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大學衍義(4)

대학연의(4)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대학연의(4)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爲齊相하고 爲將하여 不相悅이러니 注+齊人. 謂鄒忌曰 公 何不爲王謀伐魏
勝則君之功也 戰不勝하면 田忌不進注+, 不進用也.이니 戰而不死라도而誅注+, 謂師不直前而敗. 漢法, 有誅.라한대
鄒忌 以爲然하여 乃說王하여 使田忌 伐魏하니 三戰三勝이어늘 鄒忌 以告公孫閈한대
乃使人操十金하여 卜於市曰 我 田忌之人也로니 三戰三勝하여 聲威天下할새 欲爲大事하노니 吉否注+大事, 謂反叛也.
卜者커늘 因令人捕卜者하여 驗其辭於王前한대 하다


22-8-가
추기鄒忌나라의 이 되고 전기田忌가 장군이 되었는데 서로 사이가 좋지 않았다. 공손한公孫閈注+공손한公孫閈’은 나라 사람이다. 추기에게 말하였다. “공께서는 왜 왕을 위하여 나라 정벌을 도모하지 않습니까.
싸움에서 이기면 그대의 공이고, 싸움에서 이기지 못하면 전기가 더 이상 등용되지 않을 것이니,注+부진不進’은 공이 없어 더 이상 등용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싸우다 죽지 않더라도 싸움을 겁내 물러선 것으로 간주되어 주살될 것입니다.”注+곡뇨曲撓’는 군대가 곧바로 전진하지 않아 패배한다는 뜻이다. 나라 법에 따르면, 적군이 무서워 피하거나 적에게 굴복한 경우에는 주살하였다.
추기가 이 말을 옳게 여겼다. 이에 제 위왕齊 威王을 설득하여 전기로 하여금 위나라를 정벌하게 하니, 세 번을 싸워 세 번을 이겼다. 추기가 이 소식을 공손한에게 알려주자,
공손한이 이에 사람을 시켜 10을 가지고 저잣거리에서 점을 보게 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하게 하였다. “나는 전기의 사람이다. 우리가 세 번 싸워 세 번 이겨서 천하에 명성과 위엄을 떨쳤다. 큰일을 해보려고 하는데 길하겠는가?”注+대사大事’는 반란을 말한다.
점쟁이가 그 자리를 떠나자, 이어서 사람을 시켜 점쟁이를 체포하여 위왕 앞에서 그 말을 하게 하였다. 전기가 마침내 달아났다.


역주
역주1 22-8-가 : 《戰國策》 〈齊策 齊1〉에 보인다.
역주2 鄒忌 : 생몰년은 자세하지 않다. 기록에 따라 騶忌(추기), 騶忌子라고도 한다. 전국시대 齊나라 사람으로, 桓公, 威王, 宣王을 섬겼다. 위왕 초년에 相이 되었으며, 위왕 22년(기원전 357)에는 下邳(하비)를 封地로 받고 成侯에 봉해졌다. 현인을 등용시키고 법률을 정비하는 등의 치적이 있었으나 田忌와는 불화가 있어서 그를 달아나게 만들었다.
역주3 田忌 : 생몰년은 자세하지 않다. 기록에 따라 田期, 田期思, 陳忌 등으로 되어 있다. 전국시대 齊나라 사람으로, 威王 때 장수가 되어 孫臏(손빈)을 왕에게 추천했다. 위왕 26년(기원전 353)에 魏나라 군대가 趙나라의 수도 邯鄲(한단)을 포위하자 병사를 이끌고 桂陵에서 위나라 군대를 대패시켰다. 鄒忌와 알력이 생겨 楚나라로 달아났다가 齊 宣王이 즉위한 뒤에 다시 장수로 기용되었다. 선왕 2년(기원전 341)에는 손빈과 함께 馬陵에서 魏나라의 龐涓(방연)을 격파하고 위나라의 태자 申을 사로잡았다. 《史記 卷46 田敬仲完世家》
역주4 公孫閈 : 생몰년은 자세하지 않다. 齊나라 사람으로, 본래 鄒忌의 문객이었다가 나중에 田嬰(전영)의 문객이 되었다. 《사기》에는 公孫閱(공손열)로 되어 있다. 《戰國策 齊策 齊1》 《史記 卷46 田敬仲完世家》 《何建章 注釋, 戰國策注釋, 北京:中華書局, 2011, 297쪽》
역주5 : 대전본에는 ‘用’으로 되어 있다.
역주6 : 사고본에는 ‘橈’로 되어 있다.
역주7 : 사고본에는 ‘橈’로 되어 있다.
역주8 逗撓 : 대전본에는 ‘追遶’로, 사고본에는 ‘逗橈’로 되어 있다. 司馬貞은 東漢 때의 應劭의 말을 인용하여, ‘逗’는 우회하여 가서 적을 피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橈’는 굴복하여 약해지는 것이다. 《史記 卷108 韓長孺列傳 司馬貞索隱》
역주9 田忌遂走 : 《사기》에는 이때가 齊 威王 35년(기원전 344)으로, 전기가 수하들을 이끌고 추기를 제거하려고 했다가 이기지 못하여 망명한 것으로 되어 있다. 《資治通鑑》에는 周 顯王 28년(기원전 341) 기사에 보인다. 《史記 卷46 田敬仲完世家》 《資治通鑑 卷2 周紀2 顯王 28年》

대학연의(4) 책은 2021.01.06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