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大學衍義 卷7
格物致知之要(一)
明道術
天理人倫之正[帝王事親之孝]
堯典 曰 有鰥 하니 曰虞舜注+鰥, 無妻之名. 在下, 謂卑賤也. 이니 父頑注+父, 瞽瞍. 心不則德義之經爲頑.하며 母嚚注+母, 瞽瞍後妻, 舜繼母也. 口不道忠信之言爲嚚.하며 象傲注+象, 舜後母弟名. 傲, 慢不友也.어늘 克諧以孝注+諧, 和也.하여 烝烝乂하여 不格姦注+烝, 進也. 乂, 治也. . 史記:“更娶妻而生象, 象傲. 瞽愛後妻子, 常欲殺舜. 舜避逃, 及有小過則受罪. 順事父及後母與弟, 日以篤謹.”하니라


大學衍義 卷7
사물의 원리를 깊이 연구하여 知性의 힘을 극대화하는 핵심적인 방법들(1)
道를 분명히 밝힘
天理와 人倫에 임하는 올바른 처신 [역대 聖王이 부모를 섬기는 효]
7-1-가
《書經》 〈堯典〉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홀아비가 백성 중에 있으니 虞舜이라 합니다.注+‘鰥’은 아내가 없는 자의 명칭이다. ‘在下’는 비천함을 말한다. ‘虞’는 氏이고 ‘舜’은 이름이다. 아버지는 頑惡하고注+‘父’는 瞽瞍이다. 마음으로 德義의 常道를 본받지 않는 것이 ‘頑’이다. 어머니는 쓸데없는 말이 많으며注+‘母’는 瞽瞍의 후처로, 舜의 계모이다. 입으로 진실되고 미더운 말을 하지 않는 것이 ‘嚚’이다. 象은 오만한데,注+‘象’은 舜의 계모가 낳은 아우의 이름이다. ‘傲’는 오만하여 우애하지 않는 것이다. 능히 효도로써 잘 화합하게 하여注+‘諧’는 ‘화합하게 하다’라는 뜻이다. 점점 다스려서 간악한 데 이르지 않게 하였습니다.注+‘烝’은 ‘나아가다’라는 뜻이다. ‘乂’는 ‘다스리다’라는 뜻이다. ‘姦’은 ‘간악함’이라는 뜻이다. 《사기》에 “순의 아버지 고수는 장님이었고 순의 어머니는 죽었다. 고수가 다시 장가를 들어 象을 낳았는데, 상은 오만하였다. 고수가 후처 소생의 자식을 편애하여 항상 순을 죽이고자 하였다. 순은 피하여 도망다녔으나, 조금이라도 잘못이 있으면 벌을 받았다. 아버지와 계모를 순히 섬기고 동생과도 잘 지내어서 날마다 독실하고 성실하였다.”


역주
역주1 7-1-가 : 《書經》 〈虞書 堯典〉에 보인다. 이 글은 〈堯典〉의 맨 뒤에 있는데, 요임금이 帝位를 선양받을 사람을 천거하도록 하자 四岳 등이 舜을 천거한 말이다. 본래 ‘有鰥’부터 ‘曰虞舜’까지는 여러 신하들이 함께 말한 내용이고 그 이하는 四岳이 舜에 대해 설명한 말이나, 저본에서는 話者를 구분하지 않고 인용하고 있다.
역주2 在下 : ‘在下’는 舜임금이 일반 백성의 지위에 있음을 말한 것이다. 《尙書注疏》 〈堯典〉의 孔安國 傳에는 “백성 가운데에 있다.[在下民之中]”라고 하였고, 《史記》 권1 〈五帝本紀〉에도 해당 내용을 “민간에 있다.[在民間]”라고 기재하였다. 孔穎達의 疏에는 ‘有鰥在下’에 대해 “미천한 지위에 이런 현인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言側陋之處有此賢人]”라고 설명하였고, 《사기》 권1 〈오제본기〉에는 순임금을 顓頊(전욱)의 7세손으로 설명하고 전욱의 아들인 “窮蟬으로부터 순임금에 이르기까지는 모두 한미해져서 庶人이 되었다.[自從窮蟬以至帝舜 皆微爲庶人]”라고 하여, 당시에 순임금이 미천한 신분이었음을 알 수 있다.
역주3 虞氏舜名 : ‘虞’와 ‘舜’에 대한 해석은 몇몇 이설이 있다. 우선 ‘虞’의 해석에 대해 논하면, 첫째 순임금의 氏로 보는 설로, 孔安國의 傳과 蔡沈의 《書集傳》이 해당된다. 둘째 地名으로 보는 설로, 王肅과 皇甫謐(밀)이 해당된다. 셋째는 國名으로 보는 설로, 孔穎達의 疏와 司馬貞의 《史記索隱》 등이 해당되는데, 공영달은 ‘虞’를 본래 순임금이 거주하던 곳이자 요임금이 봉해준 땅으로 순임금이 천자가 되면서 有虞가 국명이 되었다고 보았다. ‘舜’에 대한 해석은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이름으로 보는 설로, 공안국의 傳과 채침의 《서집전》이 해당된다. 둘째 시호로 보는 설로, 馬融과 사마정의 《사기색은》이 해당된다. 이와 관련하여 《사기》 권1 〈오제본기〉에는 “虞舜은 이름이 重華이다.[虞舜者 名曰重華]”라고 하여 舜이 이름이 아닌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역주4 姦惡也 : 대전본에는 없다.
역주5 舜父……篤謹 : 《史記》 卷1 〈五帝本紀〉에 보인다.
역주6 : 대전본에는 ‘叟’로 되어 있다.
역주7 : 대전본에는 ‘叟’로 되어 있다.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