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12-12-나(按)
按 此 孟子 指言仁‧義‧知‧禮‧樂之實하여 使人知所以用力之地也
仁義之道 大矣而其切實處 止在於事親‧從兄하니 蓋二者 人之이라
天性之眞 於焉發見하나니 欲爲仁義者 惟致力乎此而已 否則悠悠然‧汎汎然非可據之實地矣
眞知斯二者하여 守之而不去則智之實이요 節文斯二者하여 適隆殺之宜則禮之實이요
於斯二者 行之而樂하여 有從容安適之意하고 無勉强矯拂之爲則樂之實이니
蓋天下之善 未有出於事親‧從兄之外者 苟至於樂則方寸之間 油然自有生意하여 敷暢條達하여 自不可已
足之所蹈 手之所舞 亦將有不知其然而然者矣 然非深玩而實體之 其能此味乎잇가
此章兼言仁‧義‧智‧禮‧樂이라


原注
12-12-나(按)
[臣按] 이것은 맹자가 仁‧義‧知‧禮‧樂의 실상을 가리켜 말함으로써 사람들에게 힘쓸 데를 알게 하고자 한 것입니다.
仁義의 도는 크지만 그 절실한 곳은 단지 부모를 섬기고 형을 따르는 데 있을 뿐입니다. 이 두 가지는 사람이면 누구나 타고나는 지혜[良知]이며 타고나는 재능[良能]입니다.
타고난 참된 본성이 여기에서 발현되니, 仁義를 행하려는 사람은 오직 이 두 가지에 온 힘을 다할 뿐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아득히 멀고 범범히 넓어서 근거로 삼을 수 있는 실제의 일이 아닙니다.
이 두 가지를 참으로 알아서 지키고 버리지 않는 것이 지혜의 실상입니다. 이 두 가지를 등급과 분수에 따라 적절하게 표현하여 더하고 줄이는 마땅함에 꼭 맞게 하는 것이 禮의 실상입니다.
이 두 가지를 행하면서 즐거워하여, 느긋하여 편안한 뜻이 있고 억지로 애를 써서 자신의 생각과 상반되는 행동이 없는 것이 樂의 실상입니다.
천하의 善은 부모를 섬기고 형을 따르는 것 외에서 나온 적이 없으니, 이를 참으로 즐거워하는 단계에까지 이르게 되면 마음속에 저절로 이러한 마음이 성하게 생겨나서 사방으로 뻗어나가 절로 그만둘 수 없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발을 구르고 팔을 흔들며 춤추는 것을 또한 왜 그러는지를 알지 못하고 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깊이 玩索하여 실제로 이를 體行하지 않는다면 이 맛을 알 수 있겠습니까.
이 장은 仁‧義‧智‧禮‧樂을 겸하여 말하였다.


역주
역주1 良知良能 : 《孟子》 〈盡心 上〉 제15장에 “사람들이 배우지 않았는데도 능한 것은 ‘良能’이고, 생각하지 않았는데도 아는 것은 ‘良知’이다.[人之所不學而能者 其良能也 所不慮而知者 其良知也]”라는 내용이 보인다.
역주2 : 대전본에는 ‘知’로 되어 있다.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