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伐木注+ 周文‧武時詩, 燕朋友故舊, 則作之. 自天子至於庶人 未有不須友以成者注+須, 待也.하니
親親以睦注+一語, 指上篇而言.하며 友賢不棄하며 不遺故舊 則民德 歸厚矣 其一章
伐木丁丁注+伐木相應之聲.이어늘
鳥鳴嚶嚶注+鳥鳴相和之聲.하나니
出自幽谷하여
遷于喬木注+喬, 高也.하놋다
嚶其鳴矣
求其友聲이로다
相彼鳥矣注+相, 視也.혼대
猶求友聲이온
矧伊人矣
不求友生
神之聽之하여
終和且平이니라


10-10-가
〈伐木〉은注+〈伐木〉 또한 《詩經》 〈小雅〉의 편명이다. 周 文王‧武王 때의 시로, 친구들에게 연회를 베풀면 연주하였다. 붕우와 故舊에게 연향을 베풀 때의 시이다. 천자에서 庶人에 이르기까지 친구를 기다리지 않고 자신의 덕을 이룬 자는 있지 않았다.注+‘須’는 ‘기다리다’라는 뜻이다.
친족을 친애하여 화목하고,注+‘親親以睦’이라는 이 말은 앞 편인 〈常棣〉를 가리켜 말한 것이다. 현자를 벗하여 버리지 않으며 故舊를 버려두지 않는다면, 백성의 덕이 후하게 된다. 〈伐木〉 1장은 다음과 같다.
쩡쩡 나무를 베니注+‘丁丁’은 벌목을 하면서 서로 호응하는 소리이다.伐木丁丁
앵앵 새가 울도다注+‘嚶嚶’은 새가 울며 서로 화답하는 소리이다.鳥鳴嚶嚶
깊은 골짜기에서 나와出自幽谷
높은 나무로 옮겨가네注+‘喬’는 ‘높다’라는 뜻이다.遷于喬木
앵앵 새의 울음이여嚶其鳴矣
제 벗 찾는 소리로다求其友聲
저 새를 보아도注+‘相’은 ‘보다’라는 뜻이다.相彼鳥矣
오히려 벗을 찾는 소리 내는데猶求友聲
하물며 사람이矧伊人矣
벗을 찾지 않으랴不求友生
神明이 들어주어神之聽之
마침내 화평하게 된다네終和且平


역주
역주1 10-10-가 : 《詩經》 〈小雅 伐木〉에 보인다. 《詩集傳》에 따르면, 〈伐木〉은 총 3장으로 장마다 12구씩이다. 《毛詩注疏》에서는 총 6장에 장마다 6구씩으로 보았다. ‘燕朋友故舊也’부터 ‘民德歸厚矣’까지는 《毛傳》에 보인다.
역주2 亦小雅篇名 : 亦을 쓴 것은, 9-15-가에 《詩經》 〈小雅 鹿鳴〉이 나왔기 때문으로 보인다.
역주3 朋友故舊 : 공영달에 따르면, ‘朋’은 同門을, ‘友’는 同志를, ‘故舊’는 예전의 붕우를 말한다. 《毛詩注疏 伐木 孔穎達疏》
역주4 : 대전본에는 ‘比’로 되어 있으나, 오자이다.
역주5 常棣 : 《詩經》 〈伐木〉 앞에 있는 시이다. 8-4-가 참조. 〈小序〉에 따르면, 〈상체〉는 형제에게 연향을 베풀 때의 시로, 管叔과 蔡叔이 도리를 그르친 것을 근심하여 周公이 지었다고 한다.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