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歷代君鑑(3)

역대군감(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역대군감(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2-1-16
○七月 時饗太廟하고 上還御奉天殿하야 遣使祭告嶽鎭海瀆諸神하고 上出視朝奉天門하니 百官奏事退어늘 復召侍臣하야 與語久之하니 時已五鼓
侍臣請曰 聖躬勤勞하시니 須少息하소서 上曰 朕常在宮中하야 周思庶事하야 或一事未行이어나 或行之未善이면 卽不寐하야 至旦必行之라야 乃心安하니 積習旣久하고 亦忘其勞
蓋甞自念才德不逮하니 若又不專心志勤思慮 所行何由盡善이며 生民何以得安이리오 蓋勤於思則理得하고 勤於行則事治하니 勤之於道 細民 不敢廢어든 況君乎


32-1-16
7월에 태묘太廟시향時饗을 올리고 태종이 봉천전奉天殿에 돌아와 임어하여 사자使者를 보내 의 여러 신에게 제사를 올려 고하였다. 제사를 마치고 태종이 봉천문奉天門에서 조회를 보니 백관이 일을 아뢰고 물러나거늘 다시 시신侍臣을 불러서 오랫동안 함께 얘기를 하다가 시각이 5가 되었다.
시신이 청하기를, “성상의 몸이 피곤하실 것이니 조금 쉬소서.” 하니, 태종이 이르기를, “짐이 항상 궁중에 있으면서 여러 일을 두루 생각하여 혹시 한 가지 일이라도 행하지 않고 혹시 행했더라도 잘 행하지 않았으면 잠을 이루지 못해서 아침이 되어 반드시 행해야만 비로소 마음이 편안하였으니, 이런 습관이 쌓인 지 이미 오래되었고 또한 그 고생도 잊었노라.
일찍이 스스로 생각건대 재능과 덕이 다른 사람에 미치지 못하는데 만약 또 심지心志를 온전히 쓰고 생각을 부지런히 하지 않으면 행한 것이 무슨 수로 완전히 잘되겠으며 백성들이 어떻게 편안함을 얻겠는가. 대체로 생각을 부지런히 하면 이치에 맞게 되고, 행하는 데에 부지런하면 일이 다스려진다. 부지런함이란 도리에 있어 일반 백성들도 감히 폐기하지 않는데, 더구나 임금은 말할 것이 있겠는가.” 하였다.


역주
역주1 嶽과……瀆 : 천자가 제사를 지내는 산천의 神으로 五嶽과 五鎭과 四海와 四瀆을 가리킨다. 五嶽은 東岳 泰山․南岳 衡山․西岳 華山․北岳 恒山․中岳 嵩山을 가리키고, 오악 이외의 큰 산을 五鎭이라고 하는데, 東鎮인 青州 沂山․西鎮인 雍州 吳山․中鎮인 冀州 霍山․南鎮인 揚州 會稽山․北鎮인 幽州 醫巫閭山을 가리킨다. 四海는 東海․西海․南海․北海를 가리키고, 四瀆은 長江․黃河․淮河․濟水를 가리킨다.

역대군감(3)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