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初于歷山注+山名, 舜微時所耕之地. 往于田하사 日號泣于旻天注+旻, 閔也. 于父母하사 負罪引慝注+慝, 惡也.하사
祗載見瞽瞍注+祗, 敬也. .하사대 夔夔齊慄注+齊, 莊敬也. 慄, 戰栗也. 夔夔, 莊敬戰栗之貌.하신대 瞽亦允若注+允, 信也. 若, 順也.하니라


7-2-가
舜임금은 당초 歷山에 있을 때注+‘歷山’은 산 이름이니, 순이 미천할 때 농사를 짓던 곳이다. 밭에 가서 날마다 하늘과注+‘旻’은 ‘하늘’이라는 뜻이다. 부모를 부르짖고 울며 죄를 떠맡고 악을 자신에게 돌리셨습니다.注+‘慝’은 ‘악’이라는 뜻이다.
공경히 일하여 瞽瞍를 뵙되注+‘祗’는 ‘공경히’라는 뜻이다. ‘載’는 ‘일하다’라는 뜻이다. 엄숙히 공경하고 두려워하니注+‘齊’는 ‘엄숙히 공경하다’라는 뜻이다. ‘慄’은 ‘두려워하다’라는 뜻이다. ‘夔夔’는 엄숙히 공경하고 두려워하는 모양이다. 고수 또한 믿고 따랐습니다.注+‘允’은 ‘믿다’라는 뜻이다. ‘若’은 ‘따르다’라는 뜻이다.


역주
역주1 7-2-가 : 《書經》 〈虞書 大禹謨〉에 보인다. 이글은 〈대우모〉의 맨 뒤에 있는데, 舜임금이 禹에게 有苗를 정벌하도록 했을 때 益이 禹에게 지극한 정성으로 덕을 펴면 有苗를 복종시킬 수 있음을 말하면서 인용한 말이다.
역주2 載事也 : 저본에는 없으나, 대전본‧사고본에 근거하여 보충하였다.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