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洪範注+《周書》篇名, 箕子作也. 惟辟이사 作福注+惟, 獨也. 辟, 君也. 福, 謂慶賞之類.하며 惟辟이사 作威注+威, 謂刑罰之類.하며 惟辟이사 玉食注+玉食, 謂珍貴之食.하나니 臣無有作福‧作威‧玉食이니라
臣之有作福‧作威‧玉食하면 其害于而家하며 凶于而國注+而, 也.하여 人用側頗僻注+人, 謂有位之人. , 皆不平不正之意.하며 民用僭忒注+僭, 謂僭上. 忒, 差也.하리라


9-8-가
《서경》 〈洪範〉에注+‘洪範’은 《書經》 〈周書〉의 편명으로, 箕子가 지은 것이다.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오로지 임금이라야 포상을 내리며,注+‘惟’는 ‘오로지’라는 뜻이다. ‘辟’은 ‘임금’이라는 뜻이다. ‘福’은 賞과 같은 것을 말한다. 오로지 임금이라야 형벌을 내리며,注+‘威’는 형벌과 같은 것을 말한다. 오로지 임금이라야 진귀한 음식을 받으니,注+‘玉食’은 진귀한 음식을 말한다. 신하는 포상을 내리거나 형벌을 내리거나 진귀한 음식을 받아서는 안 된다.
신하로서 포상을 내리거나 형벌을 내리거나 진귀한 음식을 받으면 네 집안에 해악을 끼치며 네 나라에 재앙을 끼쳐注+‘而’는 ‘너’라는 뜻이다. 벼슬이 있는 사람들은 공평치 않고 부정한 처신을 하게 되고注+‘人’은 지위가 있는 사람을 말한다. ‘側’‧‘頗’‧‘僻’은 모두 공평치 않고 부정하다는 뜻이다. 일반 백성은 분수에 넘치는 짓을 하여 잘못을 할 것이다.”注+‘僭’은 윗사람에게 분수에 넘는 짓을 한다는 말이다. ‘忒’은 ‘잘못을 하다’라는 뜻이다.


역주
역주1 9-8-가 : 《서경》 〈洪範〉에 보인다. 洪範九疇 가운데 여섯 번째인 ‘三德’(正直‧剛克‧柔克)을 설명하는 부분에 있는 말이다.
역주2 : 대전본에는 ‘洪’으로 되어 있으나, 오자이다.
역주3 側‧頗‧僻 : 蔡沈은 이 세 가지를 구분하여 설명하였는데, 그에 따르면 ‘側’은 바르지 않다는 뜻이며, ‘頗’는 균평하지 않다는 뜻이며, ‘僻’은 공정하지 않다는 뜻이다. 《書集傳 洪範》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