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4)

대학연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22-4-나(按)
按 費無極之陷郤宛也 豈不寃哉리오 郤宛 未嘗欲飮子常하고 子常 未嘗欲就郤氏以飮也어늘
鑿空造端하여 締怨梯禍하여 旣勸以甲兵獻子常하고 又從而讒之하니
帷兵在門이라 有實可驗이어니 子常 安得而不信諸 三族無罪而誅 由無極一言以陷之也 嗚呼酷哉인저
原注
善乎 沈尹之言也 曰 屛王之耳目하여 使不聰明이라하니
夫人君之耳目 本自聰明이어늘 讒人 翳之 於是 耳不得聞天下之利害하고
目不得覩天下之是非하여 塊然孤立하여 若聾瞽然하니 斯語也 豈獨爲無極리오 古今讒人之害 此一語 足以蔽之矣니이다


原注
22-4-나()
[신안臣按] 비무극費無極극완郤宛을 모함한 일이 어찌 원통하지 않겠습니까. 극완郤宛자상子常에게 술을 대접하려고 한 적이 없었고 자상이 극완의 집에 가서 술을 얻어 마시려고 한 적이 없었는데,
비무극이 있지도 않은 일을 날조하여 원한을 맺게 하고 앙화의 계기를 만들어 갑옷과 무기를 자상에게 바치도록 권하고 또 이것을 이용하여 참소하였습니다.
장막 안의 무기가 문에 있어서 증명할 만한 실체가 있었으니, 자상이 어떻게 그의 참소를 믿지 않을 수 있었겠습니까. 극완의 삼족三族이 아무 죄도 없이 주살된 것은 비무극이 말 한마디로 말미암아 함정에 빠뜨려서이니, 아, 참혹합니다.
原注
훌륭합니다. 침윤술沈尹戌의 말이. “왕의 귀와 눈을 가려 밝게 듣고 밝게 보지 못하게 하였다.”라고 하였습니다.
무릇 군주의 귀와 눈은 본래 밝게 듣고 밝게 보는 것인데, 참소하는 사람이 그 귀와 눈을 가리므로 이에 귀로는 천하의 이해利害를 듣지 못하고
눈으로는 천하의 시비是非를 살피지 못하여 우두커니 아무것도 모른 채 마치 귀머거리나 장님과도 같게 되었으니, 이 말이 어찌 비무극만을 두고 한 말이겠습니까. 고금의 참소하는 사람의 해악을 이 한마디 말이 설명하기에 충분합니다.


역주
역주1 : 저본‧대전본‧사고본에는 ‘戍’로 되어 있으나, 통행본 《춘추좌씨전》‧《史記》에 근거하여 바로잡았다.
역주2 : 사고본에는 없다.

대학연의(4)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