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9-8-나(按)
按 此 箕子 爲武王陳萬世君臣之大法也 福‧威者 上之所以御下 玉食者 下之所以奉上也
曰惟辟者 戒其權不可下移 曰無有者 戒其臣不可上僭也 夫君臣上下之分 如天冠地之不可易이니
臣而福威則盜上柄矣 臣而玉食則儗上之奉矣 大夫 爲此則害于家하고 諸侯 爲此則凶于國하고
臣民 尤而效之 亦將傾邪而妄作하며 僭忒而踰分矣 孟子所謂 理固然也
原注
或謂 僭天子하고 로되 不聞其害與凶 何邪
이라하니 順乎道 卽吉이요 逆乎道 凶也 臣而僭上 卽所謂害 卽所謂凶也
箕子 受之大禹 大禹 受之於天 片言隻辭 莫非天理 而可違乎
以此坊民호대 猶有하며라호이다


原注
9-8-나(按)
[臣按] 이는 箕子가 周 武王을 위하여 萬世의 君臣들이 지켜야 할 大經大法을 진술한 것입니다. ‘福’과 ‘威’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부리는 방법이요, ‘玉食’은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받드는 방법입니다.
‘惟辟’이라고 말한 것은 윗사람의 권력이 아랫사람에게 옮겨가서는 안 된다고 경계한 것이요, ‘無有’라고 말한 것은 신하가 임금에게 참람한 짓을 하면 안 된다고 경계한 것입니다. 君臣과 上下 간의 분별은 하늘이 위에 있고 땅이 아래에 있는 것처럼 바꿀 수 없는 것이니,
신하로서 임금의 ‘福’과 ‘威’를 행한다면 임금의 권력을 훔치는 것이요, 신하로서 임금의 ‘玉食’을 먹는다면 임금이 받는 봉양을 모방하는 것입니다. 대부가 이러한 짓을 저지른다면 집안에 해악을 끼치고, 제후가 이러한 짓을 저지른다면 나라에 재앙을 끼치고,
신하와 백성들이 탓하면서도 따라한다면 또한 신하는 비뚤어져서 함부로 행동할 것이며 백성은 참람해져서 분수에 넘치는 짓을 하게 됩니다. 孟子가 이른바 ‘다 빼앗지 않고는 만족하지 않는다.[不奪不厭]’라는 것은 이치가 본래 그러한 것입니다.
原注
어떤 이는, 吳나라와 楚나라에서는 일찍이 참람되게 천자의 예를 행하였고, 魯나라의 三家는 일찍이 참람되게 제후의 예를 행하였는데도 그에 따른 해악과 재앙이 있었다는 말을 듣지 못하였으니, 이는 왜 그러느냐고 합니다.
말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도리를 따르면 길하고 도리에 어긋난 것을 따르면 흉하다.”라고 하였으니, 도리에 순종하면 곧 길한 것이고, 도리를 거스르면 곧 흉한 것입니다. 신하로서 임금의 예를 참람되게 행하면 곧 이른바 ‘害(해악)’이며 ‘凶(재앙)’이라는 것입니다.
하물며 吳나라와 楚나라에서는 찬탈과 弑逆이 잇따르고 노나라에서는 季孫氏와 孟孫氏의 가신이 잇달아 반역하였으니, 또 재앙과 해악이 아니면 무엇이겠습니까.
아, 洪範九疇를 箕子가 大禹로부터 전수받고 대우가 하늘로부터 전수받았으니, 홍범구주의 한 글자 한 마디가 모두 天理인데 어길 수 있겠습니까.
이것을 가지고 백성을 단속했는데, 그래도 齊나라 田氏처럼 威와 福을 내리는 임금의 권한을 훔쳐 마음대로 휘두른 경우가 있었으며, 漢나라 董賢처럼 고른 물건 중 최상급을 모두 그의 집에 보낸 경우가 있었습니다.


역주
역주1 : 사고본에는 ‘履’로 되어 있다.
역주2 : 사고본에는 없다.
역주3 : 대전본‧사고본에는 없다.
역주4 不奪不饜 : 《맹자》 〈梁惠王 上〉 제1장에 보인다.
역주5 吳楚……天子 : 춘추시대 吳王 闔閭와 楚 莊王 등과 같은 오나라와 초나라의 君主들이 周나라 天子만이 칭할 수 있었던 王을 칭한 것을 말한다.
역주6 : 사고본에는 없다.
역주7 魯之……諸侯 : 三家는 魯 桓公의 후예로서 三桓이라고도 한다. 노나라의 大夫인 仲孫‧叔孫‧季孫을 말하며, 중손은 ‘孟孫’이라고도 한다. 이들은 당시 국정을 장악하여 제후인 노나라의 임금조차 그들을 어찌하지 못하였다. 심지어 삼가는 家廟에서 八佾舞를 설행하고, 《시경》 〈雍〉篇을 연주하며 제사 음식을 철상하는 등 천자의 禮를 僭用하기까지 하였는데, 관련된 내용이 《논어》 〈八佾〉 제1장, 제2장에 보인다.
역주8 惠迪……逆凶 : 《서경》 〈虞書 大禹謨〉에 보인다.
역주9 : 대전본‧사고본에는 ‘則’으로 되어 있다.
역주10 吳楚……相尋 : 오왕 합려는 專諸를 시켜 선왕인 僚를 시해하고 즉위하였으며, 楚 穆王은 태자였을 때 아버지 成王이 태자를 바꾸려고 하자 성왕을 포위하여 죽게 만들고 즉위하였다. 《史記 卷31 吳太伯世家, 卷40 楚世家》
역주11 季孟……繼叛 : 季桓子의 가신인 陽虎가 계환자를 가두는가 하면 三桓의 嫡子들을 죽이고 서자를 세우려고 하였으며 계환자를 죽이려고까지 하는 등 잇달아 전횡을 저질렀다. 삼환이 공동으로 양호를 공격하자, 양호는 陽關을 거점으로 삼았다가 齊나라로 달아났다. 《史記 卷33 魯周公世家》
역주12 洪範九疇 : 천하를 다스리는 아홉 가지 큰 법칙이라는 뜻으로, 殷나라의 箕子가 은나라를 멸한 周 武王에게 일러주었다고 전해진다. 첫 번째는 五行(水‧火‧木‧金‧土), 두 번째는 五事(貌‧言‧視‧聽‧思)로 공경하는 것, 세 번째는 農事에 八政(食‧貨‧祀‧司空‧司徒‧司寇‧賓‧師)을 적용하는 것, 네 번째는 五紀(歲‧月‧日‧星辰‧曆數)로 天地에 부합하는 것, 다섯 번째는 皇極으로 표준을 세우는 것, 여섯 번째는 三德(正直‧剛克‧柔克)으로 백성을 다스리는 것, 일곱 번째는 稽疑(거북점이나 蓍草占으로 의심스러운 일을 상고하는 것)로 밝히는 것, 여덟 번째는 庶徵(雨‧暘‧燠‧寒‧風‧時)으로 상고하는 것, 다음 아홉 번째는 五福(壽‧富‧康寧‧攸好德‧考終命)으로 지향하게 하고 六極(凶短折‧疾‧憂‧貧‧惡‧弱)으로 위엄을 보이는 것이다. 《書集傳 洪範》
역주13 하시고 : 509본에는 없다.
역주14 하시니 : 509본에는 없다.
역주15 竊弄……田氏 : 齊나라는 원래 姜太公에게 봉해진 姜姓 呂氏의 나라였다. 簡公에 이르러 권력을 장악한 田常이 군주를 시해하고, 그의 증손 田和는 太公으로 즉위하였다. 이로써 여씨의 제사가 끊어지고 秦 始皇이 제나라를 멸망시키기 전까지 제나라는 전씨의 나라가 되었다. 《史記 卷32 齊太公世家, 卷46 田敬仲完世家》
역주16 選物……董賢 : 董賢은 漢 哀帝의 총신으로, 동침하던 그가 잠에서 깰까 봐 옷소매를 잘랐다는 고사로 유명하다. 애제는 동현에게 온갖 진귀한 물품을 하사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처는 궁에 들어와 살게 하고 동현의 여동생은 昭儀로 삼는 등 파격적으로 우대하기도 하였다. 《資治通鑑 卷34 漢紀26 孝哀皇帝 建平4年》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