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歷代君鑑(1)

역대군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역대군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五帝
少昊金天氏
少昊金天氏 曰摯 亦曰靑陽이니 以金德王하야 號金天氏 能修太昊之法이라 故曰少昊 少昊初立 鳳鳥適至하니 因作鸞鳳之書
以鳥紀官하야 鳳鳥氏爲曆正하고 玄鳥氏司分하고 伯趙氏司至하고 靑鳥氏司啓하고 丹鳥氏司閉하니 是爲曆正之四屬이라
立祝鳩氏司敎化하고 雎鳩氏司政法하고 鳲鳩氏司土田하고 爽鳩氏司刑禁하고 鶻鳩氏司事하니 是爲鳩民之五官이라
立五雉爲五工正하야 利器用하며 正度量하야 以夷民者也
立九扈爲九農正하야 扈民無淫者也
而其四叔 重明木之性하야 爲勾芒하고 該明金之性하야 爲蓐收하고 脩及煕明水之性하야 爲玄冥하야 世不失職하야 遂濟窮桑이라
帝之御世也 諸福之物畢至하니 爰立建鼓하고 制浮磬하야 以通山川之風하고 作大淵之樂하야 以諧人神하야 和上下하니 是曰九淵이라
在位八十四年이요 享年百歲


오제
소호금천씨
2-1-1 소호금천씨의 이름은 이고 또 다른 이름은 청양靑陽이니, 금덕金德으로 왕이 되었기 때문에 금천씨金天氏라고 부르고, 태호복희씨太昊伏羲氏의 법을 잘 행했기 때문에 소호少昊라고 한다. 소호씨가 처음 왕이 되었을 때에 봉조鳳鳥가 마침 나타났으므로 난봉서鸞鳳書(전설상의 서체書體)를 만들었다.
少昊少昊
기물을 편리하게 하고 도량형을 바르게 하여 백성들이 교역하는 것을 공평하게 하였다.
를 세워 아홉 농정農正을 삼아서 백성들이 방탕하지 않게 하였다.
그리고 이 있는데, 에 밝아서 구망勾芒이 되고, 의 성에 밝아서 욕수蓐收가 되고, 의 성에 밝아서 현명玄冥이 되어 대대로 그 직책을 잃지 않아서 마침내
소호금천씨가 세상을 다스릴 때에 여러 가지 이 되는 사물이 모두 이르렀다. 이에 를 세우고, 을 만들어 산천山川의 바람이 소통되게 하고, 대연大淵이라는 음악을 만들어서 사람과 을 조화롭게 하고 상하上下를 화평하게 하니, 이것을 이라고 한다.
재위 기간은 84년이고, 향년은 100세였다.


역주
역주1 鳳鳥氏를……삼고 : 봉조가 天時를 알기 때문에 曆正의 관직 이름을 봉조씨라고 한 것이다.(≪五禮通考≫ 권213 〈嘉禮86 設官分職〉)
역주2 玄鳥氏를……삼고 : 현조는 제비이다. 春分에 왔다가 秋分에 가기 때문에 司分의 관직 이름을 현조씨라고 하여 춘분과 추분을 주관하게 한 것이다.(≪五禮通考≫ 권213 〈嘉禮86 設官分職〉)
역주3 伯趙氏를……삼고 : 백조는 伯勞인데 夏至에 울기 시작하여 冬至에 그치므로 司至의 관직 이름을 백조씨라고 하여 동지와 하지를 주관하게 한 것이다.(≪五禮通考≫ 권213 〈嘉禮86 設官分職〉)
역주4 靑鳥氏를……삼고 : 청조는 鶬鴳인데 立春에 울기 시작하여 夏至에 그치므로 司啓의 관직 이름을 청조씨라고 한 것이다.(≪五禮通考≫ 권213 〈嘉禮86 設官分職〉)
역주5 丹鳥氏를……삼으니 : 단조는 鷩雉인데 立秋에 왔다가 立冬에 가므로 司閉의 관직 이름을 단조씨라고 한 것이다.(≪五禮通考≫ 권213 〈嘉禮86 設官分職〉)
역주6 祝鳩氏를……하고 : 축구는 鷦鳩이다. 초구는 효도를 하는 새이기 때문에 司徒로 삼아 백성을 가르치는 일을 주관하게 한 것이다.(≪五禮通考≫ 권213 〈嘉禮86 設官分職〉)
역주7 雎鳩氏에게……하고 : 저구는 王鴡이다. 사나우면서 분별이 있기 때문에 司馬로 삼아 法官을 주관하게 한 것이다.(≪五禮通考≫ 권213 〈嘉禮86 設官分職〉)
역주8 鳲鳩氏에게……하고 : 시구는 鴶鵴이다. 시구는 고르기[平均] 때문에 司空으로 삼아 水土를 고르게 다스리도록 한 것이다.(≪五禮通考≫ 권213 〈嘉禮86 設官分職〉)
역주9 爽鳩氏에게……하고 : 상구는 매[鷹]이다. 사납기 때문에 司寇로 삼아 도적을 주관하게 한 것이다.(≪五禮通考≫ 권213 〈嘉禮86 設官分職〉)
역주10 鶻鳩氏에게……하니 : 골구는 鶻鵃이다. 봄에 왔다가 겨울에 가기 때문에 司事로 삼은 것이다.(≪五禮通考≫ 권213 〈嘉禮86 設官分職〉)
역주11 5雉를……삼아서 : 꿩의 종류에 다섯 가지가 있는데, 서쪽에서 나는 꿩을 鷷雉라고 하고, 동쪽에서 나는 꿩을 鶅雉라고 하고, 남쪽에서 나는 꿩을 翟雉라고 하고, 북쪽에서 나는 꿩을 鵗雉라고 하고, 伊水와 洛水 남쪽에서 나는 꿩을 翬雉라고 한다. 준치는 나무를 다루는 工正이 되고, 치치는 벽돌이나 진흙을 다루는 공정이 되고, 적치는 쇠를 다루는 공정이 되고, 희치는 가죽을 다루는 공정이 되고, 휘치는 五色을 다루는 공정이 된다.(≪春秋左氏傳杜林合注≫ 권39 〈昭公 17년〉)
역주12 9扈 : 扈는 콩새인데 9종이 있다. 春扈는 鳻鶞이라고 하고, 夏扈는 竊元이라고 하고, 秋扈는 竊藍이라고 하고, 冬扈는 竊黄이라고 하고, 棘扈는 竊丹이라고 하고, 行扈는 唶唶라고 하고, 宵扈는 嘖嘖이라고 하고, 桑扈는 竊脂라고 하고, 老扈는 鷃鷃이라고 한다. 아홉 가지 扈로 아홉 農正을 명칭을 삼아 각각 그 이름에 알맞게 백성들에게 농사를 가르친다.(≪五禮通考≫ 권213 〈嘉禮86 設官分職〉)
역주13 四叔 : 少昊氏의 자손인데, 몇 대 자손인지는 알 수 없다.(≪儀禮經傳通解續≫ 권23 〈地示 祭禮7〉)
역주14 窮桑을 이루었다 : 窮桑은 魯나라 북쪽에 있는 지명인데 소호씨가 궁상에 도읍하여 왕이 되었기 때문에 소호씨를 窮桑帝라고 부른다. 窮桑을 이루었다는 것은 소호씨의 治功을 이루었다는 뜻이다.(≪儀禮經傳通解續≫ 권23 〈地示 祭禮7〉)
역주15 建鼓 : 북인데, 용도는 분명치 않다.(≪御批歴代通鑑輯覽≫ 권1 〈少昊金天氏〉)
역주16 浮磬 : 林之奇의 설에 의하면 경쇠를 만드는 돌은 지극히 가벼운 돌을 쓰기 때문에 부경이라고 한다.(≪御批歴代通鑑輯覽≫ 권1 〈少昊金天氏〉)
역주17 九淵 : 大淵과 같은 말인데, 唐나라의 諱를 피하기 위해 ‘大’자를 ‘九’자로 고친 것이다. 당나라의 文集들은 모두 ‘淵’자까지 고쳐서 ‘九泉’으로 기록하였다.(≪路史≫ 권16 〈後紀7 疏仡紀 小昊〉)

역대군감(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