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歷代君鑑(1)

역대군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역대군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九月 上招選天下文學材智之士하야 簡拔其俊異者하야 寵用之하니 莊助朱買臣吾丘壽王司馬相如東方朔枚皐終軍等 竝在左右하야 每令與大臣辨論 中外相應以義理之文하니 大臣數屈焉하더라


8-1-4 9 월에 무제가 천하에 문학文學이 뛰어나고 재지材智가 있는 선비들을 선발하고 그중에 뛰어난 자를 뽑아서 총애하여 기용하니 등이 함께 좌우에 있으면서 매번 대신과 논변할 때에 가 의리의 글로 호응하니 대신이 자주 굴복하였다.


역주
역주1 莊助 : 前漢 때의 會稽 吳縣 사람으로, 원래 성은 莊氏인데 漢 明帝의 諱가 莊이기 때문에 ≪漢書≫에는 嚴으로 고쳐서 嚴助로 기록하였다. 漢 武帝 때 東方朔, 司馬相如, 吾丘壽王 등과 함께 총애를 받았으며, 시종신으로 있다가 자신의 고향인 회계 태수로 나가기도 하였다. 그러나 뒤에 淮南王 劉安의 모반 사건 때 유안과 사이가 좋았다는 이유로 사형당했다.(≪漢書≫ 권64상 〈嚴朱吾丘主父徐嚴終王賈傳〉)
역주2 朱買臣 : ?~B.C. 115. 會稽 吳縣 사람으로, 자는 翁子이다. 집안이 가난하여 땔나무를 해다 팔아 생계를 꾸려 나갔다. 독서에만 몰두하고 집안을 돌보지 않자 아내가 집을 나갔다. 會稽太守가 되어서는 橫海將軍 韓說 등과 함께 월나라를 물리친 공으로 主爵都尉가 되었다가 나중에 丞相長史가 되었다. 張湯과 평소 사이가 좋지 않았기 때문에 장탕이 승상이 되었을 때 주매신을 능멸하고 절교하자, 주매신이 장탕의 음란한 일을 무제에게 고하게 되었다. 이에 장탕은 자결하고 무제는 주매신을 죽였다.(≪漢書≫ 권64상 〈嚴朱吾丘主父徐嚴終王賈傳〉)
역주3 吾丘壽王 : 漢 武帝 때 사람으로 자는 子贛이다. 董仲舒에게 ≪春秋≫를 배우고, 벼슬은 光祿大夫 侍中에 이르렀다. 이때에 도적이 극성하여 丞相 公孫弘이 활을 가지고 다니는 것을 금하자고 건의했는데, 사리에 맞지 않은 이유를 조목조목 들어 반박하여 공손홍을 굴복시켰고, 汾陰에서 寶鼎을 얻어 周鼎이라고 하였는데 하늘이 한나라에게 내린 것이므로 漢鼎이라고 주장하였다. 후에 일에 연루되어 주륙되었다.(≪漢書≫ 권64상 〈嚴朱吾丘主父徐嚴終王賈傳〉)
역주4 司馬相如 : B.C. 179~B.C. 117. 前漢의 成都 사람으로, 자는 長卿이고, 아명은 犬子였으며, 藺相如의 사람됨을 흠모하여 ‘相如’라고 개명하였다. 漢 景帝 때 武騎常侍에 임명되었으나 병 때문에 사직하고, 梁나라의 孝王에게 가서 사냥의 즐거움을 묘사한 〈子虛賦〉를 지었다. 효왕이 죽은 후 고향인 成都로 돌아와 과부가 된 부잣집 딸 卓文君을 만나 우여곡절 끝에 결혼하였다. 〈자허부〉를 보고 매료된 무제가 황제의 사냥에 관한 부를 써줄 것을 부탁하자, 본래 작품을 바탕으로 〈上林賦〉를 지어 궁정의 관직을 받았다. 29편의 부와 4편의 산문이 남아 있다.(≪史記≫ 권117 〈司馬相如列傳〉)
역주5 東方朔 : B.C. 154~B.C. 93. 漢 武帝 때의 문신으로 자는 曼倩이다. 해학과 辯舌, 直諫으로 무제의 총애를 받아 수십 년간 측근으로 있으면서 太中大夫 給事中까지 올랐다. 속설에 의하면 西王母의 복숭아를 훔쳐 먹고 장수하여 삼천갑자 동방삭이라고 이른다. 여러 신화와 전설 등 기이한 이야기를 다룬 ≪神異經≫과 ≪十洲記≫를 지었다고 전해지나, 둘 다 남북조시대의 위작으로 여겨지고 있다.(≪史記≫ 권126 〈滑稽列傳〉)
역주6 枚皐 : 漢 景帝 때의 저명한 문인 枚乘의 庶子로 자는 少孺이다. 어려서 아버지와 헤어져 어머니와 함께 곤궁하게 살다가 뒷날 대궐에 글을 올려 작고한 매승의 아들임을 밝힘으로써 벼슬을 얻었다.(≪漢書≫ 권51 〈賈鄒枚路傳〉)
역주7 終軍 : 漢 武帝 때 사람으로, 자는 子雲이고, 濟南 사람이다. 18세의 나이로 博士弟子에 선발되고 이어 諫大夫에 발탁되었다. 20세 때에 무제가 南越을 굴복시키기 위해 그를 사신으로 보내려 하자, 그는 긴 노끈을 내려주면 南越王을 묶어 오겠다고 무제에게 자청하여 가서 마침내 남월왕을 설득하여 사명을 완수했다.(≪漢書≫ 권64상 〈嚴朱吾丘主父徐嚴終王賈傳〉)
역주8 中外 : 顏師古의 주에 의하면, 中은 천자의 賓客인 嚴助의 무리를 가리키고, 外는 公卿大夫를 가리킨다.(≪漢書≫ 권64상 〈嚴朱吾丘主父徐嚴終王賈傳〉)

역대군감(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