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종합DB

歷代君鑑(2)

역대군감(2)

출력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URL 오류신고
역대군감(2) 목차 메뉴 열기 메뉴 닫기
21-1-31
史臣贊曰
帝沈謀英斷하야 慨然有削平天下之志하고 旣卽大位 陳洪進錢俶 相繼納土하고 未幾 取太原하고 伐契丹하고 繼有交州西夏之役하야 干戈不息하고 天災方行하야 俘馘日至로되 而民不知兵하며 水旱螟蝗 殆徧天下로되 而民不思亂하니 其故何也
帝以慈儉爲寶하고 服澣濯之衣하고 毁奇巧之器하고 却女樂之獻하고 悟畋遊之非하고 絶遠物하고 抑符瑞하고 閔農事하고 考治功하고 講學以求多聞하고 不罪狂悖하야 以勸諫士하고 哀矜惻怛하야 勤以自勵하야 日晏忘食하고
至於欲自焚以答天譴하며 欲盡除天下之賦하야 以紓民力하야 卒有五兵不試禾稼荐登之效 是以靑齊耆耋之叟 願率子弟治道請登禪者 接踵而至하니
君子曰 得乎丘民而爲天子라하니 帝之謂乎인저 故帝之功德 炳煥史牒하야 號稱賢君하니라 若夫太祖之崩 不踰年而改元하고 涪陵縣公之貶死 武功王之自殺 宋后之不成喪 則後世不能無議焉이니라


21-1-31
사신史臣이 다음과 같이 하였다.
“태종은 계획이 치밀하고 영명英明하고 과단하여 개연히 천하를 평정할 뜻이 있었다. 제위에 오른 뒤에는 진홍진陳洪進전숙錢俶이 서로 이어 땅을 바쳤고, 얼마 지나지 않아 태원太原을 취하고 거란契丹을 정벌하고, 이어서 교주交州서하西夏를 정벌하여 전쟁이 그치지 않고 자연 재해가 유행하여, 포로와 죽인 적의 수효가 날마다 보고되었는데도 백성들은 전쟁을 알지 못하였다. 그리고 수재와 한재와 메뚜기의 재해가 거의 천하에 두루 유행하였는데도 백성들은 난리를 일으킬 것을 생각하지 않았으니, 그 까닭은 무엇인가?
태종이 자애롭고 검소함을 보배로 여기고, 세탁한 옷을 입고, 기묘하게 만든 물건을 부숴버리고, 헌상한 여악女樂를 물리치고, 사냥의 잘못을 깨닫고, 먼 지방에서 나는 물건을 거절하고, 부서符瑞를 배척하고, 농사를 근심하고, 다스린 공적을 고찰하고, 강학講學하여 다문多聞을 구하고, 광망하고 패역스러운 말을 하여도 벌하지 않아서 간언하는 사람을 권면하고, 백성을 불쌍히 여겨 부지런함으로 스스로 면려하여 날이 저물도록 식사하는 것을 잊었다.
심지어 자신의 몸을 불태워 하늘의 꾸짖음에 답하려고 하고, 천하의 세금을 모두 면제하여 백성들의 힘을 펴주려고 하여 끝내 군대를 쓰지 않고 농사가 연이어 풍년이 든 효과가 있었다. 이 때문에 청주靑州제주齊州의 연로한 늙은이들이 자제를 이끌고 길을 닦고 태산泰山에 올라 봉단封單을 행하기를 청하는 자가 연이어 이르렀다.
라고 하였으니, 태종을 가리키는 말일 것이다. 그러므로 태종의 공덕功德이 역사에 찬란하게 드러나 현군賢君이라고 일컬어졌다. 그리고 태조가 붕어하고 나서 그해를 넘기지 않고 개원改元한 것과 은 후세에 의론이 없을 수 없을 것이다.”


역주
역주1 군자가……된다 : 孟子가 말하기를, “백성이 가장 貴重하고, 社稷이 그 다음이고, 君主는 가벼운 것이다. 그러므로 丘民의 마음을 얻은 이는 天子가 되고, 천자에게 신임을 얻은 이는 諸侯가 되고, 제후에게 신임을 얻은 이는 大夫가 된다.”라고 한 말을 가리킨다.(≪孟子≫ 〈盡心 下〉)
역주2 涪陵縣公이……것 : 부릉현공은 태종의 동생인 趙廷美이다. 자는 文化이고, 본명은 光美였는데 太平興國 초에 廷美로 개명하였다. 처음에 秦王에 봉해졌다가 역모가 발각되어 부릉현공으로 좌천시키고 房州에 安置하라고 명하였는데, 방주에 도착하여 곧바로 죽었다. 이에 涪陵王으로 追封하고, 徽宗 때에 魏王으로 改封하였다.(≪宋史≫ 권244 〈宗室1 魏王廷美〉)
역주3 武功王이 자살한 것 : 武功王은 태종의 아들 德昭의 封號이다. 태종이 幽州를 정벌할 때 덕소가 따라갔었는데, 밤중에 태종이 어디 있는지 파악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였고, 이때 덕소를 황제로 옹립하려는 모의가 있었다. 태종이 그 말을 듣고 기분이 상했는데, 太原에서 돌아와 오랫동안 論賞하지 않자 덕소가 태종에게 상을 시행하기를 청하였다. 태종이 이에 대로하여 “네 마음대로 논상하라.” 하니, 덕소가 물러나와 자결하였다. 이는 태종이 자기 아들을 믿지 않음으로 인하여 일어난 비극이었다.(≪宋史紀事本末≫ 권1)
역주4 宋后의……일 : 宋后는 송 태조의 계비인 孝章宋皇后이다. 태종 때에 죽었는데, 別廟에서 제향하고 太廟에 들어가지 못하다가 神宗 때에야 太廟에 祔廟된 일을 가리킨다.(≪宋史≫ 권242 〈后妃 上〉)

역대군감(2) 책은 2024.01.03에 최종 수정되었습니다.
(우)03140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7길 52 낙원빌딩 411호

TEL: 02-762-8401 / FAX: 02-747-0083

Copyright (c) 2022 전통문화연구회 All rights reserved. 본 사이트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