原注
		                       		
		                       		
		                        		
			                            	7-3-나(按)
[臣按] 순임금이 만난 것은 지극히 섬기기 어려운 어버이였습니다. 그러나 정성을 쌓아 감동시켜서 오히려 고수로 하여금 기뻐함에 이르도록 하였으니, 하물며 완악함이 고수와 같지 않은 자에 있어서이겠습니까.
			                             
									
                        			
                        			
                        		
	                     		
			                       	
			                       	
	                     		
		                        
                        	
		                        
		                        
		                        
		                        
                        		
                        	
		                        
		                        
		                        
		                        
                        		
                        		
                        		
                        			
                        			
		                       		
		                       			
		                       		
		                       		
		                       		
		                       		
		                        		
			                            	그러므로 고수가 기뻐함에 이르자 천하의 자식 된 자들이 모두 섬길 수 없는 어버이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되어 각자 효도를 하는 것에 힘썼으니, 이것이 이른바 ‘천하가 교화되었다.’라는 것입니다. 
			                             
									
                        			
                        			
                        		
	                     		
			                       	
			                       	
	                     		
		                        
                        	
		                        
		                        
		                        
		                        
                        		
                        	
		                        
		                        
		                        
		                        
                        		
                        		
                        		
                        			
                        			
		                       		
		                       			
		                       		
		                       		
		                       		
		                       		
		                        		
			                            	옛날에 豫章先生 羅從彦이 이를 두고 “다만 천하에 옳지 않은 부모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라고 논하였는데, 
			                             
									
                        			
                        			
                        		
	                     		
			                       	
			                       	
	                     		
		                        
                        	
		                        
		                        
		                        
		                        
                        		
                        	
		                        
		                        
		                        
		                        
                        		
                        		
                        		
                        			
                        			
		                       		
		                       			
		                       		
		                       		
		                       		
		                       		
		                        		
			                            	諫議 陳瓘이 이를 듣고 좋게 여겨 “오직 이와 같이 생각한 뒤에야 천하의 어버이와 자식 된 자들이 안정될 것이니, 저 신하로서 임금을 시해하고 자식으로서 아비를 시해하는 것은 항상 임금과 아비가 옳지 않은 점이 있음을 보는 것에서 비롯될 뿐이다.”라고 하였습니다. 
			                             
									
                        			
                        			
                        		
	                     		
			                       	
			                       	
	                     		
		                        
                        	
		                        
		                        
		                        
		                        
                        		
                        	
		                        
		                        
		                        
		                        
                        		
                        		
                        		
                        			
                        			
		                       		
		                       			
		                       		
		                       		
		                       		
		                       		
		                        		
			                            	아! 자신에게 죄를 돌리고 어버이를 비난하지 않는 것은 仁者와 효자의 마음이고, 어버이를 원망하고 자신을 돌아보지 않는 것은 亂臣과 賊子의 뜻입니다. 후대에 섬기기 어려운 어버이를 섬기는 자는 반드시 순임금을 귀감으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