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歷代君鑑(2)

역대군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역대군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9-1-14
○庚子三月 徵靑田劉基龍泉章溢麗水葉琛金華宋濂至建康하다
初上在婺州 旣召見濂하고 及克處州 又有薦基及溢琛者어늘 上素聞其名이라 卽遣使하야 以書幣徵之
時總制孫炎 先以上命請基한대 至是 四人同赴建康入見이라
上甚喜하야 賜坐하고 從容問曰 四海紛爭하니 何時而定고한대 溢起對曰 天道無常하야 唯德是輔하나니 唯不嗜殺人者能一之라하니 上善其言하야 甚禮貌之


29-1-14
경자년(1360) 3월에 청전靑田용천龍泉여수麗水금화金華을 초빙하여 건강建康으로 오게 하였다.
처음에 태조가 무주婺州에 있을 때 이미 송렴을 불러 만나보았다. 그리고 처주處州를 함락했을 때에 다시 유기와 장일과 섭침을 천거하는 사람이 있었는데, 태조가 평소 그들의 명성을 들었기 때문에 즉시 사신을 보내어 친서親書폐백幣帛으로 초빙하였다.
당시에 총제總制 이 먼저 태조의 명으로 유기劉基를 청하였는데, 이때에 이르러 4인이 동시에 건강에 이르러 입현入見한 것이다.
태조가 매우 기뻐하면서 자리를 내려주고 천천히 묻기를, “지금 천하가 어지러이 다투고 있으니, 어느 때에 안정되겠는가?” 하였는데, 장일이 일어나 대답하기를, 하니, 태조가 그 말을 좋다고 여겨서 매우 예모禮貌를 갖추어 경의를 표하였다.


역주
역주1 劉基 : 1311~1375. 浙江省 處州 출신으로 자는 伯溫, 시호는 文成이다. 元나라 문종 때 진사과에 합격하고, 관직을 지냈지만 여러 차례 배척당하자 관직을 버리고 고향에 숨어 지냈다. 1358년 朱元璋이 金華와 麗水縣을 공략한 뒤에는 주원장의 軍師가 되어 중국을 통일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고, 明나라 건국 후 御史中丞과 太史令 등의 관직을 맡아 曆法 제정과 군정체제 건립에 공헌했다. 誠意伯에 봉해졌으며, 1375년에 귀향하여 6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저서로 ≪誠意伯文集≫과 산문집 ≪郁離子≫가 있다.
역주2 章溢 : 1314~1369. 浙江省 龍泉 사람으로 자는 三益이고, 호는 匡山居士이다. 明나라 초기의 大臣으로 元나라 말기에 鄉兵으로 농민 봉기군을 진압한 뒤에 匡山에 은거했다. 劉基, 宋濂, 葉琛 등과 더불어 ‘浙西四先生’으로 일컬어진다. 朱元璋에게 중용되어 벼슬은 禦史中丞, 贊善大臣을 지냈다. 시호는 莊敏이다. 저서로 ≪苦齋記≫, ≪匡山看松庵記≫ 등이 있다.
역주3 葉琛 : 1314~1362. 浙江省 麗水 高溪村 사람으로 자는 景淵이다. 明나라 초기의 大臣으로 歙縣縣丞, 處州路總管府判官, 行省元帥, 營田司僉事, 洪都知府 등을 역임했다. 1362년에 祝宗, 康泰가 반란을 일으켰을 때 포로가 되었는데, 투항 권유를 거절하여 叛軍에 의해 피살되었다. 南陽郡侯로 추증되었다.
역주4 宋濂 : 1310~1380. 浙江省 金華縣 출신으로, 자는 景濂, 호는 潜溪이다. 元나라 말기의 절강의 학자 吳萊․柳貫․黃潛 등의 문하에서 배워 박식하기로 유명하였으며, 劉基․高啓와 함께 명초시문삼대가로 일컬어졌다. 원나라 말기 전란을 피하여 龍門山에 은거하며 저작에 종사하였는데, ≪宋學士全集≫(42권), ≪篇學類纂≫, ≪龍門子≫ 등의 저서를 남겼다. 주원장이 세력을 잡은 후(1360)에 부름을 받고 南京으로 가서 왕세자의 스승이 되고, 1369년 ≪元史≫ 편수의 총재를 지낸 뒤, 동년 翰林學士에 임명되었다. 이후, 태조의 고문으로 신임이 두터웠고, 68세에 致仕하였다.
역주5 孫炎 : 1323~1362. 應天府 句容 사람으로 자는 伯融이다. 元末明初의 시인이자 관리로, 丁複, 夏煜遊 등과 더불어 詩名이 있었다. 주원장이 金陵을 거쳐 浙東을 정벌할 때에 공을 세워 池州同知가 되었고, 그 후에 華陽知府, 行省部事를 지냈다. 사후에 丹陽縣男으로 추증되었고, 시호는 忠湣이다.
역주6 天道는……돕나니 : ≪書經≫ 〈周書 蔡仲之命〉에 “하늘은 편애하지 않아서 오직 덕이 있는 사람을 돕고, 민심은 일정하지 않아서 은혜를 베푸는 자를 사모한다.[皇天無親 惟德是輔 民心無常 惟惠之懷]”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역주7 오직……것입니다 : 梁 襄王이 “누가 천하를 통일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물었을 때 孟子가 “사람 죽이기를 좋아하지 않는 자가 능히 통일할 수 있습니다.[不嗜殺人者能一之]”라고 대답했던 故事에서 온 말이다.(≪孟子≫ 〈梁惠王 上〉)

역대군감(2)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