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歷代君鑑(1)

역대군감(1)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역대군감(1)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宣王名 이니 厲王之子也 厲王暴虐侈傲하니 國人 乃相與畔하야 襲厲王이어늘 王出奔於彘
時宣王爲太子하야 匿召公之家어늘 國人聞之하고 乃圍之하니 召公以其子代王太子한대 太子竟得脫이라
召公周公 行政하야 號曰共和者러니 十四年 厲王 死於彘 太子長於召公家하니 二相 乃共立之하니 是爲宣王이라
宣王卽位 二相輔之하야 修政하야 法文武成康之遺風하니 諸侯復宗周러라
宣王承厲王之烈하야 天下大旱이라 內有撥亂之志
遇災而懼하야 側身修行하야 欲消去之하니 天下喜於王化復行하고 周大夫仍叔 作雲漢之詩하야 以美之하니라
元年 以召穆公爲相하고 秦仲爲大夫하고 用樊侯仲山甫尹吉甫程伯休父虢文公申伯韓侯顯父南仲方叔張仲之屬하야 竝爲卿佐하야 安集兆民하다
是歲 西戎殺秦仲이어늘 王命南仲召虎方叔吉甫하야 征定西戎이라
時衰亂之餘 萬民離散하야 不安其居어늘 宣王能勞來還定安集之하야 至於鰥寡 無不得其所러라
自厲王後 四夷交侵이어늘 宣王 內修政事하며 外攘夷狄하야 其修車備器也 有車攻之詩하며 其考室也 有斯干之詩하며 其考牧也 有無羊之詩하며 其差馬也 有吉日之詩
命召公出平淮夷하며 吉甫北伐獫狁하며 方叔南征荊蠻이라
故能修文武之境土하야 會諸侯於東都하니 而周室中興焉하니라


5-5-1 선왕의 이름은 이니 여왕厲王의 아들이다. 처음에 여왕이 포학하고 사치하고 오만하므로 나라 사람들이 함께 반란을 일으켜 여왕을 습격하자 왕이 로 달아났다.
이때 선왕宣王태자太子가 되어 소공召公의 집에 숨어 있었는데, 나라 사람들이 그 소식을 듣고서 포위하니 소공이 자기 아들을 여왕의 태자로 꾸며서 태자가 벗어날 수 있었다.
소공과 주공이 정사를 행하여 공화共和라고 하였는데, 14년에 여왕이 에서 죽었다. 태자가 소공의 집에서 자랐는데 두 재상이 함께 그를 왕으로 옹위하니 이 사람이 선왕宣王이다.
선왕이 즉위하니 두 재상이 보좌하여 정치를 행해서 문왕과 무왕과 성왕과 강왕의 유풍遺風을 본받으니 제후들이 다시 나라를 종주국으로 삼았다.
선왕이 여왕이 끼친 재앙을 이어받았기 때문에 천하에 큰 가뭄이 드니, 속으로 어지러워진 세상을 바로잡으려는 뜻을 가지고 있었다.
재이災異를 만나 두려워하여 경계하고 행실을 가다듬어 제거하려고 하니 천하 사람들이 왕의 교화가 다시 행해지는 것을 기뻐하였고, 나라 대부 잉숙仍叔이 〈 시를 지어 찬미하였다.
원년元年소목공召穆公을 재상으로 삼고, 진중秦仲을 대부로 삼고, 번후樊侯중산보仲山甫윤길보尹吉甫정백휴보程伯休父(정백휴보)․괵문공虢文公신백申伯한후韓侯현보顯父(현보)․남중南仲방숙方叔장중張仲의 무리를 등용하여 모두 경좌卿佐(임금을 보좌하는 집정대신)로 삼아 천하 백성을 안정시켰다.
이해에 서융西戎진중秦仲을 살해하자 왕이 남중南仲소호召虎방숙方叔윤길보尹吉甫에게 명하여 서융을 정벌하여 평정하게 하였다.
이때 나라가 쇠하고 어지러운 뒤라서 만민이 뿔뿔이 흩어져 사는 곳에 안주하지 못하였는데, 선왕이 수고로운 자를 위로하고 오는 자를 오게 하고 간 자를 돌아오게 하고 어지러운 자를 안정시키고 위태로운 자를 편안하게 하고 흩어진 자를 모여 살게 하였다. 그리하여 의지할 데 없는 홀아비나 과부까지도 살 곳을 얻지 못한 사람이 없었다.
여왕 이후로 사이四夷가 번갈아 침입하자 선왕이 안으로는 정사를 정비하고 밖으로는 이적夷狄을 물리쳤는데, 거마車馬를 수리하고 무기를 갖춘 일에 대해서는 〈이라는 시가 있었고, 궁실宮室을 지었을 때에 〈이라는 시가 있었고, 가축을 잘 길렀을 때에 〈이라는 시가 있었고, 말을 차출할 때에 〈이라는 시가 있었다.
소공에게 명하여 회이淮夷를 평정하게 하고, 윤길보에게 북쪽으로 혐윤獫狁을 정벌하게 하고, 방숙에게 남쪽으로 형만荊蠻을 정벌하게 하였다.
그러므로 문왕과 무왕 때의 강역疆域을 회복하여 동도東都에서 제후들과 회맹會盟하니 주나라가 중흥中興하였다.


역주
역주1 雲漢 : ≪詩經≫의 편명인데, 周 宣王 때 가뭄이 계속되어 백성들이 모두 굶어 죽을 지경에 이르자, 선왕이 온 정성을 다 기울여 기우제를 지내서 비가 내리기를 간절히 바란 것을 서술하고 찬미한 내용이다.(≪詩經≫ 〈大雅〉)
역주2 (靖)[靜] : 저본에는 ‘靖’으로 되어 있으나, ≪史記≫ 〈周本紀〉에 의거하여 ‘靜’으로 바로잡았다.
역주3 車攻 : 周公이 成王을 도와 洛邑에 도읍을 조성하여 東都를 만들고 諸侯들에게 조회를 받았는데, 周나라 왕실이 쇠약해져서 오랫동안 그 禮가 행해지지 않았다. 宣王에 이르러 안으로 政事를 정비하고 밖으로 夷狄을 물리쳐 文王과 武王 때의 강역을 회복하였으며, 車馬를 수리하고 무기를 갖추어 다시 諸侯들을 東都에 모으고, 사냥을 통해서 兵車와 步卒을 선발하였으므로 詩人이 이 詩를 지어 그 일을 찬미하였다.(≪詩經≫ 〈小雅〉)
역주4 斯干 : 舊說에 의하면 厲王이 彘 땅으로 유배된 뒤에 宮室이 무너졌으므로 宣王이 즉위하여 다시 궁실을 만들고 落成한 일을 노래한 시라고 한다.(≪詩經≫ 〈小雅〉)
역주5 無羊 : 〈無羊〉에 대한 毛序에, 宣王이 家畜을 잘 기른 것을 읊은 시라고 하였다.(≪詩經≫ 〈小雅〉)
역주6 吉日 : 이 시는 天子가 사냥하는 것을 노래한 것인데, 毛序에서는 선왕이 사냥하는 것을 찬미하는 시라고 하였다.(≪詩經≫ 〈小雅〉)

역대군감(1)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