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資治通鑑綱目(1)

자치통감강목(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자치통감강목(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0. 祭祀
凡正統, 郊祀天地‧建置‧遷徙皆書注+雍五畤‧甘泉太畤‧汾陰后土‧汶上明堂‧渭陽五帝‧長安南北郊.. 其行禮, 世一見之, 餘或因事而書.
凡封禪皆書.
凡宗廟之禮‧建置‧更革皆書注+漢王二年立宗廟社稷, 例不合書, 特書以備漢事. 太上皇‧高廟‧原廟‧顧成廟‧太宗廟之類.. 其行禮不書.
或擧盛禮, 或因他事乃書.
凡雜祠祭, 因事乃書.
或有得失可法戒, 則特書之注+得如始皇祠舜‧禹, 高帝祠孔子之類. 失如文帝作汾陰廟, 武帝祠竈求仙之類..
◑非正統, 用正統雜祠祭例注+秦王郊見上帝于雍, 以僭書. 又以見漢五畤所由起..
凡冠昏, 惟正統書注+冠如漢惠‧昭之類, 昏如漢平之類..
非正統則非有事義不書注+如秦王冠以帶劒書, 楚迎婦以忘讐書之類..
凡禮儀, 惟正統盛禮, 及有事義見得失者乃書注+文帝籍田, 明帝大射‧養老之屬, 以得書. 登靈臺, 以盛書..
凡置酒宴饗, 因事乃書注+漢置酒南宮, 朝賀置酒之類..
非正統者亦同上例注+魏主髦養老之類..
凡學校興廢皆書.
凡事關道術者皆書注+石渠‧白虎‧求書‧典校‧圖讖‧漢禮‧律曆..


10. 제사祭祀
교사郊祀, 봉선封禪, 종묘宗廟, 잡사제雜祠祭, 관혼冠昏, 거성례擧盛禮, 연향宴饗, 학교學校의 관한 사항
무릇 정통正統천지天地에 지내는 교사郊祀, 건치建置, 천사遷徙를 모두 기록하였다.注+감천甘泉태치太畤, 분음汾陰후토后土, 문상汶上명당明堂, 위양渭陽오제五帝, 장안長安남교南郊북교北郊이다.행례行禮는 한 세대에 한 번 나타내었으며, 나머지는 혹 사안을 통해 기록하였다.
무릇 봉선封禪은 모두 기록하였다.
무릇 종묘宗廟건치建置, 경혁更革은 모두 기록하였다.注+, 사례가 기록하기에는 합당하지 않으나 특별히 기록하여 나라의 일을 갖춘 것이다. 태상황묘太上皇廟, 고묘高廟, 원묘原廟, 고성묘顧成廟, 태종묘太宗廟의 경우이다.
행례行禮는 기록하지 않았는데, 혹 성례盛禮를 거행하였거나 혹 다른 사안을 통해서만 기록하였다.
무릇 잡사제雜祠祭는 사안을 통해서만 기록하였다.
득실得失법식法式경계警戒로 삼을 수 있는 것은 특별히 기록하였다.注+이고, 이다.
◑非正統은 정통正統잡사제雜祠祭범례凡例를 썼다.注+참례僭禮이기 때문에 기록하였고, 또 를 나타내었다.
무릇 관혼冠昏은 오직 정통正統에만 기록하였다.注+이고, 이다.
무릇 예의禮儀정통正統성례盛禮사의事義가 있어서 득실得失을 나타내는 것만 기록하였다.注+, 으로 기록하였고, 성례盛禮로 기록하였다.
무릇 치주연향置酒宴饗은 사안을 통해서만 기록하였다.注+이다.
◑非正統은 또한 상례上例와 같다.注+이다.
무릇 학교學校흥폐興廢는 모두 기록하였다.
무릇 사안이 도술道術에 관련된 것은 모두 기록하였다.注+석거石渠, 백호白虎, 구서求書, 전교典校, 도참圖讖, 한례漢禮, 율력律曆 등이다.


역주
역주1 雍의 5畤 : 《資治通鑑綱目》에서 戊申(B.C. 133) 漢 武帝 元光 2년에 “겨울 10월에 황제가 雍에 가서 5畤에 제사 지냈다.[冬十月 帝如雍 祠五畤]”라 한 것 등이다. 畤는 帝王이 天地의 五帝에게 제사를 드리는 장소를 말한다.
역주2 漢王……세웠는데 : 《資治通鑑綱目》에서 丙寅(B.C. 205) 漢 高祖 2년에 “8월에 漢王이 滎陽에 가서 蕭何에게 명하여 관중을 지키고 종묘와 사직을 세우게 하였다.[八月 漢王如滎陽 命蕭何守關中 立宗廟社稷]”라 하였다.
역주3 始皇이……경우 : 《資治通鑑綱目》에서 辛卯(B.C. 210) 秦 始皇帝 37년에 “겨울 10월에 황제가 동쪽으로 순행하여 雲夢에 이르러 虞舜에게 제사 지내고, 會稽山에 올라가 大禹에게 제사 지내고 비석을 세워 덕을 칭송하였다.[冬十月 帝東巡 至雲夢 祀虞舜 上會稽 祭大禹 立石頌德]”라 하였다.
역주4 高帝가……경우 : 《資治通鑑綱目》에서 丙午(B.C. 195) 漢 高祖 12년에 “11월에 魯를 지나면서 大牢로 孔子에게 제사 지냈다.[十一月 過魯 以大牢祠孔子]”라 하였다.
역주5 文帝가……경우 : 《資治通鑑綱目》에서 丁丑(B.C. 164) 漢 文帝 16년에 “汾陰廟를 지었다.[治汾陰廟]”라 하였다.
역주6 武帝가……경우 : 《資治通鑑綱目》에서 戊申(B.C. 133) 漢 武帝 元光 2년에 “처음으로 친히 부엌에 제사 지내고 방사를 보내어 신선을 구하였다.[始親祠竈 遣方士求神僊]”라 하였다.
역주7 秦王이……일 : 《資治通鑑綱目》에서 戊申(B.C. 253) 秦 昭襄王 54년에 “秦나라 왕이 雍의 교외에서 上帝에게 제사 지냈다.[秦王郊見上帝於雍]”라 하였다. 秦나라가 雍 땅에 畤를 만들고 上帝를 모셨는데, 白帝, 靑帝, 黃帝, 赤帝의 사당이다.
역주8 漢나라가……이유 : 《資治通鑑綱目》에서 丙子(B.C. 165) 漢 文帝 15년에 “여름 4월에 황제가 雍에 가서 교외에서 五帝에게 제사 지냈다.[夏四月 帝如雍 郊見五帝]”라 하였다. 漢나라에서 黑帝를 모시는 사당을 만들고, 秦나라 때의 白帝, 靑帝, 黃帝, 赤帝의 사당과 함께 5畤라 하며 제사를 올렸다.
역주9 冠은……경우 : 《資治通鑑綱目》에서 庚戌(B.C. 191) 漢 惠帝 4년에 “여름 6월에 황제가 관례를 하였다.[夏六月 帝冠]”라 하였고, 甲辰(B.C. 77) 漢 昭帝 元鳳 4년에 “봄 정월에 황제가 관례를 하였다.[春正月 帝冠]”라 하였다.
역주10 昏은……경우 : 《資治通鑑綱目》에서 癸亥(3) 漢 平帝 元始 3년에 “봄에 安漢公 王莽의 딸에게 장가들어 황후로 삼았다.[春 聘安漢公莽女爲皇后]”라 하였다.
역주11 秦나라……경우 : 《資治通鑑綱目》에서 癸亥(B.C. 238) 秦王 9년에 “秦나라 왕이 관례를 할 때 검을 찼다.[秦王冠 帶劍]”라 하였다.
역주12 楚나라가……경우 : 《資治通鑑綱目》에서 己巳(B.C. 292) 周 赧王 23년에 “楚나라 임금이 秦나라에서 신부를 맞이하였다.[楚君迎婦于秦]”라 하였다.
역주13 文帝가……갈고 : 《資治通鑑綱目》에서 癸亥(B.C. 178) 漢 文帝 2년에 “봄 정월에 籍田에서 親耕을 하였다.[春正月 親耕籍田]”라 하였다.
역주14 明帝가……경우 : 《資治通鑑綱目》에서 己未(59) 漢 明帝 永平 2년에 “3월에 辟雍에 나아가서 大射禮를 행하였다.[三月 臨辟雍 行大射禮]”라 하였고, 또 “겨울 10월에 養老禮를 행하였다.[冬十月 行養老禮]”라 하였다.
역주15 明帝의……경우 : 《資治通鑑綱目》에서 己未(59) 漢 明帝 永平 2년에 “봄 정월에 명당에서 光武皇帝를 높여 제사 지냈는데 처음으로 관면과 옥패를 착용하였으며 영대에 올라 구름의 색깔을 살폈다.[春正月 宗祀光武皇帝於明堂 始服冠冕玉佩 登靈臺 望雲物]”라 하였다.
역주16 漢나라……경우 : 《資治通鑑綱目》에서 癸亥(B.C. 202) 漢 高祖 5년에 “남궁에 주연을 베풀었다.[置酒南宮]”라 하였고, 辛丑(B.C. 200) 漢 高祖 7년에 “겨울 10월에 장락궁을 완성하여 조하를 받고 주연을 베풀었다.[冬十月 長樂宮成 朝賀置酒]”라 하였다.
역주17 魏나라……경우 : 《資治通鑑綱目》에서 戊寅(258) 蜀漢 後主 景耀 원년에 “가을 8월에 魏나라 임금 曹髦가 태학에서 노인을 봉양하고 가르침을 구하는 養老乞言의 예를 하였다.[秋八月 魏主髦養老乞言於太學]”라 하였다.

자치통감강목(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