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歷代君鑑(1)

역대군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역대군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元年冬十月 詔曰
蓋聞古者 祖有功而宗有德하야 制禮樂 各有由라하니 歌者 所以發德也 舞者 所以明功也
高廟酎 奏武德文始五行之舞하며 孝惠廟酎 奏文始五行之舞하다
孝文皇帝臨天下 通關梁不異遠方하시며 除誹謗去肉刑하시며 賞賜長老收恤孤獨하사 以遂群生하시며 減耆欲不受獻하시며 罪人不帑하시며 不誅亡罪하시며 不私其利也하시며 除宮刑出美人하시며 重絶人之世也시니 朕旣不敏하야 不能勝識
此皆上世之所不及이로되 而孝文皇帝親行之하사 德厚侔天地하시며 利澤施四海하야 靡不獲福하고 明象乎日月이나
而廟樂不稱하니 朕甚懼焉하노라 其爲孝文皇帝廟하야 爲昭德之舞하야 以明休德然后 祖宗之功德 施于萬世하야 永永無窮하리니 朕甚嘉之하노니
其與丞相列侯中二千石禮官으로 具禮儀奏하라
丞相嘉等奏功莫大於高皇帝 德莫盛於孝文皇帝 高皇帝宜爲太祖之廟 孝文皇帝宜爲太宗之廟 天子世世獻하고 郡國宜各立太宗廟라한대 制曰可


7-2-2 원년(B.C. 156) 겨울 10월에 다음과 같이 조서를 내렸다.
“듣자 하니 옛날에 이 있는 왕에게 붙이고 은 덕이 있는 왕에게 붙여서 예악禮樂을 제정하는 것이 각각 말미암은 것이 있다고 하였다. 노래는 을 드러내는 것이고, 춤은 공을 드러내는 것이다.
고황제高皇帝의 사당에 를 올릴 때에 효혜제孝惠帝의 사당에 를 올릴 때에 문시文始오행五行의 춤을 춘다.
효문황제孝文皇帝가 천하를 다스릴 때에 도성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지방 사람들에게 차이를 두지 않았으며, 비방죄誹謗罪를 폐지하고 육형肉刑을 폐지하였으며, 장로長老들에게 상을 내리고 곤궁한 백성들을 구휼하여 백성들이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하였으며, 자신의 기욕嗜欲을 줄이고 헌납하는 것을 받지 않았으며, 죄인에 대해 처자식까지 처벌하지 않고 죄 없는 자를 주벌하지 않았으며, 이익을 사사로이 하지 않았으며, 궁형宮刑을 폐지하고 남의 세대를 끊는 것을 신중히 하셨으니, 짐이 불민하여 효문황제의 성정盛政을 이루 다 기억할 수 없다.
이 일들은 모두 윗대의 황제들이 미치지 못한 일인데 효문황제께서 친히 행하시어 덕의 두터움이 천지天地와 짝을 이루고 혜택이 사해四海에 베풀어져 복을 얻지 못한 자가 없고 밝음은 일월日月과 같다.
그런데도 효문황제의 사당에 쓰는 음악이 그에 걸맞지 않으니 짐은 심히 두려워하노라. 효문황제의 사당에 사용할 소덕昭德의 춤을 만들어 아름다운 덕을 밝힌 뒤에야 조종祖宗공덕功德이 만세에 베풀어져 영원토록 무궁하게 전해질 것이니 짐은 매우 가상하게 여긴다.
승상丞相열후列侯예관禮官예의禮儀를 마련하여 아뢰도록 하라.”
승상 신도가申屠嘉 등이 아뢰기를, “으로는 고황제보다 큰 분이 없고, 은 효문황제보다 성대한 분이 없으니, 고황제는 의당 태조太祖가 되어야 하고 효문황제는 의당 태종太宗가 되어야 합니다. 천자는 대대로 제사를 지내고, 군국郡國은 각각 태종의 사당을 세워야 합니다.” 하니, 명하기를, “그렇게 하라.” 하였다.


역주
역주1 : 宗廟에 올리는 술 이름이다. 정월 초하루에 빚어서 8월에 완성하는데, 세 번 빚은 醇酒이다.(≪漢書≫ 권5 〈景帝紀〉)
역주2 武德과……추며 : 裴駰이 지은 ≪史記集解≫에 孟康이 말하기를 “武德이라는 춤은 漢 高祖가 만든 것이고, 文始는 舜임금의 춤이고, 五行은 周나라의 춤이다. 무덕은 춤추는 자가 干과 戚을 들고 춤을 추고, 문시는 춤추는 자가 羽와 籥을 들고 춤을 추고, 五行은 춤추는 자가 冠冕 차림으로 춤을 추는데 의복이 오행의 색을 본받은 것이다.”라고 하였다.(≪史記≫ 권10 〈孝文本紀〉)
역주3 關門과……폐지하여 : 이전에는 도성을 들어오고 나가는 관문과 다리에 검문소를 설치하여 출입증인 傳을 사용하여 출입을 통제하였는데, 효문제 12년(B.C. 168)에 이 제도를 폐지하여 출입하는 데에 먼 지방 사람들도 차별을 두지 않았다.(≪漢書≫ 권4 〈文帝紀〉)
역주4 美人을 내보냈으며 : 효문제 13년(B.C. 167)에 孝惠帝의 後宮의 美人들을 내보내 시집갈 수 있게 한 일을 가리킨다. 美人은 妃嬪의 칭호이다.(≪漢書≫ 권4 〈文帝紀〉)
역주5 中二千石 : 漢나라 때의 품계 명칭이다. 顏師古의 설에 의하면 “한나라의 제도에 秩이 二千石인 자는 한 해에 얻는 것이 1,440石으로 실제로는 2,000석에 차지 못한다. 中二千石인 자는 한 해에 얻는 것이 2,160석인데 成數를 들어서 말하기 때문에 中二千石이라고 한 것이다. 中은 滿의 뜻이다.” 하였다.(≪兩漢博聞≫ 권3)

역대군감(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