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資治通鑑綱目(1)

자치통감강목(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자치통감강목(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壬寅年(B.C. 259)
五十六年이라
攻趙하야 拔武安皮牢하고 定太原上黨한대
韓趙又割地以和하다
武安君 分軍爲三하야
王齕 攻趙하야 拔武安皮牢注+正義, “皮牢故城, 在絳州龍門縣西.” 一說 “秦兵已至上黨, 不應復回攻絳州之皮牢.”하고 司馬梗 北定太原하야 盡有上黨地注+梗, 古杏切. 太原, 卽漢太原郡地, 在上黨西北.한대
韓魏하야 使蘇代說應侯曰 趙亡則秦王 王而武安君 爲三公矣리니
君能爲之下乎注+秦之稱王, 自王其國耳. 今破趙國 則將王天下也.
不如因而割之하야 毋以爲武安君功也니라
應侯言秦兵하니 請許韓趙割地以和하소서 聽之하야 割韓垣雍趙六城而罷兵注+雍, 於用切. 正義 “垣雍城, 在鄭州原武縣西北.”하니
武安君 由是 與應侯有隙하다
趙王之約割地也 虞卿 曰 秦之攻王也 倦而歸乎
其力 尙能進이로대 愛王而弗攻乎 王曰 秦 不遺餘力矣
必以倦而歸也니라
虞卿 曰 秦以其力으로 攻其所不能取하야 倦而歸어든 又以其力之所不能取 以送之 是助秦自攻也
來年 攻王이면 王無救矣注+無救, 言無救於講和之失計也.리이다
樓緩曰 卿得其一이요 不得其二로다
秦趙構難 而天下說注+說, 讀曰悅.하니
今不割地求和하야 以疑天下하며 慰秦之心하면 則天下將因秦之怒하고 乘趙之弊하야 而瓜分之矣注+緩謂趙與秦和, 則天下疑趙有秦之援, 將不敢乘弱而圖之. 瓜分, 言分其地如破瓜然.리라
虞卿 曰 危哉
樓子之計
愈疑天下이니 而何慰秦之心哉注+卿謂趙與秦和, 則天下有疑, 而不肯親趙也.리오
且臣言勿與者 非固勿與而已
索六城於王이어든 而王 以六城賂齊하면 則是 失之於齊라도 取償於秦也注+言趙失地於賂齊, 而能攻秦取其地, 以償所失.
以此發聲하면 見秦之重賂 至趙而反媾於王矣로소이다
趙王曰 善 使卿如齊호대 未返 而秦使者已在趙矣注+求和於趙也.러라
以孔斌爲相이러니 尋以病免하다
魏王 聞子順賢하고 聘以爲相注+子順, 孔斌字.한대
子順 謂使者曰 若王 能信用吾道인댄 吾道固爲治世也注+爲, 去聲. 治, 直之切. 雖疏食飮水라도 吾猶爲之어니와
若徒欲制服吾身하야 委以重祿이면 吾猶一夫耳 魏王 奚少於一夫이리오 使者固請이어늘
子順 乃之魏하야 改嬖寵之官하야 以事賢才하고 奪無任之祿하야 以賜有功注+無任之祿, 謂不任事而食祿者.한대
諸喪職秩者 咸不悅하고 陳大計한대 又不用이어늘 乃以病致仕注+致仕, 言致其仕事.하다
謂之曰 子其行乎인저 答曰 行將安之리오
山東之國 將幷於秦注+幷, 去聲.이요 秦爲不義하니 義所不入이라하고 遂寢於家하야 喟然歎曰 死病 無良醫注+病不可爲, 則良醫束手.라하니 不出二十年 天下其盡爲秦乎인저
秦之始伐趙也 魏王 問於諸大夫한대 皆曰 秦若不勝則可乘敝而擊之 勝則因而服焉이니 於我何損이리오
斌曰 不然注+斌, 音彬.하다
貪暴之國也
勝趙 必復他求리니 吾恐於時 魏受其師也注+於時, 猶言於此時也.하노라
先人 有言호대 燕雀處屋 子母相哺하야 呴呴相樂하야 自以爲安矣注+哺, 音步. 呴, 香句切. 呴呴, 和悅貌.라가
竈突炎上하야 棟宇將焚이어든 燕雀 顔不變하야 不知禍之將及己也注+突, 陁沒切. 竈, 窓也. 炎, 火光上也. 棟, 屋脊. 宇, 椽也.라하니
今子不悟趙破而患將及己하니 可以人而同於燕雀乎
穿之子也
誘執趙公子勝이러니 旣而歸之하다
秦王이 平原君을 인질로 잡고 魏齊를 요구하다秦王이 平原君을 인질로 잡고 魏齊를 요구하다
秦王 欲爲應侯하야 必報其仇하야
乃誘平原君하야 至而執之하고 使謂趙王曰 不得齊首 吾不出王弟於關호리라
齊窮抵虞卿注+抵, 歸也.한대 棄相印하고 與偕亡走魏하니
信陵君 意難見之어늘 齊怒自殺하니
趙王 取其首與秦한대 乃歸平原君하다
睢言王稽어늘 以爲河東守注+范睢傳 “睢旣相, 言於王曰 ‘非王稽 莫能納臣於函谷關. 今臣官至於相, 王稽官尙止於謁者, 非納臣之意也.’ 昭王, 拜稽爲河東守.” 河東本魏地, 秦取之. 以其地在大河之東, 置河東郡.하고 又任鄭安平이어늘 以爲將軍注+鄭安平匿范睢, 以見王稽. 因此入秦爲相, 故睢保任安平而用之.하다
睢散家財物하야 以報所嘗困厄者하야 一飯之德 必償注+償, 報也.하고 睚眦之讐 必報云注+睚, 音厓, 擧眼也. 眦, 卽眥字, 謂目也. 言擧眼相忤者, 卽報之也. 一說 “睚, 五懈切, 眦, 士懈切. 睚眦, 瞋目貌.”이러라


임인년(B.C. 259)
[綱]나라 난왕赧王 56년이다.
나라가 나라를 공격하여 무안武安피뢰皮牢를 함락시키고, 태원太原상당上黨을 평정하였다.
나라와 나라가 다시 땅을 떼어 주고 화친하였다.
[目]무안군武安君이 군사를 세 부대로 나누었다.
왕흘王齕나라를 공격하여 무안武安피뢰皮牢를 함락시키고注+① 《사기정의史記正義》에 “피뢰皮牢의 옛 성이 강주絳州 용문현龍門縣 서쪽에 있다.”고 하였다. 일설에 “나라 군대가 이미 상당上黨에 이르렀으니, 길을 되돌아가서 강주絳州피뢰皮牢를 공격하지는 않았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사마경司馬梗은 북쪽으로 태원太原을 평정하여 상당上黨의 땅을 다 점령하였다.注+고행古杏이다. 태원太原은 곧 나라 태원군太原郡 지역이니, 상당上黨의 서북쪽에 있다.
나라와 나라가 두려워하여 소대蘇代를 보내 응후應侯를 설득하기를 “나라가 망하면 나라 왕이 천하의 왕이 되고 무안군이 삼공三公이 될 것이다.
그대는 무안군 아래에 있을 수 있겠는가?注+나라가 왕을 칭했던 것은 스스로 자기 나라에서 왕 노릇 하는 것일 뿐이었다. 지금 나라를 깨뜨린다면 장차 천하에 왕 노릇 할 것이다.
그대로 땅을 떼어 바치게 하여 무안군의 공이 되지 않게 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 하였다.
응후가 나라 왕에게 “나라 병사들이 지쳤으니, 나라와 나라가 땅을 떼어 바쳐서 화친하려는 것을 허락하소서.”라고 아뢰니, 왕이 그 말을 듣고서 나라의 원옹垣雍나라의 성 여섯 개를 떼어 받고서 전쟁을 중지하였다.注+어용於用이다. 《사기정의史記正義》에 “원옹성垣雍城정주鄭州 원무현原武縣 서북쪽에 있다.”라고 하였다.
무안군이 이 일로 인해 응후와 틈이 생겼다.
나라가 땅을 떼어주기로 약속하자 우경虞卿이 아뢰기를 “나라가 왕을 공격하다가 지쳐서 돌아가는 것입니까?
힘이 아직 진군할 수 있을 정도지만, 왕을 사랑해서 공격하지 않는 것입니까?” 하니, 왕이 “나라가 여력이 남지 않았다.
필시 지쳐서 돌아가는 것이리라.”라고 하였다.
우경이 아뢰기를 “나라가 자신의 힘으로 차지할 수 없는 것을 공격하다가 지쳐서 돌아가는데, 왕께서 또 그들의 힘으로 차지할 수 없었던 것을 주어서 보내시면 이것은 나라가 자신을 공격하도록 도와주는 꼴입니다.
내년에 나라가 왕을 공격하면 왕께서는 구제하지 못할 것입니다.”注+무구無救는 강화를 한 잘못을 구원할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하였다.
누완樓緩이 말하기를 “경은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르는구려.
나라와 나라가 전쟁을 벌이면 천하가 기뻐합니다.注+(기쁘다)은 이라고 읽는다.
지금 땅을 떼어주어 화친을 함으로써 천하가 의심을 하게 하고 나라의 마음을 위로하지 않는다면, 천하가 장차 나라의 분노에 의지하고 나라의 피폐함을 틈타서 나라를 나누어 가질 것입니다.”注+누완樓緩나라와 나라가 강화하면 천하의 제후들이 나라가 나라의 원조를 얻었다고 생각하여 앞으로 감히 나라의 국력이 약함을 틈타서 침입하지 않을 것이라고 여긴 것이다. 과분瓜分은 그 땅을 나누어 가지기를 오이 쪼개듯이 함을 말한 것이다. 하였다.
이에 우경이 아뢰기를 “위태하도다.
누자樓子의 계책이여!
이것은 천하를 더욱 의심하게 만드는 것이니, 어떻게 나라의 마음을 위로할 수 있겠습니까.注+우경虞卿나라와 나라가 강화하면 천하가 의심하여 나라와 화친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라고 여긴 것이다.
그리고 신이 땅을 주지 말라고 한 것은 반드시 주지 말라고 하는 것이 아닙니다.
나라가 성 여섯 개를 왕에게 요구할 때에 왕께서 이 성 여섯 개를 나라에 뇌물로 주면, 이는 왕께서 나라에 성을 잃더라도 나라에게 보상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注+나라가 나라에 뇌물을 주어서 땅을 잃게 되지만, 나라를 공격하여 나라의 땅을 취함으로써 잃은 땅을 보상받을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이 일을 소문낸다면, 나라에서 보내는 많은 뇌물이 나라에 당도하고 나라가 도리어 왕에게 강화를 요청하는 것을 신이 보게 될 것입니다.” 하였다.
나라 왕이 “좋다.” 하고 우경을 사신으로 나라에 보냈는데, 그가 돌아오기도 전에 나라의 사신이 이미 나라에 도착해 있었다.注+나라에 강화를 요구한 것이다.
[綱]나라가 으로 재상을 삼았는데, 오래지 않아 병으로 물러났다.
[目] 처음에 나라 왕이 자순子順이 어질다는 소문을 듣고 초빙하여 재상을 삼으려고 하였다.注+자순子順공빈孔斌의 자이다.
자순이 사자에게 이르기를 “만약 왕께서 나의 방책을 믿고 쓰신다면, 나의 방책은 본래 세상을 다스리기 위한 것이니注+(위하다)는 거성去聲이다. (다스리다)는 직지直之이다., 비록 채소를 먹고 물을 마시더라도 내가 오히려 나의 방책을 실행할 것입니다.
만약 한낱 나를 부리려고 많은 녹봉을 준다면, 나는 오히려 일개 범부일 뿐이니, 나라 왕께서 어찌 일개 범부가 부족하시겠습니까.” 하니, 사자가 굳이 청하였다.
자순이 이에 나라로 가서 왕이 총애하던 관원을 교체하여 어질고 재능 있는 사람을 임용하고, 일을 맡지 않는 관원의 녹봉을 빼앗아 공이 있는 자에게 주었다.注+무임지록無任之祿은 맡은 일이 없으면서 녹봉을 먹는 자를 일컫는다.
관직과 봉록을 잃은 여러 사람들이 모두 기뻐하지 않았고, 나라 왕에게 중대한 계책을 아뢰었는데 또한 쓰이지 않으니, 마침내 병을 핑계로 관직에 물러났다.注+치사致仕는 벼슬하는 일을 그만두는 것을 말한다.
사람들이 그에게 이르기를 “그대가 떠나야 할 것입니다.” 하니, 자순이 대답하기를 “떠나서 장차 어디로 가리오?
산동山東의 나라가 장차 나라에 병탄될 것인데注+(겸병하다)은 거성去聲이다., 나라가 의롭지 못한 짓을 하니, 의로운 사람이라면 들어가지 않소.” 하고는 마침내 집에 누워서 한숨을 쉬며 탄식하기를 “죽을병에는 좋은 의사도 소용이 없다고 하였으니注+⑥ 병을 어찌할 수 없으면 좋은 의사도 속수무책이다., 20년이 지나지 않아 천하가 모두 나라가 될 것이다.” 하였다.
[目]나라가 처음 나라를 정벌할 때에 나라 왕이 대부들에게 물으니, 모두 “나라가 이기지 못한다면 피폐해진 틈을 타서 공격할 수 있고, 이긴다면 그로 인해 복종하면 되니, 우리에게 무슨 손해이겠습니까.”라고 하였다.
공빈孔斌이 말하기를 “그렇지 않다.注+은 음이 이다.
나라는 탐욕스럽고 포악한 나라이다.
나라를 이긴다면 반드시 다시 다른 나라에 무엇인가를 요구할 것이니, 나는 그때에 나라가 나라 군대의 침공을 받을까 두렵다.注+어시於時는 “어차시於此時(이때에)”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이전 사람들이 한 말에 ‘제비가 집에 살 때에 새끼와 어미가 서로 먹여주고 다정하게 서로 즐거워하며 스스로 안락하게 여기다가注+(먹이다)는 음이 이다. 향구香句이다. 구구呴呴는 화목하고 기뻐하는 모양이다.,
굴뚝에서 불길이 치솟아서 집이 타려고 하는데도 제비는 안색을 변하지 않고 재앙이 자신에게 닥칠 줄 알지 못한다.’注+(굴뚝)은 타몰陁沒이다. 는 굴뚝이다. 은 불길이 올라오는 것이다. 은 용마루이고, 는 서까래이다. 하였다.
지금 그대들은 나라가 패하면 환란이 자신들에게 닥칠 줄 알지 못하니, 사람이면서 제비와 같아서야 되겠는가.” 하였다.
공빈孔斌공천孔穿의 아들이다.
[綱]나라가 나라 공자公子 을 유인해 잡았다가 오래지 않아 돌려보냈다.
[目]나라 왕이 응후應侯를 위해 반드시 원수를 갚고자 하였다.
이에 평원군平原君을 유인하여 나라에 오자 잡고서 사신을 보내 나라 에게 말하기를 “위제魏齊의 머리를 얻지 못하면 나는 나라 왕의 동생을 에서 내보내지 않겠다.” 하였다.
위제가 곤란하여 우경虞卿에게 가니注+는 돌아간다는 뜻이다., 우경이 재상의 자리를 버리고 위제와 함께 나라로 도망하였다.
신릉군信陵君이 그를 접견하기 어렵다는 뜻을 비치자 위제가 노하여 자살하였다.
나라 왕이 그의 머리를 가져다 나라에 주자 나라가 비로소 평원군을 돌려보냈다.
범수范睢왕계王稽를 추천하자 왕이 하동河東 태수太守로 삼았고注+② 《사기史記》 〈범수전范睢傳〉에 “범수范睢가 재상이 된 뒤에 왕에게 아뢰기를 ‘왕계王稽가 아니었으면, 신을 함곡관函谷關에 들이지 못하였을 것입니다. 지금 신의 관직이 재상에 이르렀는데, 왕계의 관직은 아직도 알자謁者에 머물러 있으니, 신을 들였던 뜻이 아닙니다.’ 하니, 소왕昭王이 왕계를 하동태수河東太守에 임명하였다.”라고 하였다. 하동河東은 본래 나라 땅인데, 나라가 취하였다. 그 땅이 대하大河의 동쪽에 있는 까닭에 하동군河東郡을 설치하였다., 다시 정안평鄭安平을 추천하자 왕이 장군으로 삼았다.注+정안평鄭安平범수范睢를 숨겼다가 왕계王稽를 만나게 하였다. 이로 인해 범수가 나라에 들어가 재상이 되었다. 그러므로 범수가 정안평을 추천하여 등용하게 하였다.
범수는 집안의 재물을 모두 풀어서 자신이 곤액을 겪을 때 도와주었던 사람들에게 갚았는데, 밥 한 끼를 베풀어준 작은 은혜라도 반드시 보답했고注+은 보답한다는 뜻이다. 눈을 부라리며 성을 낸 사소한 원한이라도 반드시 보복하였다고 한다.注+는 음이 이니, 눈을 치켜뜬다는 뜻이다. 는 곧 자이니, 눈가를 일컫는다. 눈을 부라리며 대든 자는 곧 보복하였음을 말한 것이다. 일설에 “오해五懈이고, 사해士懈이니, 애자睚眦는 눈을 부릅뜬 모양이다.”라고 하였다.


역주
역주1 孔斌 : 아래에 나오는 子順이다. 孔子의 6세손이다.
역주2 : 眶과 통용된다.

자치통감강목(1) 책은 2019.04.2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