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9-5-나(按)
按 婦者 坤道也 故以柔順爲貴而無專制之義하고 夫者 乾道也 故以剛健爲貴而有帥人之智하니
帥人者 謂其剛明果斷 可以統御乎人也 士大夫則統制一家하고 諸侯則統御一國하고 天子則統御天下 無二道也
爲婦而剛彊이면 則婦不婦矣 爲夫而柔弱이면 則夫不夫矣 夫也者夫也 謂其當盡丈夫之道也
至於居廣居‧立正位‧行大道而富貴‧貧賤‧威武所不能移奪者然後 謂之大丈夫라하시니 於此 可見夫與婦之分矣로소이다
以上 論天理人倫之正이라 []


原注
9-5-나(按)
[臣按] 婦人은 坤의 도리이므로 유순함을 귀하게 여겨 혼자 결단하는 의리가 없으며, 장부는 乾의 도리이므로 강건함을 귀하게 여겨 남들을 이끄는 지혜가 있습니다.
‘남들을 이끈다.’라는 것은 그 剛明함과 과단성이 남들을 통솔할 수 있다는 말이니, 士와 大夫가 한 집안을 통솔하고 제후가 한 나라를 통솔하고 천자가 천하를 통솔하는 것은, 그 이치가 같습니다.
부인이 되어 굳세면 부인이 부인답지 않은 것이고, 장부가 되어 유약하면 장부가 장부답지 않은 것입니다. ‘夫는 장부라는 뜻이다.’라는 것은 장부가 장부의 도리를 다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孟子는, 여자가 시집갈 때 남편을 거역하지 말라고 하니, 유순함을 正道로 여기는 것은 부녀자의 도리라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廣居(仁)에 살고 正位(禮)에 서며 大道(義)를 행하여 富貴‧貧賤‧威武로 그 뜻을 변치 못하는 데 이른 뒤에야 ‘대장부’라 한다고 하였습니다. 여기에서 장부와 부인의 분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상은 천리와 인륜에 임하는 올바른 처신을 논한 세 번째이다. [부부간의 분별]


역주
역주1 無違……丈夫 : 《맹자》 〈滕文公 下〉 제2장에 보이는데, 다음에 보이는 맹자의 말을 축약한 것이다. “여자가 시집갈 때에 어머니가 훈계하니, 시집갈 때 문에서 전송하면서 경계하기를, ‘너희 집에 가서 반드시 공경하고 반드시 경계하여 남편을 거역하지 말라.’라고 하니, 유순함을 正道로 여기는 것은 부녀자의 도리이다. 천하의 넓은 터전[仁]에 살며, 천하의 바른 자리[禮]에 서며, 천하의 大道[義]를 행하여, 득의하면 백성과 함께 道를 실천하고, 득의하지 못하면 혼자 그 道를 실천하여, 부귀가 마음을 방탕하게 하지 못하며, 빈천이 절개를 변치 못하며, 威武가 지조를 꺾지 못하는 사람을 ‘대장부’라 한다.[女子之嫁也 母命之 往送之門 戒之曰 往之女家 必敬必戒 無違夫子 以順爲正者 妾婦之道也 居天下之廣居 立天下之正位 行天下之大道 得志 與民由之 不得志 獨行其道 富貴不能淫 貧賤不能移 威武不能屈 此之謂大丈夫]”
역주2 : 대전본에는 ‘四’, 사고본에는 ‘五’로 되어 있다. 저본이 옳다.
역주3 夫婦之別 : 사고본에는 없다.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