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歷代君鑑(2)

역대군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역대군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17-1-9
○五年이라 上每有軍國大事 必與諸學士謀之러니 嘗踰月不見學士하니 承旨李絳等上言호되 臣等飽食不言하니 其自爲計則得矣어니와 如陛下何 陛下詢訪理道하고 開納直言이면 實天下之幸이요 非臣等之幸也니이다 上遂召對하다
白居易甞因論事하야 言陛下錯이라하니 上色莊而罷하고 密召絳謂曰 居易小臣不遜하니 須令出院하라
絳曰 陛下容納直言이라 故群臣敢竭誠無隱이라 居易言雖少思 志在納忠하니 陛下今日罪之 臣恐天下各思箝口 非所以廣聰明昭聖德也니이다 上悅하야 待居易如初하다
上甞欲近獵苑中하야 至蓬萊池西하야 謂左右曰 李絳必諫하리니 不如且止라하더라
絳嘗面陳吐突承璀專橫하야 語極懇切하니 上作色曰 卿言太過로다 絳泣曰 陛下置臣於腹心耳目之地어늘 若臣畏避左右하야 愛身不言이면 是臣負陛下 言之而陛下惡聞이면 乃陛下負臣也니이다
上怒解曰 卿所言 皆人所不能言이라 使朕聞所不聞하니 眞忠臣也 他日盡言皆應如是라하고 遂以絳爲中書舍人하고 學士如故하다
絳嘗從容諫上聚財한대 上曰 今兩河數十州 皆國家政令所不及이요 河湟數千里 淪於左袵하니 朕日夜思雪祖宗之恥 而財力不贍이라 故不得不蓄聚耳 不然이면 朕宮中用度極儉薄하니 多藏何用邪


17-1-9
원화元和 5년(810)이다. 헌종이 군국軍國에 큰 일이 있을 때마다 반드시 학사學士들과 함께 도모하였는데, 한번은 한 달이 넘도록 학사들을 만나지 않자 승지承旨 이강李絳 등이 상언上言하기를, “신들이 배불리 먹고 말을 하지 않으니 신들 자신을 위한 계책은 좋지만 폐하를 위해서는 어떻다 하겠습니까. 폐하께서 다스리는 도리를 묻고 널리 직언을 받아들이신다면 실로 천하의 다행이지 신들의 다행이 아닙니다.” 하니, 헌종이 마침내 소대召對하였다.
백거이白居易백거이白居易
백거이가 일찍이 일을 논함으로 인하여 “폐하께서 잘못하셨습니다.”라고 말하니, 헌종이 안색이 굳어져서 조회를 파하고 은밀히 이강을 불러서 이르기를, “백거이는 소신小臣으로서 불손하니 한림원翰林院에서 축출해야 할 것이다.” 하니,
이강이 아뢰기를, “폐하께서 직언을 용납하셨기 때문에 군신群臣들이 감히 정성을 다해서 말하고 숨기지 않았습니다. 백거이의 말이 비록 생각이 부족하기는 하지만 그 뜻은 충성을 바치는 데에 있습니다. 폐하께서 오늘 그에게 죄를 주신다면 신은 천하 사람들이 모두 입을 다물고 말하지 않기를 생각할까 염려되니, 폐하의 이목耳目을 넓히고 성덕聖德을 밝게 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하였다. 헌종이 기뻐하여 백거이 대하기를 처음과 같이 하였다.
헌종이 일찍이 가까운 원중苑中에서 사냥을 하려고 하다가 서쪽에 이르러 좌우에게 이르기를, “이강이 반드시 간할 것이니 여기에서 멈추는 것만 못하다.” 하였다.
이강이 일찍이 토돌승최의 전횡專橫을 면전에서 진달하면서 말이 매우 간절하자 헌종이 정색하고 이르기를, “경의 말이 너무 과하다.” 하였다. 이강이 울면서 아뢰기를, “폐하께선 신을 복심腹心이목耳目의 자리에 두셨는데 만약 신이 신변을 두려워하여 피하고 몸을 아껴 말하지 않는다면 이는 신이 폐하를 저버린 것이고, 말을 했는데 폐하께서 듣기 싫어하신다면 이는 폐하가 신을 저버리는 것입니다.” 하니,
헌종이 노여움이 풀려 이르기를, “경이 말한 것은 모두 남들이 말하지 못한 것이다. 짐으로 하여금 듣지 못하는 것을 듣게 했으니 참으로 충신이다. 훗날에도 마음속에 있는 말을 모두 다하기를 이와 같이 해야 할 것이다.” 하고는, 마침내 이강을 중서사인中書舍人으로 삼고, 학사의 신분을 예전처럼 유지하게 하였다.
이강이 일찍이 헌종이 재물을 모으는 것을 조용히 간언하자 헌종이 이르기를, “지금 수십 가 모두 국가의 정령政令이 미치지 못하고, 수천 가 오랑캐 땅이 되었으니, 짐이 밤낮으로 조종祖宗의 치욕을 씻으려고 생각하지만 재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부득이 재물을 축적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짐이 궁중에서 쓰는 것이 지극히 검박儉薄한데 많이 모은들 어디에 쓰겠는가.” 하였다.


역주
역주1 蓬萊池 : 唐나라 長安의 大明宮 蓬萊殿 부근에 있는 연못이다.(≪資治通鑑≫ 권238 〈唐紀〉 54)
역주2 兩河 : 唐나라 安祿山의 난 이후에는 河南과 河北을 병칭하는 말로 쓰였다.
역주3 河湟 : 河水와 湟水를 병칭하는 말인데, 하수와 황수 사이를 가리키기도 한다.

역대군감(2)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