       		
		                       		
		                       		
		                       			
		                        			
		                        				
		                        				 
		                        			
		                       			
		                       			
		                       			
		                       				目
		                       		
		                       		
		                        		
			                            	[目] 신臣이 또 들으니, 적은 것을 모아 많음을 이루고 작은 것을 쌓아 큰 것을 이룬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성인聖人은 어둠으로써 밝음을 이루고 은미함으로써 드러남을 이루지 않은 적이 없습니다.
注+엄晻(어둠)은 암暗의 고자古字이다. 
									
                        			
                        			
                        		
	                     		
			                       	
			                       	
	                     		
		                        
                        	
		                        
		                        
		                        
		                        
                        		
                        	
		                        
		                        
		                        
		                        
                        		
                        		
                        		
                        			
                        			
		                       		
		                       		
		                       		
		                       		
		                        		
			                            	이 때문에 
요堯임금은 
제후諸侯의 신분으로 
발신發身하여 천자가 되셨고 
순舜임금은 깊은 산중에서 일어나 천자가 되셨으니, 하루아침에 현달한 것이 아니고 점차적으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注+요堯임금은 당후唐侯로 있다가 천자의 지위에 올랐고, 순舜임금은 역산歷山에서 농사를 지었다. 
									
                        			
                        			
                        		
	                     		
			                       	
			                       	
	                     		
		                        
                        	
		                        
		                        
		                        
		                        
                        		
                        	
		                        
		                        
		                        
		                        
                        		
                        		
                        		
                        			
                        			
		                       		
		                       		
		                       		
		                       		
		                        		
			                            	말은 자신에게서 나와 막을 수가 없고, 행실은 몸에서 드러나 가릴 수가 없습니다.
			                             
									
                        			
                        			
                        		
	                     		
			                       	
			                       	
	                     		
		                        
                        	
		                        
		                        
		                        
		                        
                        		
                        	
		                        
		                        
		                        
		                        
                        		
                        		
                        		
                        			
                        			
		                       		
		                       		
		                       		
		                       		
		                        		
			                            	 말과 행실은 좋은 정치를 하는 중대한 요인으로, 군자가 하늘과 땅을 감동시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작은 것을 극진하게 하는 자는 커지고 은미한 것을 삼가는 자는 드러나서,
注+능히 여러 작은 것을 다하면 고대高大한 것을 이루고, 은미한 것을 삼가면 그 선善이 밝게 드러나는 것이다. 몸에 
선善을 쌓는 것은 사람의 키가 날로 자라는데도 〈키가 자란 것을〉 사람들이 알지 못하는 것과 같고, 몸에 
오惡을 쌓는 것은 불이 기름을 태우는데도 〈기름이 줄어든 것을〉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것과 같으니,
注+장長은 신체의 길고 짧음을 말하니, 어릴 때로부터 장성함에 이르는 것이다. 이것이 
요堯임금과 
순舜임금은 훌륭한 명성을 얻고 
걸왕桀王과 
주왕紂王은 두려워할 만한 대상이 된 이유입니다.
 
									
                        			
                        			
                        		
	                     		
			                       	
			                       	
	                     		
		                        
                        	
		                        
		                        
		                        
		                        
                        		
                        	
		                        
		                        
		                        
		                        
                        		
                        		
                        		
                        			
                        			
		                       		
		                       		
		                       		
		                       			
		                        			
		                        				
		                        				 
		                        			
		                       			
		                       			
		                       			
		                       				目
		                       		
		                       		
		                        		
			                            	[目] 도道의 큰 근원이 하늘에서 나왔으니, 하늘이 변하지 않으면 도道도 변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우禹임금은 
순舜임금을 이으시고 
순舜임금은 
요堯임금을 이으시어 세 
성인聖人이 서로 
천자天子의 자리를 물려주셨는데, 한 가지 
도道를 지켜서 폐단을 바로잡는 정사가 없으셨습니다.
注+〈“망구폐지정야亡捄敝之政也”는〉 정사가 화평하여 굳이 폐단을 바로잡지 않아도 됨을 말한다. 
									
                        			
                        			
                        		
	                     		
			                       	
			                       	
	                     		
		                        
                        	
		                        
		                        
		                        
		                        
                        		
                        	
		                        
		                        
		                        
		                        
                        		
                        		
                        		
                        			
                        			
		                       		
		                       		
		                       		
		                       		
		                        		
			                            	이것을 가지고 관찰해보면 치세治世를 잇는 자는 그 도道가 같고, 난세亂世를 잇는 자는 그 도道가 바뀌는 것입니다. 
			                             
									
                        			
                        			
                        		
	                     		
			                       	
			                       	
	                     		
		                        
                        	
		                        
		                        
		                        
		                        
                        		
                        	
		                        
		                        
		                        
		                        
                        		
                        		
                        		
                        			
                        			
		                       		
		                       		
		                       		
		                       		
		                        		
			                            	지금 
한漢나라는 크게 혼란한 뒤를 이었으니, 마땅히 
주周나라의 
문식文飾을 다소 덜고 
하夏나라의 
충忠을 취하여 사용해야 할 것입니다.
注+“치용致用”은 취하여 쓴다는 말과 같다. 
									
                        			
                        			
                        		
	                     		
			                       	
			                       	
	                     		
		                        
                        	
		                        
		                        
		                        
		                        
                        		
                        	
		                        
		                        
		                        
		                        
                        		
                        		
                        		
                        			
                        			
		                       		
		                       		
		                       		
		                       		
		                        		
			                            	옛날의 천하는 또한 지금의 천하이니, 똑같은 천하인데 옛날을 가지고 지금을 헤아려봄에 어쩌면 그리도 미치지 못함이 심하단 말입니까.
			                             
									
                        			
                        			
                        		
	                     		
			                       	
			                       	
	                     		
		                        
                        	
		                        
		                        
		                        
		                        
                        		
                        	
		                        
		                        
		                        
		                        
                        		
                        		
                        		
                        			
                        			
		                       		
		                       		
		                       		
		                       		
		                        		
			                            	 짐작컨대 옛날의 
도道에 위배되는 바가 있어서일 것이고, 하늘의 이치에 어긋나는 바가 있어서일 것입니다.
注+궤詭는 어긋나고 다르다는 뜻이다. 
									
                        			
                        			
                        		
	                     		
			                       	
			                       	
	                     		
		                        
                        	
		                        
		                        
		                        
		                        
                        		
                        	
		                        
		                        
		                        
		                        
                        		
                        		
                        		
                        			
                        			
		                       		
		                       		
		                       		
		                       			
		                        			
		                        				
		                        				 
		                        			
		                       			
		                       			
		                       			
		                       				目
		                       		
		                       		
		                        		
			                            	[目] 동중서董仲舒는 젊어서부터 《춘추春秋》를 전공하여 박사博士가 되어서 나아가고 물러가는 절도와 행동거지를 예법禮法이 아니면 행하지 않으니, 학사學士들이 모두 스승으로 삼아 높였다.
			                             
									
                        			
                        			
                        		
	                     		
			                       	
			                       	
	                     		
		                        
                        	
		                        
		                        
		                        
		                        
                        		
                        	
		                        
		                        
		                        
		                        
                        		
                        		
                        		
                        			
                        			
		                       		
		                       		
		                       		
		                       		
		                        		
			                            	 그러다가 
강도국江都國의 정승이 되어 
역왕易王을 섬겼다.
注+역易은 음이 역亦이니, 시호이다. 역왕의 이름은 비非이다. 
									
                        			
                        			
                        		
	                     		
			                       	
			                       	
	                     		
		                        
                        	
		                        
		                        
		                        
		                        
                        		
                        	
		                        
		                        
		                        
		                        
                        		
                        		
                        		
                        			
                        			
		                       		
		                       		
		                       		
		                       		
		                        		
			                            	왕王은 황제의 형이라서 평소 교만하고 용맹을 좋아하였는데 동중서가 예禮로써 바로잡으니, 왕王이 공경하고 소중히 대하였다. 
			                             
									
                        			
                        			
                        		
	                     		
			                       	
			                       	
	                     		
		                        
                        	
		                        
		                        
		                        
		                        
                        		
                        	
		                        
		                        
		                        
		                        
                        		
                        		
                        		
                        			
                        			
		                       		
		                       		
		                       		
		                       		
		                        		
			                            	왕王이 일찍이 동중서에게 묻기를 “
월왕粤王 구천句踐이 대부 
설용泄庸, 
문종文種, 
범려范蠡와 함께 
오吳나라를 쳐서 멸망시켰으니, 
과인寡人은 
’라고 여기는데 어떠한가?”
注+구천句踐은 월왕粵王의 이름이다. 설泄은 성姓이고 용庸은 이름이다. 종種은 바로 대부大夫 문종文種이고, 려蠡는 범려范蠡이다. 하자, 동중서가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옛날 노魯나라 임금이 제齊나라를 정벌하는 일을 유하혜柳下惠에게 묻자, 유하혜가 근심스런 얼굴빛으로 대답하기를 ‘제가 들으니, 남의 나라를 정벌할 적에는 인仁한 사람에게 묻지 않는다고 하였는데, 이 말씀이 어찌 저에게 이른단 말입니까.’ 하였습니다.
			                             
									
                        			
                        			
                        		
	                     		
			                       	
			                       	
	                     		
		                        
                        	
		                        
		                        
		                        
		                        
                        		
                        	
		                        
		                        
		                        
		                        
                        		
                        		
                        		
                        			
                        			
		                       		
		                       		
		                       		
		                       		
		                        		
			                            	 유하혜는 단지 묻기만 하였는데도 부끄러워하였는데, 하물며 속임수를 써서 행하는 경우이겠습니까. 
			                             
									
                        			
                        			
                        		
	                     		
			                       	
			                       	
	                     		
		                        
                        	
		                        
		                        
		                        
		                        
                        		
                        	
		                        
		                        
		                        
		                        
                        		
                        		
                        		
                        			
                        			
		                       		
		                       		
		                       		
		                       		
		                        		
			                            	인仁한 사람은 의리를 바로잡고 이익을 도모하지 않으며, 도道를 밝히고 공功을 계산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중니仲尼의 문하에서는 5척尺의 동자도 오패五霸를 말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였습니다.
			                             
									
                        			
                        			
                        		
	                     		
			                       	
			                       	
	                     		
		                        
                        	
		                        
		                        
		                        
		                        
                        		
                        	
		                        
		                        
		                        
		                        
                        		
                        		
                        		
                        			
                        			
		                       		
		                       		
		                       		
		                       		
		                        		
			                            	 이는 오패가 속임수와 무력을 앞세우고 인의仁義를 뒷전으로 여겼기 때문이니, 이것을 가지고 말한다면 월粤나라에는 일찍이 한 사람의 인仁한 사람도 있지 않은 것입니다.”
			                             
									
                        			
                        			
                        		
	                     		
			                       	
			                       	
	                     		
		                        
                        	
		                        
		                        
		                        
		                        
                        		
                        	
		                        
		                        
		                        
		                        
                        		
                        		
                        		
                        			
                        			
		                       		
		                       		
		                       		
		                       		
		                        		
									
                        			
                        			
                        		
	                     		
			                       	
			                       	
	                     		
		                        
                        	
		                        
		                        
		                        
		                        
                        		
                        	
		                        
		                        
		                        
		                        
                        		
                        		
                        		
                        			
                        			
		                       		
		                       		
		                       		
		                       			
		                        			
		                        				
		                        				 
		                        			
		                       			
		                       			
		                       			
		                       				目
		                       		
		                       		
		                        		
			                            	[目] 뒤에 
공손홍公孫弘 또한 《
춘추春秋》를 전공하였는데, 세속에 영합하여 권세를 부렸다.
注+희希는 살펴본다는 뜻이다. 
									
                        			
                        			
                        		
	                     		
			                       	
			                       	
	                     		
		                        
                        	
		                        
		                        
		                        
		                        
                        		
                        	
		                        
		                        
		                        
		                        
                        		
                        		
                        		
                        			
                        			
		                       		
		                       		
		                       		
		                       		
		                        		
			                            	동중서董仲舒가 공손홍을, 군주를 따라 아첨한다고 비판하니, 공손홍이 그를 미워하였다.
			                             
									
                        			
                        			
                        		
	                     		
			                       	
			                       	
	                     		
		                        
                        	
		                        
		                        
		                        
		                        
                        		
                        	
		                        
		                        
		                        
		                        
                        		
                        		
                        		
                        			
                        			
		                       		
		                       		
		                       		
		                       		
		                        		
			                            	 그리하여 생각하기를 
교서왕膠西王은 
상上의 형으로 매우 
방종放縱하여 자주 
를 살해한다고 하여, 
상上에게 아뢰어 동중서로 하여금 교서왕의 정승이 되게 하였다.
 
									
                        			
                        			
                        		
	                     		
			                       	
			                       	
	                     		
		                        
                        	
		                        
		                        
		                        
		                        
                        		
                        	
		                        
		                        
		                        
		                        
                        		
                        		
                        		
                        			
                        			
		                       		
		                       		
		                       		
		                       		
		                        		
			                            	 그러나 교서왕은 평소 동중서가 어질다는 소문을 듣고 잘 대우하였다.
			                             
									
                        			
                        			
                        		
	                     		
			                       	
			                       	
	                     		
		                        
                        	
		                        
		                        
		                        
		                        
                        		
                        	
		                        
		                        
		                        
		                        
                        		
                        		
                        		
                        			
                        			
		                       		
		                       		
		                       		
		                       		
		                        		
			                            	동중서가 전후로 교만한 두 왕을 섬길 적에 모두 몸을 바르게 해서 아랫사람들을 통솔하여 부임하는 곳마다 잘 다스려졌다.
			                             
									
                        			
                        			
                        		
	                     		
			                       	
			                       	
	                     		
		                        
                        	
		                        
		                        
		                        
		                        
                        		
                        	
		                        
		                        
		                        
		                        
                        		
                        		
                        		
                        			
                        			
		                       		
		                       		
		                       		
		                       		
		                        		
			                            	 벼슬을 버리고 집에 있게 되자, 산업産業(집안의 살림)에 관여하지 않고 오로지 강학講學과 저서著書를 일삼았으며, 조정에 큰 의논이 있을 적에 사자를 보내어 찾아가 물으면 그 대답이 모두 분명한 법식이 있었다.
			                             
									
                        			
                        			
                        		
	                     		
			                       	
			                       	
	                     		
		                        
                        	
		                        
		                        
		                        
		                        
                        		
                        	
		                        
		                        
		                        
		                        
                        		
                        		
                        		
                        			
                        			
		                       		
		                       		
		                       		
		                       			
		                        			
		                        				
		                        				 
		                        			
		                       			
		                       			
		                       			
		                       				目
		                       		
		                       		
		                        		
									
                        			
                        			
                        		
	                     		
			                       	
			                       	
	                     		
		                        
                        	
		                        
		                        
		                        
		                        
                        		
                        	
		                        
		                        
		                        
		                        
                        		
                        		
                        		
                        			
                        			
		                       		
		                       		
		                       		
		                       		
		                        		
			                            	“신공申公의 말이 마땅하나, 다만 그가 말한 ‘힘써 행한다.’는 것이 무슨 일인지 알지 못하겠다.
			                             
									
                        			
                        			
                        		
	                     		
			                       	
			                       	
	                     		
		                        
                        	
		                        
		                        
		                        
		                        
                        		
                        	
		                        
		                        
		                        
		                        
                        		
                        		
                        		
                        			
                        			
		                       		
		                       		
		                       		
		                       		
		                        		
			                            	 신공이 단서만 꺼내고 다 말하지 않았는데, 무제武帝가 뜻에 거슬린다 하여 묻지 않았으니, 애석하다.
			                             
									
                        			
                        			
                        		
	                     		
			                       	
			                       	
	                     		
		                        
                        	
		                        
		                        
		                        
		                        
                        		
                        	
		                        
		                        
		                        
		                        
                        		
                        		
                        		
                        			
                        			
		                       		
		                       		
		                       		
		                       		
		                        		
			                            	 그러나 명당明堂과 순수巡狩, 책력과 복식의 색깔을 바꾸는 것이 어찌 힘써 행할 급선무이겠는가.
			                             
									
                        			
                        			
                        		
	                     		
			                       	
			                       	
	                     		
		                        
                        	
		                        
		                        
		                        
		                        
                        		
                        	
		                        
		                        
		                        
		                        
                        		
                        		
                        		
                        			
                        			
		                       		
		                       		
		                       		
		                       		
		                        		
			                            	 대답이 맞지 않고 또 그대로 머물고 떠나가지 않았으니, 
에게 미치지 못함을 더욱 알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