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2)

대학연의(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原注
10-6-나(按)
按 程頤曰 天下之治亂 繫乎人君之仁不仁耳 心之非 卽害於政이니 不待乎發之於外
夫政事之失 用人之非 知者 能更之 直者 能諫之
然非心 存焉則事事而更之라도 後復有其事 將不勝其更矣 人人而去之라도 後復其人이라 將不勝其去矣
是以輔相之職 必在乎格君心之非然後 無所不正而欲格君心之非者 非有大人之德則亦莫之能也라하고
而故侍講張栻 亦曰 라하니
蓋君心之非 不可以氣力勝이니 必也感通至到하여 而使之自消靡焉 所謂格也라하니
謂頤‧栻之言 深得孟子本 故略著于此云이로이다


原注
10-6-나(按)
[臣按] 程頤가 말하였습니다. “천하의 治亂은 임금이 어진가 아닌가에 달려 있을 뿐이다. 그릇된 마음이 바로 정사를 해치니, 굳이 그릇된 마음이 드러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다.
옛날에 맹자가 齊나라 왕을 세 번 만나보고도 정사를 말하지 않고 말하기를, ‘나는 먼저 그 그릇된 마음을 다스렸다.’라고 하였으니, 마음이 바르게 된 뒤에야 천하의 일을 제대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잘못된 정책과 잘못된 임용을, 지혜로운 자라면 고칠 수 있으며 충직한 자라면 간할 수 있다.
그러나 임금에게 올바르지 않은 마음이 있으면 사사건건 고치더라도 후에 다시 그러한 일이 생길 것이므로 장차 이루 다 고칠 수 없고, 개개인을 내치더라도 뒤에 다시 그러한 사람을 쓸 것이기 때문에 장차 이루 다 제거할 수 없을 것이다.
이 때문에 輔相의 직책은 반드시 임금의 올바르지 않은 마음을 바로잡아놓은 뒤에야 바르지 않은 것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임금 마음의 잘못을 바로잡고자 하는 사람이 大人의 덕을 갖춘 자가 아니면 또한 임금 마음의 잘못을 바로잡을 수 없다.”
그리고 故 侍講 張栻도 말하였습니다. “‘格’이라는 의미는 感通시켜 도달하게 하는 것이다. 《書經》에 이르기를, ‘上帝를 감통시켰다.’라고 하였다.
대저 임금의 그릇된 마음은 힘으로 이길 수 없으니, 반드시 감통시켜 도달하게 해서 임금의 잘못된 마음이 저절로 사라지게 하는 것이 이른바 ‘格’이다.”
신은, 정이와 장식의 말이 맹자의 본지를 깊이 터득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여기에 간략히 실었습니다.


역주
역주1 孟子……邪心 : 《荀子》 〈大略〉에 보인다. ‘齊王’은 齊 宣王을 가리킨다. ‘我先攻其邪心’이라는 말은 맹자가 세 번 제 선왕을 만나고도 政事에 대하여 말하지 않자, 이를 궁금하게 여긴 제자의 물음에 대답한 것이다. 楊倞은 “정색하고 왕의 사심을 없애야 왕과 이야기할 수 있었던 것이다.[以正色攻去邪心 乃可與言也]”라고 설명하였다. 《荀子 大略 楊倞注》
역주2 天下……能也 : 《孟子集註》 〈離婁 上〉 제20장에 보인다.
역주3 : 사고본에는 ‘用’으로 되어 있다. 통행본 《孟子集註》에도 ‘用’으로 되어 있다.
역주4 格之……格也 : 張栻의 《孟子說》 〈離婁 上〉에 보인다.
역주5 格于上帝 : 《書經》 〈周書 君奭〉에 보인다. 告老하고 돌아가려던 召公 奭을 周公이 만류하면서 깨우칠 때 했던 말에, “내가 듣자니, 옛날 成湯이 이미 天命을 받았는데 이 당시에는 伊尹 같은 이가 있어 皇天을 감통시켰다. 太甲 당시에는 保衡 같은 이가 있었으며, 太戊 당시에는 伊陟과 臣扈 같은 이가 있어 上帝를 감통시켜 하늘에 이르게 했다.[我聞在昔 成湯旣受命 時則有若伊尹 格于皇天 在太甲 時則有若保衡 在太戊 時則有若伊陟臣扈格于上帝]”라는 내용이 보인다. 蔡沈의 《書集傳》에서는 ‘格于上帝’와 관련하여 “이척과 신호가 태무를 보좌한 것은 현인으로서 현군을 보좌하여 그 治化가 능히 하늘의 마음을 만족시켰다.[伊陟臣扈之佐太戊 以賢輔賢 其治化克厭天心]”라고 풀이하였다.
역주6 : 대전본에는 ‘旨’로 되어 있다.

대학연의(2) 책은 2019.10.11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