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歷代君鑑(1)

역대군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역대군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八月 鄂邑長公主 燕王 左將軍上官桀 子五騎將軍安 御史大夫桑弘羊 與大司馬大將軍霍光有隙하야 皆怨恨光하야
詐令人爲燕王(朝)[旦]上書하야 言光出都肄郞羽林할새 道上稱䟆하고 擅調益莫府校尉하고 專權自恣하니 疑有非常이라하고 候伺光出沐日奏之하고
桀欲從中下其事하고 弘羊當與諸大臣共執退光이러니 書奏 帝不肯下
明朝 光聞之하고 止畫室中不入한대
上問大將軍安在 桀對曰 以燕王告其罪故 不敢入이로소이다
有詔召大將軍한대 光入하야 免冠頓首謝어늘 上曰 將軍冠하라 朕知是書詐也로라 將軍無罪니라
光曰 陛下何以知之시니잇고 上曰 將軍之廣明都郞屬耳 調校尉以來하니 未能十日 燕王何以得知之리오 且將軍爲非인댄 不須校尉니라
是時帝年十四 尙書左右皆驚이라 而上書者果亡하니 捕之甚急한대 桀等懼하야 白上호되 小事不足遂니이다 上不聽이라
後桀黨有譖光者 上輒怒曰 大將軍 忠臣이요 先帝所屬以輔朕身하니 敢有毁者 坐之하리라 自是桀等不敢復言이러라


9-1-4 8 월에 연왕燕王 좌장군左將軍 상관걸上官桀과 상관걸의 아들 오기장군五騎將軍 상관안上官安어사대부御史大夫 상홍양桑弘羊대사마대장군大司馬大將軍 과 알력이 있어 모두 곽광에게 원한을 품고 있었다.
이에 거짓으로 사람을 시켜서 연왕 유단을 대신하여 상서上書하여 말하기를, “곽광이 나가서 낭관郞官우림羽林무비武備를 대대적으로 점검할 적에 길에서 벽제辟除를 하였으며, 대장군부大將軍府교위校尉를 마음대로 조발調發하여 늘려서 제멋대로 전권을 휘둘렀으므로 비상非常한 일이 있을까 의심됩니다.” 하고, 곽광이 휴가 가는 날을 엿보아 소제에게 아뢰기로 하였다.
상관걸이 중간에 그 일을 유사有司에게 내리려 하였고 상홍양이 대신들과 퇴청退廳하는 곽광을 잡으려고 하였는데, 상서上書가 올라갔으나 소제가 내리려고 하지 않았다.
다음 날 아침에 곽광이 그 소식을 듣고 안에 머물러 있고 대궐로 들어가지 못하였다.
소제가 “대장군은 어디에 있는가?”라고 물으니 상관걸이 대답하기를, “연왕燕王이 그의 죄를 고했기 때문에 감히 들어오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였다.
소제가 조서를 내려 대장군을 부르니 곽광이 들어가서 을 벗고 머리를 조아리고 사죄하니, 소제가 말하기를, “장군은 을 쓰라. 짐은 이 상서가 거짓이라는 것을 안다.” 하였다.
明辨詐書明辨詐書
곽광이 말하기를, “폐하께서는 어떻게 아셨습니까?” 하니, 소제가 말하기를, “장군이 에 가서 낭관郞官 등의 무비를 점검한 지가 얼마 되지 않았고 교위를 조발調發한 이후 10일이 되지 못했으니, 연왕이 어떻게 알겠는가. 그리고 장군이 옳지 않은 일을 하려고 했다면 교위를 조발할 필요가 없었다.” 하였다.
이때 소제의 나이가 14세였으므로 상서尙書와 좌우 신하들이 모두 놀랐다. 상서 내용이 실제로 근거가 없어서 상서한 자가 과연 도망하니 매우 급하게 체포하게 하자 상관걸 등이 두려워하여 소제에게 아뢰기를, “작은 일을 끝까지 파헤칠 필요가 없습니다.” 하였으나 소제가 듣지 않았다.
그 후에 상관걸의 무리 중에 곽광을 헐뜯는 자가 있으면 소제가 노하여 말하기를, “대장군은 충신이고 선제先帝께서 짐의 몸을 보좌하라고 부탁하신 사람이니, 감히 헐뜯는 자가 있으면 처벌하겠다.” 하니 이로부터 상관걸 등이 감히 다시 말하지 못하였다.


역주
역주1 鄂邑長公主 : 완칭은 鄂邑蓋長公主이다. 漢 武帝의 딸이고 昭帝의 누이이다. 食邑이 鄂이고, 蓋侯에게 시집갔다. 上官桀 등과 함께 음모를 꾸며 소제의 측근인 霍光을 죽이고 소제를 폐한 다음 燕王을 황제로 추대하려고 하였으나 일이 발각되어 실패하자 자살하였다.(≪漢書≫ 권68 〈霍光金日磾傳〉)
역주2 劉旦 : 漢 武帝의 아들로 소제의 이복형이다.
역주3 霍光 : ?~B.C. 68. 前漢 平陽 사람으로, 자는 子孟이며, 霍去病의 이복동생이다. 무제의 두터운 신임을 받은 명신으로, 무제의 遺詔를 받고 金日磾 등과 소제를 보필하면서 大司馬 大將軍이 되고, 소제가 죽자 昌邑王 劉賀를 맞아들여 帝位에 있게 했다가 그가 음란하다 하여 폐위시키고 다시 宣帝를 영입하는 등 전후 20년 동안 國政을 좌지우지하였다.(≪漢書≫ 권68 〈霍光金日磾傳〉)
역주4 畫室 : 漢代에 궁전 앞 西閣에 있던 방이다. 그곳에 堯, 舜, 禹, 湯, 桀, 紂 등 고대 제왕의 초상이 있기 때문에 畫室이라고 한다. 近臣들이 여기에서 계책을 짜는 곳이라는 설도 있다.(≪漢書≫ 권68 〈霍光金日磾傳〉․권66 〈公孫劉田王楊蔡陳鄭傳〉)
역주5 廣明 : 顏師古의 주에 “廣明은 亭 이름인데, 長安城 동쪽 東都門 밖에 있다.”라고 하였다.(≪資治通鑑≫ 권23 〈漢紀15〉 昭帝 上)
역주6 (朝)[旦] : 저본에는 ‘朝’로 되어 있는데, 朝鮮 太祖 李成桂의 改諱가 ‘旦’이므로 저본에는 避諱하여 ‘旦’을 ‘朝’로 고친 것이다. 이에 의거하여 ‘旦’으로 바로잡았다. 아래도 같다.

역대군감(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