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歷代君鑑(1)

역대군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역대군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夏禹 帝顓頊之後 禹之父이니 顓頊五世孫也
以崇伯事堯러니 堯時 洪水滔天하야 治水無功하야 殛死 舜旣攝位 擧禹使續父業이라
爲人 克勤敏給하며 其德不違하고 其仁可親하며 其言可信이라 聲爲律하며 身爲度하며 左準繩하며 右規矩
傷其父鯀 功用不成而受殛하야 乃勞身焦思하야 居外十三年 過家門不入하고 娶于塗山하야 辛壬癸甲하며 啓呱呱而泣이어늘 亦弗皇子也
陸行乘車하고 水行乘舡하며 泥行乘橇하고 山行乘檋하야 隨山刊木이라
曁益으로 奏庶鮮食하며 决九川距四海하며 濬畎澮距川이라 曁稷으로하야 奏庶艱食鮮食하고 懋遷有無하야 化居하니 烝民 乃粒하야 萬邦 作乂
蓋治水 自冀始하야 自冀而東하야 治兗靑徐하고 自徐而南하야 治揚荊하고 自荊而西하야 治豫梁雍이라
皆相其土田草木之宜하야 以作貢賦하니 謂之禹貢이라


하나라
3-1-1 하우씨夏禹氏제전욱帝顓頊의 후손이다. 의 아버지는 이니 전욱顓頊의 5세손이다.
大禹大禹
숭백崇伯으로서 섭위攝位하고 나서 우를 등용하여 아버지인 곤의 일을 계승하게 하였다.
우는 됨됨이가 부지런하고 민첩하며, 그 덕은 도리에 위배되지 않고, 그 은 친하게 지낼 만하며, 그의 말은 믿을 만하였다. 그의 목소리는 음률音律이 되고, 그의 몸은 법도가 되며, 왼쪽으로 운용하는 것은 수준기水準器나 먹줄에 맞고 오른쪽으로 운용하는 것은 그림쇠나 곱자에 맞았다.
그의 아버지 곤이 치수를 성공하지 못하여 수감된 일을 슬퍼하여 몹시 고생하고 애를 태워서 집을 떠나서 지낸 지 13년 동안 자기 집 앞을 지나면서도 들어가지 않았고, 그 후에 가 태어나 응애응애하고 우는데도 아들을 사랑해주지 못하였다.
육지에서는 수레를 타고, 물에서는 배를 타고, 진흙에서는 뻘배를 타고, 산길에서는 을 신고서 산을 기준으로 다니면서 물길을 막고 있는 나무들을 베어내 제거하였다.
과 함께 과 파종하는 것을 가르쳐서 곡식이 많이 있는 곳에서 없는 곳으로 곡식을 옮겨 교역交易하도록 권면하니, 백성들이 이에 곡식을 먹어서 만방萬邦이 다스려졌다.
대체로 치수治水기주冀州에서부터 시작하였는데, 기주로부터 동쪽으로 가서 연주兗州, 청주靑州, 서주徐州를 다스리고, 서주로부터 남쪽으로 내려와 양주揚州형주荊州를 다스리고, 형주로부터 서쪽으로 가서 예주豫州, 양주梁州, 옹주雍州를 다스렸다.
모두 그 토질과 전지田地와 그 땅에 맞는 초목草木을 살펴서 공부貢賦를 정하였으니, 이것을 우공禹貢이라고 한다.


역주
역주1 요임금……죽었다 : 요임금 때에 중국이 홍수로 뒤덮이자 곤에게 홍수를 다스리게 하였으나 9년이 지나도 다스리지 못하였다. 그 후 舜임금이 攝政할 때에 곤을 羽山에 收監하였는데, 곤이 그곳에서 죽은 것이다.(≪書傳≫ 〈虞書 堯典․舜典〉)
역주2 塗山에……지냈고 : 塗山은 나라 이름이다. 禹가 塗山氏의 딸에게 장가들어 겨우 4일을 지내고 다시 치수하러 나갔다는 말이다.(≪書傳≫ 〈虞書 益稷〉)
역주3 : 禹임금의 아들 이름이다.(≪書傳≫ 〈虞書 益稷〉)
역주4 檋(국) : 산에 오르내릴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현대의 아이젠처럼 신 아래에 설치하는 것이다. ≪史記≫에는 橋자로 되어 있고, ≪漢書≫에는 梮자로 되어 있고, ≪書傳≫에는 樏자로 되어 있는데, 그 모양은 송곳처럼 생겼고 길이는 半寸인데, 신 바닥에 붙여서 산을 오르내릴 때 미끄러지지 않게 한다. ≪史記正義≫에는 산에 올라갈 때는 앞쪽 송곳이 짧고 뒤쪽 송곳이 길게 하고, 산을 내려올 때는 앞쪽 송곳이 길고 뒤쪽 송곳이 짧게 한다고 하였다.
역주5 여러……하였으며 : 이때는 아직 治水가 이루어지지 않은 때라 농사를 짓지 못하므로 백성들에게 날고기를 먹게 했다는 뜻이다.(≪書傳≫ 〈虞書 益稷〉)
역주6 九川을……하고 : 九川은 九州의 큰 강이다. 먼저 구주의 큰 강을 정비해서 강물이 바다로 빠질 수 있게 한 것이다.(≪書傳≫ 〈虞書 益稷〉)
역주7 畎과……하였다 : 井田法에서 畝와 畝 사이에 있는 너비와 깊이가 1尺이 되는 도랑을 畎이라고 하고, 밭머리의 너비와 깊이가 2척 되는 도랑을 遂라고 하고, 井과 井 사이의 너비와 깊이가 4척 되는 도랑을 溝라고 하고, 100井을 1成이라고 하는데 成과 成 사이의 너비와 깊이가 8척 되는 水路를 洫이라고 하고, 100成을 1同이라고 하는데, 同과 同 사이의 너비 2尋과 깊이 2仞이 되는 수로를 澮라고 한다. 여기에서 畎과 澮만 말한 것은 가장 작은 수로와 가장 큰 수로를 대표로 든 것이다. 澮에서 川으로 이어지고, 川에서 바다로 이어진다.(≪周禮≫ 〈冬官 考工記〉)
역주8 백성들에게……하였으며 : 이때는 治水가 막 끝난 때이므로 백성들이 식량을 구하기 어려우므로 어렵게 구한 곡식과 禽獸나 물고기의 날고기를 먹게 했다는 뜻이다.(≪書傳≫ 〈虞書 益稷〉)

역대군감(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