原注
		                       		
		                       		
		                        		
			                            	24-2-나(안按)
[신안臣按] 이 당시에 건신군建信君이 미색으로 효성왕孝成王에게 총애를 받았으니, 객이 이른바 ‘총신과 측근으로 있는 사람 및 배우‧총애하는 사람‧내시’는 아마도 건신군을 가리켜 말했을 것입니다.
			                             
									
                        			
                        			
                        		
	                     		
			                       	
			                       	
	                     		
		                        
                        	
		                        
		                        
		                        
		                        
                        		
                        	
		                        
		                        
		                        
		                        
                        		
                        		
                        		
                        			
                        			
		                       		
		                       			
		                       		
		                       		
		                       		
		                       		
		                        		
			                            	뽕나무 속에 좀이 슬면 울퉁불퉁한 모습이 겉으로 나타나니, 마치 사람이 몸속에 병이 들면 종기가 밖으로 나는 것과 같습니다. 
			                             
									
                        			
                        			
                        		
	                     		
			                       	
			                       	
	                     		
		                        
                        	
		                        
		                        
		                        
		                        
                        		
                        	
		                        
		                        
		                        
		                        
                        		
                        		
                        		
                        			
                        			
		                       		
		                       			
		                       		
		                       		
		                       		
		                       		
		                        		
			                            	총신 및 아첨하여 총애받는 무리가 임금의 곁에 매우 가까이 있으면서 임금의 마음을 미혹시키는 것이니, 임금의 마음이 안에서 좀이 슬면 언행의 흠과 정사政事의 잘못이 뚜렷하게 겉으로 드러나 덮을 수 없습니다. 
			                             
									
                        			
                        			
                        		
	                     		
			                       	
			                       	
	                     		
		                        
                        	
		                        
		                        
		                        
		                        
                        		
                        	
		                        
		                        
		                        
		                        
                        		
                        		
                        		
                        			
                        			
		                       		
		                       			
		                       		
		                       		
		                       		
		                       		
		                        		
			                            	무릇 임금의 덕이 청명하면 사사로운 청탁이 받아들여지지 못합니다. 오로지 임금이 술에 탐닉하여 심지心志가 어두워지고 황폐해지면 소인이 그 틈을 타 바라는 것을 얻어냅니다. 
			                             
									
                        			
                        			
                        		
	                     		
			                       	
			                       	
	                     		
		                        
                        	
		                        
		                        
		                        
		                        
                        		
                        	
		                        
		                        
		                        
		                        
                        		
                        		
                        		
                        			
                        			
		                       		
		                       			
		                       		
		                       		
		                       		
		                       		
		                        		
			                            	그리하여 이미 안에서 얻어내고 나면 대신이 밖에서 법을 왜곡시켜 그를 따르니, 이는 불충하고 부정한 대신이 대체로 임금의 측근과 서로 표리 관계를 이루기 때문입니다. 
			                             
									
                        			
                        			
                        		
	                     		
			                       	
			                       	
	                     		
		                        
                        	
		                        
		                        
		                        
		                        
                        		
                        	
		                        
		                        
		                        
		                        
                        		
                        		
                        		
                        			
                        			
		                       		
		                       			
		                       		
		                       		
		                       		
		                       		
		                        		
			                            	해와 달이 밝더라도 두꺼비가 달을 먹는 것은, 임금이 명철하더라도 측근에서 총애를 받는 소인이 임금을 해칠 수 있음을 비유한 것이니, 이는 모두 재앙이 안에 잠복해 있는데도 알지 못하는 것입니다. 
			                             
									
                        			
                        			
                        		
	                     		
			                       	
			                       	
	                     		
		                        
                        	
		                        
		                        
		                        
		                        
                        		
                        	
		                        
		                        
		                        
		                        
                        		
                        		
                        		
                        			
                        			
		                       		
		                       			
		                       		
		                       		
		                       		
		                       		
		                        		
			                            	보통 사람들의 일반적인 마음은 증오하는 대상에게는 삼가 방비를 하고 총애하는 대상에게는 크게 신경 쓰지 않아 대비하는 것이 없으니, 화란의 싹이 종종 크게 신경 쓰지 않는 대상에서 시작됨을 모르는 것입니다.
			                             
									
                        			
                        			
                        		
	                     		
			                       	
			                       	
	                     		
		                        
                        	
		                        
		                        
		                        
		                        
                        		
                        	
		                        
		                        
		                        
		                        
                        		
                        		
                        		
                        			
                        			
		                       		
		                       			
		                       		
		                       		
		                       		
		                       			
		                        			
		                        				
		                        				 
		                        			
		                       			
		                       			
		                       			
		                       				原注
		                       		
		                       		
		                        		
			                            	제 환공齊 桓公이 강한 초楚나라를 복종시킬 수 있었는데도 결과적으로는 제나라를 혼란에 빠뜨린 것은 세 근신近臣이었고 초나라가 아니었으며, 진 시황秦 始皇이 강성한 호胡를 무너뜨릴 수 있었는데도 결과적으로는 진나라를 멸망시킨 것은 중차부령 조고中車府令 趙高였고 호가 아니었습니다. 
			                             
									
                        			
                        			
                        		
	                     		
			                       	
			                       	
	                     		
		                        
                        	
		                        
		                        
		                        
		                        
                        		
                        	
		                        
		                        
		                        
		                        
                        		
                        		
                        		
                        			
                        			
		                       		
		                       			
		                       		
		                       		
		                       		
		                       		
		                        		
			                            	두꺼비가 달을 먹는 것은 옛날에 그러한 말이 있었는데 월식이 일어나는 것은 애초에 이 때문이 아닙니다. 객이 오로지 이 이야기를 빌려 효성왕의 마음을 깨우쳐서, 
			                             
									
                        			
                        			
                        		
	                     		
			                       	
			                       	
	                     		
		                        
                        	
		                        
		                        
		                        
		                        
                        		
                        	
		                        
		                        
		                        
		                        
                        		
                        		
                        		
                        			
                        			
		                       		
		                       			
		                       		
		                       		
		                       		
		                       		
		                        		
			                            	왕의 측근이 왕에게 몸을 의탁하면서도 왕에게 화를 끼칠 수 있는 것이, 마치 두꺼비가 달에 몸을 의탁하면서도 달을 먹을 수 있는 것과 같다는 점을 알게 하고자 한 것뿐입니다. 
			                             
									
                        			
                        			
                        		
	                     		
			                       	
			                       	
	                     		
		                        
                        	
		                        
		                        
		                        
		                        
                        		
                        	
		                        
		                        
		                        
		                        
                        		
                        		
                        		
                        			
                        			
		                       		
		                       			
		                       		
		                       		
		                       		
		                       		
		                        		
			                            	객의 말이 지극히 간절하고 그가 인용한 비유가 매우 절실하니 임금 된 이가 이 말을 살필 때 두려워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