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歷代君鑑(2)

역대군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역대군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4-1-18
史臣論曰
帝自居穆親宅으로 孝德著聞하다 濮安懿王薨 以所玩物分諸子하니 帝所得 悉以與王府舊人하다 旣塟而辭去者 宗室有假金帶而以銅帶歸하니 主吏以告한대 帝曰 眞吾帶也 受之하다
命殿侍하야 鬻犀帶하니 直錢三十萬이라 亡之하니 帝亦不問하다
初辭皇子 請潭王宮敎授周孟陽하야 作奏하니 孟陽有所勸戒한대 卽拜而謝之하다 奏十餘上 不允하니 猶執初志한대
司馬光進言曰 皇子辭不貲之富 至於旬月하니 其賢於人遠矣 然父召無諾이요 君命召不俟駕하나니 願以臣子大義責之 宜必入하리이다 仁宗從之하다
帝始受命하고 將入宮 良賤不滿三十人이요 行李蕭然하야 唯書數厨而已 中外相賀러라
旣爲皇子 愼靜恭默하야 無所猷爲로되 而天下陰知其有盛德云이라 及卽位 每命近臣 必以官而不以名하니
大臣從容以爲言한대 帝曰 朕雖宮中命小臣이나 亦未嘗以名也로라
一日語神宗曰 國家舊制 士大夫之子有尙帝女 皆升行以避舅姑之尊하니 義甚無謂 朕嘗思此하야 寤寐不平하니 豈可以富貴之故 屈人倫長幼之序也리오
詔有司革之러니 會疾不果하니 神宗述其事焉하다


24-1-18
사신史臣이 다음과 같이 논하였다.
“영종이 목친택穆親宅에 살 때부터 효성과 덕행이 알려졌다. 복안의왕濮安懿王이 죽자 그가 완상玩賞하던 물건들을 아들들에게 나누어주니, 영종이 얻은 것을 모두 왕부王府의 옛사람들에게 주었다. 장례를 치르고 돌아갈 때에 종실宗室 중에 금대金帶를 빌려갔다가 동대銅帶를 돌려준 자가 있자 주리主吏가 고하니, 영종이 이르기를, ‘참으로 나의 이다.’ 하고 받았다.
전시殿侍에게 명하여 서대犀帶를 팔게 하였는데 그 값이 30만 이었다. 전시가 이것을 가지고 달아났으나 영종이 이것도 추궁하지 않았다.
처음에 황자皇子를 사양할 때에 담왕궁교수潭王宮敎授 에게 주문奏文을 짓게 하였는데, 주맹양이 권면하고 경계하는 말을 하자 즉시 절하고 사의를 표하였다. 10여 차례 주문을 올려 사양하였으나 인종이 윤허하지 않았는데도 오히려 처음 뜻을 고집하니,
사마광司馬光이 진언하기를, ‘황자가 헤아릴 수 없는 부귀富貴를 사양하기를 한 달 동안이나 하니 그 어짊이 남들보다 월등히 뛰어납니다. 그러나 신하와 자식의 대의大義로 꾸짖으시면 반드시 들어올 것입니다.’ 하니, 인종이 그 말을 따랐다.
영종이 처음 명을 받고 장차 입궁入宮할 때에 데리고 간 양인良人천인賤人이 30명이 못 되었고, 꾸린 행장이 단출하였고 오직 책 몇 상자뿐이니, 중외中外가 서로 경하하였다.
황자가 된 뒤에는 신중하고 차분하며 공손하고 말이 없어 일을 꾀하고 행한 것이 없었으나 천하 사람들은 그에게 성대한 덕이 있음을 속으로 알고 있었다고 한다. 황제에 즉위하여서는 근신近臣에게 명을 내릴 때마다 반드시 관명官名으로 부르고 이름을 부르지 않았다.
대신大臣이 조용히 말을 하자 영종이 이르기를, ‘짐이 궁중에서 소신小臣에게 명을 할 때에도 이름을 부른 적이 없다.’ 하였다.
어느 날 신종神宗에게 이르기를, ‘나라의 옛 제도에 사대부의 아들이 황제의 딸에게 장가들 경우 모두 승항升行하여 구고舅姑존엄尊嚴을 피하니, 도의道義로 볼 때 매우 의의가 없다. 짐이 일찍이 이 일을 생각하며 자나 깨나 마음이 편치 않으니, 어찌 부귀富貴하다는 이유로 인륜의 장유유서長幼有序를 억누를 수 있겠는가.’ 하였다.
유사有司에게 명하여 고치려고 하였는데, 마침 병이 들어 시행하지 못하니, 신종이 그 일을 술회하였다.”


역주
역주1 周孟陽 : 宋나라 成都 사람으로, 자는 春卿이다. 仁宗, 英宗, 神宗을 모두 섬겼고, 벼슬은 潭王宮敎授, 直祕閣, 同知太常禮院, 集賢殿修撰, 天章閣待制 등을 역임하였다.
역주2 아버지가……않고 : ≪禮記≫ 〈玉藻〉에, “아버지가 부르면 빠르게 대답해야지 느긋하게 대답해서는 안 된다. 만약 손에 일을 잡고 있을 때에는 일을 내던지고, 음식이 입에 있을 때에는 뱉고 달려가야지 종종걸음으로 가서는 안 된다.[父命呼 唯而不諾 手執業則投之 食在口則吐之 走而不趨]”라고 한 말을 인용한 것이다.
역주3 임금이……것이니 : 공자가 임금을 섬기는 禮를 기록한 내용으로, “공자는 임금이 부르면 수레에 멍에 매기를 기다리지 않고 급히 걸어서 먼저 출발하셨다.[君命召어시든 不俟駕行矣러시다]”라고 한 말을 인용한 것이다.(≪論語≫ 〈鄕黨〉)

역대군감(2)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