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歷代君鑑(1)

역대군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역대군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二年冬十月 帝幸辟雍하사 初行養老禮할새 以李躬爲三老하고 桓榮爲五更한대 三老服都紵大袍하고 冠進賢하고 扶玉杖하니 五更亦如之호되 不杖이라
乘輿 到辟雍禮殿하사 御坐東廂하시고 遣使者하야 安車 迎三老五更於太學講堂한대 天子 迎於門屛하사 交禮호되 道自阼階하고
三老 升自賓階하야 至階 天子 揖如禮하고 三老 升東面 三公 設几하고 九卿 正履하고
天子 親袒割牲하고 執醬而饋하고 執爵而酳한대 祝哽在前하고 祝饐在後하며 五更南面이어든 三公 進供호되 禮亦如之하고
禮畢 引桓榮及弟子하야 升堂한대 帝自爲下說 諸儒 問難於前하니 冠帶縉紳之士 圜橋門而觀聽者 蓋億萬計
於是 詔賜榮爵關內侯하고 三老五更 皆以二千石祿으로 養終厥身하고 賜天下三老酒肉하다
帝自爲太子 受尙書於桓榮이러니 及卽帝位 猶尊榮以師禮 常幸太常府하야 令榮으로 坐東面하고 設几杖하고 會百官及榮門生數百人하야 帝親自執業하시고
諸生 或避位發難하니 帝謙曰 太師 在是라하고 旣罷 悉以大官供具 賜太常家
每疾病 帝輒遣使存問하사 大官太醫 相望於道러니 及篤 上疏謝恩하고 讓還爵土하니 帝幸其家하사 問起居호되 入街下車하사 擁經而前하사 撫榮垂涕하고 賜以牀茵帷帳衣被刀劒하고
帝親自變服하고 臨喪送葬하고 賜冢塋于首陽之山하다


11-1-4 영평永平 2년(59) 겨울 10월에 명제가 벽옹辟雍(태학太學)에 행차하여 처음으로 양로례養老禮를 행할 때 이궁李躬으로 삼았는데, 삼로는 도저대포都紵大袍를 입고 진현관進賢冠을 쓰고 옥장玉杖을 짚었으며, 오경 역시 그와 같은 복장이었으나 지팡이는 짚지 않았다.
황제의 수레가 벽옹의 예전禮殿에 도착하여 동상東廂어좌御坐를 마련하고 사자使者를 보내어 안거安車로 삼로와 오경을 태학의 강당에서 맞이하게 하였는데, 천자가 문병門屛에서 맞이하여 서로 예를 표하되 인도하여 조계阼階(동계東階)로 올랐다.
삼로가 빈계賓階(서계西階)로 올라 계단 아래에 이르렀을 때에 천자가 예를 갖추어 하였고, 삼로가 예전禮殿에 올라가 동향하였을 때 삼공三公궤안几案을 설치하고 구경九卿이 신을 정돈하였다.
천자가 직접 소매를 걷어 올려 희생을 가르고 을 잡아 대접하고 을 잡아 입을 가셨는데, 오경이 남향하면 삼공이 나아가 음식을 올리되 그 예도 이와 같이 하였다.
예를 마치고 환영과 제자들을 인도하여 당 위로 올랐는데, 명제가 스스로 아랫사람들을 위해 강설할 때 여러 유자들이 명제의 앞에서 어려운 부분을 질문하였으니, 을 둘러싸고 구경하던 관대冠帶를 갖춘 벼슬아치와 사대부들이 대체로 억만이나 되었다.
臨雍拜老臨雍拜老
이에 조서를 내려 환영에게 관작을 내려 관내후關內侯로 삼게 하고 삼로와 오경에게는 모두 이천석二千石의 봉록을 내려 종신토록 그 몸을 봉양하게 하였으며 에게는 술과 고기를 하사하였다.
명제는 태자가 되었을 때부터 환영에게 ≪상서尙書≫를 배웠고 황제에 즉위했을 때에도 오히려 환영을 스승의 로 존중하였다. 항상 태상부太常府에 행차하여 환영을 동면東面에 앉게 하고 궤장几杖을 배설하게 한 다음 백관百官 및 환영의 문하생 수백 명을 모이게 하여 명제가 친히 수업受業하였다.
그리고 제생諸生이 혹 자리를 비켜서 명제에게 어려운 것을 질문하였는데, 명제는 겸손하게 말하기를 “태사太師께서 이 자리에 있다.”라 하였고, 강석講席이 파하면 태관太官이 마련한 음식을 모두 태상太常의 집에 하사하였다.
환영이 병을 앓을 때마다 명제는 사자使者를 보내 위문하여 태관太官태의太醫가 끊임없이 길을 오가게 하였다. 그러다가 병이 위독해졌을 때 〈환영이〉 상소上疏하여 사은謝恩하고 작위爵位전토田土를 사양하여 돌려주니, 명제가 그의 집에 행차하여 안부를 묻되 골목에 들어가서는 수레에서 내려 경서를 안고 앞으로 가서 환영을 어루만지며 눈물을 흘린 다음 상인牀茵, 유장帷帳, 의피衣被, 도검刀劒을 하사하셨다.
그리고 환영이 죽었을 때는 명제가 친히 변복變服하고 에 임하여 장사 지낸 다음 수양산首陽山총영冢塋을 설치하도록 하였다.


역주
역주1 三老로……五更 : ≪禮記≫ 〈文王世子〉에 “마침내 삼로와 오경을 설치하였다.[遂設三老五更]” 하였으니, 원래는 周代에 천자가 노인을 父兄의 예로 봉양하기 위해 설치한 일종의 관직이다. 그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설이 있다. 漢代의 三公과 大夫를 가리킨다는 해설과, 삼로는 하늘과 땅과 사람의 일을 아는 사람이라는 해설, 三德 즉 正直, 剛, 柔가 있는 사람이라는 해설, 三辰을 본뜬 것이라는 해설이 있고, 오경은 五行이 바뀌어 갈음하는 것을 아는 사람이라는 해설과 五事 즉 貌, 言, 視, 聽, 思에 능한 사람이라는 해설, 五星을 본뜬 것이라는 해설이 있다. 更자는 老자의 뜻으로, 늙어서 일에 경험[更]이 있다는 의미인데, 혹은 叟자의 잘못으로 보기도 한다.
역주2 식전에……하였다 : ≪資治通鑑綱目集覽≫에 “哽은 음식이 목구멍 안에 머물러 있는 것이니, 노인은 매번 음식을 먹을 적에 목구멍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음식을 먹기 전에 축원해서 목구멍에 머물러 있지 않게 한 것이다.……饐은 음식이 막혀서 숨이 통하지 못하는 것이니, 음식을 먹고 난 뒤에 축원해서 숨이 막히지 않게 한 것이다.[哽者 食留咽中也 老人每食多哽 故於未食前祝之 使毋哽也……饐者 食窒氣不通也 於已食後祝之 使毋饐]” 하였다. 즉 ‘祝哽’은 식전에 음식을 먹다가 목이 메이지 않기를 축원하는 것이고 ‘祝饐’은 식후에 음식이 목에 막히지 않기를 축원하는 것이다.
역주3 橋門 : 太學 주위의 四門을 말한다.
역주4 천하의 三老 : 鄕縣의 삼로를 이른다.

역대군감(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