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歷代君鑑(2)

역대군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역대군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9-1-61
○上欲擧行耕籍田禮하야 諭廷臣曰 古者 天子籍田千畝 所以供粢盛하고 備饙饎러니 自經喪亂으로 其禮已廢하야 上無以敎하고 下無以勸이라
朕莅祚以來 悉修先王之典호되 而籍田爲先이라 故首擧而行之하야 以爲天下勸하노라하다
時監察御史有歷班而言曰 耕籍田則力本者知所重矣니이다하니
上曰 欲財用之不竭하고 國家之常裕하며 鬼神之常享인댄 必也務農乎인저 故后稷樹藝稼穡而生民之詩作하고 成王播厥百穀而噫嘻之頌興하니 有國家者其可棄是而不講乎아하고 遂命以來春擧籍田禮하다


29-1-61
태조가 을 경작하는 를 거행하고자 하여 조정의 신하들에게 효유하기를, 을 공급하고 를 준비하기 위해서였다. 그런데 상란喪亂을 겪은 이후로 그 가 이미 사라져서 윗사람은 가르칠 근거가 없고 아랫사람은 권면할 길이 없어졌다.
짐은 즉위한 이래 선왕先王전례典禮를 모두 정리하되, 적전을 우선으로 하였다. 그러므로 제일 먼저 그 예를 거행하여 천하天下의 백성들을 권면하려 한다.” 하였다.
당시 감찰어사監察御史 가운데 직무를 두루 역임한 자가 말하기를, “폐하께서 적전을 경작하시면 근본에 힘쓰는 농민들이 중요한 바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하니,
태조가 이르기를, “재용財用이 다하지 않게 하고 국가國家가 늘 넉넉하게 하며 귀신鬼神이 항상 흠향하게 하려 한다면 반드시 농업에 힘써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후직后稷이 오곡을 심어 가꾸고 거두어들이자 가 지어졌고 성왕成王백곡百穀을 파종하게 하자 이 일어났으니, 국가國家를 소유한 자가 어찌 이것을 버리고 강론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하고, 마침내 내년 봄에 를 거행하라고 명하였다.


역주
역주1 籍田 : 임금이 백성들에게 勸農하는 뜻으로 친히 시범을 보이기 위해 경작하는 田地인데, 여기에서 수확된 곡식으로 상제와 종묘 등의 粢盛에 사용하였다. 백성들의 힘을 빌려[籍] 경작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藉田이라고도 한다.
역주2 옛날에……것 : ≪通鑑節要≫에 “≪史記≫의 注에 ‘옛날 天子는 籍田 1,000畝를 경작하여 천하에 솔선하였으니, 籍이라는 것은 帝王의 典籍의 떳떳함이다.’ 하였다.[史記注 古者天子耕籍田千畝 爲天下先 籍者 帝王典籍之常]” 하였다.(≪通鑑節要≫ 권9 〈漢紀 世宗孝武皇帝 6년〉)
역주3 粢盛 : 제사를 지낼 적에 쓰는 밥을 말하는데, 제사에 올려서 神이 흠향하게 하는 것이다. ≪春秋左氏傳≫의 주에 이르기를, “黍稷을 粢라 하고, 그릇에 담겨 있는 것을 盛이라 한다.” 하였다.(≪通鑑節要≫ 권7 〈漢紀 太宗孝文皇帝 2年〉)
역주4 饙饎 : 술밥을 가리키는 말로, 조촐한 제삿밥을 의미한다. ≪詩經≫ 〈大雅 泂酌〉에 “멀리 저 고인 물을 퍼서, 저기서 떠다가 여기에 부어놓아도, 쌀을 찌고 술밥도 만들 수 있도다. 화락한 군자여, 백성의 부모로다.[泂酌彼行潦 挹彼注玆 可以饙饎 豈弟君子 民之父母]” 하였다.
역주5 生民의 시 : 〈生民〉은 ≪詩經≫ 〈大雅〉의 편명으로, 后稷이 태어날 때의 상서로움과 그의 공덕을 노래한 시이다.
역주6 噫嘻의 頌 : 〈噫嘻〉는 ≪詩經≫ 〈周頌〉의 편명으로, 成王이 처음으로 田官을 두고 농부들을 거느려 百穀을 파종하게 한 공덕을 칭송한 시이다.
역주7 籍田의 禮 : ≪通鑑節要≫에 “≪禮記≫ 〈月令〉에 ‘孟春에 天子가 친히 耒耜를 싣고서 이것을 參乘인 保介와 御者 사이에 두고, 三公․九卿․諸侯․大夫들을 거느리고 몸소 황제의 籍田을 경작하되 天子는 세 번 밀고, 삼공은 다섯 번 밀고, 경과 제후는 아홉 번 민다. 돌아와서 大寢에서 술잔을 올리면 삼공, 구경, 제후, 대부가 모두 모시니, 이것을 명하여 勞酒(위로하는 술)라 한다.’ 하였으니, 이것이 親耕하는 禮이다.[記月令 孟春 天子親載耒耜 措之於參保介之御間 帥三公九卿諸侯大夫 躬耕帝籍 天子三推 三公五推 卿諸侯九推 反執爵于大寢 三公九卿諸侯大夫皆御 命曰勞酒 此親耕禮也]” 하였다.(≪通鑑節要≫ 권9 〈漢紀 世宗孝武皇帝 6년〉)

역대군감(2)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