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歷代君鑑(1)

역대군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역대군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保定三年夏四月 將視學할새 以太傅燕國公于謹爲三老하고 仍賜以延年杖하고 遂幸太學하니
謹入門 周主迎拜하니 謹答拜
有司設席於中楹하고 太師護設几하니 謹升席하야 南面憑几而坐하니 大司馬豆盧寧正舃이라
周主立於斧扆之前西面하고 有司進饌 周主跪設醬豆하고 袒割하고 謹食畢 周主跪授爵以酳이라
有司撤訖 周主北面立而訪道한대 謹起立於席後하야 對曰 木受繩則正하고 后從諫則聖이니 明王虛心納諫하야 以知得失이면 天下乃安이니이다
又曰 去食去兵이나 信不可去 願陛下 守信勿失하소서
又曰 有功必賞하고 有罪必罰이면 則爲善者日進하고 爲惡者日止니이다
又曰 言行者 立身之基 願陛下 三思而言하고 九慮而行하야 勿使有過하소서 天子之過 如日月之食하야 人莫不知 願陛下 愼之하소서
周主再拜受言한대 謹答拜하고 禮成而出하다


15-2-2 보정保定 3년(563) 여름 4월에 태학太學을 시찰하려 할 때 태부太傅 연국공燕國公 삼로三老로 삼고 이어 연년장延年杖을 하사한 다음 드디어 태학에 행차하였다.
당시 우근이 문에 들어서자 주주周主가 맞이하여 배례拜禮를 올리니 우근于謹답배答拜하였다.
유사有司중영中楹삼로三老의 자리를 설치하고 태사太師 우문호宇文護가 안석을 배설하자 우근이 자리에 올라 남면南面하여 안석에 기대앉으니 대사마大司馬 두로영豆盧寧이 신발을 반듯하게 정돈하였다.
주주周主부의斧扆(천자의 병풍) 앞에 서서 서면西面하고 유사有司을 올리자 주주周主가 꿇어앉아 장두醬豆를 배설한 다음 하였고 우근이 식사를 마치자 주주周主가 꿇어앉아 술잔을 주어 입을 가시게 하였다.
유사有司철상徹床을 마치자 주주周主가 다시 북면北面하여 서서 를 물었는데, 우근이 자리 뒤로 일어나 서서 대답하기를, 현명한 임금께서 마음을 비우고 간언을 받아들여 득실得失을 알게 되면 천하가 이에 편안해질 것입니다.” 하였다.
또 말하기를, 원컨대, 폐하께서는 신의를 지켜 잃지 마소서.” 하였다.
또 말하기를, “이 있는 사람에게 반드시 을 내리고 가 있는 사람에게 반드시 을 내리면 을 하는 사람이 날로 나아오고 을 하는 자는 날로 그칠 것입니다.” 하였다.
또 말하기를, “말과 행동은 입신立身의 기본입니다. 원컨대, 폐하께서는 세 번 생각하여 말씀을 하시고 아홉 번 생각하여 행동하시어 과실이 있지 않게 하소서. 원컨대 폐하께서는 삼가소서.” 하였다.
이에 주주周主재배再拜하고 말을 받아들였는데, 우근이 답배答拜하고 를 마친 뒤에 나갔다.


역주
역주1 于謹 : 北周 때 사람으로 자는 思政, 小名은 巨彌이다. 太傅와 大宗伯을 역임하고 致仕한 뒤 三老로 추숭되었는데, 高祖가 太學에서 養老의 잔치를 베풀 때 제자의 禮로 대우하고 정치의 요체를 물었다.
역주2 袒割 : 옷소매를 걷고 고기를 썬다는 말로, 임금이 노인을 존중하여 거행하는 예이다. ≪禮記≫ 〈樂記〉에 “三老와 五更을 太學에서 饋饗할 때 천자가 친히 옷소매를 걷고 희생을 썬 다음 장을 들어서 먹이고 잔을 들어서 마시게 한다.[食三老五更於太學 天子袒而割牲 執醬而饋 執爵而酳]” 하였다.
역주3 나무는……법이니 : ≪書經≫ 〈商書 說命 上〉에 “傅說이 王에게 대답하기를, ‘나무는 먹줄을 따르면 바르게 되고, 임금은 諫言을 따르면 聖스러워지는 법이니, 임금께서 성스러우시면 君主가 명령하지 않아도 臣下들이 받들거늘 누가 감히 王의 아름다운 명령에 공경히 순종하지 않겠습니까.’ 하였다.[說復于王曰 惟木從繩則正 后從諫則聖 后克聖 臣不命其承 疇敢不祗若王之休命]”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역주4 양식은……없습니다 : 政事는 백성의 신의를 얻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의미로, ≪論語≫ 〈顔淵〉에 “子貢이 정치에 대해 물으니, 孔子께서 ‘양식을 풍족하고 병력이 충분하면 백성들이 믿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자공이 ‘반드시 부득이해서 버려야 한다면 세 가지 중에서 무엇을 먼저 버려야 합니까?’라고 하자 공자께서 ‘병력을 버려야 한다.’라고 하였다. 자공이 ‘반드시 부득이해서 버려야 한다면 이 두 가지 가운데 어느 것을 먼저 버려야 합니까?’라고 하자, ‘양식을 버려야 한다. 예로부터 사람은 누구나 죽기 마련이지만 백성은 믿음이 없으면 설 수가 없는 것이다.’라고 하였다.[子貢問政 子曰 足食足兵 民信之矣 子貢曰 必不得已而去 於斯三者何先 曰去兵 子貢曰 必不得已而去 於斯二者何先 曰去食 自古皆有死 民無信不立]”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역주5 天子의……없으니 : 자신의 허물을 알아 바로잡는 군자의 자세를 비유한 말이다. ≪論語≫ 〈子張〉에 “군자의 허물은 일식이나 월식과 같아서 잘못이 있으면 사람들이 모두 볼 수 있고, 허물을 고쳤을 때에는 사람들이 모두 우러러본다.[君子之過也 如日月之食焉 過也人皆見之 更也人皆仰之]”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역대군감(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