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4)

대학연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25-3-나(按)
按 帝舜 以民協于中으로 爲皐陶之功하시고 皐陶 以民之不犯으로 爲帝舜之德하니
君臣之間 豈虛相稱美哉리오 舜之制刑也 特以輔敎化之所不及而其用刑也 本期至於無刑이라
皐陶 爲士師之官하여 能體舜此心하여 明其刑以示人하여 使爲臣庶者 無復干上之政而民亦遷善遠罪하여 以協于中하니
刑之設 至是眞無所用矣 舜所以美之也 皐陶則謂 此 皆帝之德而非臣之功이라
蓋其臨下則簡而不煩하시고 御衆則寬而不迫하시며
賞其身又延于世 善善之長也 過誤所犯 雖大必宥하시고 不忌故犯 雖小必刑하시니
卽前所謂眚灾肆赦怙終賊刑也 罪之疑則從輕하시고 功之疑則從重하시니 忠厚之至也
有罪而殺 國之常典이나 然有可以殺‧可以無殺者어든 與其殺之而濫及無辜 寧姑宥之而有虧常典이라하시니
聖人之心 惟恐殺一不辜하여 以傷吾天地之仁하시니 所謂好生之德也
惟帝好生之德 洽于民心이라 故其民 亦自愛其生하여 無復犯有司之法者라하니
原注
詳味洽之一辭건대 則其漬入人之深 豈一朝一夕之力哉리오
舜之德 雖覆載無以加어시늘 而皐陶 但以罔愆言之하니 蓋必如是라사 僅可謂之無過爾
然則德未至於舜者 其可自滿乎 皐陶 旣誦帝之德이어늘 帝復稱皐陶之美하시니
蓋其褒贊之中 未嘗無勉勵之意하니 所以爲舜之君臣也니이다


原注
25-3-나()
[신안臣按] 임금은 백성이 중도中道에 부합한 것을 고요皐陶의 공으로 삼았고, 고요는 백성이 유사有司를 범하지 않은 것을 순임금의 덕으로 삼았습니다.
임금과 신하 간에 어찌 빈말로 서로 칭찬했겠습니까. 순임금이 형벌을 제정했던 것은 다만 교화가 미치지 못하는 부분을 돕게 했을 뿐이지만 형벌을 쓰는 것은 본래 형벌의 집행이 없는 수준에 이를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
고요가 사사士師의 관리가 되어 순임금의 이러한 마음을 잘 알아서 그 형벌을 엄명嚴明하게 하여 남에게 보여주어 신하와 백성이 된 자들로 하여금 다시는 윗사람의 정사를 범하지 않고 백성도 선으로 옮겨가 죄를 멀리하여 중도中道에 부합하도록 하였습니다.
제정해둔 형벌이 이에 이르러 참으로 쓸 곳이 없었습니다. 이것이 순임금이 고요를 찬미했던 이유입니다. 고요는 이렇게 생각한 것입니다. “이는 모두 순임금의 덕이고 신의 공이 아닙니다.
순임금은 아랫사람을 대하는 것이 소탈하여 번잡하지 않았고 백성을 다스리는 것이 관대하여 박절하지 않았습니다. 아비의 죄가 그 자식에게 미치지 않게 한 것은 악을 미워하기를 짧게 한 것이고,
그 본인을 상 주고 또 자손 대대로 이어지게 한 것은 선을 훌륭하게 여기기를 오래 한 것입니다. 과오로 지은 죄는 아무리 크더라도 반드시 용서하고, 꺼리지 않고 고의로 범한 죄는 비록 작더라도 반드시 처벌하셨습니다.
이것은 곧 앞에서 이른바 ‘과오로 해를 끼친 자는 관대하게 처결하여 사면하고, 간악한 짓을 고집하고 끝까지 뉘우치지 않은 자는 사형에 처했다는 것’입니다. 죄의 경중에 대한 판단이 명확하지 않으면 가벼운 쪽으로 적용하고 공의 대소大小에 대한 판단이 명확하지 않으면 무거운 쪽으로 적용하였으니 충후忠厚함이 지극한 것입니다.
皐陶皐陶
‘죄가 있으면 죽이는 것이 나라의 일정한 법이지만 죽일 수도 있고 죽이지 않을 수도 있는 경우가 있으면 그를 죽여 죄 없는 사람에게 지나치게 미치는 것보다는 차라리 우선 용서해주어 정해진 법을 어그러뜨린다.’라고 하였습니다.
성인聖人의 마음은 오직 한 사람이라도 죄 없는 사람을 죽여서 나의 천지와 같은 을 손상시킬까 걱정하니 이것이 이른바 살리기를 좋아하는 덕입니다.
오직 순임금의 살리기를 좋아하는 덕이 백성의 마음에 흡족하기 때문에 그 백성이 또한 자신의 삶을 스스로 아껴 다시는 유사有司의 법을 범하는 자가 없습니다.”
舜
原注
’ 한 글자를 자세히 음미해보건대, 그 푹 빠져 점점 스며들어 사람들의 마음에 깊이 들어간 것이 어찌 일조일석一朝一夕의 힘이겠습니까.
순임금의 덕이 비록 세상 천지에 더할 것이 없지만 고요가 단지 ‘과오가 없다’라고 말하였으니 아마도 반드시 이와 같아야만 겨우 과오가 없다고 말할 수 있을 따름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덕이 순임금에 미치지 못하는 사람이 스스로 만족할 수 있겠습니까. 고요가 이미 순임금의 덕을 칭송하였는데 순임금이 다시 고요의 훌륭함을 칭찬하였습니다.
대개 기리고 찬미하는 중에 언제나 면려勉勵하는 뜻이 있었으니, 이 점이 순임금이 성군이 되고 순임금의 신하들이 훌륭한 신하가 된 이유입니다.


역주
역주1 父罪……長也 : 《春秋公羊傳》 昭公 20년 여름 조에 “군자는 선을 훌륭하게 여기는 것은 오래 하고 악을 미워하는 것은 짧게 한다. 악을 미워하는 것은 그 당사자에게만 그치고 선을 훌륭하게 여기는 것은 자손에게까지 미치게 한다.[君子之善善也長 惡惡也短 惡惡止其身 善善及子孫]”라고 하였다.
역주2 : 사고본에는 ‘漸’으로 되어 있다.
역주3 : 사고본에는 ‘浸’으로 되어 있다.

대학연의(4)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