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4)

대학연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將立奚齊 旣與中大夫成謀注+中大夫, 卽里克也. 克旣許以中立, 卽是成其殺太子之謀也.러니 謂太子曰 君 夢齊姜하시니 必速祭之하라
太子 祭于曲沃하고 歸胙于公注+胙, 祭之酒肉.한대注+田, 畋獵也.이라 寘諸宮六日어늘 毒而獻之注+毒酒經宿輒敗, 而經六日, 明公之惑.한대
祭之地하니 地墳注+墳, 地裂也.하고 與犬하니 犬斃하고 與小臣하니 小臣 亦斃어늘
泣曰 賊由太子니이다 太子하다 謂太子호대하면 君必注+自理.하리라
太子 曰 君非姬氏 居不安‧食不飽하시나니 我辭 姬必有罪 老矣 又不樂注+自理則姬死, 姬死則君必不樂, 是吾使然也.이로다
曰 子其行注+行, 謂出奔.인저 太子 曰 君實不察其罪 被此名也以出이면 人誰納我리오
十二月 縊于新城하다 遂譖二公子曰 皆知之라한대 重耳 奔蒲하고 夷吾 奔屈하다


21-7-가4
해제奚齊를 태자로 세우려고 할 때 이미 중대부中大夫와 모의가 끝난 뒤였다.注+중대부中大夫’는 바로 이극里克이다. 이극이 이미 중립을 지킬 것을 동의하였으니, 바로 이것이 태자를 죽일 계책이 이루어진 것이다. 여희驪姬가 태자에게 말하였다. “임금께서 제강齊姜의 꿈을 꾸셨으니 반드시 속히 제사를 지내도록 하라.”
태자가 곡옥曲沃에서 제사를 지내고 제사 지낸 술과 고기를 헌공獻公에게 보냈는데,注+’는 제사 지낸 술과 고기이다. 헌공이 사냥을 나가 없었다.注+’은 ‘사냥하다’라는 뜻이다. 궁중에 둔 지 엿새째에 헌공이 오자, 독을 타서 헌공에게 올렸다.注+독을 넣은 술은 하룻밤만 지나도 바로 변질되기 마련인데 엿새나 묵혀두었으니, 헌공獻公이 판단력이 흐려진 것을 밝힌 것이다.
헌공이 고신례告神禮를 행하여 땅에 붓자 땅이 끓어올라 갈라졌고注+’은 ‘땅이 끓어오르다’라는 뜻이다. 개에게 던져주자 개가 죽었고 소신小臣에게 주자 소신도 죽었다.
그러자 여희가 눈물을 흘리면서 말하였다. “해치려는 음모는 태자가 꾸민 것입니다.” 태자가 신성新城으로 달아났다. 어떤 사람이 태자에게 말하였다. “그대가 해명하면 임금께서 반드시 분별해낼 것입니다.”注+술을 가져온 지 엿새를 지낸 상황을 가지고 헌공이 스스로 헤아려보는 것이다.
태자가 말하였다. “임금께서는 여희가 아니면 거처해도 편안하지 못하고 먹어도 배부르지 못하신다. 내가 해명하면 여희는 반드시 죄를 받게 될 것이다. 임금께서 늙으셨기 때문에 내가 또 즐겁지 않다.”注+내가 스스로 변론하면 여희驪姬가 죽고 여희가 죽으면 헌공獻公이 틀림없이 즐거워하지 않을 것이니, 이는 나로 말미암아 그렇게 되는 것이다.
그 사람이 말하였다. “그대는 달아나십시오.”注+’은 ‘출분出奔’하는 것을 이른다. 태자가 말하였다. “임금께서 참으로 나에게 죄가 있는지를 살피지 못하셨다. 이러한 죄명을 쓰고 달아난다면 어떤 사람이 나를 받아주겠는가.”
12월에 태자가 신성에서 목을 매어 죽었다. 여희가 마침내 두 공자를 참소하여 말하였다. “둘 다 그 음모를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자 중이重耳로 달아나고 이오夷吾로 달아났다.


역주
역주1 21-7-가4 : 《春秋左氏傳》 魯 僖公 4년(기원전 656) 조에 보인다.
역주2 : 대전본‧사고본에는 없다.
역주3 新城 : 曲沃이다. 《사기》 권39 〈晉世家〉에 따르면, 晉 獻公 16년(기원전 661)에 헌공이 霍나라, 魏나라, 耿나라 3국을 정벌하여 멸망시키고, 돌아와서 태자를 위해 곡옥에 새로 성을 쌓아 거주하게 하였으므로 ‘新城’이라고 한 것이다.
역주4 : 사고본에는 ‘辨’으로 되어 있다.
역주5 六日之狀 : 《國語》 〈晉語2〉에 따르면, “申生이……이내 曲玉에서 제사를 지내고 제사 지낸 술과 고기를 絳에 보냈다. 獻公은 사냥 중이어서 驪姬가 제사 지낸 술과 고기를 받아서는 술에 짐독을 타고 고기에 바곳의 독[菫]을 넣어두었다. 헌공이 도착하자 신생을 불러 바치게 하였다.[申生……乃祭於曲玉 歸福於絳 公田 驪姬受福 乃寘鴆於酒 置菫於肉 公至 召申生獻]”라고 하였다.
역주6 : 대전본에는 ‘同’으로 되어 있다.
역주7 : 대전본에는 없다.
역주8 : 대전본‧사고본에는 없다.
역주9 : 대전본에는 ‘矣’로 되어 있다.

대학연의(4)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