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歷代君鑑(3)

역대군감(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역대군감(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30-1-40
○閏五月 勅遼東守將潘敬葉旺曰
奏至 知高麗龍州鄭白等 率男婦來降하니 朕未審將軍識其計否 高麗僻居海隅하야 其俗尙詐하고 其性多頑이라
況人情莫不安土重遷하니 豈有舍桑梓而歸異鄕者耶 斯必示弱於我 如墮其計 則不過一二年間 至者接跡하리니 其害豈小小哉 符至之日 開諭來者令還하야 以破彼奸하라
今中國方寧하니 正息兵養民之時 爾與東夷接境하니 愼勿妄生小隙하야 使彼得以藉口하라 若我正而彼邪하야 彼果不臧이면 則師出有名矣 其來降者切不可留하라
春秋有云 毋納逋逃라하니 不然이면 則邊患將由此而啓矣리라


30-1-40
윤5월에 요동遼東수장守將 에게 칙교를 내렸다.
“올라온 주문奏文을 보고 고려高麗 용주龍州 등이 남녀 백성을 데리고 와서 항복했다는 것을 알았는데, 짐은 장군들이 그들의 계책을 알고 있는지 모르겠다. 고려는 먼 바닷가에 위치하여 그 풍속은 속이는 것을 숭상하고 그들의 성격은 흉악하다.
더구나 사람의 심리는 자기가 사는 곳을 편안히 여기고 옮기는 것을 어렵게 여기는데 어찌 고향을 버리고 다른 나라로 귀순하려는 자가 있겠는가. 이는 필시 우리에게 약함을 보이려는 것이다. 저들의 계책에 빠지면 불과 한두 해 사이에 오는 자가 이어질 것이니 그 해가 어찌 작겠는가. 부신符信이 그곳에 도착하는 날에 온 자들을 타일러 돌아가게 해서 저들의 간계를 깨뜨리라.
지금 중국이 편안하니 바로 병사를 쉬게 하고 백성을 기를 때이다. 너는 동이東夷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니, 함부로 작은 틈을 만들어서 저들로 하여금 빌미를 삼지 말게 하라. 만약 우리가 바르고 저들이 사특하여 저들이 실로 선하지 않으면 군대를 출동시키는 데에 명분이 있게 될 것이니, 그 와서 항복한 자들을 절대 머물지 못하게 하라.
춘추春秋≫에 이르기를, ‘도망해온 자를 받아들이지 말라.’ 하였으니, 그렇지 않으면 변경의 우환이 장차 이로 말미암아 열리게 될 것이다.”


역주
역주1 潘敬 : 潘敬에 대한 기록은 ≪明史≫ 〈朝鮮傳〉에 遼東守將이라는 한 차례 기록만 나오고, ≪高麗史節要≫ 禑王 5년과 10년조에 遼東摠兵으로 나온다.
역주2 葉旺 : ?~1388. 明나라 廬州府 六安 사람이다. 指揮僉事로 벼슬을 시작하여 洪武 초에 遼東都指揮使가 되었고, 홍무 8년(1375)에 遼東都督僉事가 되었다. 홍무 19년(1386)에 京師로 들어와 後軍都督府僉事가 되었다가 3개월 후에 다시 요동으로 파견되었다가 요동에서 죽었다.(≪明史≫ 권134 〈葉旺列傳〉)
역주3 鄭白 : 高麗時代의 기록에는 정백에 대한 기록이 없고, ≪明史≫ 〈葉旺列傳〉에 “홍무 12년(1379)에 龍州의 鄭白 등이 內附하기를 청하자 葉旺이 조정에 보고하니 명 태조가 말하기를, ‘신하는 다른 나라와 外交할 수 없다. 이는 間諜의 조짐이니 가벼이 믿지 말라. 저들은 단지 우리에게 약함을 보여서 우리 변방의 빈틈을 엿보려고 하는 것이니 돌려보내라.’라고 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

역대군감(3)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