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歷代君鑑(3)

역대군감(3)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역대군감(3)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善可爲法
國朝(明)
昭皇帝
33-1-1
仁宗敬天體道純誠至德弘文欽武章聖達孝昭皇帝 太宗文皇帝嫡長子 仁孝文皇后 自幼端重沈靜하야 言動有經이라
四五歲 宮中聞讀書輒喜하야 自是書冊翰墨不去手하고 稍長 習射한대 數日輒造精藝하야 發無不中하니 左右問何若是巧也오하면 曰 心志旣正이면 無難者
然絶口不自矜하니 蓋於馳射及奇巧玩適之具 悉非所好 獨好學問하야 日從儒臣하야 論說不厭이라
洪武二十八年閏九月 命爲燕世子한대 太祖思宗藩之重하야 特召秦晉燕周四世子하야 朝夕親訓之 嘗命分閱皇城四門衛士한대 上還奏獨後어늘
太祖問之하니 對曰寒甚하고 衛士方食하니 俟其旣食하야 乃閱之 故後라한대 太祖喜曰 能體恤下人하니 是吾心也라하다
又命分閱中外臣民奏疏한대 獨取其切於兵民疾苦及關宗社者白之하니 太祖覽之稱善이라
其間有一語一字之謬者 悉置之不以白한대 太祖指示之曰 爾忽之耶 對曰 顧小過失 不足以瀆天聽이라하니 太祖喜曰 孫有君人之度哉저하다
嘗問之曰 堯九年之水하고 湯七年之旱한대 當時百姓奚恃오하니 對曰 恃聖人有恤民之政耳라한대 自是益見重이라
逮太宗皇帝擧兵靖難하야 奉命居守러니 將士精銳者皆從征하고 城中所餘老弱不及什一이어늘 督治守備及禦敵之具하고 撫綏城中軍民하니 人人忻悅하며
咨求老於兵旅及才識文吏하고 與之同事하야 推誠待之하니 皆爲盡心이라
每四鼓以起하야 二鼓乃息한대 左右或以過爲言者 答曰 君父身冒艱險하니 此豈爲子優逸時리오 且根本之地 敵人所必趨者 豈得不爲預備리오하고 而凡有所施爲 皆禀命仁孝皇后
無幾 李景隆引兵數十萬하야 圍北平城한대 是時 城中守備已完하고 雖老疾孱弱 不及萬人이나 上鼓舞激勸하니 下至婦人小子 皆奮效力하고 更番乘城하야 晝夜拒敵한대 雖矢石交下 人心不變이라
數夜遣人하야 開門斫敵營하니 敵驚亂自殺하야 或至明乃定이라가 遂退營數十里
太宗皇帝旣正大位하고 升北平爲北京한대 以其地大民衆하고 且藩邸之舊 仍命居守러니 永樂二年二月 遣隆平侯張信永春侯王寧하야 召上至南京하야 立爲皇太子하다
太宗皇帝欲天下皆歸心於上하야 凡有寬貸 悉付上行之하고 上亦孜孜하야 惟仁之施하니 或有水旱飢饉兵民失所 未嘗不戚焉하야 思有以賑恤之
每諭文武大臣曰 卿等宜深體至尊聖仁하야 以惠黔黎하고 勿爲苛刻하야 以搖邦本이라한데 其後監國 所惠被下人甚厚 故天下咸屬心焉이라
永樂二十二年 太宗皇帝以征虜冦라가 上賓于行在한대 先日 遺命上卽皇帝位
八月 文淵閣大學士楊榮等 傳遺命至北京하니 上慟哭幾絶이라가 强起拜受命이라 翌日 親王及文武群臣 累箋勸進하니 上乃躬告几筵하고 卽皇帝位하야 大赦天下하고 改明年爲洪煕元年이라


본받을 만한 선정善政
국조(명나라)
인종 소황제
33-1-1
인종仁宗 경천체도순성지덕홍문흠무장성달효소황제敬天體道純誠至德弘文欽武章聖達孝昭皇帝태종太宗 문황제文皇帝적장자嫡長子이니 모후母后인효문황후仁孝文皇后이다. 인종은 어릴 때부터 성품이 단아하고 침착하여 말과 행동에 법도가 있었다.
4, 5세 무렵에는 궁중宮中에서 책 읽는 소리를 듣고 문득 기뻐하여 이때부터 서책과 필묵을 손에서 놓지 않았다. 조금 자라서는 활쏘기를 익혔는데 며칠 만에 기예가 정밀해져서 활을 쏘면 맞추지 못함이 없었으니, 좌우左右의 사람들이 “어떻게 하면 이렇게 잘할 수 있습니까?”라고 물으면 “심지心志가 이미 바르게 되면 어려울 것이 없다.”라고 대답하였다.
그러나 더 이상 말하지 않고 입을 닫아 스스로 자랑스러워하지 않았으니, 대개 말달리기와 활쏘기 및 교묘한 물건이나 오락에 쓰이는 물건은 모두 좋아하는 바가 아니었고 오직 학문을 좋아하여 날로 유신儒臣종유從遊하며 논설論說하기에 싫증을 내지 않았기 때문이다.
명明 인종仁宗명明 인종仁宗
홍무洪武 28년(1395) 윤9월에 황명皇命으로 연세자燕世子에 책봉되었는데, 태조太祖종실宗室 제후諸侯의 중요함을 생각하여 특별히 의 4명의 세자世子를 불러 아침저녁으로 친히 훈도訓導하였다. 일찍이 이들에게 황성皇城 사문四門위사衛士들을 나누어 검열하라고 명한 적이 있었는데, 돌아갈 때 인종이 홀로 뒤에 가겠다고 아뢰었다.
태조가 그 까닭을 물으니, “이른 아침은 추위가 심하고 위사衛士들이 지금 밥을 먹고 있으니 그들이 밥을 다 먹기를 기다려 검열하겠습니다. 그러므로 뒤에 가겠다고 한 것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 이에 태조가 기뻐하며 이르기를, “능히 아랫사람을 하고 있으니, 이것이 나의 마음이다.” 하였다.
또 조정과 지방의 신민臣民들이 올린 주소奏疏를 나누어 검토하라고 명하였는데, 인종이 홀로 병졸과 백성의 질고疾苦종사宗社에 관계되는 절실한 내용들을 가져다 보고하니 태조가 살펴보고 칭찬하였다.
당시 인종은 주소奏疏 가운데 한 마디 말이나 한 글자라도 잘못된 것이 있으면 모두 버려두고 보고하지 않았는데, 태조가 지적해 보이며 “너는 이것들을 소홀히 보았는가?” 하였다. 이에 인종이 대답하기를, “단지 작은 과실로 황상皇上의 귀를 더럽힐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하니, 태조가 기뻐하며 이르기를, “손자에게 인군人君의 풍도가 있구나.” 하였다.
일찍이 묻기를, 당시 백성들은 무엇을 믿고 있었는가?” 하니, 대답하기를 “성인聖人은 백성을 불쌍히 여기는 정치를 한다고 믿었을 뿐입니다.” 하였다. 이때부터 더욱 태조의 신임을 받았다.
태종황제太宗皇帝을 받들고 잔류하여 을 지켰는데, 당시 정예精銳 장사將士들은 모두 태종을 따라 출정하고 성중城中에 남은 사람들은 노약자들로 평소의 10분의 1도 되지 않았다. 그러나 인종이 아침저녁으로 도성을 수비할 장비와 적을 방어할 장비를 착실하게 보수하고 성중의 군민軍民을 어루만져 안정시키니 사람들이 모두 기뻐하였다.
그리고 병려兵旅재식才識이 있는 문리文吏 가운데 노숙한 사람을 찾아 구하고 이들과 함께 일을 해서 정성을 미루어 대우하니 모두 성심을 다하였다.
인종은 매일 에 일어나 가 되어서야 쉬었는데, 좌우左右의 사람들이 혹 지나치다고 말을 하면 대답하기를, “군부君父께서 몸소 어렵고 험한 일을 무릅쓰고 있으니, 지금이 어찌 자식으로서 느긋하고 안일하게 지낼 수 있는 때이겠는가? 또 근본이 되는 도성 땅은 적들이 반드시 달려올 곳이니, 어찌 미리 방비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하고, 무릇 시행할 일이 있으면 모두 인효황후仁孝皇后에게 품명禀命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 병사 수십만을 인솔하여 북평성北平城을 포위하였는데, 이때는 성중의 수비守備가 이미 완비되어 있었다. 또 비록 늙고 병들고 쇠약한 백성들이 만인萬人에 미치지 못하였지만 인종이 고무하고 격려하자 아래로 부인과 어린아이에 이르기까지 모두 분발하고 힘을 다하여 교대로 에 올라가 밤낮으로 적을 막았는데, 비록 화살과 돌이 마구 쏟아졌으나 사람들의 마음은 변하지 않았다.
인종이 며칠 동안 밤에 사람을 보내 성문을 열고 나가 적의 진영을 습격하게 하니 적들은 놀라고 혼란한 와중에 스스로 목숨을 끊어서 혹 날이 밝고 나서야 진정되기도 하였는데, 그러다가 마침내 진영을 수십 리나 물렸다.
태종황제太宗皇帝대위大位에 즉위하고 나서 북평北平북경北京으로 승격시켰는데, 그곳은 땅이 광대하고 백성이 많으며 또 오랫동안 로 삼았던 지역이라는 이유로 인종에게 잔류하여 북경北京을 지키라고 명하였다. 그러다가 영락永樂 2년(1404) 2월 융평후隆平侯 장신張信영춘후永春侯 왕녕王寧을 파견하여 인종을 남경南京으로 부른 뒤에 황태자皇太子로 책봉하였다.
당시 태종황제太宗皇帝는 천하 사람들의 마음이 모두 인종에게 귀의하게 하고자 하여 무릇 관대한 정사를 시행할 일이 있으면 모두 인종에게 맡겨 시행하게 하였다. 인종 역시 부지런히 노력하여 오직 어진 정사를 시행하였으니, 혹 가뭄과 기근이 들어 병민兵民들이 살 곳을 잃는 일이 있으면 근심하며 진휼하기를 생각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
매번 문무文武 대신大臣들에게 유시하기를, “경들은 마땅히 지존至尊의 성스럽고 어진 정사를 깊이 체득하여 백성들에게 은혜를 베풀어야 할 것이고, 가혹하고 각박한 정사를 시행하여 나라의 근본을 흔들지 말아야 할 것이다.” 하였는데, 그 후 아랫사람을 덮어준 은혜가 매우 두터웠기 때문에 천하의 사람들이 모두 마음을 의탁하였다.
영락永樂 22년(1424)에 태종황제太宗皇帝가 오랑캐를 정벌하다가 행재소行在所에서 세상을 떠났는데, 이보다 앞서 인종으로 하여금 황제에 즉위하게 하라는 유명遺命을 남겼다.
8월에 문연각文淵閣 대학사大學士 등이 유명遺命을 전하러 북경北京에 이르자 인종은 통곡慟哭하며 거의 기절하였다가 억지로 일어나 을 받았다. 다음 날 친왕親王문무文武 군신들이 누차 전문箋文을 올려 나아가기를 권하니, 인종이 이에 직접 태종의 궤연几筵에 고한 다음 황제에 즉위하여 천하에 크게 사면령을 내리고 다음 해를 홍희洪煕 원년元年으로 개원改元하였다.


역주
역주1 仁宗 : 1378~1425. 明나라의 제4대 황제로, 이름은 朱高熾이다. 3대 황제인 成祖 朱棣의 장남으로, 洪武 28년(1395) 燕世子에 책봉되고 永樂 2년(1404) 황태자가 되었으며 영락 22년(1424)에 즉위하였다. 재위 기간은 1424년에서 1425년까지이고, 연호는 洪熙이다. 어릴 때부터 文武에 빼어나 학문을 좋아하고 儒臣들과 담론하기를 즐겼다. 성조가 황위찬탈전․滿洲經略․몽골정벌 등으로 外征을 나갔을 때, 국정을 맡아 처리하며 英才의 풍모를 보였다. 즉위한 후에는 名臣 楊榮․楊士奇․楊漙․蹇義․夏原吉 등을 중용하여, 영락제의 對外積極策에서 비롯된 흩어진 내치를 회복하였고, 관기의 숙정, 민생의 복리를 도모하는 한편, 황위를 빼앗긴 후에 냉대를 당하던 建文帝 일파의 사회적 복귀를 실현시켜 국내 감정의 융화에도 힘썼다. 시호는 敬天體道純誠至德弘文欽武章聖達孝昭皇帝이다.
역주2 體恤 : 윗사람이 아랫사람의 곤란한 사정을 불쌍히 여겨 돌보아주고 구제해준다는 의미이다.
역주3 堯임금……들었는데 : 堯임금과 湯임금 시대에 있었다는 극심한 홍수와 가뭄을 말한다. ≪莊子≫ 〈秋水〉에, “우임금이 治水할 때 10년에 9년은 홍수가 났으나 물이 더 범람하지 않았고, 탕임금 때는 8년에 7년은 가뭄이 들었으나 바닷가의 水位가 더 이상 줄어들지 않았다.[禹之時 十年九潦 而水不爲加益 湯之時 八年七旱 而崖不爲加損]” 하였다.
역주4 (朝)[旦] : 저본에는 ‘朝’로 되어 있으나, ‘朝’는 朝鮮 太祖 李成桂가 왕위에 오른 뒤 ‘旦’으로 개명하였기 때문에 조선에서는 避諱하여 ‘朝’로 쓴 것이다. 그러므로 원래 글자인 ‘旦’으로 돌려놓았다.
역주5 擧兵하여……때 : 靖難의 變을 말한다. 태조가 각 요지에 자기 아들들을 封建한 뒤로 특히 북변의 諸王이 精兵을 거느리고 지방정권으로 성장하고 있었는데, 2대 황제인 惠帝가 削封策을 취하여 周王 등 5王을 폐하자 諸王 중 가장 큰 燕王 朱棣는 신변의 위험을 느끼고 1398년 승려 道衍을 謀士로 삼아 황제 옆의 간신을 제거하고, 명나라 왕조를 안전하게 한다는 명목으로 반란을 일으켰다. 그리고 그 후 3년 동안의 싸움 끝에 명나라의 환관이 燕王과 내통하여 南京은 점령당하고 혜제는 불에 타 죽었다고 한다. 1401년 燕王이 즉위하여 太宗이 되었다.
역주6 北平 : 燕의 도성인 北京을 말한다.
역주7 4鼓 : 4更에 치는 북소리로, 시간으로는 오전 1시에서 3시 사이를 말한다.
역주8 2鼓 : 2更에 치는 북소리로, 시간으로는 오후 9시에서 11시 사이를 말한다.
역주9 李景隆 : 1369~1429. 明 太祖 朱元璋의 생질인 李文忠의 아들로, 자는 九江이다. 부친의 작위를 물려받아 曹國公에 봉해졌는데, 惠帝에게 중용되어 左軍都督府事, 太子太傅, 大將軍, 奉天輔運推誠宣力武臣, 光祿大夫, 左柱國 등을 역임하였다. 靖難의 變 때 태종을 토벌하러 갔다가 도리어 연전연패하고, 태종이 南京을 압박하여 공격하자 金川門에서 적을 막았으나 결국 지키지 못하고 항복하였다.(≪明史≫ 권4 〈恭閔帝本紀〉)
역주10 (朝)[旦] : 저본에는 ‘朝’로 되어 있으나, ‘朝’는 朝鮮 太祖 李成桂가 왕위에 오른 뒤 ‘旦’으로 개명하였기 때문에 조선에서는 避諱하여 ‘朝’로 쓴 것이다. 그러므로 원래 글자인 ‘旦’으로 돌려놓았다.
역주11 藩邸 : 藩國王의 저택을 이르는 말인데, 여기서는 황제가 즉위하기 전에 웅거하던 지역을 의미한다.
역주12 國政을……때 : 유사시에 임금이 도성을 비우는 일이 있으면 王世子에게 군주의 권한을 임시로 부여하여 일시적으로 나랏일을 대행하게 하는 것을 監國이라 한다. ≪春秋左氏傳≫ 閔公 조에 “태자는 임금이 싸움터에 가면 조정에 남아서 지키고, 조정을 지킬 사람이 있으면 임금을 따라 나간다. 따라 나가는 것을 撫軍이라 하고 남아서 지키는 일을 監國이라 하는데, 이것은 옛 제도이다.[冢子 君行則守 有守則從 從曰撫軍 守曰監國 古之制也]”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역주13 楊榮 : 1371~1440. 明나라 초기의 大臣으로, 자는 勉仁, 초명은 子榮이고, 시호는 文敏이다. 建文 2년(1400) 진사시에 합격하여 翰林院編修에 임명되었다. 태종의 두터운 신임을 받아 文淵閣大學士에 올랐으며, 태종의 北征에 항상 수행하여 중요한 군무를 맡았다. 仁宗 때는 謹身殿大學士, 工部尙書를 지냈고, 宣宗․英宗까지 네 명의 황제를 섬기면서 지모와 결단력을 보여주었다. 楊士奇, 楊溥와 함께 三楊으로 불리며 국가원로로서 정계의 예우를 받았다. 저서에 ≪後北征記≫․≪楊文敏集≫이 있다.

역대군감(3)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