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資治通鑑綱目(14)

자치통감강목(1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자치통감강목(1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八年이라
魏永興三이요 秦皇始二年이라
◑燕主慕容儁元璽元年이라
◑是歳 魏亡하니 大二小二하여 凡四僭國이라
春正月朔 日食하다
◑秦王健 稱皇帝하다
健以單于統壹百蠻하니 非天子所宜領이라하여 以授太子萇하다
杜洪司馬張琚殺洪하고 自稱秦王하다
杜洪, 張琚屯宜秋注+琚, 先之兄也. 水經注 “鄭渠自中山西瓠口東流, 逕宜秋城北, 又東逕中山南, 又東逕池陽縣故城北.”러니 自以右族이라하여 輕琚注+右族, 豪家也.한대 琚遂殺洪而自立하다
石氏遂絶하다
尙書左丞孔嚴 言於殷浩曰注+嚴, 愉之從子也.
比來 衆情 良可寒心이라 不知使君 將何以鎮之
愚謂宜明受任之方하여 韓, 彭 專征伐하고 蕭, 曹 守管籥注+曹參, 當高帝時, 從韓信用兵, 其後相齊, 未甞守管籥. 嚴以蕭․曹相繼爲相而言之.하며
深思廉, 藺屈身之義 平, 勃交歡之謀하여 令穆然無間이니
然後 可以保大定功注+穆然, 和而靜之貌. 間, 古莧切. 嚴欲浩與桓溫, 兩釋猜嫌, 降心相從, 以圖國事也. 保大定功, 左傳楚莊王所謂武有七德, 此其二也.이라 降附之徒 皆人面獸心이니 恐難以義感也니이다
浩不從하고 上疏하여 請北出許, 洛하여 以謝尙, 荀羨爲督統하여 進屯壽春注+時, 尙鎭壽春, 羨鎭京口, 浩欲兩道俱進. 故使二人竝爲督統, 各統其方之兵.하다
魏豫州牧張遇 以州來降이러니 至是하여 尙等 不能撫慰之한대 遇怒하여 據許昌叛하여 降于秦하니 浩軍 不能進이라 命羨鎮下邳하다
弋仲 有子四十二人이러니 及病 謂諸子曰 石氏待吾厚할새 本欲爲之盡力이러니 今已滅矣
中原無主하니 我死어든 汝亟自歸於晉하여 當執臣節하여 無爲不義也하라
及襄與秦兵戰敗 遂帥衆歸晉이어늘 詔襄屯譙城한대 單騎渡淮하여 見謝尙于壽春하다
聞其名하고 命去仗衛하고 幅巾待之하여 歡若平生하다 博學善談論하니 江東人士 皆重之러라
夏四月 燕慕容恪等 撃魏하여 大破之하고 執其主閔以歸하여 殺之하다
魏主閔 既克襄國 因遊食常山, 中山諸郡하다
燕王儁 遣恪等擊之하니 趣常山이어늘 追及於魏昌之廉臺하여 燕兵 十戰하여 皆不勝注+魏昌縣, 屬中山郡, 本苦陘, 漢章帝改爲漢昌, 魏文帝改爲魏昌.하다
素有勇名하고 所將兵精鋭하니 燕人 憚之
巡陳하여 諭將士曰注+陳, 讀曰陣, 下同. 勇而無謀하니 一夫敵耳 其士卒饑疲하니 甲兵 雖精이나 其實 難用하여 不足破也니라
閔所將 多步卒이라 將趣林中이러니 恪參軍高開曰注+開, 瞻之子也.
騎兵이라 利平地하니 若閔 得入林이면 不可復制 宜亟遣輕騎邀之하여 既合而陽走하여 誘致平地然後 可撃也니이다 從之注+陽, 讀曰佯.하다
魏兵 還就平地어늘 分軍爲三部하고 謂諸將曰
閔性輕鋭하고 又自以衆少라하여 必致死於我하리니 我厚集中軍之陳하여 以待之라가 俟其合戰하여 卿等 從旁擊之하면 無不克矣리라
乃擇鮮卑善射者五千人하여 以鐡鎖連其馬하여 爲方陳而前하니 乗千里馬하고 左操雙刃矛하고 右執鉤戟하여 以擊燕兵하여 斬首三百餘級하다
望見大幢하고 知其爲中軍하여 直衝之注+雙刃矛, 若鋏之兩旁, 皆利其刃.어늘 燕兩軍 從旁夾擊하여 大破之하고 圍閔數重하다
潰圍東走할새 其馬忽斃하여 爲燕兵所執하여 送於龍城하여 斬之하고 遣慕容評하여 帥精騎攻鄴하니 魏大將軍蔣幹及太子智 閉城拒守하고 城外 皆降於燕하다
五月 秦主健 擊張琚하여 斬之하다
◑魏人 遣使請降하다
鄴中 大饑하여 人相食하니 故趙時宮人 被食略盡이라 蔣幹 遣侍中繆嵩하여 奉表請降하고 且求救於謝尙하다
六月 謝尙 得傳國璽하여 獻之하다
謝尙 使戴施 據枋頭러니 施聞蔣幹求救하고 乃帥壯士百餘人하고 入鄴하여 助守三臺할새
紿幹得傳國璽하여 宣言使督護何融迎糧하고 陰令懐璽하여 送于枋頭하다 迎至建康하니 百僚畢賀하다
尙及姚襄 共攻張遇한대 秦主健 遣丞相東海王雄等하여 救之하여 戰于潁水之誡橋注+據晉紀, 誡橋在許昌.러니 尙等 大敗하여 犇還淮南하니 殷浩自許昌으로 退屯壽春하다
徙遇及陳, 潁, 許, 洛之民五萬餘戸於關中注+陳․潁, 陳郡․潁川也.하고 以楊群爲豫州刺史하여 鎮許昌하니 降號建威將軍하다
秋八月 燕慕容評 攻鄴克之하고 遂留守鄴하다
◑九月 殷浩進屯泗口하다
浩之北伐也 中軍將軍王羲之 以書止之호되 不聽이러니 既而 無功이라 復謀再舉한대 羲之遺浩書曰
今以區區江左 天下寒心 固已久矣注+寒心者, 恐不能自保. 力争武功 非所當作注+作, 爲也.이니
自頃處內外之任者 未有深謀遠慮하고 而疲竭根本하여 各從所志하여 竟無一功可論이라 遂令天下 將有土崩之勢하니 任其事者 豈得辭四海之責哉
今軍疲於外하고 資竭於內하니 保淮之志 非所復及이라 莫若還保長江하고 督將 各復舊鎮하여 自長江以外 羈縻而已
引咎責躬하고 更爲善治하여 省其賦役하여 與民更始하면 庶可以救倒懸之急也리이다
若猶以前事爲未工하여 復求之於分外하면 宇宙雖廣이나 自容何所리오 此愚智所不解也니이다
又與會稽王昱牋曰 今雖有可喜之會 內求諸己하면 而所憂乃重於所喜 功未可期하고 遺黎殲盡이어늘 以區區吳, 越 經緯天下十分之九하면 不亡何待리오
而不度德量力하여 不弊不已하니 此封內所痛心歎悼者也注+封內, 謂封疆之內. 願殿下 先爲不可勝之基하고 須根立勢舉하여 謀之未晚注+兵法曰 “先爲不可勝, 以待敵之可勝.”리이다
浩不從하고 進屯泗口하여 遣戴施하여 據石門하고 劉遯 戍倉垣하다
浩以軍興이라하여 罷遣太學生徒하니 學校由此遂廢하다
冬十月 謝尙 攻許昌하여 克之하다
◑十一月 燕王儁 稱皇帝하다
故趙將擁兵據州郡者 各遣使降燕한대 群僚共上尊號하니 許之하여 始置百官하고 即皇帝位하고 詐言獲傳國璽라하여 改元元璽하다
晉使適至燕이어늘 謂曰 汝還白汝天子하라 我承人乏하여 爲中國所推하여 已爲帝矣注+我承人乏, 謂無人可爲帝, 我承此空乏也.로라
改司州爲中州하고 建留臺於龍都注+趙置司州於鄴, 燕初都龍城, 時遷于薊. 故建留臺於龍城, 謂之龍都.하고 以乙逸爲尙書하여 專委留務注+乙, 姓也.하다


[] 나라(동진東晉) 효종孝宗 목황제穆皇帝 영화永和 8년이다.
[] 위주魏主(염위冉魏) 염민冉閔 영흥永興 3년이고, 진주秦主(전진前秦) 부건苻健 황시皇始 2년이다.
연주燕主(전연前燕) 모용준慕容儁 원새元璽 원년이다.
이해에 나라(염위冉魏)가 망하니, 큰 나라(전진前秦전연前燕)가 둘이고 작은 나라(전량前涼)가 둘로, 합하여 참국僭國이 넷이다.
[] 봄 정월 초하루에 일식이 있었다.
[] 진왕秦王 부건苻健이 황제를 칭하였다.
[] 부건苻健은 “선우單于는 여러 오랑캐를 통솔하니, 천자가 마땅히 겸해야 할 바가 아니다.” 하여 선우를 태자 부장苻萇에게 주었다.
[] 두홍杜洪사마司馬 장거張琚가 두홍을 죽이고 스스로 진왕秦王이라 칭하였다.
[] 두홍杜洪장거張琚의추宜秋에 군대를 주둔하고 있었는데,注+① 張琚는 張先의 형이다. ≪水經註≫에 “鄭渠가 中山西瓠의 어귀에서 동쪽 물길을 타고 가서 宜秋의 성 북쪽을 지나고, 또 동쪽으로 中山의 남쪽을 지나고, 또 동쪽으로 池陽縣 옛 성의 북쪽을 지나갔다.” 하였다. 두홍이 스스로 명문가의注+② “右族”은 富豪의 집안이다. 출신이라 하여 장거를 무시하자, 장거가 드디어 두홍을 죽이고 스스로 즉위하였다.
[] 나라(염위冉魏)가 양국襄國을 함락하여 유현劉顯을 죽이고 그 백성을 업성鄴城으로 옮겼다.
[] 나라(후조後趙) 여음왕汝陰王 석곤石琨이 달아나 나라(동진東晉)로 오자 그를 참수하였다.
[] 석씨石氏가 후손이 마침내 끊겼다.
[] 은호殷浩독통督統사상謝尙순선荀羨으로 하여금 전진하여 수춘壽春에 주둔하게 하니, 장우張遇허창許昌을 점거하고 배반해서 나라(전진前秦)에 항복하였다.
[] 상서좌승尙書左丞 공엄孔嚴注+① 孔嚴은 孔愉의 조카이다. 은호殷浩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근래에 사람들의 마음이 참으로 한심할 만합니다. 모르겠습니다만 사군使君은 장차 어떻게 사람들을 진정시키려 하십니까.
어리석은 저는 생각하건대 마땅히 직임을 맡는 것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注+② 曹參은 高帝 때에 韓信을 따라 전쟁을 하였는데, 그 뒤에 齊나라의 정승이 되어서 일찍이 管籥을 지킨 적이 없다. 孔嚴은 蕭何와 조참이 서로 이어 정승이 되었다 하여 관약을 지켰다고 말한 것이다. 같이 하여야 하며,
을 깊이 생각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서로 화목하게 지내고 틈이 없게 하여야 하니,
그런 뒤에야 높은 자리를 보전하고 공업功業을 세울 수 있습니다.注+③ “穆然”은 온화하여 고요한 모양이다. 間(틈)은 古莧의 切이다. 孔嚴은 殷浩와 桓溫이 서로 시기와 혐의를 풀고 마음을 차분하게 가라앉혀 相從하여 국사를 도모하게 하고자 한 것이다. 항복하여 붙은 무리는 모두 인간의 탈을 쓴 짐승이니, 로써 감동시키기가 어려울 듯합니다.”
은호는 그 말을 따르지 않고 상소하여 북쪽의 허창許昌낙양洛陽으로 출동할 것을 청하여 사상謝尙순선荀羨독통督統으로 삼아 전진하여 수춘壽春에 주둔하였다.注+④ 이때 謝尙은 壽春에 진주하고 荀羨은 京口에 진주하였는데, 殷浩가 두 길로 함께 진격하고자 하였으므로 두 사람을 모두 督統으로 삼아서 각각 그 지방의 군대를 통솔하게 한 것이다.
[] 처음에 나라(염위冉魏) 예주목豫州牧 장우張遇를 가지고 〈동진東晉에〉 와서 항복하였는데, 이때에 사상謝尙 등이 제대로 위무慰撫하지 못하자, 장우는 노하여 허창許昌을 점거하고 배반하여 나라(전진前秦)에 항복하니, 은호殷浩의 군대가 능히 전진하지 못하였다. 은호는 순선荀羨에게 명하여 하비下邳에 진주하게 하였다.
[] 3월에 요익중姚弋仲하고 아들 요양姚襄이 군대를 거느리고 돌아오자 조령을 내려 초성譙城에 주둔하게 하였다.
[] 요익중姚弋仲은 42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병이 들자 여러 아들들에게 이르기를 “석씨石氏가 우리를 후하게 대우하였으므로 내가 본래 석씨를 위해 힘을 다하고자 하였는데, 지금 이미 석씨가 멸망하였다.
중원에 주인이 없으니, 내가 죽거든 너희들은 급히 스스로 나라(동진東晉)로 돌아가서 마땅히 신하의 예절을 다하여 롭지 못한 일을 행하지 말라.” 하였다.
[] 요양姚襄나라(전진前秦) 군대와 싸워 패하자 마침내 군대를 거느리고 나라에 귀의하니, 요양에게 조령을 내려 초성譙城에 주둔하게 하자, 요양은 한 필의 말을 타고 회수淮水를 건너가서 사상謝尙수춘壽春에서 만나보았다.
사상이 그의 명성을 듣고는 명하여 의장儀仗시위侍衛를 물리게 하고 선비의 복식인 복건幅巾을 갖추고서 그를 접대하여 평소 알고 지내는 사람처럼 즐거워하였다. 요양이 박학하고 담론을 잘하니, 강동江東의 인사가 모두 그를 소중히 여겼다.
[] 여름 4월에 나라(전연前燕) 모용각慕容恪 등이 나라(염위冉魏)를 공격하여 대파하고, 그 군주 염민冉閔을 붙잡아 가지고 돌아가서 죽였다.
[] 위주魏主 염민冉閔이 이미 양국襄國을 함락하고는 인하여 상산常山중산中山의 여러 에 〈군대를 거느리고〉 돌아다니며 식량을 구하여 먹었다.
여름에 연왕燕王 모용준慕容儁모용각慕容恪 등을 보내어 공격하니, 염민이 상산常山으로 달려갔는데, 모용각이 추격하여 위창魏昌注+① 魏昌縣은 中山郡에 속하니, 본래 苦陘이었는데 漢나라 章帝가 이름을 고쳐 漢昌이라 하였고, 魏나라 文帝가 다시 고쳐 魏昌이라 하였다. 염대廉臺에서 따라잡아 나라 군대가 10번 싸워 모두 승리하지 못하였다.
염민은 평소 용맹하다는 명성이 있었고 휘하의 병사가 정예로우니, 나라 사람들이 그를 두려워하였다.
모용각이 진영을注+② 陳(진영)은 陣으로 읽으니, 아래도 같다. 순시하여 장병들을 타이르기를 “염민은 용맹하지만 지모智謀가 없으니, 한 지아비의 적수가 될 뿐이다. 그리고 그의 사졸들이 굶주리고 피곤하니, 군대가 비록 정예로우나 실제로는 쓰기가 어려워 굳이 격파할 만한 적이 못 된다.” 하였다.
[] 염민冉閔이 거느리고 있는 군대는 보병이 많았다. 염민이 장차 숲속으로 달려가려고 하였는데, 모용각慕容恪참군參軍고개高開注+① 高開는 高瞻의 아들이다. 말하기를
“우리는 기병이어서 평지가 이로우니, 만약 염민이 숲속으로 들어가면 다시 제어할 수가 없습니다. 마땅히 경무장輕武裝한 기병을 보내어 요격해서 교전交戰한 뒤에 거짓으로注+② 陽(거짓)은 佯으로 읽는다. 패주敗走해서 적들을 유인하여 평지로 오게 한 뒤에야 공격할 수 있습니다.” 하니, 모용각이 그의 말을 따랐다.
나라(염위冉魏) 군대가 다시 평지로 나오자, 모용각이 군대를 나누어 세 부대로 만들고 여러 장수들에게 이르기를
“염민은 성품이 날래고 용맹하며 또 스스로 병력이 적다 하여 반드시 사력을 다해 우리와 싸울 것이니, 우리가 중군中軍의 진영에 병력을 집중하여 대비하고 있다가 교전할 때를 기다려 들이 옆에서 공격하면 승리하지 않음이 없을 것이다.” 하였다.
[] 마침내 선비족鮮卑族에서 활을 잘 쏘는 자 5,000명을 선발하고는 쇠사슬로 말을 연결하여 방진方陣을 만들고 전진하니, 염민冉閔천리마千里馬를 타고 왼손에는 양날의 창을注+① “雙刃矛”는 양날 검의 양날이 모두 예리한 것과 같은 창이다. 잡고 오른손에는 갈고리 창을 잡고서 나라(전연前燕) 군대를 공격하여 300여 명의 수급을 베었다.
염민은 큰 깃발이 있는 곳을 바라보아 여기가 나라의 중군中軍임을 알고는 곧바로 돌진하자, 나라의 두 군대가 옆에서 협공하여 대파하고 염민을 몇 겹으로 포위하였다.
염민이 포위를 뚫고 동쪽으로 달아날 적에 말이 갑자기 쓰러져 죽자 나라 군대에 사로잡혔다. 나라에서는 염민을 용성龍城으로 보내서 참수하고 모용평慕容評을 보내어 정예 기병을 거느리고 업성鄴城을 공격하게 하니, 나라(염위冉魏)의 대장군 장간蔣幹 및 태자 염지冉智가 성문을 닫고 굳게 지켰으나 성 밖은 모두 나라에 항복하였다.
[] 5월에 진주秦主 부건苻健장거張琚를 공격하여 참수하였다.
[] 나라(염위冉魏) 사람이 〈나라(동진東晉)에〉 사신使臣을 보내어 항복을 청하였다.
[] 업성鄴城 가운데에 큰 기근이 들어서 사람들끼리 서로 잡아먹으니, 옛날 나라(후조後趙) 때의 궁녀들이 잡아먹혀 거의 다 없어졌다. 장간蔣幹시중侍中 목숭繆嵩(목숭)을 보내어 표문을 받들어 항복을 청하고 또 사상謝尙에게 구원을 청하였다.
[] 6월에 사상謝尙전국새傳國璽를 얻어 황제( 목제穆帝)에게 바쳤다.
[] 처음에 사상謝尙대시戴施로 하여금 방두枋頭를 점거하게 하였는데, 대시는 장간蔣幹이 구원을 청한다는 말을 듣고는 마침내 장사壯士 100여 명을 인솔하고 업성鄴城으로 들어가서 삼대三臺를 도와 지켰다.
이때 장간을 속여 전국새傳國璽를 얻고는 독호督護 하융何融으로 하여금 군량을 맞이하러 간다고 선언하고는 은밀히 하융으로 하여금 옥새를 품고 방두로 보내게 하였다. 사상이 맞이하여 건강建康에 이르니, 백관百官들이 모두 축하하였다.
[] 사상謝尙장우張遇허창許昌에서 공격하였는데, 나라(전진前秦) 사람이 구원하니, 사상 등이 크게 패하였다. 이에 은호殷浩가 후퇴하여 수춘壽春에 주둔하였다.
[] 사상謝尙요양姚襄이 함께 장우張遇를 공격하자, 진주秦主 부건苻健승상丞相동해왕東海王 부웅苻雄 등을 보내어 장우를 구원하게 해서 영수潁水계교誡橋에서注+ 싸웠다. 사상 등이 크게 패하고 달아나 회남淮南으로 돌아오니, 은호殷浩허창許昌에서 후퇴하여 수춘壽春에 주둔하였다.
부웅이 장우張遇진군陳郡, 영천潁川,注+② 陳과 潁은 陳郡과 潁川이다. 허창許昌, 낙양洛陽의 백성 5만여 가호를 관중關中으로 옮기고 양군楊群예주자사豫州刺史로 삼아 허창에 진주하게 하니, 사상이 칭호를 낮추어 건위장군建威將軍이라 하였다.
[] 가을 8월에 나라(전연前燕) 모용평慕容評업성鄴城을 공격하여 함락하고 마침내 남아서 업성을 지켰다.
[] 9월에 〈나라(동진東晉)의〉 은호殷浩가 나가 사구泗口에 주둔하였다.
王右軍王右軍
[] 은호殷浩북벌北伐할 적에 중군장군中軍將軍 왕희지王羲之가 편지를 보내어 만류하였으나 듣지 않았는데, 이윽고 이 없었다. 또다시 재차 군대를 일으킬 것을 도모하자, 왕희지가 은호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보내었다.
“지금 구구區區강동江東 지방을 가지고 〈북벌하려 하니,〉 천하 사람들이 한심해한 지가注+① “寒心”은 스스로 보전하지 못할까 두려워하는 것이다. 진실로 오래입니다. 힘써 무공武功을 다툼은 지금 마땅히 해야注+② 作(하다)은 爲이다. 할 일이 아닙니다.
지난번부터 내직內職외직外職의 임무를 맡은 자들이 깊은 지모智謀와 먼 생각이 있지 않고, 근본인 서울 지역을 피폐하고 고갈하게 해서 각자 뜻한 바를 좇다가 끝내 논할 만한 공을 하나도 세우지 못했습니다. 마침내 천하에 〈민란이 일어나〉 토붕와해土崩瓦解의 형세가 있게 하니, 그 일을 책임진 자가 어찌 사해四海의 책망을 회피할 수 있겠습니까.
지금 군사가 밖에서 피곤하고 물자가 안에서 고갈되니, 회수淮水를 보존하는 뜻은 다시 바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돌아가 장강長江을 지키고 독장督將이 옛 진영으로 돌아가 장강 이외의 지역을 단속하는 것만 못합니다.
허물을 인정하고 자신을 책망하여 다시 훌륭한 정치를 해서 부역을 줄여 백성들과 함께 새 출발을 하면 공중에 거꾸로 매달려 있는 것처럼 몹시 곤궁한 형국을 구제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만약 여전히 예전의 일을 공교롭지 못하다고 여겨서 다시 분수 밖에서 구하려고 하면 비록 우주가 넓으나 자신의 몸을 용납할 곳이 어디에 있겠습니까. 이는 저의 어리석은 지혜로는 이해할 수 없는 것입니다.”
[] 〈왕희지王羲之는〉 또 회계왕會稽王 사마욱司馬昱에게 다음과 같은 서신을 보내었다. “지금 비록 기뻐할 만한 기회가 있으나, 안으로 자기 자신을 살펴보면 근심스러운 것이 마침내 기쁜 것보다 더 많습니다. 을 기약할 수 없고 남은 백성들도 다 죽었는데 구구區區 지방을 가지고 천하의 10분의 9를 다스리고자 하면 망하지 않고 무엇을 기다리겠습니까.
자신의 덕과 힘을 헤아리지 않고서 실패하지 않으면 그치지 않으려고 하니, 이는 온 경내에注+① “封內”는 국경의 안을 이른다. 있는 백성들이 가슴 아파하고 애통해하는 것입니다. 원컨대 전하는 먼저 적이 이길 수 없도록 기반을 만들어놓고 근본이 서고 형세가 확고하기를 기다려서 도모하여도 늦지 않을 것입니다.”注+② 兵法에 “먼저 적이 이기지 못하도록 만들어놓고서 적을 이길 수 있는 기회가 오기를 기다린다.” 하였다.
은호殷浩는 따르지 않고 나아가 사구泗口에 주둔한 다음 대시戴施를 보내어 석문石門을 점거하고 유둔劉遯을 보내어 창원倉垣을 지키게 하였다.
[] 〈나라(동진東晉)가〉 태학太學생도生徒들을 파하여 보내었다.
[] 은호殷浩는 군대를 일으킨다 하여 태학太學생도生徒들을 파하여 보내니, 학교가 이 때문에 마침내 폐지되었다.
[] 겨울 10월에 사상謝尙허창許昌을 공격하여 함락하였다.
[] 11월에 연왕燕王 모용준慕容儁이 황제를 칭하였다.
[] 옛날 나라(후조後趙) 장수로서 병력을 보유하고 주군州郡을 점거한 자들이 각각 사자使者를 보내어 나라(전연前燕)에 항복하자, 여러 관료들이 함께 존호를 올렸다. 모용준慕容儁은 이를 허락하여 처음으로 백관을 설치하고 황제의 자리에 오르고 전국새傳國璽를 얻었다고 거짓말하여 원새元璽개원改元하였다.
이때 나라(동진東晉) 사신이 마침 나라에 왔는데, 모용준이 사신에게 이르기를 “너는 돌아가 너의 천자에게 아뢰라. 나는 황제가 될 만한 사람이 없어서 비어 있는 자리를 계승하여注+① “我承人乏”은 사람들 중에 황제가 될 만한 사람이 없어서 내가 이 빈 자리를 계승하였다는 말이다. 중국에 추대를 받아 이미 황제가 되었노라.” 하였다.
모용준은 사주司州중주中州로 고치고 유대留臺용도龍都에 세웠다.注+② 趙나라(後趙)는 司州를 鄴城에 설치하였는데, 燕나라(前燕)가 처음 龍城에 도읍하다가 이때 薊城으로 옮겼다. 그러므로 留臺를 용성에 세우고는 龍都라 칭하였다. 을일乙逸注+③ 乙은 姓이다. 상서尙書로 삼아 그에게 유대留臺의 일을 전담하게 하였다.


역주
역주1 魏克襄國……遷其民於鄴 : “劉顯은 일찍이 그 군주를 시해했다고 썼는데, 여기에서 ‘討’라고 쓰지 않음은 어째서인가. 冉閔의 토벌을 토벌로 인정하지 않은 것이다. 어찌하여 토벌을 인정하지 않았는가. 염민 또한 趙나라(後趙)의 적이니, 적으로서 적을 죽였을 뿐이다. 그러므로 ‘殺’이라고 썼을 뿐이다.[劉顯嘗書弑其主矣 此其不書討 何 不以討予閔也 曷爲不以討予之 閔亦趙賊也 以賊殺賊而已矣 故止書殺]” ≪書法≫
역주2 趙汝陰王琨來奔斬之 : “石氏가 지극히 흉악한데, 지금 그 醜惡한 무리가 도망해왔으니, 그를 죽인 것이 마땅하다. 그러므로 특별히 쓴 것이다.[石氏窮凶極惡 今其醜類來奔 戮之宜矣 故特書之]” ≪發明≫
역주3 殷浩……降于秦 : “張遇의 배반은 謝尙이 격동시킨 것인데, 반드시 殷浩가 시켰다고 쓴 것은 어째서인가. 시킨 자를 죄책한 것이다. 무릇 功과 罪에 시켰다고 쓴 것은 공과 죄를 그 윗사람에게 돌린 것이다. 이 때문에 呂布가 董卓을 주살했을 적에 王允이 시켰다고 썼고(漢나라 獻帝 初平 3년(192)), 사상이 장우를 격동시켰을 적에 은호가 시켰다고 썼고,(이해(352)이다.), 安祿山이 奚와 契丹에게 패했을 적에 張守珪가 시켰다고 썼으니(唐나라 玄宗 開元 24년(736)), 모두 공과 죄를 그 윗사람에게 돌린 것이다.[張遇之叛 尙激之也 必書殷浩使 何 罪使之者也 凡功罪書使 歸其上也 是故呂布之誅董卓 書王允使(漢獻帝初平三年) 謝尙之激張遇 書殷浩使(是年) 禄山之敗於奚契丹 書張守珪使(唐玄宗開元二十四年) 皆歸功罪其上者也]” ≪書法≫
역주4 韓信과……것 : 籥은 鑰(자물쇠)과 통하니, 府庫의 管鍵(문빗장과 자물쇠)을 가리킨다. 漢 高祖 劉邦이 楚나라와 싸울 적에 韓信, 彭越과 함께 출정하였고, 蕭何가 丞相이 되어 關中에서 府庫를 管掌하며 戰場의 士卒들에게 軍糧을 수송하여 作戰을 지원하였는데, 漢나라가 천하통일을 한 후에 소하의 뒤를 이어 승상이 된 曹參도 소하와 같이 하였기 때문에 ‘두 사람이 管籥을 지켰다.’고 말한 것이다.
역주5 廉頗와……의리 : 戰國時代에 趙나라의 藺相如가 和氏璧과 관련된 외교 문제를 지혜롭게 처리하고 秦나라에서 돌아와 上卿이 되자, 염파는 큰 공을 세운 자기보다 높은 지위에 앉았다 하여 인상여에게 모욕을 주었다. 그런데도 인상여가 국가의 일을 먼저 생각하고 사적인 감정을 뒤로 돌리자, 염파가 가시나무를 등에 지고 인상여의 집에 찾아가 사과하였는데, 이후 두 사람이 刎頸之交를 맺고서 국사를 돌보았으며, 이들이 조정에 있는 동안 秦나라가 감히 趙나라를 엿보지 못하였는바, 이 일을 두고 한 말이다.(≪史記≫ 권81 〈廉頗藺相如列傳〉)
역주6 陳平과……계책 : 漢 高祖가 죽은 뒤에 呂太后가 呂氏 일가의 세력을 키워 정사를 좌지우지하였는데, 진평이 이를 걱정하였으나 힘이 부족하여 항상 집에서 쉴 때면 이를 깊이 근심하였다. 그러다가 결국에는 재상과 장수가 협력해야 한다는 陸賈의 충고에 따라 평소 사이가 좋지 않던 周勃과 화해하고 협력하여 여씨 일가를 주륙하는 데에 성공하였는바, 이 일을 두고 한 말이다.(≪史記≫ 권97 〈酈生陸賈列傳〉)
역주7 保大定功은……두 가지이다 : ≪春秋左氏傳≫ 宣公 12년에 “武라는 것은, 포악함을 금하고 전쟁을 그치게 하고 높은 자리를 보전하고 공업을 세우고 백성을 편안히 하고 무리를 화합하게 하고 재물을 풍성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夫武 禁暴 戢兵 保大 定功 安民 和衆 豐財者也]” 하였고, 그 註에 “이것을 武의 7德이라 한다.” 하였다.
역주8 姚弋仲卒……詔屯譙城 : “姚弋仲은 羌族인데 그가 卒했을 때에 ‘死’라고 쓰지 않고 ‘卒’이라고 쓴 것은 어째서인가. 요익중은 비록 오랑캐였으나, 中華를 향하는 마음이 있었다. 그리하여 그 아들들을 경계하는 말에 ‘晉나라가 크게 혼란하여 中原에 주인이 없으니, 예부터 戎狄이 천자가 된 자가 있지 않다. 내가 죽거든 너희들은 곧바로 晉나라로 돌아가서 신하의 예절을 다하여 의롭지 않은 일을 행하지 말라.’ 하였다. 아! 요익중은 직접 劉氏와 石氏가 황제를 칭하는 것을 보았으나, ‘예부터 융적이 천자가 된 자가 있지 않다.’고 말하였으니, 그의 마음은 또한 그 당류들이 참람하게 도둑질함이 잘못임을 안 것이다. 그런데 어찌하여 중국의 사람으로서 도리어 夷狄을 도와 중화를 침해한단 말인가. 심한 경우에는 이적을 칭찬하여 올렸으니, 유씨와 석씨를 요익중에 비하면 어찌 다만 하늘과 땅 차이일 뿐이겠는가.[弋仲 羌也 其卒 不書死 何 弋仲雖夷 而有向華之心 其戒子之言曰 晉室大亂 中原無主 自古以來 未有戎狄作天子者 我死 汝便歸晉 竭臣節 無爲不義之事 嗚呼 弋仲親見劉石之稱皇帝 而言無戎狄作天子 其心蓋亦知其黨類僭竊之非 奈何中國之人 反助夷以侵華 甚者 又稱奬而進之 其視弋仲 豈但天淵哉]” ≪發明≫
역주9 謝尙……殷浩退屯壽春 : “張遇가 앞에서는 배반했다고 썼는데 여기에서는 ‘討’라고 쓰지 않고 ‘攻’이라고 쓴 것은 어째서인가. 장우가 배반한 것은 謝尙이 격동시킨 것이다. 배반했다고 써서 장우의 죄를 바로잡았으나 사상에게는 ‘討’라고 쓰지 않았으니, 이는 잘잘못을 자세히 살핀 말이다.[張遇前書叛矣 此其不書討 書攻 何 遇之叛 尙激之也 書叛以正遇罪 而謝尙不書討 權衡之辭也]” ≪書法≫
역주10 晉書……있다 : ≪晉書≫ 〈穆帝紀〉에 “安西將軍 謝尙이 姚襄을 거느리고 張遇와 許昌의 誡橋에서 싸웠다.[安西將軍謝尙帥姚襄 與張遇戰于許昌之誡橋]”라고 보인다.
역주11 罷遣太學生徒 : “文德은 帝王의 훌륭한 기물이고 威武는 문덕의 輔助이다. 나는 일찍이 창을 내려놓고 經書를 講했다는 것은 들었고, 학교를 폐하여 군대에 종사했다는 것은 듣지 못하였다. 殷浩가 헛된 명성으로 나라를 그르쳐 자기가 맡을 만한 임무가 아닌 곳에 있었는데, 이제 마침내 군대를 일으킨다는 이유로 太學의 生徒들을 파하여 보냄에 이르렀다. 그러나 조정에서 의논하는 자가 또한 이것을 비난하는 자가 있지 않았는데, ≪資治通鑑≫에서 直筆로 이것을 썼으니, 매우 부끄러워할 만하다.[文德者 帝王之利器 威武者 文德之輔助 嘗聞投戈以講藝矣 未聞廢學以從戎者也 殷浩虚名誤國 處非其任 今乃以軍興之故 至於罷遣太學生徒 然朝論亦無有非之者 直筆書之 可愧甚矣]” ≪發明≫

자치통감강목(14) 책은 2021.11.10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