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4)

대학연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20-13-나(按)
按 逢吉之薦李紳 亦猶 蓋學士 在唐 最爲親近하여之名하고 中丞而非密近之地
去內廷而任外司則逐之也 易矣 又紳與韓愈 皆有剛直名이라 以一事中二人하니 逢吉之術 蓋甚巧也
而穆宗之昬庸 乃能察之하사 延問本末而二人 復留하니 問之爲益 蓋如此하니이다
原注
近世 言事官之忤宰相者 多以美職으로 遷之하나니
之於 之於 之於 殿中‧監察之於列寺 其位則遷而其權則貶이라
名曰優之而實抑之 一去言職하면 或黜或逐 無不可者 故爲言職者 往往自結於宰相하여 以取要官하나니 人主 不可不察也니이다


原注
20-13-나()
[신안臣按] 이봉길李逢吉이신李紳을 추천한 것은 또한 가충賈充(217~282)이 임개任愷(223~284)를 추천한 것과 같습니다. 한림학사翰林學士는 당나라 때 황제와 가장 가까운 자리여서 ‘내상內相’이라는 명칭이 있으며, 중승中丞은 비록 어사대의 장관이기는 하지만 황제와 밀접한 자리가 아닙니다.
내정內廷에서 떠나보내 궐 밖의 관사에 임명하면 그들을 내쫓기가 쉬워집니다. 또 이신과 한유韓愈는 모두 강직하다는 명성이 있는 사람들이었습니다. 한 가지 일로 두 사람을 얽었으니, 이봉길의 계략은 매우 교묘한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목종穆宗의 어리석음으로도 마침내 이를 능히 살펴서 그 사건의 본말을 물어 두 사람이 다시 그대로 남게 되었으니, 물어보는 유익함이 대체로 이와 같습니다.
原注
근세에 간관諫官으로서 재상의 뜻을 거스른 자들이 좋은 관직으로 승진하는 일이 많습니다.
그런데 어사중승御史中丞이 6상서尙書로, 간의대부諫議大夫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감찰어사監察御史가 6시랑侍郞으로, 우사간右司諫우정언右正言기거랑起居郞기거사인起居舍人으로, 전중시어사와 감찰어사가 여러 소경少卿으로 임명되는 것은, 그 지위는 승진한 것이나 그 권한은 줄어든 것이어서,
명분으로는 우대한 것이지만 실제로는 낮춘 것입니다. 일단 언관言官의 직무를 떠나면 파면시키거나 쫓아내는 것이 안 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언관의 직무를 행하는 자들이 종종 스스로 재상과 결탁하여 요직을 취하곤 하니, 군주는 이를 살피지 않으면 안 됩니다.


역주
역주1 賈充之薦任愷 : 18-15-가 참조.
역주2 內相 : 唐 玄宗 開元 26년(738)에 翰林供奉을 翰林學士로 바꾼 뒤에 오로지 內命만을 관장하게 하고 조정의 논의에 참여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20-13-가 ‘翰林學士’ 주석 참조.
역주3 風憲之長 : 御史臺의 장관인 御史中丞을 가리킨다. 20-13-가 ‘風憲之地’ 주석 참조.
역주4 : 사고본에는 없다.
역주5 中丞 : 御史中丞을 이른다. 20-13-가 ‘御史中丞’ 주석 참조.
역주6 六曹尙書 : 六部尙書를 달리 부르는 것으로, 六部가 六曹에서 유래하였기 때문이다. 吏部‧戶部‧禮部‧兵部‧刑部‧工部의 장관인 尙書를 이른다.
역주7 諫議 : 관직명으로, 諫議大夫를 이른다. 左‧右로 구분하여, 좌간의대부는 門下省 소속이었고 우간의대부는 中書省 소속이었다. 정사의 득실을 간하고 재상을 돕는 일을 담당하였다.
역주8 侍御 : 관직명으로, 殿中侍御史와 監察御史를 이른다. 당나라와 송나라 때 어사는 臺院‧殿院‧察院의 3院에 분속되었는데, 전중시어사는 殿院 소속으로 殿廷의 각종 의절을 규찰하고 경성 내외의 左‧右巡을 나누어 관장하였으며, 감찰어사는 察院 소속으로 백관을 규찰하고 郡縣을 순찰하며 刑獄을 살피고 조정의 의절을 정돈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역주9 侍郞 : 관직명이다. 中書省, 門下省, 尙書省 소속 각 部에 둔 장관의 副官으로, 侍從臣이다.
역주10 司諫正言 : 송나라 때의 관직명이다. 司諫은 당나라 때의 左‧右補闕을 고친 이름으로, 좌사간은 문하성에, 우사간은 중서성에 분속되었다. 간언을 담당하였으며, 大事는 조정에서 논의에 참여하고 小事는 封事를 올렸다. 正言은 당나라 때의 左‧右拾遺를 고친 이름으로, 좌정언은 문하성에, 우정언은 중서성에 분속되어 간언을 담당하였다.
역주11 起居郞舍人 : 관직명이다. 起居郞은 門下省, 起居舍人은 中書省 소속으로, 황제를 시종하여 기거랑은 황제의 왼쪽에, 기거사인은 오른쪽에서 그 언행을 기록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역주12 少卿 : 대전본‧사고본에는 ‘卿少’로 되어 있다. 少卿은 각 寺(시) 장관의 부관이다.

대학연의(4)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